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488Y1 -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4488Y1 KR200344488Y1 KR20-2003-0032949U KR20030032949U KR200344488Y1 KR 200344488 Y1 KR200344488 Y1 KR 200344488Y1 KR 20030032949 U KR20030032949 U KR 20030032949U KR 200344488 Y1 KR200344488 Y1 KR 2003444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expansion
- pipe
- bellows
- copper tub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벨로우즈 형태의 신축관과 황동재질로 이루어진 연결동관간의 결합이 플렌지부간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종래 용접작업에 비해 결합에 따른 작업성을 개선시키고,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축이 가능하도록 벨로우즈형태를 이루는 신축관(1)과, 상기 신축관(1)을 보호하기 위해 외통을 이루어 설치되는 보호통(2)과, 상기 신축관(1)의 양단에 보호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결동관(3)이 결합되는 벨로우즈용 신축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동관(3)과 신축관(1)에는 결합이 이루어질 양측 단부에 플렌지부(11,13)가 상호 대향되도록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플렌지부(11,13)에는 체결볼트(12,14)가 관통 삽입되는 제1,2통공(11a,13a)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벨로우즈형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이송용 배관의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벨로우즈형 신축관의 결합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축동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설비의 혈관이라 할 수 있는 각종 수송관의 배관을 계획함에 있어 설계자가 직면하는 문제로는 외기와 수송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파이프라인의 팽창과 수축의 문제, 기관 등에 의한 진동의 문제, 풍압 및 지진 등에 의한 이동 및 파손 등의 문제로 부터 파이프라인에 가해지는 과중한 응력을 흡수하여 기기를 보호하고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코자 하는 것입니다.
특히, 상하수도나 중화학공장, 또는 유류정제공장등에는 액상의 물질을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배관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관을 따라 이송되어지는 액상의 유체들은 어느 프로세스에서 물질의 변화를 위하여 상당한 고온에서 작업을 하게 되므로 이 물질은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와같이 온도가 높아진 유체가 배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경우 배관은 열팽창을 일으키면서 뒤틀려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배관은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고 있는데, 그러한 수단으로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벨로우즈형 신축관이 소정 간격으로 배관에 연결 시공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한편, 신축관은 벨로우즈의 구현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재질로서 보호통에 의해 보호되어지며, 양단에는 메인배관과의 용접결합을 위한 연결관이 노출되도록 구성되게 되며, 이러한 연결관은 용접결합이 이루어질 메인배관의 종류에 따라 강관이나 스테인레스관 또는 동관이 결합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신축관의 양단에 결합되는 연결관이 용접작업에 의해 결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작업은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특히 황동재질로 이루어진 동관의 경우는 재질특성상 상이한 재료인 스테인레스 재질의 신축관과의 용접성이 낮기 때문에 시공후 용접부위에서 하자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배인배관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연결동관과 신축변형이 가능한 벨로우즈 신축관과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이를통해 제품의 시공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신축관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신축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반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플렌지 결합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축관 2 : 보호통
3 : 연결동관 4 : 브라켓
5 : 중간링 6,7 : 고정볼트
11,13 : 플렌지부 12,14 : 체결볼트
11a,13a : 통공
상기 목적은, 신축이 가능하도록 벨로우즈형태를 이루는 신축관과, 상기 신축관을 보호하기 위해 외통을 이루어 설치되는 보호통과, 상기 신축관의 양단에 보호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결동관이 결합되는 벨로우즈용 신축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동관과 신축관에는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단부에 플렌지부가 대향되도록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플렌지부에는 체결볼트가 관통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벨로우즈형 신축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3은 결합시의 내부 반단면도이고, 도 4는 플렌지부의 요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형 신축관의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축방향 및 각방향 변위가 가능하도록 벨로우즈 주름관형태를 이루고 있는 신축관(1)과, 신축관(1)의 보호를 위해 위부에 끼워지는 보호통(2)과, 유체이송용 메인동관(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해 신축관(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동관(3)과, 보호통(2)의 외면 하부 중심에 설치되는 브라켓(4)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관(1)의 외부 중앙에는 보호통(2)과의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중간링(5)이 고정볼트(6)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신축관(1)과 연결동관(3)에는 결합이 이루어질 양측 단부에 링형태의 플렌지부(11,13)가 상호 대향되도록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플렌지부(11,13)에는 상호간에 체결을 위한 체결볼트(12,14)가 관통 삽입되는 다수의 제1,2통공(11a,13a)이 플렌지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었다.
특히, 상기 연결동관(3)의 플렌지부(13)에 형성된 제1통공(13a)은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신축관(1)의 플렌지부(11)에 형성된 제2통공(11a) 보다 구경이 크도록 형성시키되(L1 〉L2), 상기 제2통공(11a) 내주면에는 체결볼트(12,14)와의 나합이 이루어질 나사부(11a')가 형성되었으며, 상기 신축관(1) 및 연결동관(3)의 단부에는 각각 플렌지부(11,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확개된 걸림턱(1a,3a)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연결동관(3)측 플렌지부(13)에는 나사홈(13b)이 형성됨과 함께 이와 대응되는 보호통(2) 부위에는 장공(2a)이 형성되어져 있어 고정볼트(7) 및 와샤(8)의 체결에 의해 연결동관(3)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는 메인동관의 삽입결합이 이루어지게될 확관부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 벨로우즈형 신축관의 제작에 따른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동성을 갖는 벨로우즈형의 신축관(1) 양단에는 플렌지부(11)가 걸림턱(1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구성되어져 있고, 이와 대응되는 연결동관(3)의 일단에는 각각 플렌지부(13)가 역시 걸림턱(3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양측 플렌지부(11,13)를 맞대고 각 플렌지부(11,13)에 형성된 제1,2통공(11a,13a)이 일치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일치된 각 통공(11a,13a)에 관통체결되도록 체결볼트(12,14)를 삽입시킨 후 볼트를 완전히 돌려서 체결하면 플렌지부(11,13)간 결합력이 작용함으로 인해 신축관(1)의 양단에는 연결동관(3)이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관(1)의 벨로우즈부에 중간링(5)을 끼운 상태에서 보호통(2) 내에 삽입시킴과 함께 보호통(2)의 외측에서 고정볼트(6)를 삽입하여 중간링(5)의 위치를 지지함으로서 신축관(1)의 중단부 고정이 이루어지고, 보호통(2)의 양단부에 형성된 장공(2a)에 연결동관(3)측 플렌지부(13)의 나사홈(13b)을 일치시킨 후 고정볼트(7) 및 와샤(8)를 이용해 신축관(1)의 양단부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조립작업을 완성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호통(2)의 양측으로 연결동관(3)이 일부 노출된 상태의 벨로우즈형 신축관의 제작이 완성되며,상기 완성품을 현장으로 이송하여 메인동관 사이에 연결 장착시킴으로서 동관내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를 흡수하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은, 각기 상이한 재질을 이루는 신축관과 연결동관간의 결합이 볼트체결이 이루어지는 플렌지부간의 연결고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됨으로 종래 용접작업에 비해 결합에 따른 작업성이 개선되고, 이로인해 제품의 조립효율이 증가되어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 신축이 가능하도록 벨로우즈형태를 이루는 신축관(1)과, 상기 신축관(1)을 보호하기 위해 외통을 이루어 설치되는 보호통(2)과, 상기 신축관(1)의 양단에 보호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결동관(3)이 결합되는 벨로우즈용 신축관에 있어서:상기 연결동관(3)과 신축관(1)에는 결합이 이루어질 양측 단부에 플렌지부(11,13)가 상호 대향되도록 각각 구비하고;상기 각 플렌지부(11,13)에는 체결볼트(12,14)가 관통 삽입되는 제1,2통공(11a,13a)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신축관(1) 및 연결동관(3)의 단부에는 각각 플렌지부(11,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확개된 걸림턱(1a,3a)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연결동관(3)의 플렌지부(13)에 형성된 제1통공(13a)은 신축관(1)의 플렌지부(11)에 형성된 제2통공(11a) 보다 구경이 크도록 형성시키되, 상기 제2통공(11a) 내주면에는 체결볼트(12,14)와의 나합이 이루어질 나사부(11a')가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2949U KR200344488Y1 (ko) | 2003-10-21 | 2003-10-21 |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2949U KR200344488Y1 (ko) | 2003-10-21 | 2003-10-21 |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4488Y1 true KR200344488Y1 (ko) | 2004-03-11 |
Family
ID=4942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2949U KR200344488Y1 (ko) | 2003-10-21 | 2003-10-21 |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4488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8807B1 (ko) * | 2012-11-22 | 2014-06-19 | 에스엘티 주식회사 | 진공배관용 주름관 및 이와 파이프의 결합구조체 |
KR20210098785A (ko) * | 2020-02-03 | 2021-08-11 | 이성재 | 벨로우즈용 커버 |
-
2003
- 2003-10-21 KR KR20-2003-0032949U patent/KR20034448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8807B1 (ko) * | 2012-11-22 | 2014-06-19 | 에스엘티 주식회사 | 진공배관용 주름관 및 이와 파이프의 결합구조체 |
KR20210098785A (ko) * | 2020-02-03 | 2021-08-11 | 이성재 | 벨로우즈용 커버 |
KR102370224B1 (ko) | 2020-02-03 | 2022-03-03 | 이성재 | 벨로우즈용 커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26409A (en) | Expansion joint | |
JP4764352B2 (ja) | 可撓性部材を補強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 |
JP6454024B2 (ja) | コンペンセータ | |
KR101391341B1 (ko) | 익스펜션 조인트의 타이로드 | |
KR100402035B1 (ko) | 파이프시스템용금속팽창조인트및진동흡수장치 | |
KR20090016331A (ko) | 신축부의 누설감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0344488Y1 (ko) |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 |
KR200190337Y1 (ko) | 배관용신축이음장치 | |
JP6200723B2 (ja) | 伸縮可撓管及び伸縮可撓管の組立方法 | |
KR200242207Y1 (ko) | 벨로우즈형 익스팬션 파이프 조인트 | |
KR200274908Y1 (ko) | 밸브 턱 파이프 연결장치 | |
KR101256888B1 (ko) |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 |
KR200296112Y1 (ko) | 벨로우즈형 신축관 | |
KR20180124406A (ko) | 면진 및 내진용 신축 조인트 | |
RU2083907C1 (ru) | Втулочный компенсатор | |
KR100722246B1 (ko) | 익스팬션죠인트의 벨로우즈 보강용 콘트롤링 | |
JP2652336B2 (ja) | 管路用漏水補修伸縮可撓継手 | |
KR20160109648A (ko) | 신축성 연결구 | |
CN210004029U (zh) | 一种预制保温管的外管连接结构 | |
US6422611B1 (en) | Contractible joint device for metal conduit | |
JP7203384B2 (ja) | 二重管型継手構造 | |
CN209876263U (zh) | 一种波纹管连接结构 | |
KR200151434Y1 (ko) | 지하 매설용 신축관 | |
TWM447448U (zh) | 接頭裝置 | |
CA1294996C (en) | Universal expansion joi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