KR200389185Y1 - 용수관 이음구용 조임구 - Google Patents

용수관 이음구용 조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185Y1
KR200389185Y1 KR20-2005-0008982U KR20050008982U KR200389185Y1 KR 200389185 Y1 KR200389185 Y1 KR 200389185Y1 KR 20050008982 U KR20050008982 U KR 20050008982U KR 200389185 Y1 KR200389185 Y1 KR 200389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fastener
tightening
water
fitt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우
Original Assignee
이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우 filed Critical 이대우
Priority to KR20-2005-0008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1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1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수관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일정길이의 용수관을 연결하는 용수관이음구의 조임구가 확관 및 축소될 수 있도록 하여 용수관의 변형 및 용수관의 치수변화에 의한 변환량을 흡수하여 조임할수 있도록 한 용수관이음구용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형의 관체로 형성되고 일측은 다수의 조임돌기(103)와 절개홈(102)을 가진 조임부(101)와 타측은 다수의 절개홈(105)과 가진 패킹가압구(106)로 형성되는 가압부(104)를 가진 종래의 용수관이음구용 조임구(1)에 있어서 조임관(1)의 외주벽을 용수관의 투입방향으로 절개부(1a)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진원을 이루지 못하는 용수관(2)및 정확하게 치수로 생산되지 않은 관지름을 가진 용수관을 투입하면 용수관의 외경을 따라 조임구의 절개부가 벌어지게 됨으로 조립시에 불편함을 해소하여 용수관의 연결 및 분리작업이 편리한 용수관이음구용 조임구를 얻을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용수관 이음구용 조임구{Pincher for water pipe joint}
본 고안은 용수관이음구용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수관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일정길이의 용수관을 연결하는 용수관이음구의 용수관을 고정하는 조임구에 관한것으로서 조임구가 확관 및 축소될 수 있도록 하여 용수관의 변형 및 용수관의 치수변화에 의한 변환량을 흡수하여 조임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관은 사용용도에 맞도록 급수지에서 급수지역까지 이음매가 없이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통상적으로는 운반과 시설시의 장애등으로 인하여 운반 및 시설이 편리하도록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제조함이 일반적이며 또한 용수관의 중간이 뚫어져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부를 절단하여 제거하고 관이음구를 이용하여 용수관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도 용수관을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용수관이음구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이음구본체(3')내에 단턱(301')을 형성하여 단턱(301')에 밀착하도록 패킹(5')을 투입하여 일측이 조임부(110')로 형성하고 타측은 가압부(104')로 형성하여 조임구(1')로 패킹을 가압함으로서 가압부(104')와 단턱(301') 사이에 끼워진 연질의 패킹(5')의 단면이 눌려서 변형되어 투입된 용수관(2')의 외주에 보다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한것과 도 4에서와 같이 이음구본체(3')내의 패킹장치부를 경사로 형성하고 패킹(5')의 단면을 쐐기형으로 형성하여 조임구(1')의 가압부(104')로 패킹(5')을 밀어서 패킹(5')이 경사면을 따라 내향되도록 하여 투입되는 관체에 밀착결합 하는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 용수관이음구(3')에는 통상 패킹(5')을 가압하는 가압부(104')와 투입된 용수관(2')을 조여서 고정하는 조임부(101')가 형성된 조임구(1')가 사용되는데. 종래의 조임구(1')는 양측에 가압부(104')와 조임부(101')로 를 가진 관체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용수관(2'))은 보관상태와 야외에 적재시에 태양광에 의한 열변형등으로 인하여 용수관(2'))의 단부가 찌그러져 진원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제조시에 합성수지용수관의 특성상 수지의 수축률에 의해 요수관의 외경의 지름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고 이와 같은 용수관을 이음하기 위하여 조임구에 투입하면 진원을 이루지 못하는 용수관의 단부 및 균일하지 못한 용수관의 외경지름,계절적 변화에 의한 조임구 및 용수관의 수축 및 팽창등으로 인하여 용수관(2')의 외주와 조임구(1')가 긴밀하게 밀착하지 못하며 특히 조임구(1')의 조임부(101')내경 보다 지름이 큰 용수관(2)은 조임구(1')의 내측으로 쉽게 투입되지 않음으로 이를 조립하기가 조립이 번거롭고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용수관을 조여서 고정하는 고정부와 패킹을 밀어주는 가압부로 형성되는 조임구의 개량고안에 관한것으로 용수관의 단부를 조임하는 조임구에 용수관의 단부를 투입하기 용이하게 하고 용수관의 외경의 변화에 따라 확관 및 신축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와 분해이 편리한 용수관이음구용 조임구를 제안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단에 조임구의 외주를 용수관의 투입방향으로 절단홈을 형성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게 되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원형의 관체로 형성되고 일측은 다수의 조임돌기와 절개홈을 가진 조임부와 타측은 다수의 절개홈을 가진 패킹가압구를 가진 가압부로 형성되는 종래의 용수관이음구용 조임구에 있어서:
조임구(1)의 외주를 용수관(2)의 투입방향으로 절개부(1a)를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보면 조임구(1)의 내경보다 지름이 큰 용수관(2)이 조임구(1)의 내측으로 투입되면 조입구의 절개부(1a)가 도 2에서와 같이 벌어지게 됨으로 타원의 단부를 가진 용수관(2) 및 지름이 큰 용수관의 단부를 투입하여 조임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고안은 조임구(1)가 용수관(2)의 투입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어 진원을 이루지 못하는 용수관(2)및 정확하게 치수로 생산되지 않은 관지름을 가진 용수관을 투입하면 용수관의 외경을 따라 조임구의 절개부가 벌어지게 됨으로 조립시에 불편함을 해소하여 용수관의 연결 및 분리작업이 편리하며 불량률이 적고 생산성이 우수한 용수관이음구를 얻을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용실시예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종래 용수관이음구용 조임구의 조립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조임구
101 : 조임부
102,105 : 절개홈
103 : 조임돌기
104 : 가압부
105 : 가압구
2 : 용수관
3 : 이음구본체

Claims (1)

  1. 원형의 관체로 형성되고 일측은 다수의 조임돌기(103)와 절개홈(102)을 가진 조임부(101)와 타측은 다수의 절개홈(105)과 가진 패킹가압구(106)로 형성되는 가압부(104)를 가진 종래의 용수관이음구용 조임구(1)에 있어서:
    조임관(1)의 외주벽을 용수관의 투입방향으로 절개부(1a)를 형성한 구조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관이음구용 조임구
KR20-2005-0008982U 2005-04-01 2005-04-01 용수관 이음구용 조임구 KR200389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982U KR200389185Y1 (ko) 2005-04-01 2005-04-01 용수관 이음구용 조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982U KR200389185Y1 (ko) 2005-04-01 2005-04-01 용수관 이음구용 조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185Y1 true KR200389185Y1 (ko) 2005-07-08

Family

ID=4369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982U KR200389185Y1 (ko) 2005-04-01 2005-04-01 용수관 이음구용 조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1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955B1 (ko) 2009-01-13 2011-09-15 이주승 배관 이음쇠
KR101170128B1 (ko) 2010-03-09 2012-08-06 이누리 길이 가변형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955B1 (ko) 2009-01-13 2011-09-15 이주승 배관 이음쇠
KR101170128B1 (ko) 2010-03-09 2012-08-06 이누리 길이 가변형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933B2 (en)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KR20060113387A (ko) 수지제 관 연결 유닛
KR200389185Y1 (ko) 용수관 이음구용 조임구
US6481761B2 (en) Frusto-conical seal fitting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0952726B1 (ko)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CN217108728U (zh) 一种可形变塑料复合管端口与法兰端口的对接构件
KR100952725B1 (ko) 케이피식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200414311Y1 (ko) 용수관 이음구용 패킹
KR200363157Y1 (ko) 유리 섬유강화플라스틱 관체의 이음구조
KR200363154Y1 (ko) 유리 섬유강화 플라스틱 관체의 이음구조
KR20230000760U (ko) 관이음 장치
KR200384302Y1 (ko) 용수관 이음구
KR101676735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KR20050074383A (ko) 수지재 용수관의 밀봉 연결구조
KR101160170B1 (ko) 파이프 연결용 일체형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KR200220160Y1 (ko) 파이프 연결관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JP4356825B2 (ja) 樹脂製コルゲート管用継手
KR200410503Y1 (ko) 폴리에틸렌 및 섬유강화플라스틱 관체의 이음구조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0456176Y1 (ko)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KR100750044B1 (ko) 파이프 이음관
KR200183128Y1 (ko) 파이프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