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479A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479A
KR20090010479A KR1020070073601A KR20070073601A KR20090010479A KR 20090010479 A KR20090010479 A KR 20090010479A KR 1020070073601 A KR1020070073601 A KR 1020070073601A KR 20070073601 A KR20070073601 A KR 20070073601A KR 20090010479 A KR20090010479 A KR 20090010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ling member
stopper
contact
diamete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열
Original Assignee
(주)제이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케이씨 filed Critical (주)제이케이씨
Priority to KR1020070073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479A/ko
Publication of KR2009001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간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긴밀한 결합을 이루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새로운 결합구조를 갖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파이프 간 연결부위를 감싸게 되며 내경면 또는 외경면에는 다수의 함몰된 완충홈이 구비되고 외경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는 플랜지가 더 갖추어지는 씰링부재와; 상기 씰링부재의 외면을 감싸는 두개의 상.하 반원체로서 상기 플랜지에 대응하는 좌우측에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어 볼트로 상.하 반원체를 체결시키되, 상기 플랜지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짝을 이루는 상.하 반원체의 체결부 중 제1체결부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을 포함하여 측면까지 감싸도록 말단부가 돌출되게 절곡되며, 제2체결부는 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 부위와 접촉되고 상기 플랜지의 단부로부터는 제1체결부의 돌출된 부위와 접촉되도록 함몰되어 상기 상.하 반원체를 이루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기술이다.
파이프, 연결구, 누수방지, 기밀, 씰링부재, 가압부재, 고무, 볼팅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Pipe connecter}
본 발명은 파이프 간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긴밀한 결합을 이루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새로운 결합구조를 갖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기술이다.
기름류, 기체 혹은 식수, 공업용수, 오수 등의 유체의 수송에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됨이 일반적인데, 제한적인 길이를 갖는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게 되면 각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가 흔하다.
파이프간 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면 유체의 종류에 따라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기도 하고 폭발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누수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도 따르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 연결을 위한 연결구는 다양한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이하 대표적인 것들에 대해 간략히 살펴 보기로 한다.
먼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98123호의 "호스에 연결된 파이프 이음연결용 체결장치"가 있었으며, 도1은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가 연결되는 파이프, 패킹부재, 플랜지, 가압부재 및 클램프를 주요한 구성요소로 하고 있으며 상기 파이프 사이에 패킹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패킹부재가 팽창 또는 수축 등으로 인해 조그마한 변형이 초래되면 파이프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상기 패킹부재가 파이프 사이에 여유공간 없이 타이트하게 밀착되게 설치되므로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현상이라 볼 수 있다.
또 다른 기술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407864호의 "무용접 플랜지 관연결 조인트"가 있었으며 도2는 이것을 이용한 관 연결을 실시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관연결 조인트는 양쪽 파이프 사이를 밀봉하는 패킹(20)이 삽입되고, 파이프의 분리를 방지하는 스토퍼(30,31)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와 패킹을 외측에서 감싸는 링 형상의 플랜지(40,41)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 관연결 조인트 역시 상기 패킹(20)이 여유 공간 없이 결합 되는 형태이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손상이 불가피하게 되어 누수가 발생 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향상된 성능을 갖춘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 간 이음부를 감싸는 씰링부재에 완충홈을 두어 상기 씰링부재가 온도 등의 변화에 스스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여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씰링부재의 외면에는 돌출되는 플랜지를 두어서 가압부재로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누설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제시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두개의 파이프를 서로 맞대어 연결시키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파이프 간 연결부위를 감싸게 되며 내경면 또는 외경면에는 다수의 함몰된 완충홈이 구비되고 외경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는 플랜지가 더 갖추어지는 씰링부재와; 상기 씰링부재의 외면을 감싸는 두개의 상.하 반원체로서 상기 플랜지에 대응하는 좌우측에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어 볼트로 상.하 반원체를 체결시키되, 상기 플랜지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짝을 이루는 상.하 반원체의 체결부 중 제1체결부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을 포함하여 측면까지 감싸도록 말단부가 돌출되게 절곡되며, 제2체결부는 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 부위와 접촉되고 상기 플랜지의 단부로부터는 제1체결부의 돌출된 부위와 접촉되도록 함몰되어 상기 상.하 반원체를 이루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홈은 씰링부재 내경면 또는 외경면을 따라 원을 이루는 것이거나 축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것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씰링부재의 내경면에 형성되는 완충홈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으로 하고, 외경면에 형성되는 완충홈은 사각단면을 이루는 것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재를 이루는 상.하반원체는 그 좌우 양단부가 ㄱ 자형으로 절곡되어 씰링부재를 감싸는 스토퍼를 이루되, 파이프 외면과 접촉되는 상기 스토퍼에는 오목한 링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이에 대응하는 파이프 외면에도 링홈을 두어서 철링을 상기 링홈에 설치함으로써 파이프가 서로 밀착되게 수평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재를 이루는 상.하반원체는 그 좌우 양단부가 ㄱ 자형으로 절곡되어 씰링부재를 감싸는 스토퍼를 이루되, 파이프 외면과 접촉되는 상기 스토퍼가 파이프 외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유도홈에 끼워지면서 마주보는 파이프들이 서로 밀착되게 수평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씰링부재는 내경면 중앙에 파이프의 두께에 상당하는 밀착돌기가 원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좌우측 파이프 단부가 상기 밀착돌기에 접촉되는 것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안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를 이루는 상.하반원체는 그 좌우 양단부가 ㄱ 자형으 로 절곡되어 씰링부재를 감싸는 스토퍼를 이루되, 스토퍼와 파이프 사이에 상기 씰링부재 보다는 두께가 얇은 보강씰링재가 더 설치되는 것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안한다.
더 나아가 상기 씰링부재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을 이루는 상.하 반원체는 체결부 이외에 하나씩의 플랜지홈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또한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파이프와 접촉되는 씰링부재의 내경면에 다수의 완충홈이 형성되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수축에 대해 상기 씰링부재가 스스로 적절히 변화될 수 있으므로 완전 구속된 상태에 비교하여 씰링부재의 손상이 방지되어 누수의 가능성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씰링부재와 가압부재가 독특한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씰링부재가 항상 최초의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마찰로 씰링부재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타이트한 결합으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개시하기로 하며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를 제시하는 것이므로 도면 자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기술하며, 도3은 파이프 연결구의 종 단면도에 해당되고 도4는 축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연결구는 내부가 빈 원통형의 씰링부재(10)와 상기 씰링부재를 감싸는 가압부재(20)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씰링부재(10)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과 같은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씰링부재(10)의 내경면 또는 외경면에는 다수의 함몰된 완충홈(G)이 마련되는 것으로 하고, 외경면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는 다수의 플랜지(F)를 갖는 것으로 구성함이 적합하다. 상기 완충홈(G)은 씰링부재의 내경면 또는 외경면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양면 모두에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경면에 형성되는 완충홈은 성형성을 고려하여 외경면에 형성되는 완충홈에 비교하여 깊이가 낮고 완만한 곡률을 이루는 형태로 함이 적합하고, 외경면에 형성되는 완충홈은 사각형과 같은 형태를 갖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씰링부재(10) 외면부에 수평방향으로 하나씩의 플랜지(F)를 두도록 하였으며 상기 플랜지(F)는 씰링부재(10)의 총 길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혹은 단속적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씰링부재(10)의 내경면 또는 외경면에 형성되는 완충홈(G)은 원형을 이루는 형태이거나 축방향을 따라 직선을 이루는 형태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다수의 완충홈을 갖는 것으로 한다. 본 예에서는 원을 이루는 다수의 완충홈(G)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씰링부재(10)의 내경면 또는 외경면 중 중심부는 파이프(P) 외면과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도록 매끈한 면을 갖는 접촉구간을 두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구간에 대해 좌우측으로 다수의 완충홈(G)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가압부재(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가압부재(20)는 상기 씰링부재(10)의 외면을 감싸는 두개의 상.하 반원체(20a,2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하 반원체(20a,20b)에는 상기 씰링부재(10)에 형성되는 플랜지(F)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체결부(20-1)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20-1)에서는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도록 한다. 상기 씰링부재(10)의 플랜지(F)는 상.하 반원체(20a,20b)의 결합시 형성되는 플랜지홈(H)에 수용되는 형태로 체결되며, 상기 플랜지(F)를 포함한 씰링부재(10)를 보다 견고히 파이프(P)와 밀착되게 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20-1)는 독특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한다.
상.하 반원체(20a,20b)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재(20)에서 상반원체(20a)와 하반원체(20b)의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20-1)는 형상이 상이한 제1체결부(21)와 제2체결부(22)를 갖추게 되며, 제1체결부(21)는 제2체결부(22)와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1체결부(21)는 상기 플랜지(F)의 상면 또는 하면을 포함하여 측면까지 감싸는 형태로 말단부가 돌출되게 절곡되어져 있는 부분을 의미하며, 제2체결부(22)는 플랜지(F)의 상면 또는 하면 부위와 접촉되고 상기 플랜지(F)의 단부로부터는 상기 제1체결부(21)의 돌출된 부위와 접촉되도록 함몰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상반원체(20a)의 제1체결부(21)는 하반원체(20b)의 제2체결부(22)와 결합되며 상반원체(20a)의 제2체결부(22)는 하반원체(20b)의 제1체결부(21)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체결부(21)와 제2체결부(22)를 연결함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함이 바람직하고 볼팅을 하게 되면 그 구조적 특성으로 상기 씰링부재(10)의 플랜지(F)는 가압부재(20)에 의해 타이트하게 고정될 수 있고, 동시에 씰링부재(10)는 파이프(P)를 조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재(2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상.하 반원체(20a,20b)의 좌우 양단부를 ㄱ 자형으로 절곡시켜 스토퍼(23)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씰링부재(10)의 좌우 말단부를 막는 형식이 되도록 함이 좋다. 더 나아가 가압부재(20)를 이용하여 연결될 파이프(P) 외면에는 함몰된 유도홈(P1)을 두도록 하며, 상기 유도홈(P1)에 상기 스토퍼(23)의 말단부가 끼워지는 결합형태를 갖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압부재(20)를 최대로 조여 설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23)의 말단부가 부분적으로 상기 유도홈(P1)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3)가 유도홈(P1)에 결합됨에 따라 마주보는 두개의 파이프(P)가 서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도5와 같은 형상의 유도홈(P1)과 스토퍼(23)가 되는 것으로 구성함이 적합하다. 상기 스토퍼(23)의 내측단부 모서리는 경사진 형태로 하며 이에 대응하여 유도홈(P1)에도 슬로프면(P2)을 두도록 한다. 유도홈(P1)에 스토퍼(23)가 결합되면 마주보는 두개의 파이프는 서로 밀착되게 수평이동되며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파이프는 보다 확실한 연결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23)와 파이프(P)의 접촉면에 링홈(K)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링홈(K)에 철링(3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6은 본 제2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파이프 연결구는 기본적으로 씰링부재(10)와 가압부재(20)로 구성되는데, 상기 가압부재(20)를 구성하는 상.하반원체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23)에 반원형으로 함몰된 링홈(K)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23)에 형성되는 링홈(K)에 대응하여 파이프(P) 외면에도 반원형의 링홈(K)이 마련된다.
상기 파이프와 스토퍼에 형성되는 링홈(K) 사이에 철링(30)이 설치되며 상기 철링으로 인해 파이프와 가압부재 및 씰링부재의 연결은 보다 확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철링(30)은 형상은 절단된 상태를 이루어 링홈(K)에의 설치가 용이한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링으로 인해 상기 가압부재를 체결하게 되면 파이프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밀착되게 힘을 받게 되므로 그 결합은 더욱 확실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제3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씰링부재(10)의 내경면에 마주보는 파이프와 각각 접촉되는 밀착돌기(11)가 원을 이루면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돌기(11)는 씰링부재(10) 내경면 중앙 위치에 형성되되 파이프의 두께에 상당하는 정도로 돌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실시 예와 같이 가압부재의 좌우측 단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며, 파이프와의 사이에는 철링을 두어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8은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를 구성하는 상.하반원체의 좌우 양단부에 제2실시예와 같은 스토퍼를 두도록 하되, 상기 스토퍼(23)와 파이프 사이에 보강씰링재(15)를 더 설치토록 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보강씰링재(15)는 씰링부재(10) 보다는 두께가 얇은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2차적인 씰링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가 파이프 외면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에 따른 충격이나 미세한 손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제5실시예를 설명하며 도9는 제5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의 종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를 기본으로 하되, 도시된 것처럼 상기 씰링부재(10)의 외면에 4개의 플랜지(F)가 형성되는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20)를 이루는 상.하 반원체(20a,20b)에도 체결부(20-1) 이외 영역에 하나씩의 플랜지홈(H)을 더 갖추게 된다. 상기 씰링부재(10)에 4개의 플랜지(F)가 마련되므로 가압부재(20)를 이용한 결합시 상기 씰링부재는 보다 더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연결시킬 파이프 외면에 씰링부재를 끼워넣도록 하며 두개의 파이프 단부가 가급적 접촉될 수 있게 근접시키도록 한다. 파이프 외면에 씰링부재를 설치한 후 가압부재를 이루는 상.하 반원체로서 상기 씰링부재를 감싸도록 하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을 이루도록 한다.
씰링부재 내경면에 형성되는 완충홈들은 시간경과에 따른 씰링부재의 자연적인 변화나 열과 같은 외적 요인에 기인한 팽창 혹은 수축이 발생될 시에 이러한 변화에 따른 씰링부재의 파손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어 급격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씰링부재를 고정시키는 가압부재는 독특한 구조로 상기 씰링부재를 제 위치에 고정시켜 누수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본 파이프 연결구는 각종 건축공사나 기존 시설을 보수하는 경우에 대체품으로서 널리 사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입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해 관 연결을 실시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종단면도.
도4는 축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5는 가압부재의 스토퍼와 파이프에 구비되는 유도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6은 본 제2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7은 제3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8은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9는 제5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의 종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씰링부재 20 : 가압부재
20a: 상반원체 20b: 하반원체
20-1: 체결부 21 : 제1체결부
22 : 제2체결부 23 : 스토퍼
G : 완충홈 F : 플랜지
P1: 유도홈 P2 : 슬로프면
P : 파이프 H : 플랜지홈

Claims (8)

  1. 두개의 파이프를 서로 맞대어 연결시키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파이프 간 연결부위를 감싸게 되며 내경면 또는 외경면에는 다수의 함몰된 완충홈이 구비되고 외경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되는 플랜지가 더 갖추어지는 씰링부재와;
    상기 씰링부재의 외면을 감싸는 두개의 상.하 반원체로서 상기 플랜지에 대응하는 좌우측에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어 볼트로 상.하 반원체를 체결시키되, 상기 플랜지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짝을 이루는 상.하 반원체의 체결부 중 제1체결부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을 포함하여 측면까지 감싸도록 말단부가 돌출되게 절곡되며, 제2체결부는 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 부위와 접촉되고 상기 플랜지의 단부로부터는 제1체결부의 돌출된 부위와 접촉되도록 함몰되어 상기 상.하 반원체를 이루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홈은,
    씰링부재 내경면 또는 외경면을 따라 원을 이루는 것이거나 축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것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의 내경면에 형성되는 완충홈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으로 하고, 외경면에 형성되는 완충홈은 사각단면을 이루는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이루는 상.하반원체는,
    그 좌우 양단부가 ㄱ 자형으로 절곡되어 씰링부재를 감싸는 스토퍼를 이루되, 파이프 외면과 접촉되는 상기 스토퍼에는 오목한 링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이에 대응하는 파이프 외면에도 링홈을 두어서 철링을 상기 링홈에 설치함으로써 파이프가 서로 밀착되게 수평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이루는 상.하반원체는,
    그 좌우 양단부가 ㄱ 자형으로 절곡되어 씰링부재를 감싸는 스토퍼를 이루되, 파이프 외면과 접촉되는 상기 스토퍼가 파이프 외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유도홈에 끼워지면서 마주보는 파이프들이 서로 밀착되게 수평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내경면 중앙에 파이프의 두께에 상당하는 밀착돌기가 원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좌우측 파이프 단부가 상기 밀착돌기에 접촉되는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이루는 상.하반원체는,
    그 좌우 양단부가 ㄱ 자형으로 절곡되어 씰링부재를 감싸는 스토퍼를 이루되, 스토퍼와 파이프 사이에 상기 씰링부재 보다는 두께가 얇은 보강씰링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을 이루는 상.하 반원체는 체결부 이외에 하나씩의 플랜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1020070073601A 2007-07-23 2007-07-23 파이프 연결구 KR20090010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601A KR20090010479A (ko) 2007-07-23 2007-07-23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601A KR20090010479A (ko) 2007-07-23 2007-07-23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79A true KR20090010479A (ko) 2009-01-30

Family

ID=4048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601A KR20090010479A (ko) 2007-07-23 2007-07-23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47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79Y1 (ko) * 2009-11-24 2012-04-06 주식회사 정진이엔티 관 연결 조인트
WO2018105798A1 (ko) * 2016-12-09 2018-06-14 주식회사 원대티지케이 이동 스토퍼를 포함하는 가스켓
KR20190076232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배관용 조인트
CN110425371A (zh) * 2018-11-26 2019-11-08 泰达长林管道科技(江西)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pe管用对折式封堵头
WO2020050430A1 (ko) * 2018-09-03 2020-03-12 한보일렉트(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WO2021168956A1 (zh) * 2020-02-27 2021-09-02 玫德集团有限公司 一种可实现快速连接的管卡及管卡组件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79Y1 (ko) * 2009-11-24 2012-04-06 주식회사 정진이엔티 관 연결 조인트
WO2018105798A1 (ko) * 2016-12-09 2018-06-14 주식회사 원대티지케이 이동 스토퍼를 포함하는 가스켓
KR20190076232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배관용 조인트
WO2020050430A1 (ko) * 2018-09-03 2020-03-12 한보일렉트(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CN110425371A (zh) * 2018-11-26 2019-11-08 泰达长林管道科技(江西)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pe管用对折式封堵头
WO2021168956A1 (zh) * 2020-02-27 2021-09-02 玫德集团有限公司 一种可实现快速连接的管卡及管卡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0479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290291B1 (ko) 현장 여건에 따른 신축 이음이 조절되는 배수관 이음 구조
KR101318774B1 (ko) 신축가동관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0261854B1 (ko)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US9500305B2 (en) Fitting mechanism for use with multilayer composite pipe
CN1262781C (zh) 管道弹性连接方法
KR102319277B1 (ko) 밸브 접합관
CN108180329A (zh) 一种家用太阳能用防爆连接器
KR101386752B1 (ko) 가스이송용 주름신축관
KR102623297B1 (ko) 복합관 이음 커플링
KR102472669B1 (ko) 무용접 및 무압착 관이음 어셈블리
KR102190003B1 (ko) 배관 연결용 조인트
CN214008379U (zh) 复合密封柔性卡箍管接头
US5590690A (en) Centering support for double-containment pipe assembly
CN216952258U (zh) 一种管道保温结构
KR200277281Y1 (ko) 관 연결장치
KR20120038115A (ko)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KR102195335B1 (ko) 배관 연결용 조인트
CN113404934B (zh) 一种管道支撑装置及其应用
KR102319272B1 (ko) 신축 이음관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344488Y1 (ko)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CN211010367U (zh) 一种管道位移补偿连接结构
KR200405688Y1 (ko) 용수관의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