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945Y1 - 주름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주름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945Y1
KR200346945Y1 KR20-2004-0001003U KR20040001003U KR200346945Y1 KR 200346945 Y1 KR200346945 Y1 KR 200346945Y1 KR 20040001003 U KR20040001003 U KR 20040001003U KR 200346945 Y1 KR200346945 Y1 KR 200346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ring
packing member
ring nut
sid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트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트라
Priority to KR20-2004-0001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9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9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16L19/04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the ring being an ins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름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패킹부재 및 압착링을 개선하여 주름관을 보다 견실하게 시일링 연결하며 연결소켓 내부로의 이물질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주름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링너트(30)의 내부에 배치된 압착링(40)의 일측단(41)은 통형상의 패킹부재(20) 측단(21)과 당접하고, 이의 타측단은 링너트(30)의 내향 걸림턱(31)에 걸리도록 테이퍼면(42)으로 이루어지며, 압착링(40)의 타측단 내주에는 링너트(30)의 조임 시 주름관(50)의 골(51) 내부로 수용되어 밀착되는 환상돌기(43)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링너트(30)의 조임 시 압착링(40)이 밀려들어오면서 패킹부재(20)가 주름관(50) 단부에 기밀하게 압착되며, 아울러 압착링(40) 역시 변형되면서 환상돌기(43)가 주름관(50)의 골(51) 내부로 수용되어 밀착된다. 결국, 주름관(50) 단부가 연결소켓(10)의 나사연결부(12L)(12R)내에서 직접 접하지 않으면서도 견실하게 시일링 결합되는 것은 물론이며, 연결소켓(1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름관 연결장치{PLEAT-PIPE COUPLING DEVICE}
본 고안은 주름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킹부재 및 압착링을 통해 주름관 연결부위의 누수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주름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빌딩이나 주택 및 아파트와 같은 생활환경속에서 생활용수나 연료가스 등을 원거리의 공급원으로부터 사용 장소까지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주름관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주름관의 방향전환이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연결구조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즉, 내부압력이나 외부충격으로부터 주름관 사이의 이음부위를 확실하게 기밀 유지시켜 파이프를 통과하는 유체의 누수 및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주름관 연결장치가 요구된다.
이를 위한 종래 주름관 연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몸체(1a)를 기준으로 양측에 나사연결부(1b)(1c)가 마련된 황동재 연결소켓(1)과, 스테인리스 스틸재질의 주름관(2) 단부가 수용되는 나사연결부(1b)(1c)의 내면에 패킹부재(5)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돌출턱(1d)과, 압착링(3)을 수용한 상태에서 연결소켓(1)의 나사연결부(1c)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링너트(4)를 포함한다. 그리고 패킹부재(5)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소경부와 대경부를 갖는 원통체(5a)와, 이 원통체(5a)의 소경부 외주를 감싸도록 조립되면서 돌출턱(1d)에 안착되는 외측 원형패킹(5b)과, 원통체(5a)의 대경부 내주에 배치되며 주름관(2)의플랜지(2a) 전면에 밀착되는 내측 원형패킹(5c)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나사연결부(1c)에 패킹부재(5)를 끼워 넣고 주름관(2)의 플랜지(2a) 이면에 압착링(3)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링너트(4)를 나사연결부(1c)에 조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너트(4)의 걸림턱(4a)이 압착링(3)을 강하게 압착시킨다. 계속하여 압착링(3)이 압착됨에 따라 주름관(2)의 플랜지(2a)가 나사연결부(1c) 내측으로 약간 진입되면서 패킹부재(5)의 외측 원형패킹(5b)과 내측 원형패킹(5c)이 압착되며, 이것에 의해 주름관(2) 단부가 시일링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주름관 연결장치에서는 패킹부재(5)를 압착시키기 위해서는 주름관(2) 단부에 플랜지(2a)가 구성되어야 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나사연결부(1b)(1c)의 재질은 통상 황동인 반면에 주름관(2)은 통상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되는데, 주름관(2) 플랜지(2a)가 진입되면서 나사연결부(1c)가 서로 인접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이질적인 재질로 구성된 주름관(2)과 나사연결부(1c)가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장기간 경과하면 전이에 의한 부식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부식현상으로 플랜지(2a) 강도가 약해지고 심한 경우 그 기능이 상실되어 누수발생의 원인이 된다.
또한, 압착링(3)은 주름관(2) 외주와는 기밀하게 압착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물질(습기 등)이 주름관(2)과 압착링(3) 사이 틈새로 침투하여 부식현상이 가속화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패킹부재 및 압착링 구조를 개선하여 주름관 단부를 연결소켓에 보다 견실하게 시일링 연결하는 것은 물론이며 연결소켓 내부로의 이물질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주름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주름관 연결장치의 단면도로, 가조립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종래 주름관 연결장치의 완조립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름관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 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름관 연결장치의 주름관 가조립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주름관 연결장치의 주름관 완조립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주름관 연결장치의 패킹부재 및 압착링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연결소켓 12L,12R..나사연결부
20..패킹부재 22..결합돌기
30..링너트 40..압착링
42..테이퍼면 43..환상돌기
45..요홈 50..주름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체통로를 이루며 주름관의 단부가 수용되는 나사연결부가 양측에 마련된 연결소켓과, 이 연결소켓의 나사연결부 내부에 배치되어 주름관의 단부를 감싸는 패킹부재와, 연결소켓의 나사연결부에 결합되며 후단에 내향 걸림턱이 형성되어 주름관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링너트와, 이 링너트의 조임 시 패킹부재를 압착시키면서 주름관에 밀착되도록 링너트 내부에 배치되는 압착링을 갖춘 주름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압착링은 일측단이 패킹부재의 측단과 당접하고 타측단 외주는 링너트의 내향 걸림턱에 걸리도록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지며,
압착링의 타측단 내주에는 링너트의 조임 시 주름관의 골 내부로 수용되어 밀착되는 환상돌기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착링의 타측단에는 환상돌기가 견실하게 밀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절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킹부재의 측단과 압착링의 일측단 중 어느 하나에는 원주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요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어, 패킹부재의측단과 압착링의 일측단이 요철 결합방식으로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킹부재의 단부에는 나사연결부내에서 주름관의 단부를 여유있게 감싸도록 통형상의 립부가 마련되어, 주름관과 연결소켓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름관 연결장치는 절곡성이 양호하고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재질로 제작되어 온수배관 및 가스배관용으로 사용되는 금속 주름관 단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연결부(12L)(12R)가 양측에 마련되어 주름관(50)의 단부가 수용되는 연결소켓(10)과, 이 연결소켓(10)의 나사연결부(12L)(12R) 내부에 배치되어 주름관(50)의 단부를 감싸는 패킹부재(20)와, 연결소켓(10)의 나사연결부(12L)(12R)에 결합되는 링너트(30)와, 이 링너트(30) 내부에 배치되어 주름관(50)에 밀착되면서 패킹부재(20)를 압착하는 압착링(40)을 구비한다.
연결소켓(10)은 황동재로 이루어지며 육각몸체(11)를 기준으로 양측에 나사연결부(12L)(12R)가 대향되게 마련되며, 이의 내부에는 유체통로(13)가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또한, 나사연결부(12L)(12R)의 내주는 안쪽에서 바깥측으로 갈수록 단을 가지면서 직경이 커지는 단차면(14)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패킹부재(20)는 대략 원통형상을 갖도록 실리콘으로 사출 성형되는데, 이것은 연결소켓(10)의 나사연결부(12L)(12R)에 내부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패킹부재(20)는 연결소켓(10)의 나사연결부(12L)(12R) 내측에 배치되면서 주름관(50) 단부를 외부에서 감싸게 되는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 두께가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링너트(30)의 조임 시 패킹부재(20)는 나사연결부(12L)(12R) 안쪽으로 밀려들어오면서 점차로 두께가 두꺼워져 주름관(50) 단부에 밀착되게 된다. 또한, 미설명 부호 "23"은 패킹부재(20)의 일측단부에 직경이 줄어들게 마련된 통형상의 립부로, 이 립부(23)에 의해 주름관(50)의 단부와 연결소켓(10)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링너트(30)는 연결소켓(10)의 나사연결부(12L)(12R)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주름관(50) 단부를 고정하는 것으로, 이의 후단에는 내향 걸림턱(31)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내향 걸림턱(31)은 후술하는 압착링(40)의 테이퍼면(42)과 접하면서 압착링(40)을 누르기 위함이다.
한편, 압착링(40)은 링너트(30) 내부에 배치되어 이의 조임 시 주름관(50)에 밀착되면서 패킹부재(20)를 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일측단(41)은 패킹부재(20)의 측단(21)과 당접하고 타측단 외주는 링너트(30)의 내향 걸림턱(31)이 걸리도록 테이퍼면(42)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압착링(40)은 일부가 절결되어 있어서, 링너트(30)의 조임 시 내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주름관(50) 외주에 밀착되게 된다.
이러한 압착링(40)의 타측단 내주에는 링너트(30)의 조임 시 주름관(50)의 골(51) 내부로 수용되어 밀착되는 환상돌기(43)가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압착링(40)의 타측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절결홈(44)이 형성되어 있어서, 환상돌기(43)가 주름관(50)에 보다 견실하게 밀착되게 된다.
또한, 패킹부재(20)의 측단(21)과 압착링(40)의 일측단(41) 중 어느 하나에는 원주방향으로 요홈(45)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요홈(45)에 결합돌기(22)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패킹부재(20)의 측단(21)과 압착링(40)의 일측단(41)은 요철 결합방식으로 당접하여 패킹부재(20)가 뒤틀림이 없이 압착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압착링(40)의 일측단(1) 내주에 요홈(45)을 형성하고 패킹부재(20)의 측단(21)에 결합돌기(22)를 구성하였는데, 이에 국한하지 않고 패킹부재(20)의 측단에 요홈을, 압착링(40)의 일측단에 결합돌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주름관 연결장치를 통한 주름관 연결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소켓(10)의 나사연결부(12L)(12R) 내부에 실리콘으로 제작된 패킹부재(20)를 배치한 후 여기에 주름관(50) 단부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압착링(40)을 끼운 상태에서 링너트(30)를 연결소켓(10)의 나사연결부(12L)(12R)에 조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부재(20)는 점차로 압착되면서 주름관(50) 외주에 밀착되며, 아울러 압착링(40) 역시 탄성 변형되면서 주름관(50) 외주에 밀착된다.
즉, 내향 걸림턱(31)에 압착링(40)의 테이퍼면(42)이 당접됨으로써, 링너트(30)를 조임에 따라 압착링(40) 역시 나사연결부(12L)(12R) 내부로 밀려들어간다. 따라서 패킹부재(20)가 압착되면서 주름관(50) 단부에 견실하게 밀착된다. 이 때, 결합돌기(22)와 요홈(45)을 통해 패킹부재(20)와 압착링(40)의 단부가 요철 결합방식으로 당접되어 있어서, 패킹부재(20)는 뒤틀림이 없이 반경방향으로 균일하게 변형되면서 밀착된다.
아울러, 링너트(30)를 조임에 따라 압착링(40) 역시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환상돌기(43)가 주름관(50)의 골(51) 내부로 수용되어 견실하게 밀착된다. 이 때, 환상돌기(43)들은 절결홈(44)들에 의해 구획되어져 있기 때문에, 압착링(40)의 측단이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주름관(50) 외주에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된다.
결국, 주름관(50) 단부가 나사연결부(12L)(12R)내에 수용되어도 립부(23)가 일체로 마련된 통형상의 패킹부재(20)에 의해 상호간에 직접 접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패킹부재(20)를 압착시키는 압착링(40) 역시 환상돌기(43)를 통해 주름관(50) 외주에 견실하게 밀착됨으로써 주름관(50)과 압착링(40) 사이로 이물질(습기 등)이 침투하지 못한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패킹부재(20)의 측단(21)과 압착링(40)의 일측단(41)을 요철 결합방식으로 당접시키는 것으로 실시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부재(20)의 측단(21a)과 압착링(40)의 일측단(41a)을 소정의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하여 직접 당접시키도 본 고안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름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링너트의 내부에 배치된 압착링의 일측단은 통형상의 패킹부재 측단과 당접하고, 이의 타측단은 링너트의 내향 걸림턱에 걸리도록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지며, 압착링의 타측단 내주에는 링너트의 조임 시 주름관의 골 내부로 수용되어 밀착되는 환상돌기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링너트의 조임 시 압착링이 밀려들어오면서 패킹부재가 주름관 단부에 기밀하게 압착되며, 아울러 압착링 역시 변형되면서 환상돌기가 주름관의 골 내부로 수용되어 밀착된다. 결국, 주름관 단부가 연결소켓의 나사연결부내에서 직접 접하지 않으면서도 견실하게 시일링 결합되는 것은 물론이며, 연결소켓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4)

  1. 유체통로(13)를 이루며 주름관(50)의 단부가 수용되는 나사연결부(12L)(12R)가 양측에 마련된 연결소켓(10)과, 상기 연결소켓(10)의 나사연결부(12L)(12R) 내부에 배치되어 주름관(50)의 단부를 감싸는 패킹부재(50)와, 상기 연결소켓(10)의 나사연결부(12L)(12R)에 결합되며 후단에 내향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주름관(50)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링너트(30)와, 상기 링너트(30)의 조임 시 상기 패킹부재(20)를 압착시키면서 주름관(50)에 밀착되도록 상기 링너트(30) 내부에 배치되는 압착링(40)을 갖춘 주름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40)은 일측단(41)이 상기 패킹부재(20)의 측단(21)과 당접하고 타측단 외주는 상기 링너트(30)의 내향 걸림턱(31)에 걸리도록 테이퍼면(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착링(40)의 타측단 내주에는 상기 링너트(30)의 조임 시 주름관(50)의 골(51) 내부로 수용되어 밀착되는 환상돌기(43)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40)의 타측단에는 상기 환상돌기(43)가 견실하게 밀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절결홈(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연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20)의 측단(21)과 상기 압착링(40)의 일측단(41) 중 어느 하나에는 원주방향으로 요홈(45)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요홈(4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가 마련되어,
    상기 패킹부재(20)의 측단(21)과 상기 압착링(40)의 일측단(41)이 요철 결합방식으로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연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20)의 단부에는 상기 나사연결부(12L)(12R)내에서 상기 주름관(50)의 단부를 여유있게 감싸도록 통형상의 립부(23)가 마련되어, 상기 주름관(50)과 연결소켓(1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연결장치.
KR20-2004-0001003U 2004-01-14 2004-01-14 주름관 연결장치 KR200346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003U KR200346945Y1 (ko) 2004-01-14 2004-01-14 주름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003U KR200346945Y1 (ko) 2004-01-14 2004-01-14 주름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945Y1 true KR200346945Y1 (ko) 2004-04-01

Family

ID=4942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003U KR200346945Y1 (ko) 2004-01-14 2004-01-14 주름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94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54B1 (ko) 2011-09-21 2012-05-09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관 연결구
WO2014088150A1 (ko) * 2012-12-04 2014-06-12 주식회사 로도에이치 파이프 연결장치 및 파이프 연결방법
KR101482981B1 (ko) 2013-09-12 2015-01-16 (주)태흥앤피아이피 이중관 실링캡 커넥터
KR20190108319A (ko) * 2018-03-14 2019-09-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작업차량용 유압인출장치
CN111237555A (zh) * 2020-03-13 2020-06-05 赵德武 油气管道不动火安全封堵装置
KR20220114874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두본후렉시블 금속 주름관의 연결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54B1 (ko) 2011-09-21 2012-05-09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관 연결구
WO2014088150A1 (ko) * 2012-12-04 2014-06-12 주식회사 로도에이치 파이프 연결장치 및 파이프 연결방법
KR101482981B1 (ko) 2013-09-12 2015-01-16 (주)태흥앤피아이피 이중관 실링캡 커넥터
KR20190108319A (ko) * 2018-03-14 2019-09-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작업차량용 유압인출장치
KR102635909B1 (ko) * 2018-03-14 2024-02-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작업차량용 유압인출장치
CN111237555A (zh) * 2020-03-13 2020-06-05 赵德武 油气管道不动火安全封堵装置
KR20220114874A (ko) * 2021-02-09 2022-08-17 주식회사 두본후렉시블 금속 주름관의 연결구조
KR102561511B1 (ko) * 2021-02-09 2023-07-31 주식회사 두본후렉시블 금속 주름관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2556Y2 (ko)
KR100307809B1 (ko) 수지제관이음매
JP2013534603A (ja) パイプフィッティング
KR100366129B1 (ko) 관 커플러
KR200346945Y1 (ko) 주름관 연결장치
KR100756429B1 (ko) 배관 이음구
JP2007078158A (ja) ホースエンド接続継手
KR200177937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JP4787427B2 (ja) 防水型電子機器のシール構造
KR200245318Y1 (ko)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KR200269762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179789Y1 (ko) 관 밀봉구
KR200164085Y1 (ko) 관연결구
KR19990039440U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JPH06281066A (ja) 配管用の継手装置
KR200142598Y1 (ko) 관연결구용 원통형 보조패킹
KR100313235B1 (ko)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KR200387796Y1 (ko) 합성수지관 이음쇠
KR200164118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70100089A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KR200165066Y1 (ko) 관연결구용패킹
KR200439569Y1 (ko) 복합관 이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