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908A -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 - Google Patents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908A
KR20110088908A KR1020100008637A KR20100008637A KR20110088908A KR 20110088908 A KR20110088908 A KR 20110088908A KR 1020100008637 A KR1020100008637 A KR 1020100008637A KR 20100008637 A KR20100008637 A KR 20100008637A KR 20110088908 A KR20110088908 A KR 20110088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ocket
protrusion
fixed
weld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성테크
Priority to KR102010000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8908A/ko
Publication of KR20110088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된 탈착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으로, 몸체관, 삽입관 및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관은 상기 탈착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삽입관은 상기 몸체관의 양단부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탈착 플레이트 밖으로 연장되며, 양단부에 각각 배관이 삽입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몸체관과 연결되는 상기 삽입관의 경계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탈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몸체관의 이동을 구속한다. 이와 같이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은 양쪽에 형성된 돌기부에 의해 탈착 플레이트에 구속되기 때문에, 고정 프레임의 탈착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부분의 용접으로 인한 부식, 크랙 및 누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No Welding Anchor Socket and Pipe Laying System}
본 발명은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프레임의 탈착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앙카소켓 부분의 용접으로 인한 부식, 크랙 및 누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에 배관을 시공할 때, 배관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내,외부 온도차에의하여 배관의 수축, 팽창시 배관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축관등을 사용하는데 신축관에서 수축, 팽창 기능을 확실하게하고 배관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축관(Expansion Joint)과 배관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고정앙카소켓을 사용한다. 이때 신축관은 배관 사이에 연통되도록 결합시켜 온도차에 의한 배관의 팽창 및 수축을 흡수하여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식 고정앙카소켓(40)을 이용한 배관 구조(100)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식 고정앙카소켓(40)을 이용한 배관 구조(100)는, 신축관(30)의 양단에 연통되도록 결합된 용접식 고정앙카소켓(40)이 형성된다. 용접식 고정앙카소켓(40)은 고정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된 탈착 플레이트(20)에 의해 고정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이때 용접식 고정앙카소켓(40)은 양단부에 다른 배관(50)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는 삽입관이 형성되며, 삽입관 사이의 부분은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온도차에 의해 수축 및 팽창되는 신축관(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신축관(30)의 양쪽에 연결된 용접식 고정앙카소켓(40)은 탈착 플레이트(2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도면부호 42는 용접된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용접식 고정앙카소켓(40)과 탈착 플레이트(20)는 용접에 의해서 상호 결합하게 되는데, 용접의 특성상 일정 두께 이상의 파이프만이 용접에 의해서 탈착 플레이트(20)와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두꺼운 파이프 사용으로 인해 배관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 되었다.
그리고 용접에 따른 고정앙카소켓(40)의 산화 또는 부식이 발생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용접시 또는 배관을 시공한 이후에 고정앙카소켓(40)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고정앙카소켓(40)과 탈착 플레이트(20)의 용접된 부분에 기계적인 스트레스가 집중되고 그 부분에 크랙이 발생된 경우, 누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에 의하지 아니하고 탈착 플레이트(20)에 고정앙카소켓(40)을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앙카소켓의 두께와 무관하게 배관 사이에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용접의 산화로 인한 고정앙카소켓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온도차에 의한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신축관 및 고정앙카소켓의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된 탈착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으로, 몸체관, 삽입관 및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관은 상기 탈착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삽입관은 상기 몸체관의 양단부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탈착 플레이트 밖으로 연장되며, 양단부에 각각 배관이 삽입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몸체관과 연결되는 상기 삽입관의 경계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탈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몸체관의 이동을 구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을 따라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곡면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탈착 플레이트의 양측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정 프레임, 탈착 플레이트 및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탈착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 쪽으로 연장된 배관의 양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탈착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탈착 플레이트 외측의 경계부분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탈착 플레이트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구속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은 탈착 플레이트 외측의 경계부분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탈착 플레이트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구속하기 때문에, 고정앙카소켓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배관에서 수축 또는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은 탈착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은 돌기부를 이용하여 별도의 용접 공정 없이 탈착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얇은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고, 용접에 따른 고정앙카소켓의 부식 및 크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배관에서 수축 또는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의 돌기부에 의해 탈착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의 수축 또는 팽창으로 고정앙카소켓과 탈착 플레이트의 용접 부분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스트레스에 따른 크랙 발생과, 그로 인한 누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을 탈착 플레이트에 설치할 때, 돌기부는 고정앙카소켓의 탈착 플레이트로의 탑재 및 위치 정렬을 안내하기 때문에, 탈착 플레이트에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을 이용한 배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을 이용한 배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돌기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45)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이용한 배관 구조(200)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탈착 플레이트(120)에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10)과, 고정 프레임(110)의 일면에 설치된 탈착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는 금속 소재의 연결 배관의 일종으로, 몸체관(141), 삽입관(143) 및 돌기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원통관 형상으로, 몸체관(141), 삽입관(143) 및 돌기부(145)는 일체로 형성되며, 양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연통되어 있다.
몸체관(141)은 탈착 플레이트(120)의 내부에 위치하며, 탈착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는 부분이다. 몸체관(141)은 일정을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관(143)은 몸체관(141)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탈착 플레이트(120) 밖으로 연장되며, 양단부에 각각 배관(150)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삽입관(143)은 연결되는 배관(150)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몸체관(141)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이때 삽입관(143)에 삽입된 배관(150) 부분은 삽입관(143)의 외곽을 프레스 공구로 압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삽입관(143)과 배관(150) 사이에는 오-링(O-ring)(147)이 개재될 수 있도록 삽입관(143)의 내측에 오-링(147)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부(145)는 몸체관(141)과 연결되는 삽입관(143)의 경계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탈착 플레이트(120)에 대한 몸체관(141)의 이동을 구속한다. 돌기부(145)는 탈착 플레이트(120)에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이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탈착 플레이트(120)의 양측에 근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기부(145)는 삽입관(143)의 외주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돌기부(145)는 삽입관(143)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게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45)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기부(145)는 탈착 플레이트(120)의 양측과 마주보는 부분은 급경사로 형성하고, 타측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는 직각 삼각형에 가까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이용한 배관 구조(20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3에서는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 사이에 연결 배관으로 신축관(130)이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이용한 배관 구조(200)는 고정 프레임(110), 탈착 플레이트(120) 및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신축관(130)을 포함한 배관(150)이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매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한 쌍의 고정 프레임(110)은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고정 부재를 매개로 벽면 또는 천장에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탈착 플레이트(120)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고정하거나 탈착하는 고정 부재로서, 한 쌍의 고정 프레임(110)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탈착 플레이트(120)에 삽입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 부재(165)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탈착 플레이트(120)는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121)와, 하부 플레이트(121)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 플레이트(121)에 탈착되는 상부 플레이트(123)를 포함한다. 이때 탈착 플레이트(120)에 있어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이 고정 설치되는 부분은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몸체관(141)에 대응되게 관형으로 형성된다. 하부 플레이트(121) 및 상부 플레이트(123)는 관이 반으로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부 플레이트(121) 및 상부 플레이트(123)가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탈착 플레이트(120)와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 사이에 고무판과 같은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고정 프레임(110) 쪽으로 연장된 배관(150)의 양단부를 연결하며, 탈착 플레이트(120)에 삽입되어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된다.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탈착 플레이트(120) 외측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돌기부(145)에 의해 탈착 플레이트(12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이 구속된다.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탈착 플레이트(120)에 다음과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몸체관(141)은 탈착 플레이트(120)의 하부 플레이트(121)에 일부가 탑재된다. 몸체관(141)의 외측에 형성된 돌기부(145)는 하부 플레이트(121)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때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하부 플레이트(121)에 탑재할 때, 몸체부(141)의 양쪽에 형성된 돌기부(145)는 몸체관(141)이 하부 플레이트(121)에 안정적으로 탑재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돌기부(145)를 이용하여 하부 플레이트(121)에 정확히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이 탑재된 하부 플레이트(121)의 상부에 상부 플레이트(123)를 탑재한 후 체결 부재(165)로 체결하여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탈착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 프레임(110) 안쪽에 위치하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삽입관(143)에 신축관(130)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이때 신축관(13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 형상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신축관(130)은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 및 배관(150) 사이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온도차에 의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 또는 배관(150)의 팽창 및 수축을 흡수하여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 또는 배관(150)의 팽창 및 수축을 완충시킨다. 예컨대, 신축관(130)은 배관(150)을 유동하는 온수 또는 고온의 기체로 인해 발생하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 또는 배관(150)의 팽창 및 수축을 완화시킨다.
여기서, 신축관(130)과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신축관(130)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161)와, 신축관(130)의 플랜지(161)에 대향하여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에 연결된 배관에 형성된 플랜지(1631)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 부재(167)에 의해 결합되어 밀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각 플랜지(161,163)에 의해 신축관(130)과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연통되도록 밀폐 고정하였으나, 신축관(130)과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을 연통되도록 밀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체결 고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의 돌기부(145)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 형상의 띠로 형성된다. 예컨대, 돌기부(145)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일부가 외측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접혀져 돌출 형성된 띠로 이루어지고, 접혀져 형성된 띠에 의해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탈착 플레이트(120)에 고정되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탈착 플레이트(120) 외측의 경계부분에 돌기부(145)가 형성되어 탈착 플레이트(120)에 대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상대적인 축 방향으로 좌우 이동을 구속하기 때문에,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배관(150)에서 수축 또는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탈착 플레이트(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돌기부(145)를 이용하여 별도의 용접 공정 없이 탈착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두께가 얇은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고, 용접에 따른 고정앙카소켓의 부식 및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배관(150)에서 수축 또는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돌기부(145)에 의해 탈착 플레이트(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의 온도차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으로 고정앙카소켓과 탈착 플레이트의 용접 부분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스트레스에 따른 크랙 발생과, 그로 인한 누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돌기부(145)는 탈착 플레이트(120)에 치우친 곡면 형태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곡면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45a)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45b)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45c)는 반원 또는 타원이 반으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 돌기부(145)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신축관(130)과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과 배관(150)의 열팽창률, 및 변화하는 내외부 온도차의 조건에 따라, 돌기부(145)는 탈착 플레이트(120)의 양측중 어느 한 측에만 탈착 플레이트(120)에 인접하여 노출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일정 형상의 돌기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신축관(130)과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과 배관(150)의 열팽창률 및 변화하는 내외부 온도차의 조건에 따라, 돌기부(145)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외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이중 이상의 띠로 형성되어서, 이중 이상의 띠로 형성된 돌기부(145)에 의한 보다 강화된 탄성력에 의해서 배관(150)의 팽창 및 수축을 보다 원활하게 흡수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예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신축관(130)과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케(140)과 배관(150)의 열팽창률, 및 변화하는 내외부 온도차의 조건에 따라,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 또는 배관(150)의 팽창 및 수축을 흡수하여 배관(150)의 팽창 및 수축을 완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성의 돌기부(145)가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배관 구조(200)의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145)에 의해서, 온도차에 의한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 또는 배관(150)의 팽창 및 수축을 흡수 완충시켜, 신축관(130) 및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억제하여 크랙에 따른 앙카소켓에서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140)은 돌기부(145)가 삽입관(143)의 외주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245)는 삽입관(243)의 외주면을 따라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245)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240)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240)은 돌기부(245)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도 2의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과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돌기부(245)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돌기부(245)는 몸체관(241)과 삽입관(243)의 경계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돌기는 삽입관(243)의 외주면에 대해서 볼록한 곡면이나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열수축관 설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10 : 고정 프레임
20, 120 : 탈착 플레이트
30, 130 : 열수축관
40 : 용접식 고정앙카소켓
140, 240 :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100, 200 : 배관 구조
141, 241 : 몸체관
143, 243 : 삽입관
145, 245 : 돌기부
50, 150 : 배관
161, 163 : 플랜지
165, 167 : 체결 부재

Claims (5)

  1.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앙카소켓으로,
    탈착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관;
    상기 몸체관의 양단부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탈착 플레이트 밖으로 연장되며, 양단부에 각각 배관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삽입관;
    상기 몸체관과 연결되는 상기 삽입관의 경계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탈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몸체관의 이동을 구속하는 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을 따라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곡면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부를 갖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5.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된 탈착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프레임 쪽으로 연장된 배관의 양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탈착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탈착 플레이트 외측의 경계부분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탈착 플레이트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구속하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을 이용한 배관 구조.
KR1020100008637A 2010-01-29 2010-01-29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 KR20110088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37A KR20110088908A (ko) 2010-01-29 2010-01-29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37A KR20110088908A (ko) 2010-01-29 2010-01-29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08A true KR20110088908A (ko) 2011-08-04

Family

ID=4492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37A KR20110088908A (ko) 2010-01-29 2010-01-29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89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20U (ko)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서원기술 앵커형 관체 연결구
KR20240000389U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관체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20U (ko)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서원기술 앵커형 관체 연결구
KR20240000389U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관체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058B1 (ko) 파이프 앵커
KR101212120B1 (ko) 이중배관
KR101562902B1 (ko) 신축 이음관 조립체
CN204649057U (zh) 一种塑料换热器的布管系统
KR101422505B1 (ko) 펌프타워 파이프구조물
KR20110088908A (ko)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
KR101391341B1 (ko) 익스펜션 조인트의 타이로드
KR200454571Y1 (ko) 배관용 연결구
KR101758889B1 (ko) 물받이 교체가 가능한 물받이 기구
CN210440778U (zh) 一种无固定双向直埋内压波纹补偿器
KR20050013496A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1691586B1 (ko) 비금속성 익스펜션 조인트장치
CN208221879U (zh) 四氟波纹管补偿器
CN108591663A (zh) 高寿命四氟补偿器
KR100692965B1 (ko) 익스팬션 죠인트
CN105864571B (zh) 一种用于管道的防护罩装置及其安装方法
CN105864572B (zh) 一种管道用的新型防护罩装置及其安装方法
CN104019317A (zh) 双向无推力直埋型补偿器
RU2703897C1 (ru) Способ теплоизоляции трубопровода
CN107300084A (zh) 一种进出口垂直的独立式紧凑型膨胀节
CN210600687U (zh) 一种降低连接端漏冷概率的lng管道保冷管托
KR200344488Y1 (ko)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CN202914958U (zh) 一次性波纹补偿器
KR101348612B1 (ko) 배관 어셈블리
KR101399189B1 (ko) 교량 배수관용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