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093Y1 - 신축성 이음관 - Google Patents

신축성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093Y1
KR200484093Y1 KR2020150006050U KR20150006050U KR200484093Y1 KR 200484093 Y1 KR200484093 Y1 KR 200484093Y1 KR 2020150006050 U KR2020150006050 U KR 2020150006050U KR 20150006050 U KR20150006050 U KR 20150006050U KR 200484093 Y1 KR200484093 Y1 KR 200484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nnular
slip pipe
flange
annular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030U (ko
Inventor
조영준
정연태
황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6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9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파이프를 연결하는 신축성 이음관이 제공된다. 신축서 이음관은 외주면에 제1 환형 스토퍼가 부착된 제1 슬립 파이프; 외주면에 제2 환형 스토퍼가 부착된 제2 슬립 파이프; 제1 슬립 파이프 및 제2 슬립 파이프 사이에서 제1 슬립 파이프 및 제2 슬립 파이프가 마주하는 단부를 둘러싸는 제3 슬립 파이프; 제1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 제2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 제1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서 제1 플랜지와 제1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환형 밀봉부; 및 제2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서 제2 플랜지와 제2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환형 밀봉부를 포함하되, 제3 슬립 파이프는 내주면 상에 배치되는 제3 환형 밀봉부 및 제4 환형 밀봉부를 포함하고, 제1 스토퍼는 제1 환형 밀봉부 및 제3 환형 밀봉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스토퍼는 제2 환형 밀봉부 및 제4 환형 밀봉부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신축성 이음관{a extension joint}
본 고안은 신축성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신축성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또는 배관이 축방향 이동이 예상될 때, 파이프와 파이프는 신축성 이음관 또는 슬립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파이프의 축방향 이동에 의한 파이프의 피로 파괴 또는 변형을 방지한다.
한국등록특허 KR 10-1348259
파이프의 축방향 이동을 보상하는 슬립 조인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굽어진 파이프에 고압 유체가 유동할 때 발생하는 축에 수직한 방향의 굽힘력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어렵다.
또한, 파이프의 수축 시 발생하는 두 파이프를 당기는 추력을 견고히 지지하기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슬립 조인트 등이 지지력이 약해 파이프 사이에 다소의 이격이 발생한 경우, 슬립 조인트 등에 의한 파이프의 밀봉 유지가 어려울 수 있고, 이는 파이프를 유동하는 고압 유체가 누설되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이프의 수축 및 이완 시 견고하게 파이프를 지지하면서, 파이프의 밀봉을 유지할 수 있는 신축성 이음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양태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은, 외주면에 제1 환형 스토퍼가 부착된 제1 슬립 파이프; 외주면에 제2 환형 스토퍼가 부착된 제2 슬립 파이프; 상기 제1 슬립 파이프 및 상기 제2 슬립 파이프 사이에서 상기 제1 슬립 파이프 및 상기 제2 슬립 파이프가 마주하는 단부를 둘러싸는 제3 슬립 파이프; 상기 제1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 상기 제2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
상기 제1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1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환형 밀봉부; 및 상기 제2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제2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환형 밀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슬립 파이프는 내주면 상에 배치되는 제3 환형 밀봉부 및 제4 환형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환형 밀봉부 및 상기 제3 환형 밀봉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환형 밀봉부 및 상기 제4 환형 밀봉부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3 환형 밀봉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환형 밀봉부는 상기 제1 스토퍼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4 환형 밀봉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4 환형 밀봉부는 상기 상기 제2 스토퍼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플랜지는 그 측벽의 일부가 함몰된 제1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환형 밀봉부는 상기 제1 수용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그 측벽의 일부가 함몰된 제2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환형 밀봉부는 상기 제2 수용부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3 슬립 파이프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환형 돌출부 및 제2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환형 밀봉부는 상기 제1 환형 돌출부의 일 측벽과 상기 제3 슬립 파이프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고, 상기 제4 환형 밀봉부는 상기 제2 환형 돌출부의 일 측벽과 상기 제3 슬립 파이프의 내주면 상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1 슬립 파이프는 그 일 단부가 제1 용접 파이프의 일단에 용접되고, 상기 제1 용접 파이프는 그 타단이 제1 외부 파이프의 일단에 용접되고, 상기 제2 슬립 파이프는 그 일 단부가 제2 용접 파이프의 일단에 용접되고, 상기 제2 용접 파이프는 그 타단이 제2 외부 파이프의 일단에 용접된다.
또한, 상기 제1 슬립 파이프는 그 일 단부가 제1 연결 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플랜지는 제2 연결 플랜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연결 플랜지는 제1 외부 파이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립 파이프는 그 일 단부가 제3 연결 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 플랜지는 제4 연결 플랜지에 결합되고, 상기 제4 연결 플랜지는 제2 외부 파이프에 연결된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 이음관에 따르면, 적어도 파이프의 수축 및 이완 시 견고하게 파이프를 지지하면서, 파이프의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구성 및 그들의 결합이 유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모든 효과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에 압축력이 작용할 때의 스토퍼들과 환형 밀봉부들 사이의 밀봉 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의 스토퍼들과 환형 밀봉부들 사이의 밀봉 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의 조립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10) 은 제1 슬립 파이프(100), 제2 슬립 파이프(102), 제3 슬립 파이프(200), 제1 플랜지(300), 제2 플랜지(302), 체결구(500), 제1 환형 밀봉부(400), 제2 환형 밀봉부(402), 제3 환형 밀봉부(220) 및 제4 환형 밀봉부(222)를 포함한다.
제1 슬립 파이프(100)는 그 외주면에 부착된 제1 환형 스토퍼(110)를 포함한다. 제1 환형 스토퍼(110)는, 제1 슬립 파이프(100)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슬립 파이프(100)의 외주면 상에 접착 또는 용접되어 부착될 수 있다.
제2 슬립 파이프(102)는 그 외주면에 부착된 제2 환형 스토퍼(112)를 포함한다. 제2 환형 스토퍼(112)는, 제2 슬립 파이프(102)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슬립 파이프(102)의 외주면 상에 접착 또는 용접되어 부착될 수 있다.
제3 슬립 파이프(200)는 제1 슬립 파이프(100) 및 제2 슬립 파이프(102)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슬립 파이프(100) 및 제2 슬립 파이프(102)가 마주하는 단부들을 둘러쌀 수 있다.
즉, 제1 슬립 파이프(100) 및 제2 슬립 파이프(102)는 그 중심축이 실질적으로 일치되도록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고, 제3 슬립 파이프(200) 역시 제1 슬립 파이프(100) 및 제2 슬립 파이프(102)와 실질적으로 동축이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슬립 파이프(100)와 제2 슬립 파이프(102)의 외경은 동일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파이프를 신축성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1 슬립 파이프(100) 및 제2 슬립 파이프(102)는 그 외경이 다를 수 있고, 제3 슬립 파이프(200)는 제1 슬립 파이프(100) 및 제2 슬립 파이프(102)의 서로 다른 외경에 맞추어 그 내경이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변형될 수도 있다.
제1 플랜지(300)는 제1 슬립 파이프(10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며 제1 플랜지(30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은 제1 슬립 파이프(100)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클 수 있고, 이로써, 제1 슬립 파이프(100)는 제1 플랜지(300) 내부로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플랜지(302)는 제2 슬립 파이프(102)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며 제2 플랜지(302)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은 제2 슬립 파이프(102)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클 수 있고, 이로써, 제2 슬립 파이프(102)는 제2 플랜지(302) 내부로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플랜지(300)와 제2 플랜지(302)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5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이로써, 제1 플랜지(300)와 제2 플랜지(302)의 축방향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체결구(500)는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형 부재일 수 있고, 제1 플랜지(300) 측의 나사산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너트(510) 및 제2 플랜지(302) 측의 나사산에 결합하는 제2 너트(512)에 의하여, 체결구(500)는 제1 플랜지(300) 및 제2 플랜지(302)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환형 밀봉부(400)는 제1 슬립 파이프(100)의 외주면 상에서 제1 플랜지(300)와 제1 환형 스토퍼(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환형 밀봉부(400)는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이 제1 슬립 파이프(100)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고리형 판일 수 있다. 제1 환형 밀봉부(400)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부재 또는 무른 금속 일 수 있다.
제2 환형 밀봉부(402)는 제2 슬립 파이프(102)의 외주면 상에서 제2 플랜지(302)와 제2 환형 스토퍼(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환형 밀봉부(402)는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이 제2 슬립 파이프(102)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고리형 판일 수 있다. 제2 환형 밀봉부(402)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부재 또는 무른 금속 일 수 있다.
제3 환형 밀봉부(220) 및 제4 환형 밀봉부(222)는 제3 슬립 파이프(200)의 내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환형 밀봉부(220)는, 제3 슬립 파이프(200)가 제1 슬립 파이프(100)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제3 슬립 파이프(200)의 내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환형 밀봉부(220)는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이 제1 슬립 파이프(100)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고리형 또는 중공형 부재일 수 있다. 제3 환형 밀봉부(220)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부재 또는 무른 금속 일 수 있다.
제4 환형 밀봉부(222)는, 제3 슬립 파이프(200)가 제2 슬립 파이프(102)를 둘러싸는 영역에서 제3 슬립 파이프(200)의 내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환형 밀봉부(222)는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직경이 제2 슬립 파이프(102)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고리형 또는 중공형 부재일 수 있다. 제4 환형 밀봉부(222)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부재 또는 무른 금속 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10)의 조립 상태에서, 제1 환형 스토퍼(110)는 제1 환형 밀봉부(400) 및 제3 환형 밀봉부(220)의 사이에 배치되면, 제2 환형 스토퍼(112)는 제2 환형 밀봉부(402) 및 제4 환형 밀봉부(2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를 흐르는 고압 유동 또는 파이프 자체의 열 변형 등에 의한 외력 또는 파이프의 변형력이 작용하지 않는 평상 시에, 제1 환형 스토퍼(110)는 제1 환형 밀봉부(400)와 제3 환형 밀봉부(220)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제1 슬립 파이프(100) 및 제2 슬립 파이프(102)를 유동하는 유체에 대한 제3 슬립 파이프(200)의 밀봉을 유지할 수 있고, 제2 환형 스토퍼(112)는 제2 환형 밀봉부(402)와 제4 환형 밀봉부(222)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제1 슬립 파이프(100) 및 제2 슬립 파이프(102)를 유동하는 유체에 대한 제3 슬립 파이프(200)의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환형 스토퍼(110)는 제3 환형 밀봉부(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3 환형 밀봉부(220)는 제1 환형 스토퍼(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환형 스토퍼(110)가 형성하는 경사면과 제3 환형 밀봉부(220)가 형성하는 경사면은 서로 밀착 접촉하여 밀봉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사면들은 접촉 시 경사면의 원리에 의해 그 접촉력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로 그 접촉 면적이 넓어져 더욱 견고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환형 스토퍼(112)는 제4 환형 밀봉부(222)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4 환형 밀봉부(222)는 제2 환형 스토퍼(1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환형 스토퍼(112)가 형성하는 경사면과 제4 환형 밀봉부(222)가 형성하는 경사면은 서로 밀착 접촉하여 밀봉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사면들은 접촉 시 경사면의 원리에 의해 그 접촉력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로 그 접촉 면적이 넓어져 더욱 견고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랜지(300)는 그 측벽의 일부가 함몰된 제1 수용부(320)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환형 밀봉부(400)는 제1 수용부(3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플랜지(302)는 그 측벽의 일부가 함몰된 제2 수용부(322)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환형 밀봉부(402)는 제2 수용부(3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슬립 파이프(200)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환형 돌출부(210) 및 제2 환형 돌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환형 밀봉부(220)는 제1 환형 돌출부(210)의 일 측벽과 제3 슬립 파이프(200)의 내주면 상에 부착될 수 있고, 제4 환형 밀봉부(222)는 제2 환형 돌출부(212)의 일 측벽과 제3 슬립 파이프(200)의 내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1 슬립 파이프(100)는 그 일 단부가 제1 용접 파이프(610)의 일단에 용접될 수 있고, 제1 용접 파이프(610)는 그 타단이 제1 외부 파이프(600)의 일단에 용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슬립 파이프(102)는 그 일 단부가 제2 용접 파이프(612)의 일단에 용접될 수 있고, 제2 용접 파이프(612)의 타단은 제2 외부 파이프(602)의 일단에 용접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부 파이프, 제2 외부 파이프 및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10)이 조립된 상태에서, 파이프 내로 고압의 유체가 유동할 때, 제1 외부 파이프 및 제2 외부 파이프에 고압력(P)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압력은 제1 외부 파이프 및 제2 외부 파이프에 서로에 대하여 멀어제게 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고, 제1 외부 파이프 및 제2 외부 파이프에 각각 연결된 제1 슬립 조인트 및 제2 슬립 조인트는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도록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환형 스토퍼(110)는 제1 환형 밀봉부(400)를 가압하고 제2 환형 스토퍼(112)는 제2 환형 밀봉부(402)를 가압하여 제1 플랜지(300)와 제2 플랜지(302)는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는 외력이 가해질 수 있으나, 이는 체결구(500)에 의한 제1 플랜지(300)와 제2 플랜지(302) 사이의 체결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고압 유체의 유동 또는 파이프의 신축에 따른 변형력의 작용과 이 때의 스토퍼들과 환형 밀봉부들 사이의 밀봉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에 압축력이 작용할 때의 스토퍼들과 환형 밀봉부들 사이의 밀봉 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의 스토퍼들과 환형 밀봉부들 사이의 밀봉 관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에 압축력이 작용할 때, 예를 들어, 날씨, 계절 등과 같은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 주변 온도가 올라가서 제1 외부 파이프 및 제2 외부 파이프가 열 변형되어 그 길이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신축성 이음관은 외력에 의해 수축되도록, 도면 상에서는 제1 슬립 파이프(100) 및 제2 슬립 파이프(102)는 서로에 대하여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슬립 파이프(100)의 외주면에 부착된 제1 환형 스토퍼(110)는 제3 환형 밀봉부(220)를 향하여 더 밀착될 수 있고, 제3 환형 밀봉부(220)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1 환형 스토퍼(110)의 이동에 의해, 제1 환형 스토퍼(110) 및 제1 환형 밀봉부(40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환형 스토퍼(110) 및 제3 환형 밀봉부(220)의 더 견고해진(더 강한 밀착에 의한) 밀봉에 의해 유동하는 유체의 누설은 방지될 수 있다.
이 때,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환형 스토퍼(112), 제2 환형 밀봉부(402) 및 제4 환형 밀봉부(222) 역시 동일한 밀봉 관계를 형성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예를 들어, 날씨, 계절 등과 같은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 주변 온도가 내려가서 제1 외부 파이프 및 제2 외부 파이프가 열 변형되어 그 길이가 감소되거나, 파이프 내부에 고압 환경이 형성되어 제1 외부 파이프 및 제2 외부 파이프에 고압 유체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신축성 이음관은 외력에 의해 신장되도록, 도면 상에서는 제1 슬립 파이프(100) 및 제2 슬립 파이프(102)는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슬립 파이프(100)의 외주면에 부착된 제1 환형 스토퍼(110)는 제1 환형 밀봉부(400)를 향하여 더 밀착될 수 있고, 제3 환형 밀봉부(220)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제1 환형 밀봉부(400) 및 그에 따른 제1 플랜지(300)의 이동은 체결구(500)에 의해 제한될 수 있고, 제1 슬립 파이프(100), 제1 환형 스토퍼(110), 제1 환형 밀봉부(400) 및 제1 플랜지(300)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힘은 그 반대 방향으로 체결구(500) 및 제1 플랜지(300)에 순차적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환형 스토퍼(110)는 여전히 제1 환형 밀봉부(400) 및 제3 환형 밀봉부(220) 사이에서 각각에 밀착되어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환형 스토퍼(112), 제2 환형 밀봉부(402) 및 제4 환형 밀봉부(222) 역시 동일한 밀봉 관계를 형성할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연결 플랜지에 의해 제1 외부 파이프 및 제2 외부 파이프에 연결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이음관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식별 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립 파이프(100)는 그 일단부가 제1 연결 플랜지(710)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연결 플랜지(710)는 제2 연결 플랜지(720)와 결합되며, 제2 연결 플랜지(720)는 제1 외부 파이프(700)의 일단에 결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슬립 파이프(102)는 그 일단부가 제3 연결 플랜지(712)에 연결될 수 있고, 제3 연결 플랜지(712)는 제4 연결 플랜지(722)와 결합되며, 제4 연결 플랜지(722)는 제2 외부 파이프(702)의 일단에 결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1 슬립 파이프 102: 제2 슬립 파이프
110: 제1 환형 스톱퍼 112: 제2 환형 스톱퍼
200: 제3 슬립 파이프 300: 제1 플랜지
302: 제2 플랜지 500: 체결구
400: 제1 환형 밀봉부 402: 제2 환형 밀봉부
220: 제3 환형 밀봉부 222: 제4 환형 밀봉부
320: 제1 수용부 322: 제2 수용부

Claims (6)

  1. 외주면에 제1 환형 스토퍼가 부착된 제1 슬립 파이프;
    외주면에 제2 환형 스토퍼가 부착된 제2 슬립 파이프;
    상기 제1 슬립 파이프 및 상기 제2 슬립 파이프 사이에서 상기 제1 슬립 파이프 및 상기 제2 슬립 파이프가 마주하는 단부를 둘러싸는 제3 슬립 파이프;
    상기 제1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
    상기 제2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
    상기 제1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1 환형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환형 밀봉부; 및
    상기 제2 슬립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제2 환형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환형 밀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슬립 파이프는 내주면 상에 배치되는 제3 환형 밀봉부 및 제4 환형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환형 스토퍼는 상기 제1 환형 밀봉부 및 상기 제3 환형 밀봉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환형 스토퍼는 상기 제2 환형 밀봉부 및 상기 제4 환형 밀봉부 사이에 배치되는,
    신축성 이음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형 스토퍼는 상기 제3 환형 밀봉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환형 밀봉부는 상기 제1 환형 스토퍼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환형 스토퍼는 상기 제4 환형 밀봉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4 환형 밀봉부는 상기 상기 제2 환형 스토퍼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좁아져 경사면을 형성하는,
    신축성 이음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그 측벽의 일부가 함몰된 제1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환형 밀봉부는 상기 제1 수용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그 측벽의 일부가 함몰된 제2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환형 밀봉부는 상기 제2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신축성 이음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슬립 파이프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환형 돌출부 및 제2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환형 밀봉부는 상기 제1 환형 돌출부의 일 측벽과 상기 제3 슬립 파이프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고,
    상기 제4 환형 밀봉부는 상기 제2 환형 돌출부의 일 측벽과 상기 제3 슬립 파이프의 내주면 상에 부착되는,
    신축성 이음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립 파이프는 그 일 단부가 제1 용접 파이프의 일단에 용접되고, 상기 제1 용접 파이프는 그 타단이 제1 외부 파이프의 일단에 용접되고,
    상기 제2 슬립 파이프는 그 일 단부가 제2 용접 파이프의 일단에 용접되고, 상기 제2 용접 파이프는 그 타단이 제2 외부 파이프의 일단에 용접되는,
    신축성 이음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립 파이프는 그 일 단부가 제1 연결 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플랜지는 제2 연결 플랜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연결 플랜지는 제1 외부 파이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립 파이프는 그 일 단부가 제3 연결 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 플랜지는 제4 연결 플랜지에 결합되고, 상기 제4 연결 플랜지는 제2 외부 파이프에 연결되는,
    신축성 이음관.
KR2020150006050U 2015-09-10 2015-09-10 신축성 이음관 KR200484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50U KR200484093Y1 (ko) 2015-09-10 2015-09-10 신축성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50U KR200484093Y1 (ko) 2015-09-10 2015-09-10 신축성 이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30U KR20170001030U (ko) 2017-03-20
KR200484093Y1 true KR200484093Y1 (ko) 2017-07-28

Family

ID=5849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050U KR200484093Y1 (ko) 2015-09-10 2015-09-10 신축성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752A (ko)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티엠에스 신축 이음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49Y1 (ko) 2001-11-23 2002-03-25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신축 이음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8776Y2 (ko) * 1977-12-30 1981-05-01
KR810002468Y1 (ko) * 1980-11-17 1981-12-26 삼성중공업주식회사 고속 수류관의 신축 이음관
JPH09264473A (ja) * 1996-03-29 1997-10-07 Osaka Gas Co Ltd 管継手構造
KR101348259B1 (ko) 2013-05-10 2014-01-09 조인트유창써멀시스템 주식회사 매립 배관의 자동 잠금 스토퍼가 부착된 신축이음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49Y1 (ko) 2001-11-23 2002-03-25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신축 이음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752A (ko)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티엠에스 신축 이음관
KR102319272B1 (ko) * 2019-12-24 2021-10-29 (주)에스피컴퍼니 신축 이음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30U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3209B2 (en) Connected part seal structure, and seal member
JP2019500559A (ja) アダプタカップリング
KR100960602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JP2008008487A (ja) 管の接続構造
US11525533B2 (en) Pipe device having a bonded joint
JP5134341B2 (ja) フランジ式管継手及び鋼管の膨出部形成装置
US20120038149A1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KR200484093Y1 (ko) 신축성 이음관
KR100261854B1 (ko)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KR102245635B1 (ko) 파이프 연결용 탑 조인트
JP2008038924A (ja) 管継手
US9500305B2 (en) Fitting mechanism for use with multilayer composite pipe
US11933432B2 (en) Device for making plumbing connection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JP4674078B2 (ja) フランジ配管どうしの接続構造
JP2009014011A (ja) 伸縮管継手
JP2010255854A (ja) フランジ配管と流体機器との接続構造
JP5993538B1 (ja) 銅管と継手の冷媒配管の接続機構
RU148621U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ы и фитинга, выполненных из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2015137727A (ja) 壁貫通配管のシール装置
KR101455339B1 (ko)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101275763B1 (ko) 수지제관 이음매
KR102214718B1 (ko) 클램프 결합 방식의 대형 파이프 이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8671B1 (ko) 파이프 고정기구
JP3115875U (ja) 管継手
JP2010038259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