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272B1 - 신축 이음관 - Google Patents

신축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272B1
KR102319272B1 KR1020190174012A KR20190174012A KR102319272B1 KR 102319272 B1 KR102319272 B1 KR 102319272B1 KR 1020190174012 A KR1020190174012 A KR 1020190174012A KR 20190174012 A KR20190174012 A KR 20190174012A KR 102319272 B1 KR102319272 B1 KR 102319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tube
stopper
exterior
rad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752A (ko
Inventor
이병철
우삼하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컴퍼니 filed Critical (주)에스피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17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2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신축 이음관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은, 외주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1가압부와, 상기 제1가압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연결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1내관; 외주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2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연결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2내관;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 사이에서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이 마주하는 단부를 둘러싸되,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과 이격되는 외관; 상기 외관의 내벽에 결합되는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1가압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씰링과, 상기 제2스토퍼와 상기 제2가압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씰링을 포함하는 씰링; 중공의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두께는 상기 외관과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외관의 내벽에 용접되어,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의 반경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도, 상기 외관과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 사이로 스며드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홈부에 대응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1내관과 상기 제2내관이 상기 외관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의 전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신축 이음관으로서, 외관 내부에 두 개의 내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되 신축이 허용되며 두 관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누수가 방지되는 신축 이음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신축 이음관{FLEXIBLE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신축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신축 이음관으로서, 외관 내부에 두 개의 내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되 신축이 허용되며 두 관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누수가 방지되는 신축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 이음은 배관의 온도 변화에 따라 관(파이프 라인(pipe line))의 팽창과 수축, 펌프나 보일러에 의한 진동 및 풍압, 지진, 지반 침하로 인한 배관의 위치 이동과 파손, 과도한 응력을 흡수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두 관의 신축이음에 사용되는 종래의 신축 이음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러한 신축 이음관은 외관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내관과, 내관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이 외관과 내관 사이에 개재된다.
통상적으로, 유지관리 및 동,하철기의 기온 차이로 인해 배관 상에서 발생되는 수축과 인장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플랜지 사이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과정에서 기밀 유지력이 약화되고, 심지어 플랜지 연결부위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유체의 유동에 의해 결국에는 접합부위 중 가장 약한 부위가 터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관에는 신축 이음관이 설치되어, 배관들을 연결하는 축 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여 열이나 압력으로 인한 팽창이나 유체에 의한 진동 및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신축 이음관 중 외관과 내관이 서로 이격된 것은 실링이 개재됨에도 불구하고 외부 환경요인 및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 의해 내관과 외관이 각 반경방향에 대한 움직임에 의해 누수공간이 발생하여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내관이 외관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786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0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07247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은, 두 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신축 이음관으로서, 외관 내부에 두 개의 내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되 신축이 허용되며 두 관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누수가 방지되는 신축 이음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은, 외주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1가압부와, 상기 제1가압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연결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1내관; 외주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2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연결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2내관;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 사이에서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이 마주하는 단부를 둘러싸되,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과 이격되는 외관; 상기 외관의 내벽에 결합되는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1가압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씰링과, 상기 제2스토퍼와 상기 제2가압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씰링을 포함하는 씰링; 중공의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두께는 상기 외관과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외관의 내벽에 용접되어,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의 반경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도, 상기 외관과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 사이로 스며드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홈부에 대응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1내관과 상기 제2내관이 상기 외관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의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부의 두께는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돌기는 상기 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관은 상기 돌기가 상기 제2홈부를 통과한 뒤 소정각도 회전하여 일단부가 상기 외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은, 외관 내부에 제1내관과 제2내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되 신축이 허용됨으로써, 유지관리 및 동,하철기의 기온 차이로 인해 배관 상에서 발생되는 수축과 인장 등의 외부 요인에도 불구하고 열이나 압력으로 인한 팽창이나 유체에 의한 진동 및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외관과 제1내관, 외관과 제2내관이 서로 이격되어도 반경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누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떠한 요인에 의해 외관 내부로 삽입된 제1내관/제2내관의 길이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제1내관/제2내관이 외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두 관의 신축이음에 사용되는 종래의 신축 이음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의 이탈 방지부의 사시도/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의 요부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의 내관의 삽입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은, 두 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신축 이음관으로서, 외관 내부에 두 개의 내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되 신축이 허용되며 두 관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누수가 방지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1000)은, 제1내관(100)과, 제2내관(200)과, 외관(300)과, 스토퍼(410,420)와, 씰링(510,520)과, 이탈 방지부(600) 및 돌기(700)를 포함한다.
제1내관(100)은 중공관으로서 외주면 일 영역에는 제1연결부(110)가 형성된다. 제1연결부(110)는 제1내관(100)을 제2내관(20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연결부(110)는 제1가압부(111)와 제1연결 플랜지(112)를 포함한다.
제1가압부(111)는 제1내관(100)의 외벽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압부(111)는 후술하는 씰링(510)을 가압하여 제1내관(100)과 외관(300) 사이에서 밀봉이 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연결 플랜지(112)는 제1가압부(111)로부터 외관(300)/제1내관(100)의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제1연결 플랜지(112) 또한 제1가압부(111)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내관(200)은 중공관으로서 외주면 일 영역에는 제2연결부(210)가 형성된다. 제2연결부(210)는 제2내관(200)을 제1내관(10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연결부(210)는 제2가압부(211)와 제2연결 플랜지(212)를 포함한다.
제2가압부(211)는 제2내관(200)의 외벽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압부(211)는 후술하는 씰링(520)을 가압하여 제1내관(100)과 외관(300) 사이에서 밀봉이 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2연결 플랜지(212)는 제2가압부(211)로부터 외관(300)/제2내관(200)의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제2연결 플랜지(212) 또한 제2가압부(211)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관(300) 또한 중공관으로 마련되며, 제1내관(100) 및 제2내관(200) 사이에 배치되며, 제1내관(100) 및 제2내관(200)이 마주하는 단부들을 둘러쌀 수 있다. 즉, 제1내관(100)과 제2내관(200)의 일단부는 외관(300)에 삽입된다. 제1내관(100)/제2내관(200)과 외관(300)의 겹치는 길이에 따라 외관(300)과 전체 길이가 결정된다.
이때, 제1내관(100)과 제2내관(200)의 외경은 외관(300)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된다. 즉, 제1내관(100)과 제2내관(200)의 일단부가 외관(300)에 삽입되면 외관(300)의 내벽과 제1내관(100) 및 제2내관(200)의 외벽은 서로 이격된다.
제1내관(100) 및 제2내관(200)은 그 중심축이 실질적으로 일치되도록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고, 외관(300) 역시 제1내관(100) 및 제2내관(200)과 실질적으로 동축이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내관(100) 및 제2내관(200)의 외경은 동일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파이프를 신축성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1내관(100) 및 제2내관(200)은 그 외경이 다를 수 있고, 외관(300)은 제1내관(100) 및 제2내관(200)의 서로 다른 외경에 맞추어 그 내경이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변형될 수도 있다.
외관(300)의 내벽에는 스토퍼(410,420)가 장착된다. 스토퍼(410,420)는 제1스토퍼(410)와 제2스토퍼(420)를 포함한다. 제1스토퍼(410)는 제1씰링(510)에 밀착되어 제1내관(100)과 외관(300)이 밀봉이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제2스토퍼(420)는 제2씰링(520)에 밀착되어 제2내관(200)과 외관(300)과의 밀봉이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씰링(510,520)은 제1씰링(510)과 제2씰링(520)을 포함하며 각각 제1스토퍼(410)와 제1가압부(111)와의 사이, 제2스토퍼(420)와 제2가압부(211)와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1씰링(510)은 제1스토퍼(410)와 제1가압부(111)와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1스토퍼(410)는 환형으로서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의 직경은 제1내관(100)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고리형 판일 수 있다. 제1씰링(510)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부재 또는 무른 금속일 수 있다.
제2씰링(520)은 제2스토퍼(420)와 제2가압부(211)와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2스토퍼(420)는 환형으로서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의 직경은 제2내관(200)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고리형 판일 수 있다. 제2씰링(520)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부재 또는 무른 금속일 수 있다.
스토퍼(410,420)는 씰링(510,520)과 맞닿는 면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씰링(510,520)은 스토퍼(410,4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씰링(510,520)과 스토퍼(410,420)의 경사면이 서로 밀착 접촉하여 밀봉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사면들은 접촉 시 경사면의 원리에 의해 그 접촉력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그 접촉 면적이 넓어져 더욱 견고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연결 플랜지(112)와 제2연결 플랜지(212)는 체결구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 인해 제1내관(100)과 제2내관(200)의 축방향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체결구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체결구는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형 부재일 수 있고, 나사산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에 의하여 체결구는 제1연결 플랜지(112) 및 제2연결 플랜지(212)를 고정할 수 있다.
너트를 보다 강하게 체결할수록 제1가압부(111)와 제2가압부(211)가 스토퍼(410,420) 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가압부(111)와 제2가압부(211)가 씰링(510,520)을 스토퍼(410,420) 측으로 가압하여 외관(300)과 내관의 밀봉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내관(100)과 제2내관(200)은 종래보다 좀 더 깊이 외관(30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내관(100)과 제2내관(200)이 외관(300)에 삽입되는데, 이 때 삽입되는 부분의 면적이 종래보다 더 넓게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의 이탈 방지부의 사시도/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탈 방지부(600)는 외관(300)과 제1내관(100) 사이, 외관(300)과 제2내관(200) 사이로부터 외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면서도 제1내관(100)/제2내관(200)이 외관(3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탈 방지부(60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제1내관(100)과 제2내관(200)이 외관(30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410,42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탈 방지부(600)는 중공의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즉, 도넛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탈 방지부(600)의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홈부(61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홈부(610)는 이탈 방지부(60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탈 방지부(600)의 외주면 중 제1홈부(61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외관(300)의 내벽에 용접된다. 한편, 이탈 방지부(600)의 두께는 외관(300)과 내관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되거나 그보다 미세하게 작게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신축 이음관(1000) 중 외관(300)과 내관이 서로 이격된 것은 실링이 개재됨에도 불구하고 외부 환경요인 및 내관과 외관(300) 사이의 공간에 의해 내관과 외관(300)이 각 반경방향에 대한 움직임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실링에 유격이 발생됨으로써 외부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탈 방지부(600)가 외관(300)의 내벽에 용접되고 이탈 방지부(600)의 두께가 외관(300)과 내관(100,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되거나 미세하게 작게 마련되어, 특히 내관(100,200)의 반경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됨으로써 종래에 발생되던 누수 문제점이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홈부(610)로 인해 씰링(510,520)이 개재됨에도 불구하고 외관(300)과 내관(100,200) 사이로 미량 스며드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됨으로써 물이 고여 썩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외부 요인 등에 의해 내관(100,200)의 반경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이탈 방지부(600)의 두께가 외관(300)과 내관(100,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경우 배관의 파손이 우려될 수 있으나, 제1홈부(610)로 인해 이 문제점이 해결된다. 즉, 이탈 방지부(600)에 의해 내관(100,200)의 반경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효과가 있으나 이와 함께 배관의 파손 우려도 있는데, 제1홈부(610)에 의해 파손이 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의 내관의 삽입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탈 방지부(600)의 내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홈부(6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내관(100)/제2내관(200)의 외주면에는 제2홈부(620)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700)가 형성된다. 이 때 제2홈부(620)는 이탈 방지부(600)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돌기(700)는 제1내관(100)/제2내관(200)/외관(300)의 길이방향을 따른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내관(100)과 제2내관(200)을 각각 외관(300)에 삽입할 때, 제1내관(100)과 제2내관(200)에 형성된 돌기(700)가 제2홈부(620)를 통과하도록 삽입한 뒤 제1내관(100)/제2내관(200)을 소정각도 회전시킨 후, 제1연결 플랜지(112)와 제2연결 플랜지(212)를 상호 볼팅한다.
각각의 돌기(700)는 각 내관(100,200) 상에서 이탈 방지부(600)를 중심으로 씰링(510,52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외관(300)과 내관이 서로 이탈되는 것은 외관(300)의 길이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함인데, 내관의 돌기(700)가 제2홈부(620)를 통과하도록 삽입한 뒤 내관이 소정각도 회전함으로써 외관(300)과 내관이 이동하더라도 이탈 방지부(600)가 돌기(70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됨으로써 내관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돌기(700)는 이탈 방지부(600)와 외관(300)/내관(100,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이 이격거리는 신축성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함이다. 내관의 삽입길이, 즉 내관과 외관(300)의 겹치는 길이가 조절될 때 돌기(700)와 이탈 방지부(600)의 접촉으로 인해 제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신축 이음관으로서, 외관 내부에 두 개의 내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되 신축이 허용되며 두 관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누수가 방지되는 신축 이음관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신축 이음관
100 : 제1내관 110 : 제1연결부
111 : 제1가압부 112 : 제1연결 플랜지
210 : 제2연결부 211 : 제2가압부
212 : 제2연결 플랜지 300 : 외관
410 : 제1스토퍼 420 : 제2스토퍼
510 : 제1씰링 520 : 제2씰링
600 : 이탈 방지부 610 : 제1홈부
620 : 제2홈부 700 : 돌기

Claims (5)

  1. 외주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1가압부와, 상기 제1가압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연결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1내관;
    외주면 일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2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연결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2내관;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 사이에서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이 마주하는 단부를 둘러싸되,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과 이격되는 외관;
    상기 외관의 내벽에 결합되는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1가압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씰링과, 상기 제2스토퍼와 상기 제2가압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씰링을 포함하는 씰링;
    중공의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두께는 상기 외관과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외관의 내벽에 용접되어,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의 반경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도, 상기 외관과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 사이로 스며드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홈부가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홈부에 대응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1내관과 상기 제2내관이 상기 외관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의 전방에 배치되는
    신축 이음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돌기는 상기 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신축 이음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관 및 상기 제2내관은 상기 돌기가 상기 제2홈부를 통과한 뒤 소정각도 회전하여 일단부가 상기 외관에 삽입되는 신축 이음관.
KR1020190174012A 2019-12-24 2019-12-24 신축 이음관 KR102319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12A KR102319272B1 (ko) 2019-12-24 2019-12-24 신축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12A KR102319272B1 (ko) 2019-12-24 2019-12-24 신축 이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752A KR20210081752A (ko) 2021-07-02
KR102319272B1 true KR102319272B1 (ko) 2021-10-29

Family

ID=7689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012A KR102319272B1 (ko) 2019-12-24 2019-12-24 신축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2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4907A (ja) * 2009-01-27 2010-08-12 Kubota Corp 管継手
KR101116344B1 (ko) * 2011-12-19 2012-03-20 (주)한국피엔에스 회전식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484093Y1 (ko) * 2015-09-10 2017-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축성 이음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9611B2 (ja) 1995-09-04 2003-07-22 コスモ工機株式会社 流体管連結用伸縮流体管
KR20140087869A (ko)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생 신축 이음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4907A (ja) * 2009-01-27 2010-08-12 Kubota Corp 管継手
KR101116344B1 (ko) * 2011-12-19 2012-03-20 (주)한국피엔에스 회전식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484093Y1 (ko) * 2015-09-10 2017-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축성 이음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752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02953A (en) Gasket ring and conduit coupling
US331940A (en) Half to ralph bagaley
ES2299753T3 (es) Junta roscada para caños.
US2460032A (en) Coupling for beaded pipes or tubings
US4588213A (en) Threaded pipe connection
US924039A (en) Pipe-fitting.
US3423111A (en) Plain end pipe joint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JPH02278094A (ja) 片持リップ導管カップリング部材とその組立体
IL196511A (en) Gasket profile for balanced - counterbalanced elastomeric tubing for bell connectors for tubing
US2787479A (en) Thimble type pipe coupling with pipe wedging means
JP6549886B2 (ja) 無溶接フランジ管継手
US9551444B2 (en) Pipe coupling capsulation assembly
US2201862A (en) Pipe coupling
KR101997671B1 (ko) 배관 커플링 구조체
KR102319277B1 (ko) 밸브 접합관
KR102319272B1 (ko) 신축 이음관
US3458220A (en) Fluid couplings
CN203115338U (zh) 压缩式单卡套接头
JP2010535315A (ja) 回転成形のビード
US4909548A (en) Compound-taper flange assembly
US831588A (en) Pipe-coupling.
US332035A (en) bag-aley
KR102177099B1 (ko)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KR20220010853A (ko) 밸브 접합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