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160Y1 - 파이프 연결관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160Y1
KR200220160Y1 KR2020000033331U KR20000033331U KR200220160Y1 KR 200220160 Y1 KR200220160 Y1 KR 200220160Y1 KR 2020000033331 U KR2020000033331 U KR 2020000033331U KR 20000033331 U KR20000033331 U KR 20000033331U KR 200220160 Y1 KR200220160 Y1 KR 200220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cking
tightening cap
inl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학
Original Assignee
홍승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학 filed Critical 홍승학
Priority to KR2020000033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1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160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관 내에 투입되는 파이프를 고정하는 조임캡과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이 동시에 파이프를 조여서 기밀을 유지하고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음관(1) 양단의 파이프투입구(102)의 입구에 외광내협(外廣內挾)의 패킹투입홈(101)을 형성하고 원주면에 패킹투입홈(101)과 대응하는 경사면(301)을 가진 패킹(3)을 패킹투입홈(101)에 투입하며 패킹(3)의 외측에, 일측에 단턱(402)을 형성하고 외주면이 경사면(301)으로 되는 조임캡(4)을 투입하되 조임캡(4)은 둘레면에 다수의 절개홈(401)을 형성하여 작동고정구(2)의 일측에 내광외협(內廣外挾)의 조임캡투입홈(201)을 형성하여 조임캡(4)을 작동고정구(2)의 내측에 위치하게하며 작동고정구(2)는 이음관(1)과 나착결합한 구조로 되어 패킹(3)을 눌러주기 위한 가압구가 필요치 않고 패킹(3)과 조임캡(4)의 일면이 서로 맞대어서 조립됨으로 패킹(3)의 탄발력에 의해 패킹(3)과 조임캡(4)이 파이프에 가압한 형태로 결착되기 때문에 보다 기밀하고 견고하게 파이프(7)를 이음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관{pipe connect}
본 고안은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관 내에 투입되는 파이프를 고정하는 조임캡과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이 동시에 파이프를 조여서 기밀을 유지하고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유체의 이송수단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파이프를 설치하여 사용시에는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도록 일체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파이프를 생산하여 이동및 설치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유통하게 되고 파이프를 사용시에는 필요에 따라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됨으로 파이프의 연결수단이 필요로 하게 되며 종래에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관의 양단내경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파이프의 일측둘레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나착결합하여 파이프를 이음하였으나 이는 기밀의 유지가 어렵고 파이프에 나사를 형성해야 하고 길이가 긴 파이프를 회전하여 나착결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음으로 근래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이음관(1b)의 양단에 조임나사(103b)를 형성하고 이음관(1b)의 내측에 걸림턱(6)을 형성하여 환형패킹(3b)을 투입하고 그 외측에 압착구(8)을 투입하며 내측에 조임나사(202b)를 가진 작동고정구(2)의 일측에 조임캡투입홈(201a)을 내광외협(內廣外挾)으로 투입면이 경사로 형성되게 하여 내측에 조임캡(4b)을 투입하여 작동고정구(2b)의 조임나사(202b)와 이음관(1b)의 조임나사(103b)를 나착하여 조임캡(4b)이 작동고정구(2b)의 조임캡투입홈(201a)의 경사면에 눌려서 조임캡(4b)이 파이프(7)을 조여서 고정하고 패킹(3b)은 압착구(8)에 눌려 패킹(3b)이 파이프(7b)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되나 이는 패킹(3b)을 가압하여 파이프(7b)와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압착구(8)가 필요로 하게 됨으로 이음관을 이루는 부품의 수가 많고 조임캡(4b)이 압착구(8)에서 떨어진 상태로 파이프(7b)에 끼워 작동고정구(2b)를 회전하여 전진시키면 압착구(8)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조임캡(4)이 파이프(7b)를 조이게 되어 패킹(3)에 의한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게 됨으로 파이프의 이음시에 상단히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여 파이프연결관의 결점을 개선하여 파이프연결관을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적게하고 패킹과 조임캡이 동시에 파이프의 외관을 가압접촉하여 파이프의 고정과 기밀을 동시에 유지할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파이프 연결구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로서 (가) 는 파이프가 고정되지 않은 단면도
(나)는 파이프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파이프연결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이음관 101 : 패킹투입홈
102 : 파이프투입구 103,202 : 조임나사
2 : 작동고정구 201 : 조임캡투입홈
3 : 패킹 301 : 경사면
4 : 결착구 401 : 결착홈
402 : 단턱
이음관(1) 양단의 파이프투입구(102)의 입구에 외광내협(外廣內挾)의 패킹투입홈(101)을 형성하고 원주면에 패킹투입홈(101)과 대응하는 경사면(301)을 가진 패킹(3)을 패킹투입홈(101)에 투입하고 패킹(3)의 외측에, 일측에 단턱(402)을 형성하고 외주면이 경사면(301)으로 되는 조임캡(4)을 투입하되 조임캡(4)은 둘레면에 다수의 절개홈(401)을 형성하고 작동고정구(2)의 일측에 내광외협(內廣外挾)의 조임캡투입홈(201)을 형성하여 조임캡(4)을 작동고정구(2)의 내측에 위치하게하며 작동고정구(2)를 이음관(1)과 나착결합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파이프(7)를 조임캡(4)과 패킹(3)의 파이프투입홈(4a)(3a)을 관통하여 이음관(1)의 파이프투입홈(102)에 투입하여 고정구(6)에 파이프(7)의 끝이 접촉되게 끼우고 작동고정구(2)를 이음관(1)의 조임나사(103)(202)와 나착시켜 결합하면 패킹(3)은 패킹투입홈(101)의 내측으로 밀려들어서 파이프(7)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되고 조임캡(4)은 패킹(3)과 맞닿은 상태로 작동고정구(2)의 조임캡투입홈(201)에 투입되어 작동고정구(2)의 조임캡투입홈(201)의 경사면(301)으로 밀려서 파이프를 조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은 작동고정구(2)를 이음관(1)에 결합함으로서 패킹(3)및 조임캡(4)이 동시에 파이프(7)의 외경을 조이게 됨으로 파이프의 이음작업이 편리하고 패킹(3)과 조임캡(4)의 일면이 서로 맞대어서 조립됨으로 패킹(3)의 탄발력에 의해 패킹(3)과 조임캡(4)이 동시에 파이프에 가압한 형태로 결착되기 때문에 보다 기밀하고 견고하게 파이프(7)를 이음할수 있으며 패킹(3)을 눌러주기 위한 가압구가 필요치 않게 됨으로 조립이 편리하고 생산원가를 낮추고 생산성이 높은 파이프 연결관을 얻을수 있는것이다.

Claims (1)

  1. 이음관(1)의 내측에 패킹과 조임캡을 투입하고 작동고정구를 이음관과 나착결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관에 있어서 이음관(1)양단의 파이프투입구(102)의 입구에 외광내협(外廣內挾)의 패킹투입홈(101)을 형성하여 원주면에 패킹투입홈(101)과 대응하는 경사면(301)을 가진 패킹(3)을 패킹투입홈(101)에 투입하고 패킹(3)의 외측에 일측에 단턱(402)을 형성하고 외주면이 경사면(301)으로 되고 둘레에 다수의 절개홈(401)을 형성한 조임캡(4)을 투입하여 작동고정구(2)를 이음관(1)과 나착결합한 파이프 연결관
KR2020000033331U 2000-11-24 2000-11-24 파이프 연결관 KR200220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31U KR200220160Y1 (ko) 2000-11-24 2000-11-24 파이프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31U KR200220160Y1 (ko) 2000-11-24 2000-11-24 파이프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160Y1 true KR200220160Y1 (ko) 2001-04-16

Family

ID=7308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331U KR200220160Y1 (ko) 2000-11-24 2000-11-24 파이프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1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655B1 (ko) * 2001-08-31 2004-05-22 일신정공주식회사 파이프연결구
KR100879803B1 (ko) * 2007-12-13 2009-01-22 주식회사 젠트로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033315A (ko)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655B1 (ko) * 2001-08-31 2004-05-22 일신정공주식회사 파이프연결구
KR100879803B1 (ko) * 2007-12-13 2009-01-22 주식회사 젠트로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033315A (ko)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0578Y1 (ko) 파이프 커플링
KR200267995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200220160Y1 (ko) 파이프 연결관
KR200177937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100308564B1 (ko) 관 연결구
EP0638752A1 (en) Pipe connector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KR200142430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200346945Y1 (ko) 주름관 연결장치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100791455B1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0324470B1 (ko) 관 연결구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200142598Y1 (ko) 관연결구용 원통형 보조패킹
KR0134887Y1 (ko) 관이음쇠
KR19990039440U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421044Y1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KR101186550B1 (ko) 관이음 조립체
KR200473400Y1 (ko) 파이프와 연결관의 연결장치
CN218935559U (zh) 一种卡套接头
KR200290806Y1 (ko) 주름관 연결구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KR200302781Y1 (ko) 호스 연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