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246Y1 -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246Y1
KR200273246Y1 KR2019990010694U KR19990010694U KR200273246Y1 KR 200273246 Y1 KR200273246 Y1 KR 200273246Y1 KR 2019990010694 U KR2019990010694 U KR 2019990010694U KR 19990010694 U KR19990010694 U KR 19990010694U KR 200273246 Y1 KR200273246 Y1 KR 200273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lexible tube
sleeve
inclined surfac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675U (ko
Inventor
최갑용
Original Assignee
정호진
승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진, 승진산업 (주) filed Critical 정호진
Priority to KR2019990010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246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246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품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경사형 슬리브를 채용함으로써, 너트와 니플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너트가 이동하면서 그의 내주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슬리브의 외주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죄이면서 바이스 기능을 발휘하여 플렉시블관과 이음부분의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연결장치의 구성을 보면, 너트(30)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부에는 플렉시블관(50)의 요홈(5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8)가 형성되고, 외주부에는 상기 경사면(34)이 밀착되는 경사부(44) 및 이 경사부(44)로부터 플렉시블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탄부(46)가 형성된 다수의 단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O-링(20)을 개재하여 소켓 볼트(10)와 나란한 상태로 너트(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슬리브(40)를 포함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FLEXIBLE TUBE TO A MAIN FLOW LINE}
본 고안은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품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경사형 슬리브를 채용함으로써, 너트와 니플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너트가 이동하면서 그의 내주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슬리브의 외주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죄이면서 바이스 기능을 발휘하여 플렉시블관과 이음부분의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의 가스가 지나는 주배관에 분지배관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플렉시블관(flexible tube)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플렉시블관의 연결부위에는 적절한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시킨다. 이때,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래에는 플렉시블관의 선단을 압착하여 너트가 걸리도록 하거나 와셔 구조의 클립을 삽입하여 너트의 걸림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조립시에는 O-링을 끼워 너트와 소켓 볼트의 조임기능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하였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 92-7349호에 개시되어 있는 관연결구로서, 연결하고자 하는 주름관(flexible tube)(1)의 선단에 각각 소켓 볼트(3)와 걸림턱(2a)이 형성된 너트(2)를 삽입하여 상기 소켓 볼트(3) 및 너트(2)의 체결력에 의해 주름관(1)이 연결되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너트(3)내부에 와셔(5)와 O-링(6) 및 내면이 주름관(1)의 외형과 동일하며 절개부(4a)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4a)를 통하여 주름관(1)과 계합되는 길이가 긴 패킹(4)과 주름관(1)의 산부 위에 위치되도록 O-링(7)을 차례로 삽입하고, 주름관(1)선단의 골부분에 삽입되어 좌우 탄발력에 의해 O-링을 지지하는 스냅링(8)을 끼운 후, 상기 스냅링(8)과 O-링(7) 및 패킹(4)의 외측에 소켓 볼트(3)를 삽입하여 상기 너트(2)와 체결하며, 상기 너트(2)후면에 풀림방지용 클립(9)을 끼워서 고정시킨 구조를 지니고 있다.
즉, 조립시에 주름관(1)의 외주면에 스냅링(8)과 O-링(7) 및 패킹(4)을 차례대로 끼운 다음에, 소켓 볼트(3)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3b)에 너트(2)를 체결시킨 다음, 타단의 나사(3c)를 주배관에 체결하여 주름관(1)을 연결시킨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플렉시블관 연결장치의 다른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1과 동일기능을 갖는 부품은 동일부호에 프라임(')을 붙여 표시하였다. 너트(2')의 이탈을 막기 위하여, 플렉시블관(1')의 선단에는 3개 정도의 주름돌기를 압착하여 걸림단(1a')을 형성한 다음, 걸림단(1a')의 후방에 클립(9')을 끼워 조립하는 구조이다. 조립시에는 플렉시블관(1')에 너트(2')를 끼운 상태에서, 걸림단(1a')의 후면에 클립(9')을 끼운 후에, 밀봉용 링(5')를 걸림단(1a')의 선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소켓 볼트(3')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3b')에 너트(2')를 체결하여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에서는 스냅링과 일부 절개된 형태의 패킹에 의해서 플렉시블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의 강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유체의 누설은 방지되나, 플렉시블관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적절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이음부의 체결력이 약해져 조립강도가 저하됨으로써 체결부위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어 유체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다. 그밖에도 스냅링 및 풀림방지용 클립 등의 채용으로 전체적인 부품수가 증대되어 조립작업이 번거롭고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너트와 니플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너트가 이동하면서 그의 내주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슬리브의 외주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죄어 바이스 기능과 같이 플렉시블관을 반경방향으로도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부위에 대한 강한 체결력을 확보함으로써,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소켓 볼트 20:O-링
30:너트 40:슬리브
42, 42':상부, 하부체 44, 44': 경사부
46, 46':평탄부 48, 48':삽입돌기
49, 49':가압돌기 50:플렉시블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하고자 하는 플렉시블관의 선단에 끼워지는 너트와, 이 너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소켓 볼트를 구비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너트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부에는 플렉시블관의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외주부에는 경사면이 밀착되는 경사부 및 이 경사부로부터 플렉시블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탄부가 형성된 다수의 단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O-링을 개재하여 소켓 볼트와 나란한 상태로 너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의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관을 길이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고압관에서의 체결력을 강화시켜 기밀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플렉시블관(50)의 선단에 끼워지는 소켓 볼트(10)의 일단에 결합되는 너트(30)에 소정의 각도를 지닌 경사면(34)을 형성한 다음, 이 경사면(34)과 밀착되는 경사부(44) 및 이 경사부(44)로부터 플렉시블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46)를 갖는 슬리브(40)를 개시하였다.
여기에서, 소켓 볼트(10)의 일단에는 접속하고자 하는 배관에 체결되는 나사(14)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플렉시블관(50)의 선단에 배치되는 수나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지점에는 체결용 소켓이나 파이프 렌치(도시생략)가 끼워지는 머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관통공(14a)에는 고압의 가스나 물과 같은 유체가 지나게 된다.
너트(30)의 내주부에는 소켓 볼트(10)의 나사(16)와 체결되는 암나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36)내에는 소정의 각도로 구배되어 있는 경사면(도 4의 34)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에 O-링(20)을 개재하여 소켓 볼트(10)와 나란하게 플렉시블관(50)의외주면에 배치되는 본 고안의 슬리브(40)는 다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금속재 단품(42, 4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슬리브(40)를 구성하는 단품(42, 42')의 원주크기는 플렉시블관(50)의 원주크기 보다도 작게 형성함으로써, 플렉시블관(50)의 외주부에 단품(42, 42')을 배치한 상태에서 단품(42)과 단품(42')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너트(30)의 결합시에 2개의 단품(42, 42')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줄어들면서 플렉시블관(50)을 압착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는 다음의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단품(42, 42')의 내주부에는 플렉시블관(50)의 요홈(5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부에는 상기 너트(30)의 경사면(34)과 밀착 결합되는 경사부(44) 및 이 경사부(44)로부터 플렉시블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탄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평탄부(46)의 내주면에는 상기 플렉시블관(50)의 외부를 감싸는 편조망(54) 또는 코팅재를 압착할 수 있는 가압돌기(49)가 형성되어 있어, 편조망(54)의 이탈을 제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는 이러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연결장치가 플렉시블관(50)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조립시에는 먼저, 플렉시블관(50)의 선단에 너트(30)를 끼우고 슬리브(40)를 구성하는 상부 및 하부 단품(42, 42')을 플렉시블관(50)의 외주면에 배치한 다음에, 슬리브(40)외부에 너트(30)를 끼우고 그 선단에 O-링(20)을 끼운 후, 소켓 볼트(10)와 너트(30)를 결합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너트(30)의 내부 암나사(32)가 소켓 볼트(10)의 수나사(16)와 나사결합되면서 너트(30)가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슬리브(40)의 외주 경사부(44)는 너트(30)의 내주 경사면(34)에 의해 조여지면서 반경방향으로도 압착시키게 됨으로써 바이스와 같은 견고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너트(30)를 더욱 죄게 되면, 슬리브(40)를 구성하는 2개의 단품(42, 42')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간격이 줄어들면서, 슬리브(40)의 경사부(44)내주면에 형성된 삽입돌기(48)가 플렉시블관(50)의 외주부에 형성된 요홈(52)에 삽입되면서 플렉시블관(50)을 압착하게 된다. 이때, 평탄부(46)역시 플렉시블관(50)의 외주면과 밀착하게 되어 견고하게 압착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너트(30)를 끝까지 체결하게 되면, 슬리브(40)내면에 형성된 가압돌기(49)가 코팅재나 편조망(54)이 씌워진 플렉시블관(50)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코팅재나 편조망(5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슬리브(40)의 경사부(44)와 평탄부(46)를 통해서 플렉시블관(50)을 길이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결합강도가 증대되며 소켓 볼트(10)와 슬리브(40)사이에 끼워진 O-링(20)과 함께 강한 밀봉력을 제공하여 고압의 유체 누출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니플과 너트의 조립시에 발생되는 체결력에 의해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품으로 이루어진 슬리브에 형성된 경사부를 너트의 내부 경사면으로 가압함으로써, 플렉시블관을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반경방향으로도 바이스 기능과 같이 강하게 가압하여 플렉시블관을 견고하게 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연결하고자 하는 플렉시블관(50)의 선단에 끼워지는 너트(30)와, 이 너트(30)의 일단에 결합되는 소켓 볼트(10)와, 상기 너트(30)와 플렉시블관(50)사이에서 O-링(20)을 개재하여 시일링을 수행하는 슬리브(40)를 구비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40)는, 내주부에는 상기 플렉시블관(50)의 요홈(5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8)가 형성되고, 외주부에는 상기 너트(30)의 경사면(34)이 밀착되는 경사부(44) 및 이 경사부(44)로부터 상기 플렉시블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탄부(46)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 볼트(10)와 나란한 상태로 상기 너트(30)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40)를 구성하는 평탄부(46)의 내주면에는 상기 플렉시블관(50)의 외부를 감싸는 편조망(54)을 압착 가압하는 가압돌기(4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2019990010694U 1999-06-16 1999-06-16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200273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694U KR200273246Y1 (ko) 1999-06-16 1999-06-16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694U KR200273246Y1 (ko) 1999-06-16 1999-06-16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675U KR20010000675U (ko) 2001-01-15
KR200273246Y1 true KR200273246Y1 (ko) 2002-04-22

Family

ID=5476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694U KR200273246Y1 (ko) 1999-06-16 1999-06-16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2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230B1 (ko) * 2010-11-01 2011-06-09 주식회사 애강그린텍 배관용 연결기구
KR200490524Y1 (ko) * 2019-02-28 2019-11-26 이우호 식기세척기용 케이블 보호 구조
KR20240018062A (ko) 2022-08-02 2024-02-13 유재영 플렉시블 구조를 갖는 배관 이음용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09B1 (ko) * 2007-10-01 2010-05-18 김진민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NZ592253A (en) * 2008-10-22 2013-07-26 Kindraco Hardware Sendirian Berhad A pipe coupling including gasket ring, deformable clinching sleeve and coupling nu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230B1 (ko) * 2010-11-01 2011-06-09 주식회사 애강그린텍 배관용 연결기구
KR200490524Y1 (ko) * 2019-02-28 2019-11-26 이우호 식기세척기용 케이블 보호 구조
KR20240018062A (ko) 2022-08-02 2024-02-13 유재영 플렉시블 구조를 갖는 배관 이음용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675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KR101723205B1 (ko) 냉매관 연결구
KR100242821B1 (ko) 배관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20136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0010129A (ko)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JP2002061785A (ja) ワンタッチ継手
KR100341920B1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및 회수기의 관연결구 또는 볼밸브연결구조
JP3000037U (ja) パイプ連結具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200198059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KR20060103698A (ko) 주름관 연결 구조
KR200177938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200142430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19990039439U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200259927Y1 (ko) 농업용 고압호스의 연결관
JP2002357295A (ja) 管継手
JPH08145251A (ja) 管接続装置
KR0120330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KR10200067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