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612B1 - 배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612B1
KR101348612B1 KR1020110108867A KR20110108867A KR101348612B1 KR 101348612 B1 KR101348612 B1 KR 101348612B1 KR 1020110108867 A KR1020110108867 A KR 1020110108867A KR 20110108867 A KR20110108867 A KR 20110108867A KR 101348612 B1 KR101348612 B1 KR 101348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using
spacer
suppor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681A (ko
Inventor
민준성
이윤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8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6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1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axi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배관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배관 어셈블리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며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한 배관, 상기 배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하는 부재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관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어셈블리{Pipe Assembly}
본 발명은 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주변에 생활에 필요한 수도관, 가스관 등 다양한 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차량이나 선박 혹은 산업현장에 갖추고 있는 각종 자동화설비, 제조설비 등에는 동작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유체 혹은 기체 등을 이송시키기 위한 고무호스, 스틸 파이프와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각종 파이프가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파이프는 사용 용도나 구성에 따라서 파손되거나 변형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이러한 변형과 파손을 막기 위해 다양한 충격흡수장치 및 방법이 개발되어왔다.
특히, 종래의 파이프의 외관에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더 구비하여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면서 전달되어오는 충격과 진동을 완충하여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종래의 외력을 흡수하기 위한 파이프 구성의 일 예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배관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배관 어셈블리는 일반적인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외측에 결합되는 충격흡수장치를 국부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의 하단에 별도의 충격흡수장치(20)를 구비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충격흡수장치(20)는 크게 가이드부재(23), 링부재(21) 및 지지프레임(22)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3)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내부에 탄성부재(24)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2)을 탄성 지지한다. 상기 링부재(21)는 상기 가이드부재(23)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면을 전부 감싼 형태로 파이프(10)가 관통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상기 링부재(21)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24)의 상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위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3)의 양 측면부에는 지지프레임(22)의 양 외측면을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재(25)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어오는 충격을 진동방향에 따라 해당하는 상기 탄성부재(24) 및 상기 완충부재(25)가 흡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장치(20)에 의해서 상기 파이프(10)에 작용하는 외력을 흡수하여 상기 파이프(10)의 파손을 막았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 어셈블리는 구조가 복잡하며 파손에 의한 수리가 어렵고 설치되는 공간의 제약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파이프는 인장과 수축이 자유롭게 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외부에 구비되는 파이프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어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킨 배관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배관,상기 배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관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배관과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배관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배관, 상기 배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관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복수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하는 부재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배관은, 외력에 의해서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주름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하우징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배관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관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외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배관의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배관이 상기 스페이서 상에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배관 간의 접촉하는 면 또는 상기 배관의 외면은 슬립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관 및 배관을 감싸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따로 구비하여 하우징은 복수 개의 부재가 슬라이딩결합을 통해 외부조건에 의한 변위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별도의 루프나 신축이음을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관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의 내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스페이서에 의해서 하우징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함으로써, 배관이 외력 및 내측 유체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내부에 구비된 공간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파손되지 않고 지속적인 파이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의 외면과 스페이서의 접촉면이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어 하우징 및 배관 각각이 외력에 의한 변형이 되어도 서로 유동적으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관은 유연성을 가진 유연관(Flexible Pipe)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변위하중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의 영향을 하우징이 흡수하여 배관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관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A - A′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배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B - B‘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하우징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다른 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스페이서의 변형된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2에 나타낸 스페이서 구성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도 10은 도 2의 하우징의 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배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배관(100), 하우징(200) 및 스페이서(300)로 구성된다.
상기 배관(10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유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배관(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하는 부재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배관(1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관(100)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300)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마다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배관(100)과 접촉되는 부분에 지지부(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은 전체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복수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0)의 연결구성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A - A′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면에 위치하여 내부에 구비된 상기 배관(100)을 상기 하우징(200)과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배관(100)은 상기 스페이서(300)에 의해서 국부적으로는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배관의(100) 고정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배관(100)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을 통해서 자유롭게 굽힘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100)은 내부에 흐르는 유체에 의해서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상기 배관(100)과 상기 하우징(200)에이 서로 떨어진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200)에 작용하는 충격이 감소된다.
상기 배관(100)에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배관(100)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관(100)과 상기 스페이서(300)는 접촉된 상태를 이루되 완전히 결합되지 않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관 어셈블리는, 상기 배관(100)과 상기 스페이서(300)가 서로 슬립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서로간의 마찰에 의해서 상기 배관(100)의 외면이 손상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지지부(320)와 상기 배관(100)간에 접촉되는 일면 또는 상기 배관(100)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 슬립층(1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100)의 외면 또는 상기 지지부(320)의 일면에 상기 슬립층(120)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300)와 서로 슬립이 잘 일어나게 된다.
상기 배관(100)이 상기 스페이서(300)와 슬립이 가능하게 구성되면, 상기 배관(100)이 외력에 의해서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상기 배관(100)에 무리가 가지 않고 자연스럽게 변형이 일어남은 물론 상기 하우징(200) 측으로 전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이 슬라이딩을 통해서 유연하게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200)이 상기 배관(100)을 지지함에 있어서 상기 배관(100)의 유동적인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상기 배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은 용도에 따라 그 쓰임새가 다르지만 선박에 사용될 경우, 선박의 호깅(hogging)및 새깅(sagging)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200)은 변형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작용하는 외력의 효과적인 흡수와 내부에 구비된 상기 배관(100)으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0)은 내부에 구비된 상기 배관(100)의 변형됨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제공받기 때문에 탄성이나 유연성을 가지지 않은 일반적인 강판(steel)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배관(100)의 구성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배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100)이 주름관으로 구성되고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100)은 주름관으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한 변형에 대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배관(100)이 주름관으로 구성되면 휘어짐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으로 휘어질 뿐만 아니라 내부에 흐르는 유체에 의한 인장과 수축의 변형에 대한 내구성도 향상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배관(100)이 외력에 의해서 유연하게 굽힘이 일어나도록 구성하였지만 상기 배관(100)의 용도에 따라서 형상이나 재질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특정한 형상이나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배관(100)이 외력에 의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스페이서(3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B - B‘의 단면도이다.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내면에 위치하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배관(1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배관(100)의 외면을 국부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배관(100)과 상기 하우징(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페이서(300)의 크기와 숫자도 줄여 상기 하우징(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의 내면을 따라 구비된 복수 개의 상기 스페이서(300)에 의해서 상기 배관(1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배관(100)이 수축과 변형을 통해 상기 스페이서(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상기 스페이서(300)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상기 스페이서(300)가 상기 배관(100)을 지지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배관(100)이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이격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300)의 변형된 형태의 다른 실시예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2의 하우징(200)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은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00)의 양측 끝단부에는 각각 외측 및 내측으로 돌출된 이음관(230)을 구비한다.
도 6의 제1하우징(201)의 일측 끝단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이음관(23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201)의 이음관(230)과 결합되는 제 2하우징(202)의 대응하는 끝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이음관(23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1하우징(201) 및 상기 제2하우징(202)은 구비된 상기 이음관(230)들을 통해서 서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이음관(230)을 통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결합된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200)은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슬라이딩이동을 한다.
상기 하우징(200)은 슬라이딩이동을 통해서 외력에 대해 안정성이 향상되어 내부에 구비된 배관(1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서 종래에 사용되던 충격흡수장치에 비해 높은 공간활용도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상기 하우징(200)의 슬라이딩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2의 다른 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지만 상기 하우징(200)의 결합에 있어서 다른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0)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230) 외측에 슬리브(240)를 더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200)의 슬라이딩이동을 보조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음관(230)은 외측으로 돌출부를 가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240)를 통해서 고정된다.
상기 슬리브(240)는 상기 제1하우징(201) 및 상기 제2하우징(202)의 결합부분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201) 및 상기 제2 하우징(202)의 상기 이음관(230)이 상기 슬리브(240)에 의해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6 및 도 7을 통해서 상술한 상기 하우징(200)의 구성을 통해서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200)은 서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서 외력으로부터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된 상기 하우징(200)의 결합방법 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한 것일 뿐 복수 개의 상기 하우징(200)의 결합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200)이 서로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서 내부에 구비된 상기 배관(100)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방법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스페이서(3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스페이서의 변형된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100)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배관(100)은 상기 스페이서(300)에 구비된 상기 지지부(320)와 접촉되지만 이는 고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이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320)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100)과 접촉되는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322)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322)는 상기 배관(100)의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배관(100)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전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회전부재(322)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관(100)과 상기 지지부(320)의 슬라이딩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서 상기 배관(100)의 외면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저감시켜 상기 배관(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300)를 상기 회전부재(322)가 구비된 형태로 선택하였지만 이는 상기 스페이서(300)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선택한 것 일뿐, 상기 스페이서(300)와 상기 배관(100)이 접촉하여 슬라이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스페이서(300)의 다양한 구성 및 형상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스페이서 구성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는 다양한 숫자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9의 (a)와 같이,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배관(100)의 원주방향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면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20)가 상기 배관(100)의 외면을 감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관(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0)가 단일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300)의 숫자를 줄여 상기 하우징(2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줄여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의 (b)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가 상기 배관(100)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320)의 형상이 모두 동일하지 않고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부(320)는 앞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배관(100)의 하중을 가장 많이 지지하는 하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배관(100)의 일부분을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스페이서(300)는 안정적으로 상기 배관(100)을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의 (c)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가 상기 배관(100)의 외면을 따라서 네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00)가 네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배관(100)을 지지함으로써 앞서 상술한 도 9의 (b) 실시예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배관(10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300)는 도 9의 (b) 및 도 9의 (c)의 변형된 형태로 도 9의 (d)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9의 (d)에서 상기 스페이서(300)는 도9의 (c)와 비슷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배관(100)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320)가 상기 배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스페이서(300)는 앞서 상술한 실시예 중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가장 많은 하중이 가해지지만 가장 안정적으로 상기 배관(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도나 위치에 맞게 선택적으로 상기 스페이서(30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상기 스페이서(300)의 구조 및 형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선택한 실시예이다.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배관(100)을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200)의 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도 2의 하우징(200)의 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은 도 2 및 도3을 통해서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상기 하우징(200)의 형태가 사각통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0)이 사각통 형태로 구성되면 크기의 조절을 원활하게 하여 종래의 원통구성에 비해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배관 120 : 슬립층
200 : 하우징 230 : 이음관
240 : 슬리브 300 : 스페이서
320 : 지지부

Claims (10)

  1.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배관;
    상기 배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관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배관과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배관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
  2.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배관;
    상기 배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관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복수 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인접하는 부재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외력에 의해서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주름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어셈블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어셈블리.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배관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어셈블리.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관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외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배관 어셈블리.
  9.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배관의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배관이 상기 스페이서 상에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어셈블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배관 간의 접촉하는 면 또는 상기 배관의 외면은 슬립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배관 어셈블리.
KR1020110108867A 2011-10-24 2011-10-24 배관 어셈블리 KR101348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867A KR101348612B1 (ko) 2011-10-24 2011-10-24 배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867A KR101348612B1 (ko) 2011-10-24 2011-10-24 배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681A KR20130044681A (ko) 2013-05-03
KR101348612B1 true KR101348612B1 (ko) 2014-01-09

Family

ID=4865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867A KR101348612B1 (ko) 2011-10-24 2011-10-24 배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041B1 (ko) * 2021-06-22 2022-03-03 (주)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내진 기능을 가지는 소방용 배관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186U (ko) * 1989-07-07 1991-02-25
JPH0743508U (ja) * 1993-12-28 1995-08-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重管式断熱ダクト
US5862834A (en) * 1993-03-25 1999-01-26 Ziu; Christopher G. Pipe support for permitting lateral and longtudinal movement of an inner pipe relative to an outer pipe in a double-containment pipe assembly
KR200291614Y1 (ko) * 2002-07-03 2002-10-11 황장선 단열피복 이중보온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186U (ko) * 1989-07-07 1991-02-25
US5862834A (en) * 1993-03-25 1999-01-26 Ziu; Christopher G. Pipe support for permitting lateral and longtudinal movement of an inner pipe relative to an outer pipe in a double-containment pipe assembly
JPH0743508U (ja) * 1993-12-28 1995-08-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重管式断熱ダクト
KR200291614Y1 (ko) * 2002-07-03 2002-10-11 황장선 단열피복 이중보온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681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661B1 (ko) 배관 고정장치
KR101703233B1 (ko) 플렉시블 서포트
KR101703234B1 (ko) 플렉시블 서포트
KR101348612B1 (ko) 배관 어셈블리
KR101368377B1 (ko) 앵커와 배수시트의 체결을 일원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40073002A (ko) 브레이스 마찰댐퍼
KR200472580Y1 (ko) 운송용 라인파이프의 고정장치
KR101690910B1 (ko) 심해자원 채굴용 신축성 라이저
KR20160001026U (ko) 이중 파이프
KR100758480B1 (ko) 진동흡수기능을 구비하는 배관 서포트장치
KR101371339B1 (ko) 점탄성체를 이용한 브레이스 마찰댐퍼
JP6529557B2 (ja) 耐震用フレキシブルスリップジョイント装置
KR20130130471A (ko) 교량 받침 장치
KR101906713B1 (ko) 충격 흡수 댐퍼
WO2014174642A1 (ja) 流体収容構造物の免震構造及びこの免震構造を用いた流体収容構造物
JP2009236249A (ja) 制振部材及び構造物の制振構造
KR101569847B1 (ko) 충격 흡수형 해중터널
KR20120040460A (ko) 상하좌우 및 신축방향 움직임 가능한 신축이음관
KR100607308B1 (ko) 다원 변위 신축관
KR101379719B1 (ko) 해저 파이프라인 위치 고정용 매트
KR101256888B1 (ko)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JP4762879B2 (ja) 伸縮可撓管継手
KR102623828B1 (ko) 약품 공급 이중화 배관 서포트 구조
KR20110088908A (ko) 무용접식 고정앙카소켓 및 그를 이용한 배관 구조
JP6090176B2 (ja) 燃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