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339B1 -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339B1
KR101455339B1 KR1020140039590A KR20140039590A KR101455339B1 KR 101455339 B1 KR101455339 B1 KR 101455339B1 KR 1020140039590 A KR1020140039590 A KR 1020140039590A KR 20140039590 A KR20140039590 A KR 20140039590A KR 101455339 B1 KR101455339 B1 KR 10145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connector
holder
stat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to KR102014003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9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fixed to each other with fastening members on each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는, 내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홀이 형성된 연결구 본체와, 상기 연결구 본체의 외부면을 잡아주는 상태로 체결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천장 또는 벽체 측에 배치되는 앵커부와, 상기 연결구 본체의 연결홀과 연통되는 상태로 관체의 단부가 끼워져서 압착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 본체의 단부 측에 형성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 측에 상기 관체의 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의 접촉 틈새를 시일 상태로 차단하고, 상기 관체의 유동 억제가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연결구 본체 내측에 배치되는 패킹부재를 구비한 패킹부 그리고, 상기 연결구 본체 측에서 상기 앵커부 홀더의 움직임을 걸림 접촉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걸림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Pipe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착 방식에 의한 배관 작업은, 별도의 연결구 일단 및 타단에 관체의 단부를 끼운 다음, 압착 상태로 조여서 연결 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상기 연결구의 단부 측에는 관체의 압착 고정을 위한 금속링이 구비된다.
그리고, 관체들을 연결하여 형성한 배관라인은, 천장이나 벽체 등에 고정 설치될 때 특히 열팽창이나 열수축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앵커장치(일명 "슈어죠인트"라고도 함.)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시공된다.
상기 앵커장치는, 연결구를 잡아주기 위한 홀더를 구비하고, 이 홀더는 배관라인과 대응하는 천장이나 벽체 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며, 특히 배관라인의 열팽창이나 열수축시 연결구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대부분 용접 접합에 의해 연결구와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시공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앵커장치의 홀더와 연결구를 용접 접합으로 고정하는 방식은, 용접 작업에 따른 과다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배관 시공시 작업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더욱이, 홀더와 연결구가 용접 접합되면, 예를 들어 유지보수시 홀더와 연결구의 분리 작업이 난이하여 만족할 만한 유지보수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용접에 의한 접합 고정 방식은, 앵커장치의 홀더와 연결구를 서로 접합할 때 홀더 또는 연결구의 접합부위가 비정상으로 용융되면서 불량 품질이 발생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작업시 관체들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내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홀이 형성된 연결구 본체;
상기 연결구 본체의 외부면을 잡아주는 상태로 체결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천장 또는 벽체 측에 배치되는 앵커부;
상기 연결구 본체의 연결홀과 연통되는 상태로 관체의 단부가 끼워져서 압착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 본체의 단부 측에 형성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 측에 상기 관체의 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의 접촉 틈새를 시일 상태로 차단하고, 상기 관체의 유동 억제가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연결구 본체 내측에 배치되는 패킹부재를 구비한 패킹부;
상기 연결구 본체 측에서 상기 앵커부 홀더의 움직임을 걸림 접촉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걸림고정부;
를 포함하는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연결구 본체 측에 패킹부와 걸림고정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 본체 측에 관체 단부가 안정적인 끼움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패킹부로 잡아줄 수 있고, 앵커부가 안정적인 체결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걸림고정부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관체들의 배관 시공시 상기와 같은 패킹부 및 걸림고정부의 작용에 의해 한층 향상된 시공 품질 및 시공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부호 2는 연결구 본체, 부호 4는 앵커부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 본체(2)는, 두 개의 관체(T)가 서로 연통된 상태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내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홀(A)이 형성된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구 본체(2)의 재질은 금속(또는 비금속) 중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스틸이나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앵커부(4)는, 관체(T)들의 배관라인을 천정(미도시, 또는 벽체) 측에 고정 상태로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배관라인이 열팽창이나 열수축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상태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앵커부(4)는, 상기 연결구 본체(2)를 잡아주기 위한 홀더(B)를 구비하고, 이 홀더(B)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별도의 베이스(B1) 측에 연결된 상태로 천장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B1)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볼트 체결 방식으로 천장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B)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두 개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연결구 본체(2)의 외부 둘레면을 감쌀 수 있는 브라켓트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B2)에 의해 서로 체결되면서 상기 연결구 본체(2)를 감싼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홀더(B)는 상기 베이스(B1) 측에 연결 고정된 상태로 상기 연결구 본체(2)를 잡아주면서 천장 측에 배관라인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두 개의 홀더(B)가 체결부재(B2)에 의해 서로 체결되면서 연결구 본체(2)를 비(非) 접합 상태로 잡아주는 구조는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연결구와 직접 용접 접합된 상태로 잡아주는 구조와 비교할 때 앵커부(4)의 설치 작업 및 공정이 간단하여 배관 시공시 작업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는, 압착부(6)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부(6)는 상기 연결구 본체(2)의 단부 측에 관체(T)의 단부가 끼워져서 압착된 상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 본체(2)의 단부 측에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압착부(6)는, 확관부(C)와 압착링(C1)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 본체(2)의 단부 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확관부(C)는 관체(T)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 본체(2)의 단부 측 연결홀(A) 내부면 둘레가 외측으로 확장된 상태의 둘레부를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관체(T)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길이(삽입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확관부(C)는 관체(T)의 단부가 끼워질 때 이 관체(T)의 내부둘레와 상기 연결구 본체(2)의 연결홀(A)의 내부둘레가 서로 동일한 크기(직경)를 이루는 상태로 끼워질 수 있는 확관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링(C1)은, 관체(T) 단부의 외부둘레를 압착력으로 조여서 고정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확관부(C) 내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압착링(C1)은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확관부(C)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C2) 측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어 관체(T) 외부둘레를 압착 가능하게 감쌀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상기 압착링(C1)은 배관 작업시 압착구(미도시) 등을 이용한 압착 조작에 의해 눌려지면서 관체(T)의 단부를 압착 상태로 연결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통상의 압착용 링(예: 금속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는, 패킹부(8)를 포함한다.
상기 패킹부(8)는 상기 연결구 본체(2) 내측에서 상기 압착부(6) 측에 끼워지는 관체(T)의 단부 측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패킹부(8)는, 상기 압착부(6) 측에 관체(T) 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의 접촉 틈새(Q)를 시일 상태로 차단하고, 상기 관체(T)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상태로 잡아줄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패킹부(8)는, 패킹부재(D)를 구비하고, 이 패킹부재(D)는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압착부(6) 내측에서 관체(T)의 단부와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D)의 재질은 고무나 실리콘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압착부(6)의 확관부(C) 둘레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링(ring)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D)의 내부둘레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각을 이루는 상태로 수평패킹면(D1) 및 수직패킹면(D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평패킹면(D1)은 관체(T) 단부의 외부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접촉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패킹면(D2)은 관체(T) 단부의 측부와 대응하는 접촉 면적을 갖도록 상기 수평패킹면(D1)과 대략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패킹면(D1)은 관체(T) 단부의 외부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수직패킹면(D2)은 관체(T) 단부의 측부와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패킹부재(D)의 구조에 의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연결구 본체(2)의 단부에 형성된 압착부(6) 측에 관체(T)가 끼워질 때 수평패킹면(D1) 및 수직패킹면(D2)이 상기 관체(T) 단부의 외부둘레면 및 측면과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상태의 패킹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패킹부재(D)의 접촉력으로 관체(T) 단부 측을 잡아주면서 이 관체(T)와 압착부(6)의 접촉틈새(Q)를 시일 상태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체(T) 단부를 유동 억제가 가능한 상태로 잡아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패킹부(8)를 구비하면, 배관 작업시 연결구 본체(2)와 관체(T)의 연결 부위의 시일성을 향상시키고, 연결 안정성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공 품질 및 안정성 그리고, 작업 편의성 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접촉틈새(Q)가 패킹부재(D)에 의해 시일 상태로 차단되면,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유체 중의 이물질들이 틈새 측에 유입된 상태로 고착되어 배관라인이 쉽게 오염되거나 부식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는, 걸림고정부(1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고정부(10)는 연결구 본체(2) 측에서 걸림 접촉력으로 앵커부(4)의 체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고정부(10)는 걸림돌기(F)를 구비하고, 이 걸림돌기(F)는 연결구 본체(2)의 외부면 상에 돌출된 상태로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F)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연결구 본체(2)의 양쪽 단부 사이에 돌출된 상태로 두 군데 지점에 이격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돌기(F)들은, 앵커부(4)의 홀더(B)가 연결구 본체(2)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B)가 움직이는 않도록 걸림 접촉으로 유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F)들을 형성하는 작업은 예를 들어, 압착부(6)의 확관부(C) 내부면을 외측을 향하여 누르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상기 확관부(C)의 내부면에 홈부(C3)가 형성되는 상태로 돌출 형성하면 좋다.
그러면, 상기 걸림돌기(F)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확관부(C)의 홈부(C3) 측에 상기 패킹부(8)의 패킹부재(D)를 끼워서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셋팅할 수 있다.
상기한 걸림고정부(10)의 구조에 의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연결구 본체(2)와 대응하도록 앵커부(4)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 앵커부(4)의 홀더(B)가 상기 연결구 본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걸림돌기(F)의 걸림 접촉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걸림돌기(F)는, 연결구 본체(2) 측에 앵커부(4)의 홀더(B)가 체결된 상태에서 이 홀더(B)가 유동되지 않도록 걸림 접촉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돌기 구조로 상기 앵커부(4)의 체결(설치) 안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는, 배관 시공시 관체(T)들을 연통 상태로 연결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패킹부(8)에 의해 관체(T) 연결 부위의 시일 유지 및 유동 억제가 가능한 안정적인 연결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걸림고정부(10)에 의해 연결구 본체(2)와 앵커부(4) 간의 체결 안정성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2: 연결구 본체 4: 앵커부 6: 압착부
8: 패킹부 10: 걸림고정부 T: 관체

Claims (7)

  1. 내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홀이 형성된 연결구 본체;
    상기 연결구 본체의 외부면을 잡아주는 상태로 체결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천장 또는 벽체 측에 배치되는 앵커부;
    상기 연결구 본체의 연결홀과 연통되는 상태로 관체의 단부가 끼워져서 압착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 본체의 단부 측에 형성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 측에 상기 관체의 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의 접촉 틈새를 시일 상태로 차단하고, 상기 관체의 유동 억제가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둘레면에는 상기 관체의 단부와 대응하는 수평패킹면 및 수직패킹면이 각각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결구 본체 내측에 배치되는 패킹부재를 구비한 패킹부;
    상기 연결구 본체 측에서 상기 앵커부 홀더의 움직임을 걸림 접촉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걸림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패킹부재의 수평패킹면은,
    상기 관체 단부의 외부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접촉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의 수직패킹면은,
    상기 관체 단부의 측부와 대응하는 접촉 면적을 갖도록 상기 수평패킹면과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연결구 본체의 외부둘레를 감싸도록 두 개의 홀더가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 고정되는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연결구 본체 단부 측에 관체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둘레부를 이루도록 확장 형성된 확관부와, 이 확관부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체의 둘레부를 압착 상태로 조여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압착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부의 걸림돌기는,
    상기 연결구 본체의 외부면 상에서 상기 앵커부의 홀더와 걸림 접촉이 가능한 상태로 한 군 데 이상의 지점에 돌출 형성되는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앵커부의 홀더로 상기 연결구 본체를 잡아준 상태에서 이 연결구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홀더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1020140039590A 2014-04-02 2014-04-02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10145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590A KR101455339B1 (ko) 2014-04-02 2014-04-02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590A KR101455339B1 (ko) 2014-04-02 2014-04-02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339B1 true KR101455339B1 (ko) 2014-10-27

Family

ID=5199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590A KR101455339B1 (ko) 2014-04-02 2014-04-02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20U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서원기술 앵커형 관체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6727B3 (de) 2003-08-07 2004-11-18 Mapress Gmbh & Co. Kg Rohrverbindung
KR100627140B1 (ko) 2004-01-20 2006-09-25 박순복 배관지지장치
JP4018227B2 (ja) * 1998-03-05 2007-12-05 フシマン株式会社 伸縮管継手装置およびその据付方法
KR20100124916A (ko) * 2009-05-20 2010-11-30 이수홍 소형 배관의 연결방법 및 그 실링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8227B2 (ja) * 1998-03-05 2007-12-05 フシマン株式会社 伸縮管継手装置およびその据付方法
DE10336727B3 (de) 2003-08-07 2004-11-18 Mapress Gmbh & Co. Kg Rohrverbindung
KR100627140B1 (ko) 2004-01-20 2006-09-25 박순복 배관지지장치
KR20100124916A (ko) * 2009-05-20 2010-11-30 이수홍 소형 배관의 연결방법 및 그 실링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20U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서원기술 앵커형 관체 연결구
KR200496804Y1 (ko) 2021-06-24 2023-05-02 주식회사 서원기술 앵커형 관체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8372B2 (ja) 管継手
KR101518377B1 (ko) 배관 연결용 커넥터
JP4241827B2 (ja) フランジを用いた管継手装置
JP4939826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KR101922419B1 (ko)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KR200449405Y1 (ko) 링 조인트 배관 연결구조
KR101171692B1 (ko) 배관연결장치
KR101455339B1 (ko)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JP5269178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JP4185161B1 (ja) 伸縮ユニオン継手及び流体移送配管系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KR20100124916A (ko) 소형 배관의 연결방법 및 그 실링 구조
KR20150090770A (ko) 플랜지관 이음용 클램프 장치
KR101638835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2177099B1 (ko) 탄성 재질의 탄성 공간링을 이용한 내진용 배관 연결장치
US20120056419A1 (en) Pipe coupling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JP4840689B2 (ja) 金属フレキシブルホースの継手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継手金具
KR200436657Y1 (ko) 플랜지로 연결되는 보일러 배기연통의 연결구조
KR101090413B1 (ko) 관 연결구
KR101856509B1 (ko) 배관 연결부 밀봉 장치
KR10180637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 장치
JP7326524B2 (ja) 管接続部の離脱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