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318Y1 -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 Google Patents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318Y1
KR200245318Y1 KR2019990002037U KR19990002037U KR200245318Y1 KR 200245318 Y1 KR200245318 Y1 KR 200245318Y1 KR 2019990002037 U KR2019990002037 U KR 2019990002037U KR 19990002037 U KR19990002037 U KR 19990002037U KR 200245318 Y1 KR200245318 Y1 KR 200245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flange
crimping
rear end
connectio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880U (ko
Inventor
권윤노
Original Assignee
권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윤노 filed Critical 권윤노
Priority to KR2019990002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31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8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318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스틸제 주름관을 연결하기 위한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육각몸체를 기준하여 양측에 연결나사부가 형성되며, 주름관이 연결되는 일측 연결나사부에 돌출턱이 형성된 본체와, 주름관의 플랜지의 이면에 밀착되는 압착링 및 상기 일측 연결나사부에 나사조립될 때 상기 압착링을 압착하는 조임너트로 구성되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 연결나사부에 삽입되어 돌출턱에 안착되는 주연면에 원형요홈이 형성되는 선단부와, 상기 주름관 플랜지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플랜지를 기밀하게 감싸면서 붙잡아주는 체결홈이 내주면에 형성된 중간부 및 상기 주름관의 플랜지 이면측에 노출된 금속층과 합성수지 피복층을 감싸주는 후단부로 구분되는 원통형 패킹과,상기 원통형 패킹의 중간부와 후단부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원통형 패킹의 후단부를 감싸면서 중간부와의 경계면을 압착하는 압착면의 주연에 원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끼이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압착링을 구비하여 본체에 주름관의 플랜지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유체의 누설방지 및 부식을 방지하여 주름관의 설치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특징이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Metal pipe connector for wrinkling pipe}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스틸제 주름관을 연결하기 위한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판재를 소재로하여 제관되는 금속제 주름관은 구부리기가 용이하여 옥내 배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주름관의 외부는 유색의 합성수지 피복층으로 피복하고 있는데, 주름관의 양단 부분은 상기한 합성수지 피복층을 일부 제거한 다음 관연결구와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통상 주름부 3개를 압착가공하여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금속제 주름관을 연결하는 종래 기술의 관연결구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연결구의 본체(100)는 육각몸체(101)을 기준하여 양측에 연결나사부(102)(103)가 형성되는데, 주름관(200)이 연결되는 나사연결구(103)의 내면에는 패킹부재(300)가 안착되는 돌출턱(1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부재(30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단면이 ''자형으로 된 원통체(301)의 소경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외측 원형패킹(302)이 상기 돌출턱(104)에 안착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원통체(301)의 대경부 내주면에 조립되는 내측 원형패킹(303)은 주름관(200)의 플랜지(201) 전면에 밀착되게 한 다음 상기 플랜지(201)의 이면에 압착링(4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임너트(500)를 연결나사부(103)에 나사조임하여걸림턱(501)이 상기 압착링(400)을 강하게 압착케 하는 구성으로 주름관(200)을 연결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조임너트(500)를 강하게 나사조임하게 되면 압착링(400)이 플랜지(201)를 본체(100)쪽으로 압착하게 되어 패킹부재(300)의 내,외측 원형패킹(302)(303)이 압착되므로 플랜지(201)가 연결나사부(103) 내측으로 약간 진입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나사부(103)의 선단부와 플랜지(201)가 서로 인접한 상태가 되는데, 상기 본체(100)는 그 재질이 황동이고 주름관(20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이므로 상기 연결나사부(103)와 플랜지(201)는 이질적인 재질이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장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전이에 의한 부식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부식현상은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로 확대되므로 플랜지(201)의 강도가 약해져 플랜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됨과 동시 주름관(200)으로 흐르는 유체압력에 의해 틈이 생기게 되어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상기한 유체가 가스일 경우에는 화재 등 위험한 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은 주름관(200)의 플랜지(201)를 압착하고 있는 압착링(400)이 주름관(200)을 피복하고 있는 합성수지 피복층(203)을 기밀하게 압착할 수 없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기의 공기 또는 습기가 주름관(200)과 압착링(400) 사이에 생긴 틈새로 스며들어 금속층(202)에 먼지 및 습기가 피착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와 같이 스며든 먼지 및 습기가 금속층(202)에 피착될 경우에는 전이에 의한 부식현상을 촉진시키게 되어 플랜지(201)의 설치수명을현격하게 떨어뜨리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관연결구의 일측 연결나사부와 금속제 주름관의 플랜지 사이에 전이에 의한 부식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기밀작용이 완벽한 관연결구를 제공하여 주름관의 설치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킴과 동시 유체를 누설시키지 않는 관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육각몸체를 기준하여 양측에 연결나사부가 형성되며, 주름관이 연결되는 일측 연결나사부에 돌출턱이 형성된 본체와, 주름관의 플랜지의 이면에 밀착되는 압착링 및 상기 일측 연결나사부에 나사조립될 때 상기 압착링을 압착하는 조임너트로 구성되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 연결나사부에 삽입되어 돌출턱에 안착되는 주연면에 원형요홈이 형성되는 선단부와, 상기 주름관 플랜지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플랜지를 기밀하게 감싸면서 붙잡아주는 체결홈이 내주면에 형성된 중간부 및 상기 주름관의 플랜지 이면측에 노출된 금속층과 합성수지 피복층을 감싸주는 후단부로 구분되는 원통형 패킹과;
상기 원통형 패킹의 중간부와 후단부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원통형 패킹의 후단부를 감싸면서 중간부와의 경계면을 압착하는 압착면의 외주연에 원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끼이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압착링;
을 구비하여 본체에 주름관의 플랜지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원통형 패킹의 선단부의 내경은 작고 후단부의 내경은 크게 형성되며, 상기 후단부의 내경은 금속층과 합성수지 피복층에 접촉되도록 2단으로 단층진 소경내주면과 대경내주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 본체의 일측 연결나사부 내측에 형성된 돌출턱의 내경에 안내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단면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원통형 패킹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압착링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관연결구를 가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관연결구를 완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종래 기술의 관연결구를 가조립 및 완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주름관
3 : 원통형 패킹 4 : 압착링
5 : 조임너트 14 : 돌출턱
15 : 안내돌기 21 : 플랜지
31 : 선단부 32 : 중간부
33 : 후단부 34 : 원형요홈
35 : 체결홈 36 : 경계면
37 : 걸림홈 41 : 걸림돌기
42 : 압착면 43 : 원형돌기
46 : 경사면 51 : 압착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단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원통형 패킹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압착링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관연결구를 가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관연결구를 완조립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관연결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본체(1)는 육각몸체(11)의 양쪽으로 연결나사부(12)(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양측 연결나사부 중 주름관(2)이 연결되는 일측의 연결나사부(13) 내측에는 원통형 패킹(3)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평탄한 수직단면을 가지는 돌출턱(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턱(14)의 내경에는 원통형 패킹(3)을 안정되게 안착시키기 위한 안내돌기(15)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패킹(3)은 돌출턱(14)에 안착되는 선단부(31)와, 주름관(2)의 플랜지(21)를 감싸주는 중간부(32) 그리고 주름관(2)의 금속층(22)과 합성수지 피복층(23)을 감싸주는 후단부(33)로 구분된다.
상기 원통형 패킹(3) 선단부(31)의 주연면에는 압착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원형요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부(32)의 내주면에는 주름관(2)의 플랜지(21)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감싸주는 체결홈(35)을 형성하는데, 상기 선단부(31)의 내경은 플랜지(21)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후단부(33)의 소경내주면(33a)의 내경은 플랜지(21) 이면측 금속층(22)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체결홈(35)의 선단 내주면(35a)의 단면적은 넓고 후단 내주면(35b)의 단면적은 좁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패킹(3)의 중간부(32)와 후단부(33)의 경계면(36) 부위에는 원형의 걸림홈(37)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후단부(33)의 내주면은 플랜지(21)의 이면측 금속층(22) 외주면에 밀착하는 소경내주면(33a)과 주름관(2)의 합성수지 피복층(23)에 밀착하는 대경내주면(33b)이 2단으로 단층진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압착링(4)은 일부가 절개되어 허용범위내에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착링(4)은 원통형 패킹(3)의 후단부(33)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경계면(36) 부위에 형성된 걸림홈(37)에 끼이는 걸림돌기(41)가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경계면(36)을 압착하는 압착링(4)의 압착면(42)은 외주연에 돌출된 원형돌기(43)에 의하여 압착면(42) 자체가 2단으로 단층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착링(4)의 내주면은 2단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41)쪽으로는 내경이 작은 소경면(44)으로 형성하고 후단의 경사면(46)쪽으로는 내경이 큰 대경면(45)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압착링(4)의 후단에 형성된 경사면(46)은 조임너트(5)의 압착부(51)과 접촉하여 조임너트(5)의 나사조임력을 받아 원통형 패킹(3)을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관연결구의 본체(1)에 주름관(2)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도 1의 도시예와 같이 먼저 조임너트(5)를 주름관(1) 외부에 끼워준 다음 이어서 압착링(4)을 끼워준다. 이와 같이 조임너트(5)와 압착링(4)을 주름관(1)의 연결단에 끼워넣은 다음 주름관(2)의 플랜지(21)를 원통형 패킹(3)의 체결홈(35)에 삽입시키는데, 이때에는 원통형 패킹(3)이 고무재질이고 또한 후단부(33)는 두께가 얇은 상태이므로 쉽게 벌릴 수 있어 플랜지(21)를 후단부(33)쪽에서 강제적으로 삽입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플랜지(21)를 체결홈(35)에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원통형 패킹(3)으로 강제 삽입되어 체결홈(35)에 삽입된 주름관(2)의 플랜지(21)는 그 전면측 주연면은 선단 내주면(35a)에 밀착되고 이면측 주연면은 후단 내주면(35b)에 밀착된 상태가 되며, 또한 합성수지 피복층이 벗겨진 금속층(22)은 후단부(33)의 소경내주면(33a)에 밀착되고 합성수지 피복층(23)도 대경내주면(33b)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주름관(2)의 플랜지(21) 부분에 원통형 패킹(3)을 설치한 다음에는 앞서 주름관(2) 외측에 끼워준 압착링(4)을 원통형 패킹(3)의 후단부(33)쪽으로 이동시켜 걸림돌기(41)가 걸림홈(37)에 끼이도록 하며 상기 압착링(4) 자체는 원통형 패킹(3)의 후단부(33)를 견고하게 감싸주고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상기 압착링(4)의 압착면(42) 외주연에 형성된 원형돌기(43)는 원통형 패킹(3)의 경계면(36) 외곽 둘레부분을 일차적으로 압착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원통형 패킹(3) 및 압착링(4)을 조립한 상태에서 주름관(2)을 본체(1)의 일측 연결나사부(13)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원통형 패킹(3)의 선단부(31)는 돌출턱(14)에 돌출된 안내돌기(15)의 안내를 받아 상기 돌출턱(14)의 평탄면에 안정되게 안착되며, 이어서 조임너트(5)를 본체(1)쪽으로 이동시켜 연결나사부(13)에 나사조립하는데, 도 4와 같이 조임너트(5)를 가조립한 상태에서는 압착링(4)에 조임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원통형 패킹(3)은 주름관(2)에 조립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되며, 이어서 조임너트(5)를 강하게 나사조임하게 되면 조임너트(5)의 압착부(51)가 압착링(4)의 경사면(46)을 강하게 압착하게 됨과 동시 압착링(4) 자체를 조여주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압착링(4)은 원통형 패킹(3)의 경계면(36)을 강하게 압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원통형 패킹(3)의 선단부(31)는 돌출턱(14)에 압착되는데 상기 선단부(31)에 형성된 원형요홈(34)에 의하여 압착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원형요홈(34)은 압착되면서 그 내단면이 돌출턱(14)에 밀착되는 상태로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원형요홈(34)의 공간이 없어지도록 완전히 압착된 만큼 그 압축반력을 돌출턱(14) 및 연결나사부(13) 내주면에 작용시키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선단부(31)의 기밀작용은 상당히 큰 상태가 되는 것이며, 또한 압착링(4)의 압착력에 의해 체결홈(35)의 선단 내주면(35a)과 후단 내주면(35b)이 플랜지(21)의 전면 및 이면 각각을 압착하는 상태가 되므로 플랜지(21)에 작용되는 기밀작용 역시 상당히 큰 상태가 되므로 주름관(2)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누출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원통형 패킹(3)은 주름관(2)의 플랜지(21)를 완전히 감싸고 있으므로 플랜지(21)를 본체(1)의 일측 연결나사부(13)와 접촉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고 있으므로 이질재질의 접촉시 나타나는 전이에 의한 부식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원통형 패킹(3)의 후단부(33)는 압착링(4)의 조임압력에 의하여 조여들면서 소경내주면(33a)은 주름관(2) 금속층(22)의 요철면 전체에 밀착되며, 또한 대경내주면(33b) 역시 합성수지 피복층(23)의 요철면에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 및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므로서 종래 기술과 같이 압착링에 형성된 틈새로 주름관의 금속층에 공기와 습기가 침투하는 현상이 없게 되므로 주름관(2)의 부식현상을 방지하여 설치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주름관의 플랜지부분을 완전히 감싸 기밀작용을 높여주면서 관연결구의 본체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턱에 밀착되고 주름관의 플랜지 이면측의 금속층과 합성수지 피복층을 기밀하게 감싸주는 원통형 패킹을 제공하여 관연결구에 주름관을 연결하였을 때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원통형 패킹이 주름관의 플랜지를 완전히 감싸주므로서 본체와 주름관과의 사이에서 전이에 의한 부식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함과 동시 외부의 공기와 습기가 침투하는 형상을 방지하여 주름관의 설치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육각몸체를 기준하여 양측에 연결나사부가 형성되며, 주름관이 연결되는 일측 연결나사부에 돌출턱이 형성된 본체와, 주름관의 플랜지의 이면에 밀착되는 압착링 및 상기 일측 연결나사부에 나사조립될 때 상기 압착링을 압착하는 조임너트로 구성되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 연결나사부에 삽입되어 돌출턱에 안착되는 주연면에 원형요홈이 형성되는 선단부와, 상기 주름관 플랜지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플랜지를 기밀하게 감싸면서 붙잡아주는 체결홈이 내주면에 형성된 중간부 및 상기 주름관의 플랜지 이면측에 노출된 금속층과 합성수지 피복층을 감싸주는 후단부로 구분되는 원통형 패킹과;
    상기 원통형 패킹의 중간부와 후단부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원통형 패킹의 후단부를 감싸면서 중간부와의 경계면을 압착하는 압착면의 외주연에 원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끼이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압착링;
    을 구비하여 본체에 주름관의 플랜지부분을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패킹의 선단부의 내경은 작고 후단부의 내경은 크게 형성되며, 상기 후단부의 내경은 금속층과 합성수지 피복층에 접촉되도록 2단으로 단층진 소경내주면과 대경내주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 연결나사부 내측에 형성된 돌출턱의 내경에 안내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KR2019990002037U 1999-02-10 1999-02-10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KR200245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37U KR200245318Y1 (ko) 1999-02-10 1999-02-10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37U KR200245318Y1 (ko) 1999-02-10 1999-02-10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80U KR20000016880U (ko) 2000-09-25
KR200245318Y1 true KR200245318Y1 (ko) 2001-09-25

Family

ID=5475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037U KR200245318Y1 (ko) 1999-02-10 1999-02-10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31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58Y1 (ko) * 2008-04-02 2010-12-10 임헌록 주름관 연결구용 패킹부재
KR101040230B1 (ko) 2010-11-01 2011-06-09 주식회사 애강그린텍 배관용 연결기구
KR20200015171A (ko) 2018-08-03 2020-02-12 박강훈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KR20200123920A (ko) 2019-04-23 2020-11-02 박강훈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410B1 (ko) * 2008-07-31 2010-10-12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등기구용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58Y1 (ko) * 2008-04-02 2010-12-10 임헌록 주름관 연결구용 패킹부재
KR101040230B1 (ko) 2010-11-01 2011-06-09 주식회사 애강그린텍 배관용 연결기구
KR20200015171A (ko) 2018-08-03 2020-02-12 박강훈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KR20200123920A (ko) 2019-04-23 2020-11-02 박강훈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80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1312A (en) Pipe joint for connection of corrugated tube
EP0009368B1 (en) Pipe coupling and pipe joint connection
KR200245318Y1 (ko)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KR20010031175A (ko) 파이프 연결기
JPH0771674A (ja) 管継手のソケット
KR200346945Y1 (ko) 주름관 연결장치
KR200165067Y1 (ko) 관연결구
KR200177937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JP2547706B2 (ja) 管状部材の接続部シール構造
KR200177938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142430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20170133927A (ko) 스프링밴드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KR200142598Y1 (ko) 관연결구용 원통형 보조패킹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JP3066494B2 (ja) 可撓管継手
JPH0736545U (ja) ケーブルグランド
JP4156218B2 (ja) 管継手シール機構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200165066Y1 (ko) 관연결구용패킹
FR2567241A3 (fr) Raccord de liaison pour tuyauteries avec corps d'etancheite unique
KR200344705Y1 (ko) 주름관의 연결장치
JP2000161553A (ja) 管継手
JPH039197A (ja) 防蝕管の継手
JPH0313033Y2 (ko)
JPH0710155Y2 (ja) 配管用の継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