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020U - 앵커형 관체 연결구 - Google Patents

앵커형 관체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020U
KR20230000020U KR2020210002014U KR20210002014U KR20230000020U KR 20230000020 U KR20230000020 U KR 20230000020U KR 2020210002014 U KR2020210002014 U KR 2020210002014U KR 20210002014 U KR20210002014 U KR 20210002014U KR 20230000020 U KR20230000020 U KR 202300000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welding
connector
state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804Y1 (ko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to KR2020210002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04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18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specially adapted for pipe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앵커형 관체 연결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앵커형 관체 연결구는, 배관 라인 시공시 천정 측의 앵커용 브래킷 측에 용접 접합에 의한 간접 고정 방식으로 설치되어 처짐 억제가 가능한 받침 지지 상태로 관체들 간을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앵커형 관체 연결구로서,
내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통로가 형성된 연결구 본체와, 상기 연결구 본체의 연결통로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에 각각 형성되며 관체의 단부 측이 끼움 상태로 연결 고정되기 위한 이음 연결부, 그리고 상기 앵커용 브래킷 측에 용접 접합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연결구 본체의 둘레부 측에 배치되되 용접 접합 부위 측과 대응하는 부식 억제용 틈새를 갖도록 형성되는 간접 고정구를 구비한 용접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앵커형 관체 연결구{ANCHOR TYPE CONNECTOR FOR PIPING WORK}
본 고안은 앵커형 관체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대형 건축물에는 각종 유체가 공급되기 위한 대형 배관 라인이 구비된다.
배관 라인은 여러 개의 관체들이 연결구를 사이에 두고 통상의 이음 작업(예: 압착)에 의해 소정의 유체 통로 구간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는 상태로 천정이나 벽체 측에 시공 형성된다.
이러한 배관 라인의 시공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관 라인의 누수 방지와 부합하는 실(seal) 안전성 확보가 요구된다.
배관 라인 구간 내에서 발생하는 누수 현상은 주로 관체들의 이음 연결 부위의 변형이나 파손에 의한 비정상적인 틈새를 통해서 발생된다.
그리고, 관체 이음 연결 부위의 변형이나 파손은 대부분 천정 측에 배관 라인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배관 라인의 일부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배관 라인의 시공 품질(안정성 및 신뢰도)을 한층 더 확보하기 위해서는, 천정 측에 처짐 방지와 부합하는 안정적인 고정 지지 상태로 배관 라인을 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관 라인의 처짐 현상을 방지 및 억제하기 위한 연결구 구조로는, 관체들 간을 연결하되, 천정 측의 앵커용 브래킷 측에 용접 접합으로 고정 설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이른바, 앵커형의 연결구 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앵커형의 연결구들은 용접 접합된 노출 부위가 쉽게 부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식 현상이 연결구의 관체 이음 부위 측으로 전이되는 현상에 의해 만족할 만한 실(SEAL) 안정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허 0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8908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 라인의 처짐 억제가 가능하게 천정 측에 용접 접합으로 고정 설치되며, 특히 용접 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부식(腐蝕) 현상에 의한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는 앵커형 관체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배관 라인 시공시 천정 측의 앵커용 브래킷 측에 용접 접합에 의한 간접 고정 방식으로 설치되어 처짐 억제가 가능한 받침 지지 상태로 관체들 간을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앵커형 관체 연결구로서,
내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통로가 형성된 연결구 본체;
상기 연결구 본체의 연결통로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에 각각 형성되며 관체의 단부 측이 끼움 상태로 연결 고정되기 위한 이음 연결부; 및
상기 앵커용 브래킷 측에 용접 접합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연결구 본체의 둘레부 측에 배치되되, 용접 접합 부위 측과 대응하는 부식 억제용 틈새를 갖도록 형성되는 간접 고정구를 구비한 용접 고정부;
를 포함하는 앵커형 관체 연결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천정 측의 앵커용 브래킷 측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관체들 간을 처짐 억제가 가능한 받침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으며, 특히 용접 부위 측에 주로 발생되는 부식(腐蝕) 현상의 전이(轉移)를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용접 부위의 부식 전이에 의한 문제점(예: 부식 부위의 누수)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앵커형 관체 연결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앵커형 관체 연결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앵커형 관체 연결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에에 따른 앵커형 관체 연결구는, 연결구 본체(10), 이음 연결부(20) 및 용접 고정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구 본체(10)는 도 2에서와 같이 두 개의 관체(P)를 서로 연통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 통로(12)가 형성된 원형(원통)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구 본체(10)의 재질은 금속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구성, 내부식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스틸이나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결구 본체(10)는 배관 라인 시공시, 요구되는 관체(P) 연결 여건이나 환경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음 연결부(20)는 연결구 본체(10) 측의 연결 통로(12) 측과 서로 연계하여 두 개의 관체(P) 단부 측을 밀폐 가능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이음 연결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음 연결부(20)는 관체(P)의 단부 측이 연결구 본체(10) 단부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로 이음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통상의 압착 고정 방식으로 잡아줄 수 있는 상태로 연결구 본체(10)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음 연결부(20)는 도 2에서와 같이 연결구 본체(10)의 연결 통로(12)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에 각각 형성되는 컬링부(22)와, 이 컬링부(22) 내측에 압착 고정력 및 밀폐력 확보가 가능하게 배치되는 링 부재(24)들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컬링부(22)는 연결구 본체(10)의 단부 둘레부 측이 확관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별도의 압착용 기구에 의해 둘레부 직경이 작아지는 상태로 조여지면서 관체(P)의 밀폐 고정과 부합하는 상태로 압착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링 부재(24)들은 도 2에서와 같이 컬링부(22)의 내부면 측에 각각 배치되되, 이 컬링부(22) 측의 압착 조임과 연계하여 링 둘레부 측이 오므라지는 상태로 조여지면서 관체(P) 단부와 연결구 본체(10) 단부 간의 끼움 틈새를 밀폐시킴과 아울러 이음 연결 고정과 부합하는 상태로 압착되도록 세팅된다.
링 부재(24)들은 예를 들어, 압착 조임 방식에 의한 밀폐력 및 고정력 확보가 가능한 링(예: 금속링, 고무링)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음 연결부(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관체(P)의 단부 측이 연결구 본체(10)의 단부 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압착 조임 방식으로 밀폐 가능하게 연결 고정될 수 있는 압착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용접 고정부(30)는 연결구 본체(10) 측에 형성되어 이 연결구 본체(10) 측이 배관 라인 형성과 부합하는 상태로 천정(A) 측의 앵커용 브래킷(B) 측에 용접 접합 방식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용접 고정부(30)는 연결구 본체(10) 측이 용접 접합 방식으로 앵커용 브래킷(B) 측에 연결 고정되되, 간접 고정에 의한 받침 지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용접 고정부(30)는 도 2에서와 같이 간접 고정구(32)를 구비하고, 이 간접 고정구(32)는 연결구 본체(10)의 외부면 상에 형성된다.
특히, 간접 고정구(32)는 용접 접합이 가능한 용접 면적을 제공하는 상태로 연결구 본체(10) 측에 형성되되, 용접 부위 측에 쉽게 발생될 수 있는 부식(腐蝕) 현상이 연결구 본체(10) 측으로 전이(轉移)되는 현상을 방지(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간접 고정구(32)는 도 2에서와 같이 연결구 본체(10)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형성 및 배치되되, 내주면 측과 연결구 본체(10)의 외부면 사이에 비(非)접촉 상태의 부식 억제용 틈새(G)를 갖는 상태로 형성된다.
부식 억제용 틈새(G)는 간접 고정구(32) 측의 용접 부위 측에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부식 현상이 연결구 본체(10) 측에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비(非)접촉 상태의 틈새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부식 억제용 틈새(G)는 부식 전이 방지 여건과 부합하는 틈새 공간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특히 관체(P) 또는 연결구 본체(10) 측에 묻어 있을 수 있는 금속 이물질(예: 쇳가루)이 틈새 내로 유입된 후 이물질들을 매개로 하여 틈새를 통해 부식이 전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틈새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접 고정구(32)는 도 2에서와 같이 연결구 본체(10)의 길이 방향 내에서 서로 간격을 띄우고 두 군데 지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요구되는 여건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상태로 연결구 본체(10) 측에 1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간접 고정구(32)는 연결구 본체(10) 측에 비(非) 용접 방식으로 고정 설치되며, 이와 부합하도록 예를 들어, 통상의 압착 조임 방식에 의해 연결구 본체(10)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배관 라인이 시공되기 위한 천정(A) 측에는 간접 고정구(32) 측이 용접 접합으로 고정되기 위한 앵커용 브래킷(B)이 배치된다.
앵커용 브래킷(B)은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상부 브래킷(B1)과 하부 브래킷(B2)으로 구성되고, 이 브래킷(B1, B2)들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결합되면서 간접 고정구(32)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받침 상태로 용접 접합 처리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브래킷(B1)과 하부 브래킷(B2)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앵커용 브래킷(B)은 도 1에서와 같이 주로 케이블류 등이 배선되기 위한 천정(A) 측의 레일 웨이(R) 측에 하부 브래킷(B2) 측이 고정된 상태로 연결구 본체(10) 측을 받쳐줄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이러한, 용접 고정부(30)는 배관 라인 시공시 천정(A) 측의 앵커용 브래킷(B) 측에 다음과 같이 용접 접합되어 연결구 본체(10) 측이 앵커용 브래킷(B) 측에 간접 고정된 상태로 고정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연결구 본체(10) 양쪽의 이음 연결부(20) 측에 관체(P)의 단부 측이 각각 연결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구 본체(10) 측의 간접 고정구(32)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상부 브래킷(B1)과 하부 브래킷(B2)을 체결한다.
그런 다음,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브래킷(B1)과 간접 고정구(32)의 접촉 부위에 통상의 방법으로 용접 작업(예: 전기 용접)을 진행하여 용접 접합부(W)를 형성한다.
이때, 서로 용접되는 간접 고정구(32)와 상부 브래킷(B1)은 금속 재질 중에서 예를 들어, 부식 억제와 부합하는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접 접합 처리된 간접 고정구(32)는 용접 접합부(W)에 의해 앵커용 브래킷(B) 측에 고정 지지되고, 이로 인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연결구 본체(10) 측이 앵커형 브래킷(B) 측에 간접 지지되면서 배관 라인의 처짐 현상 억제와 부합하는 안정적인 받침 지지 상태로 고정 세팅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용접 접합에 의한 간접 고정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구 본체(10)는 용접 접합부(W) 측에 부식이 발생하더라도, 간접 고정구(32)와 연결구 본체(10) 간의 부식 억제용 틈새(G)에 의해 부식 전이 현상의 차단 억제가 가능한 설치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부식 억제용 틈새(G)는 용접 접합부(W)와 연결구 본체(10) 간에 비(非)접촉 상태를 이룰 수 있는 틈새 공간을 제공하여 부식 전이 현상이 용이하게 차단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접 접합에 의한 연결구 본체(10)의 간접 고정 구조에 의하면, 주로 용접 접합부(W) 측에 쉽게 발생되는 부식 현상이 전이되면서 연결구 본체(10) 측에 균열이나 홈부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배관 라인의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용접 고정부(30)는 커버부(34)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커버부(34)는 간접 고정구(32) 측의 표면 부식 전이(轉移) 현상의 억제가 가능하게 커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커버부(34)는 도 4에서와 같이 간접 고정구(32)와 상부 브래킷(B1)의 용접 접합부(W) 측이 외부로부터 가려지도록 표면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34)는 용접 접합부(W) 표면 측이 외부로부터 가려지도록 커버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기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밀착 접촉 상태로 커버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커버부(34)는 예를 들어, 튜브 형태를 가지며 용접 접합부(W) 측이 외부로부터 가려지도록 간접 고정구(32) 및 상부 브래킷(B1)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재질로는 밀폐 차단력 확보와 부합하는 신축성 및 탄성력을 갖는 재질(예: 실리콘, 고무)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34)는 도 5에서와 같이 보조 공간(S)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공간(S)은 커버부(34) 내외부면 사이에 형성되되,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서 커버부(34)의 내,외부면 사이에서 공기층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 공간(S)은 도 5에서와 같이 용접 접합부(W)의 커버가 가능하게 간접 고정구(32) 및 상부 브래킷(B1) 둘레부 측에 커버부(34)가 설치된 상태에서 용접 접합부(W)의 부식 억제와 부합하는 표면 단열성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34)는 부식 억제가 가능하게 용접 접합부(W) 측을 커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온도 변화에 의한 결로 현상이 용접 접합부(W) 측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부식 방지 및 억제와 더욱 부합하는 커버 환경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34)는 도 6에서와 같이 유도 돌기(E)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 돌기(E)는 특히 결로(結露) 현상에 의해 커버부(34) 표면 측에 맺히는 물기의 분리 제거를 유도할 수 있는 돌기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유도 돌기(E)는 도 6에서와 같이 커버부(34)의 둘레부 측에서 직선 또는 곡선의 연장 구간을 갖는 상태로 복수 개가 형성되되, 돌기 연장구간 양쪽 단부 중에서 어느 한쪽이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돌기(E)는 예를 들어, 결로 현상에 의해 도 7에서와 같이 커버부(34)의 둘레부 표면 측에 물방물(H)이 맺히더라도 돌기의 연장 구간을 따라 아래쪽으로 물방울(H)의 이동이 유도되면서 낙하되는 상태로 분리 제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도 돌기(E)들은 커버부(34)의 표면으로부터 물기가 신속하게 분리 제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커버부(34) 측이 부식 억제와 더욱 부합하는 커버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앵커형 관체 연결구는, 배관 라인 시공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천정(A)의 앵커용 브래킷(B) 측에 용접 접합에 의한 간접 고정 방식으로 설치되어 관체(P)들 간을 처짐 억제가 가능한 받침 지지 상태로 연결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용접 접합부(W) 측의 부식 전이 현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개선하여 한층 더 향상된 시공 안정성 및 시공 품질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10: 연결구 본체 20: 이음 연결부
30: 용접 고정부 P: 관체
B: 앵커용 브래킷 G: 부식 억제용 틈새

Claims (5)

  1. 배관 라인 시공시 천정 측의 앵커용 브래킷 측에 용접 접합에 의한 간접 고정 방식으로 설치되어 처짐 억제가 가능한 받침 지지 상태로 관체들 간을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앵커형 관체 연결구로서,
    내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통로가 형성된 연결구 본체;
    상기 연결구 본체의 연결통로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측에 각각 형성되며 관체의 단부 측이 끼움 상태로 연결 고정되기 위한 이음 연결부; 및
    상기 앵커용 브래킷 측에 용접 접합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연결구 본체의 둘레부 측에 배치되되, 용접 접합 부위 측과 대응하는 부식 억제용 틈새를 갖도록 형성되는 간접 고정구를 구비한 용접 고정부;
    를 포함하는 앵커형 관체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고정부의 간접 고정구는,
    상기 부식 억제용 틈새를 확보하는 상태로 상기 연결구 본체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되, 압착 조임력으로 상기 연결구 본체의 둘레부 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형 관체 연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 고정부는,
    상기 간접 고정구 측과 대응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간접 고정구의 용접 부위 측이 외부로부터 가려지도록 커버 가능하게 형성 및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형 관체 연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커버 내,외부면 사이에 단열성 확보를 위한 보조 공간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형 관체 연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커버 외부면 상에 형성되는 유도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 돌기는,
    커버 외부면 상에 발생되는 물기의 낙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형 관체 연결구.
KR2020210002014U 2021-06-24 2021-06-24 앵커형 관체 연결구 KR200496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014U KR200496804Y1 (ko) 2021-06-24 2021-06-24 앵커형 관체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014U KR200496804Y1 (ko) 2021-06-24 2021-06-24 앵커형 관체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20U true KR20230000020U (ko) 2023-01-02
KR200496804Y1 KR200496804Y1 (ko) 2023-05-02

Family

ID=8489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014U KR200496804Y1 (ko) 2021-06-24 2021-06-24 앵커형 관체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04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179U (ko) * 1997-10-31 1999-05-25 조진석 건물 배관용 서포트
KR20030034523A (ko) * 2001-10-25 2003-05-09 이희권 강관이음용접부위의 외부도복장부식 방지법
KR200380676Y1 (ko) * 2004-11-22 2005-04-07 주식회사 동우티엠에쓰 가스관 연결장치
KR20110088908A (ko)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다성테크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
KR101455339B1 (ko) * 2014-04-02 2014-10-27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20170001596U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179U (ko) * 1997-10-31 1999-05-25 조진석 건물 배관용 서포트
KR20030034523A (ko) * 2001-10-25 2003-05-09 이희권 강관이음용접부위의 외부도복장부식 방지법
KR200380676Y1 (ko) * 2004-11-22 2005-04-07 주식회사 동우티엠에쓰 가스관 연결장치
KR20110088908A (ko)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다성테크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
KR101455339B1 (ko) * 2014-04-02 2014-10-27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20170001596U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804Y1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7820B1 (en) Electrical insulated pipe system with adjustable length
PT2521874T (pt) Conector fixado mecanicamente para utilização num ambiente corrosivo
JPH0573958B2 (ko)
US3351361A (en) Insulated piping system
KR100987355B1 (ko) 비용접식의 관연결 장치
JP2024045449A (ja) フロアまたは壁を貫通するパイプのためのベローズシール
KR200496804Y1 (ko) 앵커형 관체 연결구
KR101580154B1 (ko) 탄성 클램프가 구비된 배관 보수용 커플링
RU2174638C1 (ru) Токоизолирующе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RU2174637C1 (ru) Диэлектрическое флан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120007452U (ko)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KR200457298Y1 (ko) 배관용 기밀 슬리브
KR102611271B1 (ko) 조인트
JP3225969U (ja) ステンレス管接続用鋳鉄製可撓継手
KR102664616B1 (ko)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RU2217645C1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ая манжета на перехода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в защитном кожухе под препятствием
JPH10332058A (ja) メカニカル式管端防食管継手
KR101180284B1 (ko) 용접형 절연볼밸브
JP3687868B2 (ja) ガスメータ接続用ライザー管
KR100864707B1 (ko) 배관연결장치
JPH09217875A (ja) 免震管継手
KR200164129Y1 (ko) 수도관의신축관연결구조
GB2599164A (en) Pipe fitting
JP3651815B2 (ja) ガスメータ接続用ライザー管
RU172785U1 (ru) Муфтовое электроизолирующее трубопроводное соедин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