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616B1 -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 Google Patents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616B1
KR102664616B1 KR1020230148663A KR20230148663A KR102664616B1 KR 102664616 B1 KR102664616 B1 KR 102664616B1 KR 1020230148663 A KR1020230148663 A KR 1020230148663A KR 20230148663 A KR20230148663 A KR 20230148663A KR 102664616 B1 KR102664616 B1 KR 102664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lamp bar
pipe
coupling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훈
Original Assignee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3014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수관들을 연결하는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을 제공한다. 상기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는 중공 형상을 이루며, 일정 길이를 갖는 주름관 몸체부와, 상기 주름관 몸체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들 각각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단차홈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의 단차홈의 내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기밀링 설치홈들에 배치된 기밀링들과, 상기 한 쌍의 결합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기밀링 설치홈의 내측에서 상기 기밀링들을 돌출시키는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Manhole in complex with underground drain pipe connection unit for earthquake resistance and water leak prevention}
본 발명은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관들 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되, 배수관의 단부에서 다중의 기밀을 형성하도록 결합시키고,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배수관들 간 연결 부분에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틀어짐이 발생되거나 혹여 외부로의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콘크리트 하수관로의 파손으로 인하여 도로에 침하가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하수관, 상수관 등 많은 지중구조물들을 지속적으로 지중에 매립된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하수관로는, 일측에 확장개구가 형성된 콘크리트 흄관을 연속하여 끼움연결한 후 끼움부분의 간극에 콘크리트 몰탈을 충진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었다. 이러한 하수관로의 타단은 맨홀로부터 오수가 유동되어 배수 유로를 이룬다.
그러나 지반이 침하하거나 자중에 의해 콘크리트 흄관들의 연결부에서 처짐이 발생하면서 메움된 콘크리트 몰탈이 깨지고, 그 사이로 하수가 누출됨에 따라 토사의 오염 발생은 물론, 지반침하 및 싱크홀이 발생되게 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예의 하나로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52819호의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하수관 연결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52819호의 하수관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절단된 상태로 그 절단된 면에 밀착부(64)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 개의 측면 연결부(60)가 형성된 연결밴드(56,58)를 각 콘크리트 흄관(50,52)의 이음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밀착부(64)을 고정볼트로 체결하여 흄관에 연결밴드(56,58)가 고정 설치되게 하고, 인접한 흄관(50,52)에 각 고정 설치된 연결밴드(56,58)의 연결부(60)를 체결볼트(70)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흄관(50,52)들이 이음 연결되도록 한다. 이들 흄관(50,52)들 사이에는 고무 개스켓(55)이 삽입된다.
이러한 하수관 연결구조는 체결볼트(70)를 강하게 조임하여 인장응력을 유발시킴으로써 큰 결합력을 가지면서 고무 개스켓(55)에 의해 하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등록번호 20-0252819호의 하수관 연결구조는 연결밴드(56,58)을 흄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의 1차 체결작업을 한 후, 이들 각 연결밴드(56,58)의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볼트의 2차 체결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2차례 체결작업을 해야 할 뿐 아니라, 고정볼트의 1차 체결작업 후에도 체결볼트(70)의 체결을 위해 2개의 연결밴드(56,58)사이의 각 연결부(60)에 구비된 관통공을 일치시키는 정렬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진다.
더욱이 상기 연결밴드(56,58)는 특정한 흄관의 외경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하수관로의 설계에 따라 규격이 달라지는 흄관에 대하여는 전혀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흄관을 암수체결 후, 그 부분에 밴드를 설치하고, 각 밴드에서 연결축을 사용하여 각 밴드에 구비되는 고정부분에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하되, 체결 부위에서 일정 각도 회전 조절을 하여 너트를 조여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을 완성하고, 흙을 메워 설치를 완료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흄관들 간의 밀착결합 및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기는 하나, 지중에 매립된 상태에서 지중에서 지진 또는 외부의 충격 또는 지중 자체의 흙이 무르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조여지거나 결합된 부분에서의 결합력이 하락되어 결국에는 연결 부위가 파손되거나 사방으로의 틀어짐이 발생되어 오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5884호(등록일자: 2014년 1월 2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배수관들 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되, 배수관의 단부에서 다중의 기밀을 형성하도록 결합시키고,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배수관들 간 연결 부분에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틀어짐이 발생되거나 혹여 외부로의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수관들을 연결하는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을 제공한다.
상기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는, 중공 형상을 이루며, 일정 길이를 갖는 주름관 몸체부와, 상기 주름관 몸체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들 각각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단차홈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의 단차홈의 내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기밀링 설치홈들에 배치된 기밀링들과, 상기 한 쌍의 결합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기밀링 설치홈의 내측에서 상기 기밀링들을 돌출시키는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관들 각각의 단부 외주에는, 상기 단차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단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의 외주에는, 상기 기밀링들이 끼워져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끼움홈들이 형성된다.
상기 기밀링들이 상기 돌출부들을 통해 돌출되면, 상기 돌출되는 기밀링들은 상기 끼움홈들에 가압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관 몸체부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링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 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주름관을 구비하되,
상기 주름관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다중의 단위 주름관을 형성하고,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의 내부 공간에는, 설정된 진공도가 형성되고,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단위 주름관의 둘레에는, 일정 두께의 탄성층이 코팅 처리되고,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에는, 일정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 와이어들이 매설되되,
상기 탄성 와이어들은,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어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설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각각의 둘레 다수 위치에는, 클램프들이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들 각각은, 힌지단과, 일정 길이를 이루는 클램프 바와, 상기 클램프 바의 끝단에서 절곡되는 고정단과, 상기 힌지단과 축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클램프 바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관들 각각의 단부 둘레에는, 회전되는 상기 클램프 바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고정단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들이 형성되되,
상기 클램프 바는, 상기 힌지단과 연결되는 제 1클램프 바와, 상기 고정단이 형성되는 제 2클램프 바와, 신축되는 축을 갖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 1클램프 바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축은, 상기 제 2클램프 바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축을 신축시키고,
상기 제 1클램프 바와 상기 제 2클램프 바의 사이는, 가요성의 커버 튜브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축을 갖는 실린더를 에워싸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주름관 몸체부는,
내식성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커버관에 의해 에워싸이고,
상기 커버관의 양단에는,
제 1결합홀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한 쌍의 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홀의 내주 단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2결합홀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커버관과 상기 한 쌍의 결합판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설정된 진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커버관은, 한 쌍의 단위 커버관과, 상기 한 쌍의 단위 커버관의 사이를 연결하고 탄성을 갖는 가요성의 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돌출부들 각각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신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들은, 상기 기밀링 설치홈의 내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축의 끝단은, 상기 기밀링에 고정되되,
상기 기밀링의 내부에는, 일정의 강도를 갖는 고정링이 매설되고,
상기 제 1축은, 상기 기밀링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링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부는,
압축 공기 공급부와 더 연결되고,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설정되는 압력을 갖는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압축 공기 제공기와,
상기 압축 공기 제공기와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압축 공기 공급 튜브들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 공기 공급 튜브들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삽입홀들을 통해 끼워져 상기 기밀링 설치홈들 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공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기밀링 설치홈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커버관은,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 상에는 배출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관의 내부에는,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수분이 기설정되는 이상 수분에 이르면, 상기 배출 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수분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출관에서 방향 제어 밸브의 구동을 통해 분기되어 단부가 상기 커버관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커버관의 일정 위치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관이 더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관 상에는, 바이패스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관에는, 가열 코일이 매설되고,
상기 가열 코일은 전류 제공기의 제어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수분이 기설정되는 최소 수분 이상 상기 기설정되는 이상 수분 미만의 사이를 이루는 경우,
상기 전류 제공기를 사용하여 상기 가열 코일을 일정 온도로 일정 시간 가열 시킨 이후에, 상기 커버관의 내부에 발생된 수분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유동되는 수분을 상기 방향 제어 밸브를 사용하여 상기 바이패스 관을 통해 유동되도록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 펌프를 통해 상기 수분을 상기 가열 코일을 통해 가열되는 상기 바이패스 관을 통해 상기 커버관의 내부로 유동시킨다.
상기의 과제를 통하여 본 발명은 배수관들 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되, 배수관의 단부에서 다중의 기밀을 형성하도록 결합시키고,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배수관들 간 연결 부분에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틀어짐이 발생되거나 혹여 외부로의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몸체부가 단위 주름관으로 구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한 쌍의 결합부에 클램프들이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클램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주름관 몸체부이 내식성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커버관에 의해 에워싸이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관이 한 쌍의 단위 커버관으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 가요성의 연결관이 연결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제 1실린더를 보여주는 확대 도면이다.
도 10은 기밀링이 배치되는 기밀링 설치홈에 압축 공기를 추가로 제공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관이 배출관과 연결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관의 일정 위치에 바이패스 관이 더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중에 매설되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수관들을 연결하는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는 맨홀(1)에 연결되어 맨홀로부터 배수되는 오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2)는 중공 형상을 이루며, 일정 길이를 갖는 주름관 몸체부(100)와, 상기 주름관 몸체부(100)의 양단에 연결되고, 배수관들(10) 각각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단차홈(210)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200)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200)의 단차홈(210)의 내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기밀링 설치홈들(211)에 배치된 기밀링들(300)과, 상기 한 쌍의 결합부(200)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기밀링 설치홈들(211)의 내측에서 상기 기밀링들(300)을 돌출시키는 돌출부들(400)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관들(10) 각각의 단부 외주에는, 상기 단차홈(210)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단(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11)의 외주에는, 상기 기밀링들(300)이 끼워져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끼움홈들(12)이 형성된다.
상기 기밀링들(300)이 상기 돌출부들(400)을 통해 돌출되면, 상기 돌출되는 기밀링들(300)은 상기 끼움홈들(12)에 가압 밀착된다.
지진 발생 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는 주름관 몸체부(100)가 휘어지면서 진동을 흡수한다. 지진 발생 시 지반의 움직임에 의해 배수관들(10)이 이탈하려고 하는 경우, 기밀링들(300)이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이탈을 방지한다.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더라도, 기밀링들(300)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는 내진성 및 누수 방지 성능을 향상시켜,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의 장점에 대한 설명이다.
주름관 몸체부(100)로 이루어져 있어, 지진 발생 시 진동을 흡수하여 내진성을 향상시킨다.
기밀링들(300)이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주름관 몸체부(100)는 유연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기밀링들(300)은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몸체부가 단위 주름관으로 구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주름관 몸체부(10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링 부재(11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 부재(110)의 사이를 연결하는 주름관(120)을 구비한다.
상기 주름관(12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다중의 단위 주름관(121)을 형성한다.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121)의 내부 공간에는, 설정된 진공도가 형성된다.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121)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단위 주름관(121)의 둘레에는, 일정 두께의 탄성층(미도시)이 코팅 처리된다.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121)에는, 일정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 와이어들(122)이 매설된다.
상기 탄성 와이어들(122)은,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121)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어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설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몸체부는 단위 주름관(121)으로 구성된다. 단위 주름관(121)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는 설정된 진공도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이루어진다.
단위 주름관(121)은 휘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지진 발생 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는 단위 주름관(121)이 휘어지면서 진동을 흡수하여 내진성을 향상시킨다.
단위 주름관(121)의 내부 공간에는 설정된 진공도가 형성된다. 진공 상태에서는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단위 주름관(121)이 휘어지더라도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단위 주름관(121)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지진 발생 시 지반의 움직임에 의해 배수관들(10)이 충격을 받더라도, 단위 주름관(121)이 탄성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배수관들(10)을 보호할 수 있다.
단위 주름관(121)은 교체가 용이하다. 따라서,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단위 주름관(121)을 교체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몸체부가 단위 주름관으로 구성되는 경우, 기존의 주름관 몸체부 대비 우수한 내진성, 누수 방지, 충격 흡수, 유지 보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 몸체부가 단위 주름관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장점에 대한 설명이다.
단위 주름관(121)은 휘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지진 발생 시 진동을 흡수하여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위 주름관(121)의 내부 공간에는 설정된 진공도가 형성되어,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단위 주름관(121)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지반의 움직임에 의해 배수관들(10)이 충격을 받더라도 충격을 흡수하여 배수관들(10)을 보호할 수 있다.
단위 주름관(121)은 교체가 용이하여,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손쉽게 교체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한 쌍의 결합부에 클램프들이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클램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한 쌍의 결합부(200) 각각의 둘레 다수 위치에는, 클램프들(220)이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들(220) 각각은, 상기 한 쌍의 결합부(200)의 둘레에 설치되는 힌지단(221)과, 일정 길이를 이루는 클램프 바(222)와, 상기 클램프 바(222)의 끝단에서 절곡되는 고정단(223)과, 상기 힌지단(221)과 축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어기(9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클램프 바(222)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224)를 구비한다.
상기 배수관들(10) 각각의 단부 둘레에는, 회전되는 상기 클램프 바(222)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고정단(223)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들(13)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램프 바(222)는, 상기 힌지단(221)과 연결되는 제 1클램프 바(222-1)와, 상기 고정단(223)이 형성되는 제 2클램프 바(222-2)와, 신축되는 축(225a)을 갖는 실린더(225)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225)는, 상기 제 1클램프 바(222-1)의 타단에 연결된다.
상기 축(225a)은, 상기 제 2클램프 바(222-2)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225)는, 상기 제어기(9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축(225a)을 신축시킨다.
상기 제 1클램프 바(222-1)와 상기 제 2클램프 바(222-2)의 사이는, 가요성의 커버 튜브(226)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축(225a)을 갖는 실린더(225)를 에워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실린더(225)가 축(225a)을 신축시켜 클램프 바(222)를 조이면, 고정단(223)이 배수관들(10)의 단부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들(13)에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클램프의 조임 정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실린더(225)의 신축량을 조절하여 클램프 바(222)의 조임 정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들(10)이 결합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클램프 바(222)는 실린더(225)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실린더(225)를 조정하여 클램프 바(22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기존의 클램프 대비 우수한 누수 방지, 조임 정도 조절, 설치 및 유지 보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는 한 쌍의 결합부(200) 각각의 둘레에 클램프들(220)이 설치된다. 클램프들(220)은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클램프들(22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클램프들(220)은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클램프들(220)을 통해 기존의 기밀링들(300)을 대체함으로써,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다.
클램프는 배수관들(10)이 결합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지진 발생 시 지반의 움직임에 의해 배수관들(10)이 이탈하려고 하는 경우, 클램프가 배수관들(10)을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여 내진성을 향상시킨다.
도 7은 주름관 몸체부이 내식성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커버관에 의해 에워싸이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주름관 몸체부(100)는 내식성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커버관(500)에 의해 에워싸인다.
상기 커버관(500)의 양단에는 제 1결합홀(511)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한 쌍의 결합판(5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결합홀(511)의 내주 단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200)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2결합홀(212)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커버관(500)과 상기 한 쌍의 결합판(510)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설정된 진공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관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커버관(500)은 내식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부식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관(500)은 주름관 몸체부(100)를 에워싸고 있어, 주름관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틈새를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관(500)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관(500)은 주름관 몸체부(100)의 양단에 끼워 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나 장비 없이도 손쉽게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관이 한 쌍의 단위 커버관으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 가요성의 연결관이 연결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제 1실린더를 보여주는 확대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버관(600)은, 한 쌍의 단위 커버관(610)과, 상기 한 쌍의 단위 커버관(610)의 사이를 연결하고 탄성을 갖는 가요성의 연결관(62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들(400) 각각은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신축되는 제 1축(411)을 갖는 제 1실린더들(41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실린더들(410)은, 상기 기밀링 설치홈(211)의 내측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 1축(410)의 끝단은, 상기 기밀링(300)에 고정된다.
상기 기밀링(300)의 내부에는, 일정의 강도를 갖는 고정링(310)이 매설된다. 상기 제 1축(410)은, 상기 기밀링(30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링(310)에 결합된다.
커버관(600)은 한 쌍의 단위 커버관(610)으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공구나 장비 없이도 손쉽게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단위 커버관(610)은 결합부(200)에 끼워 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나 장비 없이도 손쉽게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가요성의 연결관(620)은 커버관(60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여 진공을 유지하고,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커버관(600)은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위 커버관(610)은 결합부(200)에 끼워 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나 장비 없이도 손쉽게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가요성의 연결관(620)은 탄성이 있어, 커버관(60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여 진공을 유지하고,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기밀링이 배치되는 기밀링 설치홈에 압축 공기를 추가로 제공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 하면, 한 쌍의 결합부(200)는, 압축 공기 공급부(230)와 더 연결된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부(230)는 상기 제어기(90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되는 압력을 갖는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압축 공기 제공기(231)와, 상기 압축 공기 제공기(231)와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압축 공기 공급 튜브들(232)을 구비한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 튜브들(232)은 상기 한 쌍의 결합부(200)에 형성되는 삽입홀들(201)을 통해 끼워져 상기 기밀링 설치홈들(211) 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공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기밀링 설치홈(211)으로 공급한다. 이에 기밀링(300)이 끼움홈(12)에 압축 공기의 압력을 통해 더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공급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압축 공기는 기밀링 설치홈에 추가로 제공되어 기밀링이 배수관들(10)의 단부에 밀착되는 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기밀링의 밀착력이 향상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기밀링의 밀착력이 향상되면, 배수관들(10)의 단부와 결합부(200) 사이의 틈새가 더욱 줄어들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부는 기밀링의 밀착력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나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압축 공기 공급부는 압축 공기 제공기(231)와 압축 공기 공급 튜브들(232)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공구나 장비 없이도 손쉽게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압축 공기 제공기(231)는 공기 압축기를 사용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 튜브들(232)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기밀링 설치홈(211)에 쉽게 끼워져 밀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관이 배출관과 연결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 하면 커버관(600)은,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관(240)이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240) 상에는 배출 펌프(241)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관(600)의 내부에는,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 센서(242)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900)는, 상기 측정되는 수분이 기설정되는 이상 수분에 이르면, 상기 배출 펌프(241)를 사용하여 상기 수분을 상기 배출관(24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관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배출관(240)과 배출 펌프(241)가 연결되어 있어, 커버관(600) 내부에 축적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커버관(600) 내부에 수분을 배출하면, 배수관들(10)의 부식을 방지하고, 배수관들(10)의 내부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수분 센서(242)를 통해 커버관(600) 내부의 수분을 측정하여, 이상 수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배출펌프(241)를 작동시켜 수분을 배출한다. 따라서, 별도의 수동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수분을 배출할 수 있어 편리하다.
예를 들어, 배출관(240)은 PVC와 같은 내수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출 펌프(241)는 모터와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수분 센서(242)는 습도 센서와 같은 수분을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관의 일정 위치에 바이패스 관이 더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 하면 배출관(240)에서 방향 제어 밸브(250)의 구동을 통해 분기되어 단부가 상기 커버관(600)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커버관(600)의 일정 위치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관(26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 관(260) 상에는, 바이패스 펌프(261)가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 관(260)에는, 가열 코일(262)이 매설되고, 상기 가열 코일(262)은 전류 제공기(263)의 제어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시킨다.
상기 제어기(900)는, 상기 측정되는 수분이 기설정되는 최소 수분 이상 상기 기설정되는 이상 수분 미만의 사이를 이루는 경우, 상기 전류 제공기(263)를 사용하여 상기 가열 코일(262)을 일정 온도로 일정 시간 가열 시킨 이후에, 상기 커버관(600)의 내부에 발생된 수분을 상기 배출관(240)을 통해 유동되는 수분을 상기 방향 제어 밸브(250)를 사용하여 상기 바이패스 관(260)을 통해 유동되도록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 펌프(261)를 통해 수분을 유동시키되, 가열되는 가열 코일(262)을 통해 가열되는 상기 바이패스 관(260)을 통해 상기 커버관(600)의 내부로 유동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관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바이패스 관(260)을 통해 가열된 수분을 커버관(600)의 내부로 유동시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커버관(600) 내부에 수분을 제거하면, 배수관들(10)의 부식을 방지하고, 배수관들(10)의 내부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가열된 수분은 증발하기 쉬워, 수분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관(600) 내부의 수분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가열된 수분은 냉각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아, 수분 제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관(600) 내부의 수분을 보다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관(260)은 PVC와 같은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펌프(261)는 모터와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 코일(262)은 구리와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배수관들 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되, 배수관의 단부에서 다중의 기밀을 형성하도록 결합시키고,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배수관들 간 연결 부분에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틀어짐이 발생되거나 혹여 외부로의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 맨홀
2 :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
10 : 배수관
11 : 결합단
12 : 끼움홈
13 : 걸림홈
100 : 주름관 몸체부
110 : 연결링 부재
120 : 주름관
121 : 단위 주름관
122 : 탄성 와이어
200 : 결합부
201 : 삽입홀
210 : 단차홈
211 : 기밀링 설치홈
212 : 결합홀
220 : 클램프
221 : 힌지단
222 : 클램프 바
222-1 : 제 1클램프 바
222-2 : 제 2클램프 바
223 : 고정단
224 : 회전모터
225 : 실린더
225a : 축
226 : 커버 튜브
230 : 압축 공기 공급부
231 : 압축 공기 공급기
232 : 압축 공기 공급 튜브
240 : 배출관
241 : 배출 펌프
250 : 방향 제어 밸브
260 : 바이패스 관
261 : 바이패스 펌프
262 : 가열 코일
263 : 전류 제공기
300 : 기밀링
310 : 고정링
400 : 돌출부
410 : 제 1실린더
411 : 제 1축
500 : 커버관
510 : 결합판
511 : 제 1결합홀
600 : 커버관
610 : 단위 커버관
620 : 가요성 연결관
900 : 제어기

Claims (4)

  1.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에 있어서,
    상기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는,
    중공 형상을 이루며, 일정 길이를 갖는 주름관 몸체부와,
    상기 주름관 몸체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들 각각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단차홈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의 단차홈의 내주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기밀링 설치홈들에 배치된 기밀링들과,
    상기 한 쌍의 결합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기밀링 설치홈의 내측에서 상기 기밀링들을 돌출시키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관들 각각의 단부 외주에는, 상기 단차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단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의 외주에는, 상기 기밀링들이 끼워져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끼움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밀링들이 상기 돌출부들을 통해 돌출되면, 상기 돌출되는 기밀링들은 상기 끼움홈들에 가압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 몸체부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링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 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주름관을 구비하되,
    상기 주름관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다중의 단위 주름관을 형성하고,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의 내부 공간에는, 설정된 진공도가 형성되고,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단위 주름관의 둘레에는, 일정 두께의 탄성층이 코팅 처리되고,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에는, 일정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 와이어들이 매설되되,
    상기 탄성 와이어들은,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의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어 상기 다중의 단위 주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 각각의 둘레 다수 위치에는, 클램프들이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들 각각은, 힌지단과, 일정 길이를 이루는 클램프 바와, 상기 클램프 바의 끝단에서 절곡되는 고정단과, 상기 힌지단과 축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클램프 바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관들 각각의 단부 둘레에는, 회전되는 상기 클램프 바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고정단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들이 형성되되,
    상기 클램프 바는, 상기 힌지단과 연결되는 제 1클램프 바와, 상기 고정단이 형성되는 제 2클램프 바와, 신축되는 축을 갖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 1클램프 바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축은, 상기 제 2클램프 바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축을 신축시키고,
    상기 제 1클램프 바와 상기 제 2클램프 바의 사이는, 가요성의 커버 튜브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축을 갖는 실린더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 몸체부는,
    내식성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커버관에 의해 에워싸이고,
    상기 커버관의 양단에는,
    제 1결합홀이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한 쌍의 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결합홀의 내주 단부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2결합홀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커버관과 상기 한 쌍의 결합판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설정된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KR1020230148663A 2023-10-31 2023-10-31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KR102664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8663A KR102664616B1 (ko) 2023-10-31 2023-10-31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8663A KR102664616B1 (ko) 2023-10-31 2023-10-31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616B1 true KR102664616B1 (ko) 2024-05-10

Family

ID=9107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8663A KR102664616B1 (ko) 2023-10-31 2023-10-31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6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84B1 (ko) 2011-09-26 2014-02-04 동원철강 주식회사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 강관의 연결구조
KR102316554B1 (ko) * 2021-06-22 2021-10-22 (주)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내진성을 가지는 지중 흄관 기초구조물
KR102533691B1 (ko) * 2023-01-27 2023-05-17 정근배 내진성능을 갖는 공동주택단지 내 맨홀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84B1 (ko) 2011-09-26 2014-02-04 동원철강 주식회사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 강관의 연결구조
KR102316554B1 (ko) * 2021-06-22 2021-10-22 (주)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내진성을 가지는 지중 흄관 기초구조물
KR102533691B1 (ko) * 2023-01-27 2023-05-17 정근배 내진성능을 갖는 공동주택단지 내 맨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1217B (zh) 管內面修補連接器
KR101683427B1 (ko) 부상방지기능과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밸브실
US5288108A (en) Bell joint repair clamp
US7118137B2 (en) Testable pipe joint
KR102664616B1 (ko)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CN108730671A (zh) 一种管道修复方法及经修复的管道
JP4932587B2 (ja) 軌道消雪装置
KR102285050B1 (ko) 파형강관이 사용된 내진형 맨홀
KR100937943B1 (ko)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KR101580154B1 (ko) 탄성 클램프가 구비된 배관 보수용 커플링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90008779A (ko)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101326657B1 (ko)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WO2008152369A1 (en) Reinforcing system
KR20040073067A (ko) 단열이중관의 신축이음장치
KR200165409Y1 (ko)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US20120049515A1 (en) Boltless Pipe Joint Assembly
RU2789171C2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манжеты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перехода трубопровода
RU2789170C2 (ru) Манжета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перехода трубопровода
JP4152475B2 (ja) バルブの安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68365B1 (ko)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89031B1 (ko)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KR102475769B1 (ko) 유니언 너트를 보호하는 클램프
KR200333419Y1 (ko)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
JPH04181088A (ja) 金属ベローズ付伸縮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