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263B1 -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263B1
KR101267263B1 KR1020130000805A KR20130000805A KR101267263B1 KR 101267263 B1 KR101267263 B1 KR 101267263B1 KR 1020130000805 A KR1020130000805 A KR 1020130000805A KR 20130000805 A KR20130000805 A KR 20130000805A KR 101267263 B1 KR101267263 B1 KR 101267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flange
pack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중
Original Assignee
(주)한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0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24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unequal expansion of the parts of the joi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6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제1 상수관(10)과 제2 상수관(20)의 마주보는 각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각각 삽입되는 관형 패킹(30); 관연결부(41)와 플랜지부(4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플랜지 연결관(40); 상기 플랜지관(40)의 플랜지부(42)에 형성한 요철(420)에 일측면이 마춤 결합되도록 요철(51)을 형성하는 제1 링형 패킹(50); 상기 제1 링형 패킹(50)의 외측에서 상기 플랜지관(40)의 플랜지부(42)에 형성한 요철에 일측면이 마춤 결합되도록 요철(61)을 형성하는 제2 링형 패킹(60); 타측의 상기 상수관(20)에 결합되는 상기 플랜지관(40)의 플랜지부(42)에 형성한 요철에 일측면이 마춤 결합되도록 요철(71)을 형성하는 제3 링형 패킹(70); 상기 플랜지 연결관(4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80); 상기 연결부재(80)들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하는 반원형의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마주보는 단면측 외주연 단부로부터 외측으로는 일정면적으로 연장한 연결부(91)를 형성하며, 상하부의 상기 연결부(91)간은 볼트(910)와 너트(911)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는 보호커버(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Pipe's connecting structure preventing a water leakage}
본 발명은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의 상수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플랜지 연결관과 플랜지부간의 패킹들이 경사면간 압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패킹에 의한 이중의 실링에 의해 이음부에서의 수평방향으로의 변위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해서도 안정된 실링성과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또는 지상에 배관되는 수도관은 크게 상수관과 하수관으로 구분된다.
이중 가정에 공급되는 상수는 상수관을 통하게 되며, 상수관은 복수의 파이프들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키기도 하고, 파이프들 사이에 이음관으로 연결하여 배관이 이루어지게 하기도 한다.
상수관은 소독된 물을 원격지로부터 소비자에게 공급해야하기 때문에 고압의 공급압이 필요로 되며, 이를 위해서 상수관은 고압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상수관은 통상 강철재질로 제작되게 하면서 상수관이 받는 단위면적당 수압의 크기를 최소화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수관 하나 하나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가장 취약한 부위가 상수관과 상수관이 연결되는 이음부이다.
상수관을 연결하는 이음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밀폐되도록 하고 있으나, 지상에서의 굴착이나 지반이 움직이는 진동에 의해 이음부에 손상이 발생되면서 누수가 발생되는 사례가 많았다.
이러한 이음부에서의 누수 방지를 위하여 이미 특허등록 제0997534호(2010.11.24. 명칭:상수도용 클램프 이음관)를 비롯해서 매우 많은 기술이 제안되고, 실제 적용한 사례도 많다.
상수도관을 연결하는 종래 기술의 상수도관은 재질과 직경 및 단부의 형상에 따라서도 전혀 다른 연결구성이 적용되기도 한다.
즉 상수도관이 콘크리트재인 경우나 통상 도로 등에 매설되는 스틸재의 관 또는 각 사용가구로 유도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PVC 또는 스틸관 등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재질과 직경 및 단부에 동일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지 아님 플랜지면을 형성하는 구성인지에 따라서도 관연결구조는 매우 다르게 구현될 수가 있다.
이중 흔히 도로 등에 매설되는 스틸재의 상수관은 단부가 동일한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구조에서는 관구경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나사식 결합은 사용할 수가 없고, 전술한 종래특허 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이음관을 이용하거나 클램프를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관이음구조는 대개 관의 계절적 변화에 따른 길이의 신축작용에 대한 대응에 용이하게 구성될 뿐 구경의 팽창과 수축이나 지반굴착 등과 같은 외적 요인으로 인한 직경 방향으로의 휨 등에 의한 변형에 대해서는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누수를 유발시키면서 대량의 물손실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특허등록 제0997534호(2010.11.24.) 명칭:상수도용 클램프 이음관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관과 관에 각각 연결되는 플랜지관과 이들 플랜지관의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는 패킹간을 쇄기형으로 상호 밀착되게 연결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한 상수관의 결합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의 길이 방향 또는 직경 방향으로의 외력 및 휨변형에 대해서도 실링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제1 상수관과 제2 상수관의 마주보는 각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각각 삽입되게 하고, 상기 각 상수관의 외주면 안쪽에서부터 단부에 이르는 길이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커지도록 외주면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관형 패킹; 길이가 상기 관형 패킹보다는 짧게 형성되고, 내경은 각 상기 상수관들의 외주면보다는 크며,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관형 패킹의 외주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관형 패킹의 외주면으로 압입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관연결부와 상기 상수관들 단부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관연결부의 일단을 수직으로 절곡시켜 일정한 반경으로 연장되게 형성하는 플랜지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상수관들에서 상호 마주보게 구비되는 상기 플랜지부의 각 판면에는 일정 반경의 간격마다 트랜치형상으로 요철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연 단부를 따라서는 일정 각도마다 복수 개의 체결홀을 형성하는 플랜지 연결관; 일측의 상기 상수관에 결합되는 상기 플랜지관의 플랜지부에 형성한 요철에 일측면이 마춤 결합되도록 요철을 형성하고, 외주면은 상기 요철형성면측 단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제1 링형 패킹; 상기 제1 링형 패킹의 외측에서 일정 반경을 이격시켜 형성하며, 일측의 상기 상수관에 결합되는 상기 플랜지관의 플랜지부에 형성한 요철에 일측면이 마춤 결합되도록 요철을 형성하고, 내주면은 상기 요철형성면측 단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제2 링형 패킹; 상기 제1 링형 패킹과 제2 링형 패킹이 결합되는 일측의 상기 플랜지관과 대응되게 구비되는 타측의 상기 상수관에 결합되는 상기 플랜지관의 플랜지부에 형성한 요철에 일측면이 마춤 결합되도록 요철을 형성하고, 내주면은 상기 제1 링형 패킹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면서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게 하며, 외주면은 상기 제2 링형 패킹의 내주면보다는 작게 형성되면서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1 링형 패킹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링형 패킹의 내주면 사이로 면간 압착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3 링형 패킹;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상기 플랜지 연결관들간 각 체결홀을 통해 일측으로부터 볼트를 관통시켜 체결되게 하고, 타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되는 상기 볼트의 단부에 스프링을 탄설시켜 너트를 체결시켜 상기 플랜지 연결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플랜지 연결관들의 각 플랜지부와 함께 상기 연결부재들을 동시에 외측에서 감싸도록 하는 반원형의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내주면으로는 상기 플랜지 연결관들의 외주연 단부에 밀착되도록 쿠션재가 부착되며, 상하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면서 단면간 밀착되도록 하며, 마주보는 단면측 외주연 단부로부터 외측으로는 일정면적으로 연장한 연결부를 형성하며, 상하부의 상기 연결부간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를 통해 관 연결 시 쐐기방식으로 면간 밀착되게 하여 보다 견고하고 긴밀한 결합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이음부가 절곡되더라도 항상 안정된 실링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안정된 급수와 안전한 배관 관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은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를 결합한 반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의 관형 패킹을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의 플랜지 연결관을 일부 확대 예시한 부분 반단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를 결합한 반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제1 상수관(10)과 제2 상수관(20)과 관형 패킹(30)과 플랜지 연결관(40)과 제1 링형 패킹(50)과 제2 링형 패킹(60)과 제3 링형 패킹(70)와 연결부재(80) 및 보호커버(9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상수관 연결구조는 한 쌍의 상수관(10,2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상수관(10)과 제2 상수관(20)은 각각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는 통상 규격화되어 다양한 길이로서 구비되고 있다.
이들 상수관(10,20)은 콘크리트도관이나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상수관(10,20)은 금속재질의 상수관에 적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관형 패킹(30)은 비교적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며, 일정 길이를 갖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관형 패킹(30)은 각 상수관(10,20)들간 마주보는 각 단부측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각 상수관(10,20)에 삽입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의 관형 패킹을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형 패킹(30)은 각 상수관(10,20)에서 외주면 안쪽의 일단으로부터 단부측으로 타단이 위치되게 하면서 일단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점차 두께가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즉, 관형 패킹(30)은 외주면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수관(10,20)의 단부측의 단부가 가장 두께가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관형 패킹(30)은 고무 등과 같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랜지 연결관(40)은 다시 관연결부(41)와 플랜지부(42)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의 플랜지 연결관을 일부 확대 예시한 부분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 연결관(40)의 관연결부(41)는 길이가 관형 패킹(30)보다는 짧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내경은 관형 패킹(30)의 외주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되 가장 큰 내경은 관형 패킹(30)의 가장 큰 단부측 외경보다는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관연결부(41)의 내경은 최소한 상수관(10,20)들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연결부(41)는 관형 패킹(3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부터 단부측으로 압입되면서 관형 패킹(30)이 더욱 상수관(10,20)들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수관(10,20)과 관형 패킹(30) 및 관연결부(41)를 긴밀하게 밀착 고정시키도록 한다.
플랜지 연결관(40)에서 관연결부(41)의 상수관(10,20) 단부측의 일단부는 수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일정한 반경으로 연장되게 함으로써 플랜지부(42)를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양측 상수관(10,20)들의 단부에서 플랜지 연결관(40)은 플랜지부(42)들간 상호 마주보게 구비된다.
플랜지부(42)에는 상호 마주보는 판면에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반경의 간격마다 트랜치형상의 요철(420)을 형성하도록 한다.
플랜지부(42)에 형성되는 요철(420)은 반경방향으로 복수 층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플랜지부(42)의 외주연 단부에는 주연부를 따라 일정 각도마다 체결홀(421)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 링형 패킹(50)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일측면에는 제1 상수관(10)에 연결된 플랜지 연결관(40)의 플랜지부(42)간 상호 마주보는 면에 형성한 요철(420)들 중 내경측으로 형성되는 요철(420)에 마춤 결합되도록 하는 요철(51)을 형성되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제1 링형 패킹(50)은 외주면이 요철(51)을 형성한 면측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일정 각도로서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플랜지 연결관(40)의 플랜지부(42)에서 제1 링형 패킹(50)의 외측으로는 일정 반경을 이격하여 제2 링형 패킹(60)을 구비한다.
제2 링형 패킹(60)은 제1 링형 패킹(50)과 마찬가지로 일측면으로는 제1 링형 패킹(50)이 결합되는 플랜지관(40)의 플랜지부(42)에 형성한 요철(420)에 마춤 결합되도록 요철(61)을 형성하고, 내주면에는 요철(61)이 형성된 면측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일정 각도로서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 링형 패킹(50)과 제2 링형 패킹(60)이 마춤결합되는 플랜지 연결관(40)의 플랜지부(42)와 마주보게 구비되는 플랜지 연결관(40)의 플랜지부(42)에는 제1 링형 패킹(50)과 제2 링형 패킹(60)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3 링형 패킹(70)이 마춤 결합되도록 한다.
제3 링형 패킹(70)이 결합되는 플랜지부(42)에도 제1 링형 패킹(50)과 제2 링형 패킹(60)이 결합되는 플랜지부(42)에서와 동일한 형상으로 요철(420)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제3 링형 패킹(70) 또한 일측면은 플랜지부(42)의 요철(420)에 마춤 결합되도록 요철(71)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3 링형 패킹(70)에는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제2 링형 패킹(60)의 내주면과 제1 링형 패킹(50)의 외주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3 링형 패킹(70)의 외주면은 제2 링형 패킹(60)의 내주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내주면은 제1 링형 패킹(50)의 외주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제1 링형 패킹(50)과 제2 링형 패킹(60) 사이의 중간 반경과 제3 링형 패킹(70)의 두께 중간 반경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제3 링형 패킹(70)의 외주면은 제2 링형 패킹(60)의 내주면보다는 직경이 보다 크고, 내주면은 제1 링형 패킹(50)의 외주면보다는 직경이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제1 링형 패킹(50)과 제2 링형 패킹(60)의 사이로 제3 링형 패킹(70)이 수평으로 삽입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양측의 제1 상수관(10)과 제2 상수관(20)에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플랜지 연결관(40)들은 플랜지면(42)들을 연결부재(80)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연결부재(80)는 볼트(81)와 너트(82) 및 스프링(83)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양측의 플랜지면(42)에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한 체결홀(420)을 통하여 일측의 플랜지면(42)으로부터 볼트(81)가 삽입되어 타측의 플랜지면(42)을 관통해서 돌출되도록 하고, 이렇게 돌출된 볼트(81)의 선단으로 스프링(83)과 너트(82)를 체결하면서 볼트(81) 또는 너트(82)를 조여 양측의 플랜지면(41)들간 이격 간격이 좁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부재(80)에서 스프링(83)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면(42)과 너트(82)의 사이로 체결되게 할 수도 있으나, 볼트(81)의 머리부와 플랜지면(82)의 사이에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중 보호커버(90)는 전술한 연결부재(80)들에 의해 결합된 양측의 플랜지부(420)들을 단면부와 함께 양측면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만 보호커버(90)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도록 하고, 분리된 상부와 하부의 서로 접하는 각 단부측의 외주연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일정면적의 판면이 연장되게 하여 연결부(91)를 형성하고, 상하부 연결부(91)는 볼트(910)와 너트(911)에 의해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보호커버(90)에 의해서는 양측의 플랜지부(420)들과 함께 이들 플랜지부(42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80)들도 동시에 수용되도록 하고, 보호커버(90)의 내주면으로는 쿠션재(92)가 부착되게 하여 이 쿠션재(92)에 의해서 플랜지부(420)의 외주연 단부를 압착하면서 커버하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수관(10)과 상수관(20)을 연결하는 이음부에 대한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상수관(10,20)에는 각 단부에 우선 플랜지 연결관(40)이 삽입되게 한 후 바로 관형 패킹(30)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수관(10,20)의 각 단부에 삽입된 관형 패킹(30)의 외주면으로 플랜지 연결관(40)이 위치되도록 플랜지 연결관(40)의 관연결부(41)가 삽입되도록 한다.
관형 패킹(30)의 외주면과 플랜지 연결관(40)의 관연결부(41)의 내주면은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관형 패킹(30)의 내측 단부를 잡고 플랜지 연결관(40)의 관연결부(41)측 내측 단부를 강제적으로 밀게 되면 상수관(10,20)의 단부에서 관형 패킹(30)이 쐐기의 기능을 하면서 플랜지 연결관(40)의 관연결부(41)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플랜지 연결관(40)이 각 상수관(10,20)에 고정연결되면, 제1 상수관(10)에 연결된 플랜지 연결관(40)의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플랜지부(42)의 요철(420)에 제1 링형 패킹(50)과 함께 제2 링형 패킹(50)측의 요철(51,61)이 일정 반경의 간격을 이격하여 마춤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상수관(10)측 플랜지 연결관(40)과 상호 마주보게 제2 상수관(20)에 연결되는 플랜지 연결관(40)의 플랜지부(42)에는 제1 링형 패킹(50)과 제2 링형 패킹(60)의 사이에 제3 링형 패킹(70)이 마춤 결합되도록 한다.
즉 제2 상수관(20)에 연결된 플랜지 연결관(40)의 플랜지부(42)에도 그와 마주보게 구비되는 플랜지부(42)와 동일하게 요철(420)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어, 제3 링형 패킹(70)의 일측면으로 형성한 요철(71)이 플랜지부(42)의 요철(420)에 마춤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각 플랜지 연결관(40)의 플랜지부(42)로 제1, 2 링형 패킹(50,60)과 함께 제3 링형 패킹(70)이 마춤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양측의 플랜지부(42)간은 외주연측으로 형성되도록 한 각 체결홀(421)을 통해 연결부재(80)를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연결부재(80)의 볼트(81) 또는 너트(82)를 회전시키게 되면 양 플랜지부(42)간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서 제1 링형 패킹(50)과 제2 링형 패킹(60)의 사이로 제3 링형 패킹(70)이 긴밀하게 압입되는 상태가 된다.
제1 링형 패킹(50)과 제2 링형 패킹(60) 사이로 제3 링형 패킹(70)이 삽입되면서 제3 링형 패킹(70)의 내주면은 제1 링형 패킹(5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제3 링형 패킹(70)의 외주면은 제2 링형 패킹(6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연결부재(80)의 조작에 의해 양 플랜지부(42)간 간격을 좁혀지게 하므로서 패킹들간 밀착력이 더욱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플랜지부(42)간 사이 간격 조절은 볼트(81)에 미리 표시된 부위까지 할 수도 있고, 더 이상 볼트(81)나 너트(82)에 의한 조절이 안될 때까지 할 수도 있다.
플랜지부(42)간을 연결부재(80)를 이용해서 견고하게 연결시키게 되면 양 플랜지간(42)의 제1 상수관(10)과 제2 상수관(20) 사이 이음부는 반경 방향으로 제1 링형 패킹(50)과 제3 링형 패킹(70)과 제2 링형 패킹(60)의 면간 밀착에 의해 이중의 실링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이중 실링 구조는 이음부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변형 즉 각 상수관(10,20)들의 열적 팽창과 수축 등의 발생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실링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반 굴착 등과 같은 외적 충격에 의해 이 이음부에 수직 방향으로의 변위가 발생되더라도 이중의 실링 중 내측의 실링성이 저하되면 외측의 실링성은 더욱 강화되는 구조이므로 결코 외부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견고한 결합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들 이음부를 외부로부터 보호커버(90)에 의해 커버되게 한 후 상하부 보호커버(90)를 연결부(91)간 볼트(910)와 너트(911)의 체결에 의해 고정시키게 되면 상수관을 매립 시 이음부의 연결부재(80)가 쉽게 녹슬지 않도록 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1차적으로 보호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배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0 : 제1 상수관 20 : 제2 상수관
30 : 관형 패킹 40 : 플랜지 연결관
41 : 관연결부 42 : 플랜지부
420 : 요철 421 : 체결홀
50 : 제1 링형 패킹 60 : 제2 링형 패킹
70 : 제3 링형 패킹 51, 61, 71 : 요철
80 : 연결부재 90 : 보호커버

Claims (1)

  1. 한 쌍의 제1 상수관(10)과 제2 상수관(20)의 마주보는 각 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각각 삽입되게 하고,
    상기 각 상수관(10,20)의 외주면 안쪽에서부터 단부에 이르는 길이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커지도록 외주면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관형 패킹(30);

    길이가 상기 관형 패킹(30)보다는 짧게 형성되고, 내경은 각 상기 상수관(10,20)들의 외주면보다는 크며,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관형 패킹(30)의 외주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관형 패킹(30)의 외주면으로 압입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관연결부(41)와 상기 상수관(10,20)들 단부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관연결부(41)의 일단을 수직으로 절곡시켜 일정한 반경으로 연장되게 형성하는 플랜지부(4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상수관(10,20)들에서 상호 마주보게 구비되는 상기 플랜지부(42)의 각 판면에는 일정 반경의 간격마다 트랜치형상으로 요철(420)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부(42)의 외주연 단부를 따라서는 일정 각도마다 복수 개의 체결홀(421)을 형성하는 플랜지 연결관(40);

    일측의 상기 상수관(10,20)에 결합되는 상기 플랜지 연결관(40)의 플랜지부(42)에 형성한 요철(420)에 일측면이 마춤 결합되도록 요철(51)을 형성하고,
    외주면은 상기 요철(51)을 형성한 면측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제1 링형 패킹(50);

    상기 제1 링형 패킹(50)의 외측에서 일정 반경을 이격시켜 형성하며,
    일측의 상기 상수관(10)에 결합되는 상기 플랜지 연결관(40)의 플랜지부(42)에 형성한 요철에 일측면이 마춤 결합되도록 요철(61)을 형성하고,
    내주면은 상기 요철형성면측 단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제2 링형 패킹(60);

    상기 제1 링형 패킹(50)과 제2 링형 패킹(60)이 결합되는 일측의 상기 플랜지 연결관(40)과 대응되게 구비되는 타측의 상기 상수관(20)에 결합되는 상기 플랜지 연결관(40)의 플랜지부(42)에 형성한 요철에 일측면이 마춤 결합되도록 요철(71)을 형성하고,
    내주면은 상기 제1 링형 패킹(50)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면서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게 하며,
    외주면은 상기 제2 링형 패킹(60)의 내주면보다는 작게 형성되면서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1 링형 패킹(50)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링형 패킹(60)의 내주면 사이로 면간 압착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3 링형 패킹(70);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상기 플랜지 연결관(40)들간 각 체결홀(421)을 통해 일측으로부터 볼트(81)를 관통시켜 체결되게 하고,
    타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되는 상기 볼트(81)의 단부에 스프링(83)을 탄설시켜 너트(82)가 체결되게 하여 상기 플랜지 연결관(4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80);

    상기 플랜지 연결관(40)들의 각 플랜지부(42)와 함께 상기 연결부재(80)들을 동시에 외측에서 감싸도록 하는 반원형의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내주면으로는 상기 플랜지 연결관(40)들의 외주연 단부에 밀착되도록 쿠션재(92)가 부착되며, 상하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면서 단면간 밀착되도록 하며,
    마주보는 단면측 외주연 단부로부터 외측으로는 일정면적으로 연장한 연결부(91)를 형성하며,
    상하부의 상기 연결부(91)간은 볼트(910)와 너트(911)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는 보호커버(9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KR1020130000805A 2013-01-03 2013-01-03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KR10126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805A KR101267263B1 (ko) 2013-01-03 2013-01-03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805A KR101267263B1 (ko) 2013-01-03 2013-01-03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263B1 true KR101267263B1 (ko) 2013-05-27

Family

ID=4866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805A KR101267263B1 (ko) 2013-01-03 2013-01-03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2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776B1 (ko) 2014-03-04 2014-06-17 (주)한도엔지니어링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CN108626886A (zh) * 2017-03-20 2018-10-09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一种热水器进出水绝缘结构
CN111288233A (zh) * 2018-12-07 2020-06-16 江苏金泰密封科技有限公司 一种管道弹性密封件
CN114542822A (zh) * 2022-02-21 2022-05-27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风管法兰部位的保温结构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929Y1 (ko) 2006-02-28 2006-05-22 정영제 일체형 플렌지식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0692102B1 (ko) 2005-11-18 2007-03-12 주식회사 삼천리 가스배관의 가스누설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102B1 (ko) 2005-11-18 2007-03-12 주식회사 삼천리 가스배관의 가스누설 차단장치
KR200416929Y1 (ko) 2006-02-28 2006-05-22 정영제 일체형 플렌지식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776B1 (ko) 2014-03-04 2014-06-17 (주)한도엔지니어링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CN108626886A (zh) * 2017-03-20 2018-10-09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一种热水器进出水绝缘结构
CN108626886B (zh) * 2017-03-20 2023-10-24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一种热水器进出水绝缘结构
CN111288233A (zh) * 2018-12-07 2020-06-16 江苏金泰密封科技有限公司 一种管道弹性密封件
CN114542822A (zh) * 2022-02-21 2022-05-27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风管法兰部位的保温结构和方法
CN114542822B (zh) * 2022-02-21 2023-08-04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风管法兰部位的保温结构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8372B2 (ja) 管継手
US4779900A (en) Segmented pipe joint retainer glands
KR101916892B1 (ko) 패스트 그루브 조인트
JP6142427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KR101267263B1 (ko)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KR101512940B1 (ko) 상수도용 배관의 연결 구조
KR100977308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101844820B1 (ko) 내압성능이 향상된 신축 관 이음장치
CN201774215U (zh) 电缆与波浪管防水接头
JP6262544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環状保護部材
JP6300609B2 (ja) 離脱防止装置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20130074394A (ko) 파이프 연결구
KR20160086657A (ko) 관연결장치
US10837584B2 (en) Restraint device
JP6327897B2 (ja)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
KR102276622B1 (ko) 너트형 이탈방지압륜을 이용한 관의 결합 구조
JP2015124801A (ja) 管継手
JP5791005B2 (ja) 管継手用ロックリング
KR20200041255A (ko) 액티브 그루브 조인트를 이용한 파이프 조인트방법
KR20210046188A (ko)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KR200480413Y1 (ko) 배관의 이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