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938Y1 -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938Y1
KR200177938Y1 KR2019980005672U KR19980005672U KR200177938Y1 KR 200177938 Y1 KR200177938 Y1 KR 200177938Y1 KR 2019980005672 U KR2019980005672 U KR 2019980005672U KR 19980005672 U KR19980005672 U KR 19980005672U KR 200177938 Y1 KR200177938 Y1 KR 200177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tightening
connecto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440U (ko
Inventor
권윤노
Original Assignee
권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윤노 filed Critical 권윤노
Priority to KR2019980005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93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4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4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9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작업에 의해 연결되는 금속제 연결관이 조립되는 연결나사관이 단일관체로 구성된 관연결구에 있어 상기 연결나사관에 조임너트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연결관을 삽입시키는 수단으로 금속제 연결관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외주면에 육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조임너트가 나사조립되는 연결나사관이, 타측에는 "-"자형 직선관이나 "L"자형 또는 "T"자형 엘보우를 연결하기 위한 조립나사관이 형성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나사관측 내부에는 단면이 평탄하고 내경측으로 이탈방지용 링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링형 수밀턱과, 상기 연결나사관의 내주면에 밀착상태로 삽입되는 원통형 패킹과, 상기 원통형 패킹의 일단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형 수밀턱에 안착되는 내·외측돌기와 환형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는 내향 플렌지 및 상기 연결나사관의 선단부에 연장된 압착부 외측에 설치되어 조임너트의 조임시 내측으로 조여들면서 상기 압착부를 압착하는 압착링을 구성하여 상기 연결나사관에 조임너트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금속제 연결관을 한차례 삽입시킨 후 조임너트를 조임하는 수단으로 금속제 연결관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본 고안은 수작업에 의해 연결되는 금속제 연결관이 조립되는 연결나사관이 단일관체로 구성된 관연결구에 있어 상기 연결나사관에 조임너트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연결관을 삽입시키는 수단으로 금속제 연결관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일명; 엑셀호스)이나 알루미늄관의 내·외면에 합성수지가 코팅된 합성수지 복합관 등의 합성수지제 연결관은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합성수지제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은 2중관으로 구성된 관연결구를 사용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관연결구는 육각형 본체(100)를 기준하여 일측으로는 주강 또는 주철로 제조된 "-"자형 직선관이나 "L"자형 및 "T"자형 엘보우가 나사결합되는 나사조립관(101)이 형성되고, 그 대향측으로는 관삽입홈(102)이 형성되게 내측관(103)과 외측관(104)으로 된 2중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관(103)의 외주면에는 링형패킹(105)을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하여 합성수지제 연결관(200)을 수밀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외측관(104)에는 나사를 형성하여 조임너트(300)를 나사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외측관(104)와 조임너트(300) 사이에 압착링(400)을 개재시켜 조임너트(300)의 조임시 압착링(400)이 조임되면서 합성수지제 연결관(200)의 외주면을 압착토록 하므로서 상기 합성수지제 연결관(200)의 빠짐을 방지하면서 패킹(105)를 압착토록하여 수밀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관연결구에 합성수지제 연결관(200)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조임너트(300)를 합성수지제 연결관(200)에 끼워넣은 다음 이어서 압착링(400)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합성수지제 연결관(200)을 관연결구의 2중관측에 형성된 관삽입홈(102)으로 삽입시킨 다음 다시 앞에서 언급한 압착링(400)을 외측관(104) 선단부에 밀착시키고 조임너트(300)를 나사조임하는 번거로운 작업으로 합성수지제 연결관(200)을 연결하기 때문에 연결작업이 번거롭고 더딘 불편이 뒤따를 뿐 아니라 상기와 같이 조임너트(300)와 압착링(400)을 관연결구에서 분해시킨 상태로 휴대 또는 운반하기 때문에 조립부품의 분실 염려가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조임너트(300)의 조임력에 의해 조여드는 압착링(400)이 합성수지제 연결관(200)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착하게 되면 강도가 약한 합성수지제 연결관(200)은 쉽게 변형되면서 내측관(103)에 압접된 상태로 지지되어 빠짐이 방지될 수 있게 되지만, 만약 내측관(103)이 없는 관연결구를 가지고 합성수지제 연결관(200)을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합성수지제 연결관(200)이 압착링(400)의 압착력에 대응하는 강도를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압착작용에 의하여 압착변형만 일어날 뿐 그 자체적으로 압착력을 버티고 있지 못하고 관연결구에서 쉽게 이탈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자체 강도가 강한 금속제 연결관(스테인레스 스틸관, 동파이프 등)을 종래 기술의 관연결구 일측의 2중관 구조로 된 관삽입홈(102)에 삽입하여 연결하게 될 경우에는 조임너트(300)의 조임력에 의해 조여드는 압착링(400)이 금속제 연결관을 강하게 압착하지 못하게 되어 패킹(105)의 수밀작용을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금속제 연결관 자체가 헐겁게 연결된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2중관 구조의 관연결구는 합성수지제 연결관에는 적합하지만 금속제 연결관을 연결시키는 관연결구로서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함에 있어 스테인레스 스틸관이나 동파이프를 연결시키는데 적합하도록 고안한 것으로, 관연결구의 내부에 형성시킨 링형 수밀턱에 안착됨과 동시 금속제 연결관의 연결단의 가압력에 의해 일차적인 수밀작용을 하게 되는 내향 플렌지와, 상기 내향 플렌지와 일체로 형성되어 금속제 연결관의 외주면과 압착되어 이차적으로 수밀작용을 하게 되는 원통형 패킹을 관연결구에 개재시켜 누수를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금속제 연결관이 조립되는 연결나사관의 선단에 압착부를 길게 연장시킨 다음 상기 압착부 외주에 장착된 압착링이 조임너트의 조임작용에 의해 압착부와 원통형 패킹을 압착, 조임하여 금속제 연결관을 압착변형시켜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체의 외주면에 육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조임너트가 나사조립되는 연결나사관이, 타측에는 "-"자형 직선관이나 "L"자형 또는 "T"자형 엘보우를 연결하기 위한 조립나사관이 형성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나사관측 내부에는 단면이 평탄하고 내경측으로 이탈방지용 링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링형 수밀턱과;
상기 연결나사관의 내주면에 밀착상태로 삽입되는 원통형 패킹과;
상기 원통형 패킹의 일단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형 수밀턱에 안착되는 내·외측돌기와 환형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는 내향 플렌지와; 및
상기 연결나사관의 선단부에 연장된 압착부 외측에 설치되어 조임너트의 조임시 내측으로 조여들면서 상기 압착부를 압착하는 압착링;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압착링의 외주면 일측과 중앙부분에는 호형 경사면과 압착변형 유도홈을 형성하여 상기 조임너트의 조임시 조임경사턱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호형 경사면이 압착변형되면서 연결나사관의 압착부와 원통형 패킹 및 금속제 연결관을 조임하도록 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일부 단면한 분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는 조임너트를 가조립된 상태에서 연결관을 삽입하기 전 상태이며,
도 3은 조임너트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연결관을 삽입시킨 상태이며,
도 4는 연결관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조임너트를 완전 조립한 상태이다.
도 5 및 도 6은 종래 기술의 관연결구의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압착링
3 : 조임너트 4 : 원통형 패킹
5 : 금속제 연결관 11 : 육각부
12 : 연결나사관 13 : 조립나사관
14 : 링형 수밀턱 15 : 이탈방지용 링돌기
16 : 선단부 17 : 압착부
21 : 호형 경사면 22 : 압착변형 유도홈
31 : 조임경사턱 41 : 내향 플렌지
42 : 내측돌기 43 : 외측돌기
44 : 환형공간부 51 : 변형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일부 단면한 분해도이며, 도 2는 조임너트를 가조립된 상태에서 금속제 연결관을 삽입하기 전 상태이고, 도 3은 조임너트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금속제 연결관을 삽입시킨 상태이며, 도 4는 금속제 연결관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조임너트를 완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본체(1)의 외주면에 형성된 육각부(11)의 양측에는 각각 수나사가 있는 연결나사관(12) 및 조립나사관(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나사관(12)의 내부에는 단면이 평탄한 링형 수밀턱(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경측에는 이탈방지용 링돌기(15)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나사관(12)의 선단부(16)에는 두께가 얇은 압착부(17)가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압착부(17) 외측을 감싸듯이 설치되는 압착링(2)의 외주면은 그 전체가 완만한 호형면으로 형성되는데, 특히 조임너트(3)의 조임경사턱(31)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분은 급경사진 호형 경사면(21)으로 하고, 또 중간부분에는 상기 호형 경사면(21)부분이 원활하게 압착변형될 수 있게 하는 압착변형 유도홈(22)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 일측의 연결나사관(12)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형 패킹(4)의 외경은 상기한 연결나사관(12)의 내경과 일치하거나 또는 조금 작은 외경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원통형 패킹(4)의 일단 즉, 연결나사관(12)으로 삽입되는 삽입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내향 플렌지(41)가 일체로 형성되며, 또 상기 내향 플렌지(41)에는 내·외측돌기(42)(43)와 그들 사이에 환형공간부(4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내·외측돌기(42)(43)는 원통형 패킹(4) 내부로 삽입되는 금속제 연결관(5)의 삽입단이 내향 플렌지(41)를 압압할 때 링형 수밀턱(14)에 강한 탄력으로 압접됨과 동시 그 반력으로 내향 플렌지(41)가 금속제 연결관(5)의 삽입단에 압접되도록 하므로서 수밀작용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관연결구는 본체(1)의 일측 연결나사관(12) 내부에 원통형 패킹(4)을 삽입시키고 또 조임너트(3)가 어느 정도 나사조임된 가조립상태로 휴대 또는 운반하다가 배관작업시에는 상기와 같이 가조립된 조임너트(3)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립나사관(13)측을 "-"자형 직선관이나 "L자형 또는 "T"자형 엘보우(도시 없음)에 나사조립하는 것이며, 이같은 상태 즉, 도 2와 같이 조임너트(3)가 가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금속제 연결관(5)을 조임너트(3)의 관통구멍(32)을 통하여 원통형 패킹(4) 속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금속제 연결관(5)의 삽입단이 상기 원통형 패킹(4)의 내향 플렌지(41)를 압압하게 되므로서 상기 내향 플렌지(41)에서 돌출된 내·외측돌기(42)(43)가 링형 수밀턱(14)에 탄력적으로 압착되면서 상기 링형 수밀턱(14)과 금속제 연결관(5)의 삽입단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인데, 이때 압축되는 내·외측돌기(42)(43)는 링형 수밀턱(14)에 강한 탄력으로 밀착되고 또 환형공간부(44)측으로 팽창됨과 동시 이탈방지용 링돌기(15)와 연결나사관(12)의 내주면측으로도 팽창되므로 상기 링형 수밀턱(14)과 내·외측돌기(42)(43) 사이에는 수밀작용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3 참조)
한편, 상기와 같이 금속제 연결관(5)의 삽입으로 링형 수밀턱(14)을 향해 탄력적으로 압축작용을 하는 내·외측돌기(42)(43)은 그 압축된 만큼 상기 압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팽창된 상태에서는 그 변화된 압축과 팽창작용의 반작용 즉,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복원력이 금속제 연결관(5)의 삽입단에도 작용하게 되므로서 내향 플렌지(41)와 금속제 연결관(5)의 삽입단 사이에도 수밀작용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금속제 연결관(5)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조임너트(3)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조임경사턱(31)과 압착링(2)의 호형 경사면(21) 사이에는 슬라이딩 작동이 일어남과 동시 상기 조임경사턱(31)이 호형 경사면(21)을 압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압착링(2) 외주면 중간부분에 형성된 압착변형 유도홈(22)이 상기 호형 경사면(21)의 압착작용에 도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너트(3)의 조임작동에 따른 조임경사턱(31)의 압착작용에 의해 압착링(2)의 호형 경사면(21)은 중심을 향해 조여들면서 연결나사관(12)의 압착부(17)를 압착하게 되며, 이렇게 되면 도 4와 같이 압착변형된 압착부(17)는 원통형 패킹(4)을 압착하면서 금속제 연결관(5)에도 중심을 향해 압착되는 변형부(51)를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같이 변형부(51)가 형성된 금속제 연결관(5)은 그 변형부(51)에 의하여 빠짐이 방지됨과 더불어 압착링(2)과 변형부(51)에는 그 사이에 압축상태로 개재된 원통형 패킹(4)에 의하여 수밀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원통형 패킹(4)의 내·외주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환형돌기(45)는 압착링(2)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수밀작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 상기 원통형 패킹(4)은 압착부(17) 보다 1mm 이상 길게 돌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하는 바람직한 구성인데, 이는 금속제 연결관(5)을 연결한 상태에서는 압착부(17)의 선단부에서 원통형 패킹(4)이 조금 더 길게 돌출된 상태가 되게 하므로서 금속제 연결관(5)과 원통형 패킹(4)의 열팽창 또는 수축시 원통형 패킹(4)이 압착부(17)의 선단부에서 씹히는(또는 찢기는) 현상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관연결구 본체(1) 일측의 연결나사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임너트(3)의 조임작용으로 압착되는 압착링(2)에 의해 압착력을 받아 변형되는 금속제 연결관(5) 자체는 상기한 압착링(2)의 압착력에 대응하는 강도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압착변형된 변형부(51)는 금속제 연결관(5)이 연결나사관(1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상기 금속제 연결관(5)는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 일측의 연결나사관 내부로 삽입된 원통형 패킹의 내향 플렌지와 내·외측돌기는 탄력적인 압축 및 팽창작용으로 금속제 연결단의 삽입단과 링형 수밀턱에 수밀하게 밀착되어 관내를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일차적으로 방지하는 작용을 나타내며, 또한 조임너트의 조임작용에 의해 압착되는 압착링과 금속제 연결관의 변형부 사이에 탄력적으로 압축되고 있는 원통형 패킹은 누수를 이차적으로 방지하는 작용을 나타내므로 금속제 연결관을 누수현상없이 연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본 고안은 본체 일측의 연결나사관에 조임너트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금속제 연결관을 한차례 삽입시킨 다음 조임너트를 조임하는 수단으로 금속제 연결관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배관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본체의 외주면에 육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조임너트가 나사조립되는 연결나사관이, 타측에는 "-"자형 직선관이나 "L"자형 또는 "T"자형 엘보우를 연결하기 위한 조립나사관이 형성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나사관측 내부에는 단면이 평탄하고 내경측으로 이탈방지용 링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링형 수밀턱과;
    상기 연결나사관의 내주면에 밀착상태로 삽입되는 원통형 패킹과;
    상기 원통형 패킹의 일단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형 수밀턱에 안착되는 내·외측돌기와 환형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는 내향 플렌지와; 및
    상기 연결나사관의 선단부에 연장된 압착부 외측에 설치되어 조임너트의 조임시 내측으로 조여들면서 상기 압착부를 압착하는 압착링;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의 외주면 일측과 중앙부분에는 호형 경사면과 압착변형 유도홈을 형성하여 상기 조임너트의 조임시 조임경사턱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호형 경사면이 압착변형되면서 연결나사관의 압착부와 원통형 패킹 및 금속제 연결관을 조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2019980005672U 1998-04-11 1998-04-11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177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672U KR200177938Y1 (ko) 1998-04-11 1998-04-11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672U KR200177938Y1 (ko) 1998-04-11 1998-04-11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440U KR19990039440U (ko) 1999-11-15
KR200177938Y1 true KR200177938Y1 (ko) 2000-04-15

Family

ID=1953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672U KR200177938Y1 (ko) 1998-04-11 1998-04-11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9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57Y1 (ko) * 2008-04-02 2010-12-10 임헌록 관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497B1 (ko) * 2009-08-27 2012-02-24 김보섭 멀티소켓관과 드레인호스의 결합구조
KR101409770B1 (ko) * 2012-04-18 2014-07-02 김보섭 호스 연결 구조
KR101699800B1 (ko) * 2015-03-26 2017-01-25 주식회사 히팅플러스 온수관 커플러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
JP6687694B2 (ja) 2018-09-12 2020-04-28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結合構造、管継手、及び結合構造の形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57Y1 (ko) * 2008-04-02 2010-12-10 임헌록 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440U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5661B1 (en) Device for connecting a pipe joint
US4063760A (en) Quick connect coupling
EP1074778B1 (en) Tube joint
KR200177937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177938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KR20010054724A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및 회수기의 관연결구 또는 볼밸브연결구조
KR200142430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200245318Y1 (ko) 금속제 주름관용 관연결구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JP3403149B2 (ja) 可撓管継手
KR200165066Y1 (ko) 관연결구용패킹
JPH07103379A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3573136B2 (ja) フレキシブル管継手
KR200142598Y1 (ko) 관연결구용 원통형 보조패킹
JP4156218B2 (ja) 管継手シール機構
JP3527836B2 (ja) 管継手
KR100313235B1 (ko)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JPH0710155Y2 (ja) 配管用の継手装置
KR890001694Y1 (ko) 합성수지 파이프 연결장치
KR100363212B1 (ko) 볼밸브의 관이음쇠
KR200165065Y1 (ko) 관연결구
JP2000002380A (ja) 可撓性の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