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176Y1 -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 Google Patents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176Y1
KR200456176Y1 KR2020090009457U KR20090009457U KR200456176Y1 KR 200456176 Y1 KR200456176 Y1 KR 200456176Y1 KR 2020090009457 U KR2020090009457 U KR 2020090009457U KR 20090009457 U KR20090009457 U KR 20090009457U KR 200456176 Y1 KR200456176 Y1 KR 200456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tightening
cap
connecting membe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901U (ko
Inventor
조구호
Original Assignee
조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구호 filed Critical 조구호
Priority to KR2020090009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17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1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수관연결부재본체와 결합되는 캡의 내측에 장치되어 캡과 본체의 조임에 의해 용수관의 단부를 조임하여 고정하는 조임구가 캡의 경사면을 따라 내경이 축소됨과 동시에 용수관을 캡을 따라 회전하도록 하여 결합되는 용수관의 둘레를 조임구의 조임돌기가 파고들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주둘레를 캡(2)의 내면에 대응하게 경사상으로 형성하고 그 둘레에 다수의 신축홈(301)을 형성하며 내경의 둘레에 다수의 조임돌기(302)를 형성하여서 되는 조임구(3)의 외주둘레에 일방향으로 그 끝이 날카롭게 형성되는 다수의 치형(303)을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구조로 되어 캡(2)의 내면에 축방향으로 치형(303)이 밀착되어 회전하는 캡(2)의 회전력을 조임구(3)에 전달함으로서 조임구(3)가 회전하여 조임돌기가 용수관의 둘레를 깎아서 파고들 수 있도록 하여 용수관을 보다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를 제안한 것이다.
용수관, 관이음, 밸브, 조임, 누수

Description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Water pipeline tightener of water pipeline connecting members}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용수관을 이음하는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재 본체와 결합되는 캡의 내측에 장치되어 캡과 본체의 조임에 의해 용수관의 단부를 조임하여 고정하는 조임구가 캡을 따라 용수관의 외주를 타고 회전하며 전진함과 동시에 용수관의 외주에 나선을 형성함으로서 조임돌기가 용수관을 파고들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업용수 및 농업용수 등을 원하는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하는 용수관은 이음매가 없이 사용함이 누수 등을 방지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 하지만 운반 및 취급의 편리성을 위하여 제조공장에서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공급되고 사용중에 부분적 손상으로 인하여 손상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절단된 용수관을 연결하는 등 용수관의 길이를 확장하기 위하여 용수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 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용수를 단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밸브 및 용수관을 분기하여 다방향으로 용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분기관 등 용수관을 단속하는 연결자재로서 다양한 종류의 용수관 이음용 연결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주지한 용수관 연결부재는 연결부재본체의 내측에 걸림돌환을 형성하고 그 외측에 패킹과 패킹고정링 및 조임구를 순차로 투입하여 캡을 본체와 결합한 구성이며 용수관을 걸림돌환에 단부가 밀착되게 하여 본체 내로 투입하여 캡을 조임함으로서 조임구의 조임돌기가 용수관을 가압하여 조임하게 되어 있다.
즉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연결부재본체에 장치되는 조임구는 일측 외경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둘레에 축방향으로 다수의 신축홈(301')을 형성하며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조임돌기(302')을 형성하고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캡(2')의 내경은 외협내광의 경사를 형성함으로서 조임구는 캡(2')이 본체와 나사결합함에 따라 조임구(3')가 캡(2')을 따라 캡(2')의 조임방향으로 이동하여 일측이 패킹고정링(6')과 밀착되어 패킹고정링(6')을 밀어서 패킹(5')을 가압함과 동시에 패킹(5')의 갑압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캡(2')의 내경을 따라 휘어져 축소됨으로 조임구(3')의 내경에 투입된 용수관(4')을 가압돌기가 가압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되는 연결부재본체의 용수관연결부는 조임구가 용수관을 가압한 상태에서는 캡을 회전하여 조임량을 크게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즉 용수관의 단부는 받침돌환에 밀착된 상태에서 조임구가 용수관의 외주를 조임하게 되면 조임된 용수관 또한 캡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지만 용수관의 단부가 받침돌기에 받침되어 캡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됨으로서 패킹고정구가 패킹을 충분히 가압하지 못함으로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조임구의 내면에 형성된 조임돌기가 용수관의 외주둘레를 나선형으로 파고들며 용수관의 외주를 타고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임구가 패킹고정링을 충분히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패킹 또한 가압되어 충분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관 조임구를 제안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수관의 외주에는 나선형홈을 형성하며 조임구의 조임돌기가 파고들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조임구를 제안함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경에 용수관과 결합하는 조임돌기를 가진 조임구의 조임돌기를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서 조임돌기가 용수관의 외주에 나선을 형성하며 파고들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캡의 조임방향으로 캡을따라 용수관의 외주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고안은 조임구의 조임돌기가 용수관의 외주에 나선을 형성하며 축방향으로 캡을 따라 용수관의 외주를 타고 이동함으로서 패킹을 충분히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기밀성이 우수한 용수관연결부재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임구의 조임돌기가 용수관의 외주를 파고들며 조임함으로서 용수관을 견고히 결합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조임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에 본 고안의 조립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용수관연결부재본체(1) 내측에 패킹(5)과 패킹고정링(6)이 투입되고 캡(2)의 내측에 조임구(3)가 투입되며 캡(2)과 용수관연결부재본체(1)를 나사결합하여 나사를 조여줌으로서 조임구(3)가 패킹고정링(6)을 가압하여 패킹(5)이 용수관의 외주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고 조임구(3)의 조임돌기(302)가 용수관의 외주를 가압하여 용수관을 이음하는 용수관 연결부재의 조임구(3)의 외주둘레를 캡(2)의 내면에 대응하게 경사상으로 형성하고 그 둘레에 다수의 신축홈(301)을 형성하며 내경의 둘레에 다수의 조임돌기(302)를 형성하여서 되는 조임구(3)에 있어서;
조임구(3)의 내경에 형성되는 조임돌기(302)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의 조립실시예를 보면 먼저 본체(1)의 내측으로 용수관(4)의 단부가 받침돌환(101)에 밀착되게 투입하고 캡(2)을 조임하면 조임구(3)가 캡(2)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패킹고정링(6)에 밀착하여 패킹(5)을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패킹(5)의 반발력이 조임구(3)에 작용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면 캡(2)의 내경을 따라 조임구(2)의 내경이 축소되어 조임돌기(302)가 용수 관(4)의 외주를 가압밀착하게 되고 이때 조임구(3)의 외경 또한 캡(2)의 내경과 밀착되어 캡(2)의 회전력이 조임구(3)에 전달됨으로 조임구(3)는 회전하며 용수관(4)의 외주를 타고 용수관(4)의 외주에 나선을 형성하며 캡(2)의 조임방향 즉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용수관을 조임하여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조임돌기(302)는 신축홈(301)의 측면에 형성되는 나선의 절개부에 의해 날부(303)가 형성되어 용수관(4)의 외주에 나선을 형성하며 파고들게 되는 것이며 후측에 위치하는 조임돌기(302)의 나선은 날부(303)에 의해 이미 형성된 용수관(4)외주의 나선을 타고 회전함으로서 캡(2)을 작은 힘으로도 조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나선으로 형성되는 조임돌기(302)의 나선피치(나선의 일회전시에 축방향의 이동거리)는 캡(2)의 나사피치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조임구(3)는 용수관(4)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경질의 재질을 사용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조임구의 조립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은 종래 조임구 및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연결부재본체 101 : 받침돌환
2 : 캡 3 : 조임구
301 : 신축홈 302 : 조임돌기
303 : 날부 4 : 용수관
5 : 패킹 6 : 패킹고정링

Claims (2)

  1. 용수관연결부재본체(1) 내측에 패킹(5)과 패킹고정링(6)이 투입되고 캡(2)의 내측에 조임구(3)가 투입되며 캡(2)과 용수관연결부재본체(1)를 나사결합하여 나사를 조여줌으로서 조임구(3)가 패킹고정링(6)을 가압하여 패킹(5)이 용수관의 외주에 밀착되고 조임구(3)는 외주둘레를 캡의 내면에 대응하게 경사상으로 형성하고 그 둘레에 다수의 신축홈(301)을 형성하며 내경의 둘레에 다수의 조임돌기(302)를 형성하여서 되는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에 있어서;
    조임구(3)의 내경에 형성되는 조임돌기(302)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2. 제 1항에 있어서;
    나선으로 형성되는 조임돌기의 나선피치는 캡의 나사피치와 동일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KR2020090009457U 2009-07-21 2009-07-21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KR200456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457U KR200456176Y1 (ko) 2009-07-21 2009-07-21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457U KR200456176Y1 (ko) 2009-07-21 2009-07-21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01U KR20110000901U (ko) 2011-01-27
KR200456176Y1 true KR200456176Y1 (ko) 2011-10-17

Family

ID=4420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457U KR200456176Y1 (ko) 2009-07-21 2009-07-21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1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684B1 (ko) * 2016-06-30 2017-11-20 홍성정 직관의 금속파이프 연결수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821Y1 (ko) * 1997-05-28 2000-09-01 최원태 연결관 조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821Y1 (ko) * 1997-05-28 2000-09-01 최원태 연결관 조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684B1 (ko) * 2016-06-30 2017-11-20 홍성정 직관의 금속파이프 연결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01U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3425C (fr) Dispositif pour l'assemblage de deux elements de canalisation, et assemblages d'elements de canalisation en comportant application
US8313124B2 (en) Pipe junction with seal pressing device
US8651530B2 (en) Mechanical fastener for clamp
RU200810493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гибких шлангов
FR2983555A3 (fr) Element de liaison de deux extremites de tuyaux
KR20120105917A (ko) 주름관 연결구
KR200393472Y1 (ko) 파이프 이음관용 홀더
EP2149733A2 (en) Packing means for sealing and connector for a pipe with the same
FR2528533A1 (fr) Raccord traversant a ecrou tournant pour gaine exterieurement spiralee
KR200456176Y1 (ko)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KR200455212Y1 (ko)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FR2583497A1 (fr) Dispositif pour maintenir une canalisation a la traversee d'une paroi
KR20110000707U (ko)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조
EP1977152B1 (fr) Jonction tubulaire
FR2512917A1 (fr) Garniture d'etancheite pour joint de canalisation
US20090290951A1 (en) Sleeve For a T-Bolt and a Sleeve and T-Bolt Combination to Prevent T-Bolt Rotation
JP2009052646A (ja) 支管継手
KR20110000711U (ko)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
KR200232830Y1 (ko) 파이프연결장치
JP2008057574A (ja) 管継手
FR2694348A1 (fr) Dispositif de serrage radial d'un tuyau et embout de raccordement comprenant ce dispositif.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200390467Y1 (ko) 파이프 연결용 고무패킹
KR200419731Y1 (ko) 파이프 연결용 고무패킹
EP0164486B1 (fr) Accouplement destiné à un organe rotat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