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781Y1 - 호스 연결체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781Y1
KR200302781Y1 KR20-2002-0032753U KR20020032753U KR200302781Y1 KR 200302781 Y1 KR200302781 Y1 KR 200302781Y1 KR 20020032753 U KR20020032753 U KR 20020032753U KR 200302781 Y1 KR200302781 Y1 KR 200302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spiral
circumferential surface
fixing member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희명
Original Assignee
(주)삼성메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메가텍 filed Critical (주)삼성메가텍
Priority to KR20-2002-0032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 연결체에 나선호스를 연결할 때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또한 나선호스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호스 연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연결체는 중간에 너트링(11) 형성되고 그 한쪽에는 액체탱크와 기밀하게 연결되는 나사관(12)이 형성되며 그 반대쪽에는 상기 나사관(12)과 소통되며 나선호스(50)가 끼워지는 가이드관(13)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관(13)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너트링(11)에서 연장되는 소켓(14)이 형성된 커넥터본체(10); 상기 가이드관(13)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끼워지며 상기 나선호스(50)의 나선과 동일한 나선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둘레에 축선방향의 절개부(22)가 형성된 고정부재(20); 이 고정부재(2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주면을 일정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 중심에 호스통과홀(43)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14)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30) 및 고정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캡(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스 연결체{Hosepipe connector}
본 고안은 호스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갖는 나선호스를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할 때 기밀하고 신속하게 연결되며 또한 나선호스를 분리시킬 때 용이하게 이탈되는 호스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선호스를 연결하는 호스 연결체의 형상과 이 호스 연결체에 의해 호스가 연결되는 과정을 도 1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간에 마련된 너트링(111)의 양쪽으로 나사관(112,113)이 형성된 커넥터본체(110)가 구비되고 이 커넥터본체(110)의 한쪽 나사관(112)이 액체탱크 벽체(170)를 관통하여 너트(120)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나선호스(160)의 단부 테두리에 환형의 테두리갭(140)이 씌워져 압착공구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나선호스(160)와 테두리캡(140)은 일체화된다.
다음으로 한쪽 단부에 내향 플랜지부(151)가 형성된 너트캡(150)이 나선호스(160)에 테두리캡(140)이 결합되기 전에 나선호스(160)에 미리 삽입된 상태에서 나선호스(160)에 결합된 테두리캡(140)의 외측 단부를 플랜지부(151)가 가압하도록 상기 너트캡(150)이 커넥터본체(110)의 나사관(113)에 체결된다.
이때 나선호스(160)에 결합된 테두리캡(140)과 상기 커넥터본체(110)의 나사관(113) 사이에는 탄력성의 패킹링(130)이 위치되어 기밀성을 가지면서 나선호스(160)와 액체탱크는 호스 연결체에 의해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어 온 호스 연결체는 상기된 바와 같이 나선호스를 연결할 때 나선호스의 테두리에 압착공구로 테두리캡을 결합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너트캡을 상기 커넥터본체의 나사관에 체결되도록 조여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체적으로 부품들이 따로 구비되어 있고 이들이 각각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과정에 의해 나선호스와 호스 연결체가 연결되는 구조이어서 체결과정이 복잡하고 작업의 신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나선호스를 호스 연결체에 연결할 때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또한 나선호스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호스 연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에 실시된 호스 연결체를 분해한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연결체를 일부 절취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
도 4는 탄성부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본체 11 : 너트링
12 : 나사관 13 : 가이드관
14 : 소켓 20 : 고정부재
21, 51 : 나선부 22 : 절개부
30 : 탄성부재 40 : 플랜지캡
50 : 나선호스 60 : 너트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호스 연결체는, 중간에 너트링 형성되고 그 한쪽에는 액체탱크와 기밀하게 연결되는 나사관이 형성되며 그 반대쪽에는 상기 나사관과 소통되며 나선호스가 끼워지는 가이드관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관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너트링에서 연장되는 소켓이 형성된 커넥터본체; 상기 가이드관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끼워지며 상기 나선호스의 나선과 동일한 나선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둘레에 축선방향의 절개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이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을 일정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 중심에 호스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 및 고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소켓은 그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반경방향으로 일정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통공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연결체를 일부 절취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탄성부재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연결체는 액체탱크 벽체(70)에 연결되며 나선호스(50)가 삽입되는 커넥터본체(10)와, 상기 나선호스(50)가 상기 커넥터본체(10)에 삽입 또는 분리될 때 착탈을 용이하게 하며 기밀성을 부가하는 고정부재(20) 및 탄성부재(30), 상기 고정부재(20)와 탄성부재(3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캡(40)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본체(10)는 중간에 육각 너트링(11)이 형성되고 이 너트링(11)의 한쪽 측면이 연장되어 너트(60)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관(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너트링(11)의 반대측 측면이 연장되어 나선호스(50)가 끼워지는 가이드관(13)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관(13)의 외주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너트링(11)에서 연장되는 소켓(14)이 형성된다. 이 소켓(14)에는 둘레방향에 다수의 통공부(14a)가 형성되고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플랜지캡(40)이 체결되는 암나사부(14b)가 형성된다.
즉 커넥터본체(10)는 너트링(11)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나사관(12)과 가이드관(13)이 서로 소통되는 구조이며, 상기 나사관(12)에는 액체탱크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관(13)에는 나선호스(50)가 삽입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관(13)의 외주면에 상기 나선호스(50)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삽입될 때 서로 접하는 면이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나선호스(5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나선호스(50)의 단부 외주면에 나선 치합되어 감싸는 고정부재(20)와 이 고정부재(2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가이드관(13)의 외주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환형상으로 끼워지며 나선호스(50)의 나선부(51)와 치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선부(21)가 형성된다. 또한 그 둘레에는 축선방향의 절개부(22)가 형성되어 외력을 받았을 때 직경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여 나선호스(50)와의 치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반경방향으로 일정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통공부(14a)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버튼부(33)가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30)를 설명하면 도 4를 통하여 알 수 있는바와 같이 탄력성의 판체로 되어 고정부재(2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호형상의 가압부(31)가 마주 향하도록 원형 배치되며 이 가압부(31)의 양단부가 비스듬히 외향 연장되어 두께가 얇은 다수의 연결부(32)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32)들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씩 버튼부(33)에 각각 연결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버튼부(33)가 상기 소켓(14)의 통공부(14a)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켓(14) 내부에 위치되며, 그 버튼부(33)를 눌렀을 때 상기 연결부(32)는 상기 가압부(31)를 외곽으로 밀어내어 확장시키는 구조이다. 이렇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20)는 가압부(31)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롭게 되고 직경의 변화가 가능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관(13)에 나선호스(50)의 삽입과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13)과 소켓(14)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부재(20) 및 탄성부재(30)가 외력에 의해 그곳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켓(14)의 일측에 플랜지캡(40)이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캡(40)은 상기 고정부재(20) 및 탄성부재(30)의 테두리 측면을 커버하는 환형상의 마개인 것으로 중심에는 호스통과홀(43)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소켓(14)의 암나사부(14b)와 결합되는 수나사부(41)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외향 플랜지부(42)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연결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본체(10)의 나사관(12)이 액체탱크의 벽체(70)에 너트(60)에 의해 고정되었을 때, 탄성부재(30)의 버튼부(33)를 눌러 나선호스(50)를 가이드관(13)에 삽입시킨 후 상기 버튼부(33)를 놓게 되면 상기 가압부(31)에 의해 가압받는 고정부재(20)가 수축되어 나선호스(5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때 고정부재(20)와 나선호스(50)의 나선치합이 잘 되도록 나선호스(50)를 좌우로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호스 연결체와 나선호스(50)는 용이하게 연결된다.
다시 호스 연결체로부터 상기 나선호스(50)를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30)의 버튼부(33)를 누르고 상기 나선호스(50)를 상기 가이드관(13)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분리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연결체에 의하여 탄성부재의 버튼부를 눌러 나선호스를 끼워 넣는 것으로서 나선호스가 기밀하고 신속하게 연결되며,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된 호스 연결체로부터 나선호스를 분리시킬 때는 탄성부재의 버튼부를 눌러 나선호스를 이탈시키는 것으로써 간편하게 분리되어 착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중간에 너트링(11) 형성되고 그 한쪽에는 액체탱크와 기밀하게 연결되는 나사관(12)이 형성되며 그 반대쪽에는 상기 나사관(12)과 소통되며 나선호스(50)가 끼워지는 가이드관(13)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관(13)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너트링(11)에서 연장되는 소켓(14)이 형성된 커넥터본체(10);
    상기 가이드관(13)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끼워지며 상기 나선호스(50)의 나선과 동일한 나선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둘레에 축선방향의 절개부(22)가 형성된 고정부재(20);
    이 고정부재(2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주면을 일정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
    중심에 호스통과홀(43)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14)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30) 및 고정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캡(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4)은 그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통공부(14a)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30)는 반경방향으로 일정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통공부(14a)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버튼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체.
KR20-2002-0032753U 2002-11-01 2002-11-01 호스 연결체 KR200302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753U KR200302781Y1 (ko) 2002-11-01 2002-11-01 호스 연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753U KR200302781Y1 (ko) 2002-11-01 2002-11-01 호스 연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781Y1 true KR200302781Y1 (ko) 2003-02-11

Family

ID=4933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753U KR200302781Y1 (ko) 2002-11-01 2002-11-01 호스 연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7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464B1 (ko) 2016-06-15 2017-07-10 정호영 금형 냉각수홀의 호스 연결용 피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464B1 (ko) 2016-06-15 2017-07-10 정호영 금형 냉각수홀의 호스 연결용 피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9779B2 (ja) 樹脂製管継手
KR200232262Y1 (ko) 튜브 커플러
JP5891537B2 (ja) 管継手
KR19990088137A (ko) 관죠인트및그제조장치
KR20040045315A (ko) 관 조인트
US20210108747A1 (en) Fitting assembly for fluid device
KR101548111B1 (ko) 관 연결 소켓
KR20110022236A (ko) 멀티소켓관과 드레인호스의 결합구조
KR200302781Y1 (ko) 호스 연결체
KR200424245Y1 (ko) 주름관 연결구의 기밀고정장치
JP2010164197A (ja) 接続部品
TWI624612B (zh) 管接頭
KR200409053Y1 (ko) 파이프 이음구조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100219404B1 (ko) 호스컨넥터
JPH07103379A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KR200220160Y1 (ko) 파이프 연결관
KR100446186B1 (ko) 튜브커플러
KR101186550B1 (ko) 관이음 조립체
JP2747450B2 (ja)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端末連結部
JPH08254291A (ja) 樹脂管継手
WO2002046655A1 (en) Pipe joint
KR10200067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KR200213663Y1 (ko) 배관 연결구
KR200390424Y1 (ko) 관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