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271B1 - 조인트 - Google Patents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271B1
KR102611271B1 KR1020220073916A KR20220073916A KR102611271B1 KR 102611271 B1 KR102611271 B1 KR 102611271B1 KR 1020220073916 A KR1020220073916 A KR 1020220073916A KR 20220073916 A KR20220073916 A KR 20220073916A KR 102611271 B1 KR102611271 B1 KR 102611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pipes
close contac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민
Original Assignee
김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민 filed Critical 김강민
Priority to KR102022007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2개의 배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단부대 단부(End to End) 관계로 배관을 유연성 있게 결합하여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용이하고 배관의 파지성을 확보하여 배관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배관들의 연결부위를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밀폐 구성을 배관들의 연결부위에 밀착시켜 배관들이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에 대한 밀폐 구성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배치되는 배관들의 접촉부위를 연결하는 조인트로써, 상호 분할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양측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용 플랜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조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부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와 접촉하는 외측부; 상기 외측부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된 외측절곡부; 상기 외측절곡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관의 외측 둘레와 밀착되는 외측밀착부; 상기 외측 절곡부에서 상기 외측밀착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외측탄성부; 상기 외측부에 대향하여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측부; 상기 내측부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된 내측절곡부; 상기 내측절곡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관의 내측 둘레와 밀착되는 내측밀착부; 상기 내측절곡부에서 내측밀착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내측탄성부; 및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되 상기 배관 일단이 안착되는 격막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부의 일측 단면이 좌우 각각 오므리어지는 'C'자 형상으로, 상기 배관 일측을 조여 파지하고, 상기 격막부는 상기 배관의 두께에 해당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체결용 플랜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한다.

Description

조인트{JOINT}
본 발명은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배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단부대 단부(End to End) 관계로 배관을 유연성 있게 결합하여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용이하고 배관의 파지성을 확보하여 배관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배관들의 연결부위를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밀폐 구성을 배관들의 연결부위에 밀착시켜 배관들이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에 대한 밀폐 구성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수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관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배관은 그 길이가 상당한 관계로 여러 개의 배관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관은 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배관 커플링장치는 배관 요소를 단부 대 단부(End to End)로 결합하기 위한 다른 기술에 비해 여러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커플링장치는, 숙련된 용접 기술자와 모든 환경에서 실용적이거나 안전하지 않은 노출 화염 또는 아크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용접 접합(welded joint)보다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기계적인 커플링장치는 실질적으로 단단한 용접 접합과 달리, 접합에서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유연성은, 파이핑 네트워크의 디자인과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보다 큰 치수 및 각 공차(tolerance)를 허용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유연성은 또한 온도 변화시 여러 접합부의 유체 기밀 무결성(fluid tight integrity)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큰 팽창과 수축을 허용한다.
한편,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정렬된 2개의 배관 사이에 커플링장치로 위치 고정된다.
이때, 커플링장치가 배관 외주면 위에 확실하게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커플링장치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각 배관에 형성된 홈에 위치되어, 일렬로 배치될 2개의 배관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전술한 일반적인 커플링장치는 약간의 외부 굽힘과 흔들림에도 링 조인트가 홈에서 이탈되어 누설이 발생되고, 배관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배관 재질에 피로도를 누적시켜 내구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08659호, 발명의 명칭이 "배관용 조인트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링 시일 또는 링 가스켓이 배관 외측으로만 접하고 있고 배관 내측으로 없어 배관을 내외측으로 견고하게 잡아주지 못하여 배관이 쉽게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086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2개의 배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단부대 단부(End to End) 관계로 배관을 유연성 있게 결합하여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용이하고 배관의 파지성을 확보하여 배관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배관들의 연결부위를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밀폐 구성을 배관들의 연결부위에 밀착시켜 배관들이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에 대한 밀폐 구성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배치되는 배관들의 접촉부위를 연결하도록 상호 분할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양측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용 플랜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조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부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와 접촉하는 외측부; 상기 외측부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된 외측절곡부; 상기 외측절곡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관의 외측 둘레와 밀착되는 외측밀착부; 상기 외측 절곡부에서 상기 외측밀착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외측탄성부; 상기 외측부에 대향하여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측부; 상기 내측부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된 내측절곡부; 상기 내측절곡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관의 내측 둘레와 밀착되는 내측밀착부; 상기 내측절곡부에서 내측밀착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내측탄성부; 및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되 상기 배관 일단이 안착되는 격막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부의 일측 단면이 좌우 각각 오므리어지는 'C'자 형상으로, 상기 배관 일측을 조여 파지하고, 상기 격막부는 상기 배관의 두께에 해당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체결용 플랜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는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부의 외주연을 따라서는 고무재질의 마찰발생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마찰발생부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돌기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체결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의 외주연에는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에 대한 상기 가압돌기의 인출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마찰발생부에 작용하는 상기 가압돌기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나선이 형성된 회전몸체의 끝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발생부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편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로 전달되는 배관의 하중으로부터 상기 서포트를 보호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서포트의 하측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박스; 상기 수용박스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서포트의 전,후,좌,우 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의 전,후,좌,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측과 하측이 상기 서포트와 수용박스에 각각 경사진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를 완충지지하도록 파형형상으로 형성되는 파형지지부; 상기 서포트의 좌측면에 접촉되고,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서포트의 전면과 후면의 1/2영역에 접촉되며, 제2 체결홀이 형성된 제2 부재를 함하는 제1 감쌈부; 상기 서포트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제3 체결홀이 형성된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의 나머지 1/2영역에 접촉되며, 제4 체결홀이 형성된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감쌈부; 상기 수용박스의 외부에서 수용공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과, 제3 체결홀 및 제4 체결홀에 각각 체결되며 그 끝단이 상기 서포트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유동억제부; 내부에 상기 수용박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박스 형상의 금속 중량부;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상기 지지판이 각각 결합되는 튜브; 상기 튜브를 각각 수용하며 상기 금속 중량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서포트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상기 튜브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상기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는, 조인부가 배관 일단의 내외측을 함께 잡아 조여 파지(把持)하므로 배관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격막부가 배관과 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틈을 없애 유체의 누수 발생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의 배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관들의 연결부위를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밀폐 구성을 배관들의 연결부위에 밀착시켜 배관들이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에 대한 밀폐 구성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배관과 접합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조인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에 적용된 가압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배관과 접합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조인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에 적용된 가압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1)는, 단부 대 단부(End to End)관계로 배관을 유연성 있게 결합하여 2개의 배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용이하고 배관의 파지(把持)성을 확보하여 배관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배관 외측으로만 잡아주고 배관 내측으로 전혀 잡아주는 것이 없는 종래보다 조인부(120)가 배관 내외측으로 함께 잡아주므로 배관의 파지성 및 견고성을 확보하여 배관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배관과 접합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조인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배관(P)을 연결하는 장치로, 상호 분할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양측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용 플랜지(111)가 형성된 커버부(110); 및 커버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조인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조인부(120)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커버부(110)와 접촉하는 외측부(121); 외측부(121)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된 외측절곡부(123); 외측절곡부(123)와 연결되어 배관(P)의 외측 둘레와 밀착되는 외측밀착부(125); 외측절곡부(123)에서 외측밀착부(125)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외측탄성부(127); 외측부(121)에 대향하여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측부(122); 내측부(122)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된 내측절곡부(124); 내측절곡부(124)와 연결되어 배관(P)의 내측 둘레와 밀착되는 내측밀착부(126); 내측절곡부(124)에서 내측밀착부(126)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내측탄성부(128); 및 외측부(121)와 내측부(122)를 연결하되 배관(P)의 일단이 안착되는 격막부(129);를 포함하고, 조인부(120)의 일측 단면이 좌,우 각각 오므리어지는 'C'자 형상으로, 배관(P) 일측을 조여 파지(把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격막부(129)는 배관(P)의 두께에 해당하는 안착홈부(129h)가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110)는 체결용 플랜지(111)에 관통홀(111h)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된다.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100)의 구성 및 사용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조인트(100)는 배관(P)을 연결하는 장치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10)와, 조인부(120) 및 체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어 가공에 의해 양단부에 확관부(Pa)를 형성하는 복수의 배관(P)과, 이 복수의 배관(P)들 사이에 위치하고, 배관(P)과 배관(P) 사이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조인부(120) 및 조인부(12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복수의 배관(P)들을 연결하는 커버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배관(P)은 강관, 비철금속관 및 PE 복합관 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직관 또는 엘보관으로 구성되고,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양측 단부가 플레어 가공에 의해 확관되어 배관(P)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는 확관부(Pa)가 형성된다.
또한, 배관(P)의 단부와 확관부(Pa) 사이에는 커버부(110)와의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고, 배관(P)들의 절입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홈(Ph)이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홈(Ph)은 확관부(Pa)가 형성될 때, 동시에 형성된다.
커버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분할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반원형상으로, 상측을 형성하는 제1 커버부(110a)와 하측을 형성하는 제2 커버부(110b)로 구분할 수 있고, 양측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용플랜지(11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인부(120)를 외곽에서 클램프(clamp)한다.
또한, 커버부(110)는 체결용 플랜지(111)에 관통홀(111h)이 형성되어 볼트, 너트 및 와셔 등으로 구성된 체결부(13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커버부(110)는 스테인레스, 강철, 및 주철 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배관(P)의 확관부(Pa)가 삽입되는 삽입홈(112)이 형성되고, 확관부(Pa)와 배관(P) 사이에 형성된 체결홈(Ph)에 삽입되는 고정턱(113)이 형성되어 복수의 배관(P)이 커버부(110)에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커버부(110)에는 조인부(120)의 외측부(121)가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부(115)가 형성된다.
제1 커버부(110a)와 제2 커버부(110b)의 내측면에는 후술되는 마찰발생부(160)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돌기(17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압돌기(170)는 제1 커버부(110a)의 저면 및 제2 커버부(110b)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가압돌기(170)는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부(110a)와 제2 커버부(110b)로 조인부(120)를 감싼 후 볼팅결합하면, 가압돌기(170)가 마찰발생부(160)를 가압하면서 마찰발생부(160)의 가압부분을 일정수준으로 압축시키면서 파고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제1 커버부(110a)와 제2 커버부(110b)가 조인부(120)에서 회전되거나, 조인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관(P)의 접촉부위에 대한 조인부(1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부(110a)와 제2 커버부(110b)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체결홀(111g)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가압돌기(170)의 외주연에는 체결홀(111g)에 체결되는 나선(171)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돌기(170)의 회전방향이나 회전수를 조절하여 체결홀(111g)에 대한 가압돌기(170)의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가압돌기(170)가 마찰발생부(160)를 가압하게 되는 길이와 마찰발생부(160)에 작용하는 가압돌기(170)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압돌기(17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수록 가압돌기(170)가 체결홀(111g)에서 인출된다. 이로 인해 마찰발생부(160)에 삽입되는 가압돌기(17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돌기(17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수록 가압돌기(170)가 체결홀(111g)에 인입된다. 이로 인해 마찰발생부(160)에 삽입되는 가압돌기(17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P)의 직경, 마찰발생부(160)의 두께, 기타 다양한 조건, 요인, 여건 등에 따라 가압돌기(170)의 인출길이를 조절하여 제1 커버부(110a)와 제2 커버부(110b)로 조인부(120)를 홀딩시키면서 가압돌기(170)로 마찰발생부(160)를 가압하면 된다.
조인부(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10) 내에 삽입되어 조여지는 환형의 링(ring) 형상으로, 배관(P)의 확관부(Pa)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위치하고 커버부(110)의 체결에 의해 확관부(Pa)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유체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인부(120)는 배관(P)의 확관부(Pa)의 길이와 대응되는 폭으로 구성되어 배관(P)과 조인부(120) 간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인부(120)는 복수의 배관(P)들에 형성된 확관부(Pa)의 선단부에 위치하여 배관(P)의 위치를 정렬하여 배관(P)들의 직진성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조인부(120)는 고무, EPDM, 니트릴(Nitrlie), 실리콘(Silicone), 네오프렌(Neoprene),플로로엘라스토머(Fluoro-elastomer),폴리우레탄(polyurethane)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조인부(1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121), 외측절곡부(123), 외측밀착부(125), 외측탄성부(127), 내측부(122), 내측절곡부(124), 내측밀착부(126), 내측탄성부(128) 및 격막부(129)를 포함한다.
외측부(121)는 조인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커버부(110)와 접촉하는 것으로, 커버부(110)의 삽입부(115)에 삽입되어 커버부(110)와 조인부(120) 간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커버부(110)의 체결시 발생하는 체결력을 전달받아 조인부(120)가 배관(P)의 확관부(Pa) 외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압력이 제공된다.
외측절곡부(123)는 외측부(121) 양단에서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측부(121)에서 배관(P)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외측절곡부(1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121)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조인부(120)의 중앙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외측밀착부(12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절곡부(123)와 일체로 연결되어 배관(P)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면 배관(P)의 외측 둘레와 접촉 및 밀착하여 소정의 힘으로 배관(P)과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밀봉한다.
외측탄성부(12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절곡부(123)에서 외측밀착부(125)로 라운드(round)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즉, 외측탄성부(127)는 외측밀착부(125)의 배면에서 소정 각도만큼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배관(P)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면 외측밀착부(125)가 배관(P)의 외측 둘레와 밀착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외측밀착부(125)에 발생시킨다.
내측부(122)는 외측부(121)에 대향하여 조인부(1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외측부(121)로부터 전달받은 소정 압력을 내측절곡부(124)로 전달한다.
내측절곡부(124)는 내측부(122) 양단에서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부(122)에서 배관(P)측으로 소정 각도 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내측절곡부(1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122)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조인부(120)의 중앙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내측밀착부(12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절곡부(124)와 일체로 연결되어 배관(P)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면 배관(P)의 내측 둘레와 접촉 및 밀착하여 소정의 힘으로 배관(P)과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밀봉한다.
내측탄성부(12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절곡부(124)에서 내측밀착부(126)로 라운드(round)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즉, 내측탄성부(128)는 내측밀착부(126)의 배면에서 소정 각도만큼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배관(P)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면 내측밀착부(126)가 배관(P)의 내측 둘레와 밀착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내측밀착부(125)에 발생시킨다.
격막부(12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부(12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외측부(121)와 내측부(122)를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부(121)에서 제공되는 압력을 내측부(122)로 전달하는 기능과 함께 복수의 배관(P)들이 커버부(110)에 의해 연결될 때, 배관(P) 일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잡아주면서 스토퍼(stopper) 기능도 한다.
또한, 격막부(129)는 배관(P)의 확관부(Pa)의 단부와 직접 접촉되어 확관부(Pa)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배관(P)의 직진성이 와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의 격막부(129)는 복수의 배관(P)들에 형성된 각각의 확관부(Pa)의 선단부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배관(P)이 안정적으로 연결되게 지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한다.
또한, 격막부(129)는 배관(P)의 두께에 해당하는 안착홈부(129h)가 형성되어 종래보다 쉽게 배관(P)을 안착시키면서 안내한다.
즉, 격막부(129)는 안착홈부(129h)가 'ㄷ'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몰하여 배관(P) 일단의 두께 부위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격막부(129)는 배관(P)과 배관(P) 사이를 연결하는 틈이 없애 유체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상하좌우 대칭되고 좌,우 각각 오므리어지는 'C'자 형상으로, 배관(P)이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연결될 때 배관(P) 일단의 내외측을 함께잡아 조여 파지므로 배관(P)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조인부(120)가 배관(P) 일단의 내외측을 함께 잡아 조여 파지므로 배관(P)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격막부(129)가 배관(P)과 배관(P) 사이를 연결하는 틈을 없애 유체의 누수 발생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2개의 배관(P)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현장에서 직접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누구나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배관(P)의 직진성을 확보 및 유지할 수 있어 외력이나, 배관(P)의 하중에 의해 연결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조인부(120)의 외주연을 따라서는 마찰발생부(160)가 형성된다.
마찰발생부(160)는 조인부(120)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마찰발생부(160)는 마찰계수가 우수한 고무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체결용플랜지(21)가 회전되거나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가압돌기(17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압돌기(170)는 나선(171)이 형성된 회전몸체의 끝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마찰발생부(160)를 가압하는 가압편(17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편(172)은 평면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편(172)으로 인해 마찰발생부(160)에 대한 가압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인부(120)에 대한 제1 커버부(110a) 및 제2 커버부(110b)의 장착력 및 정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1)에 적용된 보강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배관(P)은 그 사용용도에 따라 지중에 매립되거나 또는 야외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1)는 배관(P)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서포트(180) 및 서포트(180)를 보호하기 위한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180)는 제2 커버부(110b) 또는 배관(P)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180)의 상측에는 제2 커버부(110b) 또는 배관(P)의 일정영역을 감싸도록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90)가 형성된다.
보강부(200)는 서포트(180)를 보강하기 위해 수용박스(201)와, 파형지지부(202)와, 제1 감쌈부(203)와, 제2 감쌈부(204)와, 유동억제부(2015)와, 금속 중량부(2016)와, 측정부(2017)와, 지지판(2018)과, 튜브(2019)와, 하우징(2020) 및 펌프(20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박스(201)는 지면에 볼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수용박스(20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서포트(180)의 하측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파형지지부(202)는 수용박스(201)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서포트(180)의 전,후,좌,우 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서포트(180)의 전,후,좌,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측과 하측이 서포트(180)와 수용박스(201)에 각각 경사진 구조로 결합된다.
파형지지부(202)는 서포트(180)를 완충 지지하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형지지부(202)는 서포트(180)의 전,후,좌,우측면에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서포트(180)가 배관(P)의 하중, 지진, 기타 각종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감쌈부(203)는 서포트(180)의 좌측면에 접촉되고, 제1 체결홀(2031a)이 형성된 제1 부재(2031) 및 제1 부재(2031)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서포트(180)의 전면과 후면의 1/2영역에 접촉되며, 제2 체결홀(2032a)이 형성된 제2 부재(20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쌈부(204)는 서포트(180)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제3 체결홀(2041a)이 형성된 제3 부재(2041) 및 제3 부재(2041)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서포트(180)의 전면과 후면의 나머지 1/2영역에 접촉되며, 제4 체결홀(2042a)이 형성된 제4 부재(204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억제부(2015)는 수용박스(201)의 외부에서 수용공간 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 체결홀(2031a)과, 제2 체결홀(2032a)과, 제3 체결홀(2041a) 및 제4 체결홀(2042a)에 각각 체결되며 그 끝단이 서포트(180)를 가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서포트(180)의 유동을 억제하여 외부탱크(10)와, 내부탱크(20) 및 서포트(18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와 같이, 유동억제부(2015)로 서포트(180)를 고정한 다음에는 수용박스(201)를 금속 중량부(2016)의 내부공간에 수용한다.
금속 중량부(2016)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중량부(2016)의 수용공간에는 수용박스(201)가 수용된다.
금속 중량부(2016)는 서포트(18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려고 할 때 자체적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무게는 약 10kg~200kg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중량부(2016)는 자체적으로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서포트(180)의 유동도 억제할 수 있다.
측정부(2017)는 서포트(18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서포트(180)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측정부(2017)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측정기나, 기타 마주하는 사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다양한 측정기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지지판(2018)은 서포트(18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튜브(2019)는 서포트(18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지지판(2018)이 각각 결합된다.
튜브(2019)의 내부공간에는 약 70%~90%의 물이 채워져 있다.
튜브(2019)는 물이 채워질수록 점진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2019)는 대략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20)의 내부에는 튜브(2019)가 각각 수용된다.
하우징(2020)은 금속 중량부(2016)의 상면에 고정되어 튜브(2019)의 유동을 방지한다.
펌프(2021)는 별도의 물저장탱크(미도시)에 연결되어, 튜브(2019)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측정부(2017)는 서포트(180)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측정한 서포트(18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한다.
제어부는 측정부(2017)에서 신호가 전송될 경우, 펌프(2021)를 작동시켜 튜브(2019)의 내부에 약 20% ~ 10%의 물을 공급함으로써, 튜브(2019)를 팽창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측정부(2017)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경우,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관리자 PC에 서포트(180)의 이상 사실을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튜브(2019)가 팽창되면 지지판(2018)이 서포트(180)에 밀착되어 지지하게 된다.
지지판(2018)이 서포트(180)를 지지하고, 튜브(2019)가 일정 중량 상태에서 지지판(2018)을 지지함으로, 서포트(18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지진의 영향이 작용하더라도, 서포트(18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튜브(2019)에 채워지는 물의 양은 배관(P) 및 서포트(180)의 크기나 무게에 대응되게 상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2020)의 내부에는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는 히팅선 또는 히팅코일로 형성되는 보온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020)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측정기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제품으로 적용되어,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을 시, 튜브(2019)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온도측정기는 전술한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온도측정기는 기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한다.
제어부는 온도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온도를 전송 받고, 만약 온도측정기로부터 전송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예를 들어, 얼음이 어는 온도인 0℃일 경우, 보온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튜브(2019)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온도측정기로부터 전송된 온도가 1 ℃ 이상일 경우, 보온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조인트 110 : 커버부
110a : 제1 커버부 110b : 제2 커버부
111 : 체결용 플랜지 111h : 관통홀
120 : 조인부 121 : 외측부
122 : 내측부 123 : 외측절곡부
124 : 내측절곡부 125 : 외측밀착부
126 : 내측밀착부 127 : 외측탄성부
128 : 내측탄성부 129 : 격막부
130 : 체결부 160 : 마찰발생부
170 : 가압돌기 171 : 나선
172 : 가압편 180 : 서포트
190 : 지지대 200 : 보강부
201 : 수용박스 202 : 파형지지부
203 : 제1 감쌈부 2031 : 제1 부재
2031a : 제1 체결홀 2032 : 제2 부재
2032a : 제2 체결홀 204 : 제2 감쌈부
2041 : 제3 부재 2041a : 제3 체결홀
2042 : 제4 부재 2042a : 제4 체결홀
2015 : 유동억제부 2016 : 금속 중량부
2017 : 측정부 2018 : 지지판
2019 : 튜브 2920 : 하우징
2021 : 펌프

Claims (5)

  1.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배치되는 배관들의 접촉부위를 연결하도록 상호 분할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양측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용 플랜지가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조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부는,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와 접촉하는 외측부; 상기 외측부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된 외측절곡부; 상기 외측절곡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관의 외측 둘레와 밀착되는 외측밀착부; 상기 외측 절곡부에서 상기 외측밀착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외측탄성부; 상기 외측부에 대향하여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측부; 상기 내측부의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된 내측절곡부; 상기 내측절곡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관의 내측 둘레와 밀착되는 내측밀착부; 상기 내측절곡부에서 내측밀착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내측탄성부; 및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되 상기 배관 일단이 안착되는 격막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부의 일측 단면이 좌우 각각 오므리어지는 'C'자 형상으로, 상기 배관 일측을 조여 파지하고, 상기 격막부는 상기 배관의 두께에 해당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체결용 플랜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는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부의 외주연을 따라서는 고무재질의 마찰발생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마찰발생부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돌기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체결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의 외주연에는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에 대한 상기 가압돌기의 인출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마찰발생부에 작용하는 상기 가압돌기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나선이 형성된 회전몸체의 끝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발생부를 가압하는 복수개의 가압편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로 전달되는 배관의 하중으로부터 상기 서포트를 보호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서포트의 하측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박스;
    상기 수용박스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서포트의 전,후,좌,우 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의 전,후,좌,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측과 하측이 상기 서포트와 수용박스에 각각 경사진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를 완충지지하도록 파형형상으로 형성되는 파형지지부;
    상기 서포트의 좌측면에 접촉되고,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서포트의 전면과 후면의 1/2영역에 접촉되며, 제2 체결홀이 형성된 제2 부재를 함하는 제1 감쌈부;
    상기 서포트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제3 체결홀이 형성된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의 나머지 1/2영역에 접촉되며, 제4 체결홀이 형성된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감쌈부;
    상기 수용박스의 외부에서 수용공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과, 제3 체결홀 및 제4 체결홀에 각각 체결되며 그 끝단이 상기 서포트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유동억제부;
    내부에 상기 수용박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박스 형상의 금속 중량부;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상기 지지판이 각각 결합되는 튜브;
    상기 튜브를 각각 수용하며 상기 금속 중량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서포트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상기 튜브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상기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조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73916A 2022-06-17 2022-06-17 조인트 KR102611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916A KR102611271B1 (ko) 2022-06-17 2022-06-17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916A KR102611271B1 (ko) 2022-06-17 2022-06-17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271B1 true KR102611271B1 (ko) 2023-12-07

Family

ID=8916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916A KR102611271B1 (ko) 2022-06-17 2022-06-17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2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650A (ko) * 2001-07-23 2003-02-05 유창밸브 주식회사 커플링 볼 조인트
KR200331250Y1 (ko) * 2003-07-04 2003-10-30 백병근 연결관의 플랜지구조
KR101508659B1 (ko) 2014-08-20 2015-04-07 강태식 배관용 조인트 장치
KR20200073386A (ko) * 2018-12-14 2020-06-24 이진숙 그루브 조인트용 파이프
KR20210131531A (ko) * 2020-04-24 2021-11-03 김강민 개량된 커플링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650A (ko) * 2001-07-23 2003-02-05 유창밸브 주식회사 커플링 볼 조인트
KR200331250Y1 (ko) * 2003-07-04 2003-10-30 백병근 연결관의 플랜지구조
KR101508659B1 (ko) 2014-08-20 2015-04-07 강태식 배관용 조인트 장치
KR20200073386A (ko) * 2018-12-14 2020-06-24 이진숙 그루브 조인트용 파이프
KR20210131531A (ko) * 2020-04-24 2021-11-03 김강민 개량된 커플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8476A (en) Precompressed piping system for handling cryogenic fluid
KR101433155B1 (ko) 각 배향된 키 표면을 갖는 커플링
RU2588920C2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и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й грузовой танк,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й в несущую конструкцию
US4779900A (en) Segmented pipe joint retainer glands
US4896903A (en) Segmented pipe joint retainer glands
US4492391A (en) Thrust rod anchor for pipe joint restraint systems
KR101916892B1 (ko) 패스트 그루브 조인트
US5240294A (en) Pipe coupling clamp with bolt pads and linear extending lugs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US5288108A (en) Bell joint repair clamp
JP4363565B2 (ja) バルブピット用フランジ接合体
US3720428A (en) Pipe coupling
KR20210131531A (ko) 개량된 커플링장치
KR102483901B1 (ko) 내진용 상수도관 조인트
JPH09196261A (ja) 管継手構造
KR102611271B1 (ko) 조인트
EP3601864B1 (en) Positive lock system for restrained joints of ductile iron spun pipes and fittings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1844820B1 (ko) 내압성능이 향상된 신축 관 이음장치
KR101267263B1 (ko)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US6293593B1 (en) Collar clamp assembly for repairing core spray piping
US5505503A (en) Conduit system
US5580102A (en) Pipe support and pipeline therewith
KR20090010479A (ko) 파이프 연결구
KR102305130B1 (ko) 그루브드 파이프 커플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