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365B1 -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365B1
KR102668365B1 KR1020230136347A KR20230136347A KR102668365B1 KR 102668365 B1 KR102668365 B1 KR 102668365B1 KR 1020230136347 A KR1020230136347 A KR 1020230136347A KR 20230136347 A KR20230136347 A KR 20230136347A KR 102668365 B1 KR102668365 B1 KR 102668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sewer pipe
cylinders
corrugated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세호
Original Assignee
(주)나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나우종합건축사사무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는,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맨홀 본체와, 상기 맨홀 본체의 하단 외측 둘레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1유로를 형성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2유로를 형성하는 하수관과, 상기 어댑터의 단부와 상기 하수관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외부 충격에 따라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도 제공한다.

Description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Earthquake-resistant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anhole adapter and sewer pi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본체에 형성되는 연결관과 하수관의 사이를 연결하되, 지진이 발생됨에 따르는 충격으로 인해 배관의 연결 부위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맨홀은 각종 토목, 건축공사를 함에 있어 우수, 오수, 폐수 등을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거 공사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되어 관거 내의 검사 또는 청소, 통풍, 환기 또는 접합, 분기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일종의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맨홀이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시공된 후 하부 둘레의 한쪽 또는 양쪽에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 연결된다.
이때, 맨홀은 콘크리트 구조물이고, 배수관은 콘크리트 흄관이나 플라스틱, 보통 PVC나 PE로 제조된다. 그리고, 배수관은 도 11의 예와 같이 조립된다.
맨홀벽(1)의 하부에 배수구(2)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2)에 배수관(3)이 끼워지며, 배수관(3)이 끼워진 배수구(2) 둘레를 모르타르(4)로 충진하여 누수를 방지하고 있다.
한편, 지진은 종방향으로 흔들리는 P파와 횡방향으로 흔들리는 S파, P파와 S파가 동시에 발생되는 L파로 구분되어 에너지를 전달하게 되는데, 지진 발생 후 전달되는 이와 같은 종류의 파동이 전달될 때 맨홀도 흔들리게 된다.
특히 맨홀벽(1)에 끼워져 있는 배수관(3)은 내진 설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맨홀벽(1)과 서로 엇갈리게 흔들림으로써 배수관(3), 배수관 연결부위인 모르타르(4)가 쉽게 파손되어 분리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5224호(등록일자: 2018년 08월 3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맨홀 본체에 형성되는 어댑터와 하수관의 사이를 연결하되, 지진이 발생됨에 따르는 충격으로 인해 배관의 연결 부위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맨홀에 형성되는 어댑터와 하수관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늘음 및 방향 가변에 따라 파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주름관 자체의 내부에 탄성 와이어들을 매설하여 주름관 자체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주름관의 내주에 격자 형상의 탄성 격자 층을 더 형성하여 지진으로 인해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와 하수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다중의 주름관으로 형성하되, 이들 사이에 진공층을 형성하고, 각 진공층에서의 진공도를 지진 발생에 따른 충격력에 설정된 비율로 비례되도록 증가시켜 충격이 연결부 자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의 양단을 어댑터와 하수관의 단부에 요철을 이루는 구조로 결합시키고, 연결부의 양단을 별도의 실린더들의 축을 사용하여 당기거나 돌출시킴에 따라 지진 발생시 지진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서의 연결부의 자세를 변경하고, 어댑터의 일단 외주에 탄성체를 구비하고, 이 탄성체를 맨홀 본체의 둘레에 일체를 이루도록 매설하여, 어댑터의 일단과 맨홀 본체의 둘레 사이로 충격력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는,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맨홀 본체와, 상기 맨홀 본체의 내부와 연결되어 중공 형상의 제 1유로를 형성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2유로를 형성하는 하수관과, 상기 어댑터의 단부와 상기 하수관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늘음 및 방향의 자유도를 이루는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주름관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주름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고, 상기 주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탄성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들 각각의 양단에는, 구 형상의 지지 돌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는, 제 1,2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연결 부재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 및 내주에 삽입되되, 상기 어댑터의 외주와 내주에 요철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 2연결 부재는, 상기 하수관의 외주 및 내주에 삽입되되, 상기 하수관의 외주와 내주에 요철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 1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제 1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링 부재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1링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 2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제 2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링 부재는, 상기 하수관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2링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관의 내주와 외주에는,
격자 형상을 이루는 탄성 격자층이 각각 더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탄성 격자층의 격자는, 상기 주름관의 내주와 외주에서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탄성 격자층의 단면은, 원형의 단면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의 둘레에는, 신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관의 일단 외주에는, 제 1고정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 1고정링은 하수관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제 1축은, 상기 제 1고정링과 제 1와이어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하수관의 둘레에는, 신축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관의 타단 외주에는, 제 2고정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고정링은 어댑터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제 2축은, 상기 제 2고정링과 제 2와이어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1,2실린더들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 1실린더들과 상기 제 2실린더들의 사이는 보호 튜브에 의해 에워싸이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어댑터와 상기 하수관 각각에 설치되어, 지진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각각의 충격력을 평균처리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충격 측정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 처리된 충격력이 기설정되는 지진에 해당되는 이상 충격력에 이르면,
상기 제 1실린더들의 제 1축을 제 1방향을 따라 당겨 상기 제 1와이어들을 긴장시켜 상기 제 1고정링을 당기고,
상기 제 2실린더들의 제 2축을 상기 제 1방향과 반대 방향을 이루는 제 2방향을 따라 당겨 상기 제 2와이어들을 긴장시켜 상기 제 2고정링을 당기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 처리된 충격력이 기설정되는 지진에 해당되는 이상 충격력 미만을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 1실린더들의 제 1축을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돌출시킴을 통해 상기 제 1와이어들을 이완시켜 상기 제 1고정링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고,
상기 제 2실린더들의 제 2축을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돌출시킴을 통해 상기 제 2와이어들을 이완시켜 상기 제 2고정링에 가해진 힘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주름관의 내부에는, 다중의 진공층을 형성되고,
상기 다중의 진공층의 내주면은, 웨이브 형상의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중의 진공층 각각에서의 진공도를 측정하는 진공 센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중의 진공층 각각은, 각각의 진공 튜브와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진공 튜브는 진공 제공기를 통해 진공을 제공 받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각각의 진공 튜브에는 제공되는 진공을 조절하는 밸브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측정되어 평균처리된 상기 충격력에 설정된 비율로 증가되도록 상기 다중의 진공층 각각의 진공도를 상기 진공 제공기 및 상기 밸브들의 구동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의 일단 외주에는 탄성체가 끼워져 설치되되,
상기 탄성체의 일측부는,
상기 맨홀 본체의 둘레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되되,
상기 탄성체는, 제 1고정 부재와, 원주형 경사 부재와, 제 2고정 부재가 일체를 이루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 부재는, 상기 어댑터 주변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맨홀 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져 걸려 고정되고,
상기 원주형 경사 부재는, 상기 제 1고정 부재에서 상기 제 2고정 부재를 따라 반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원주 둘레를 형성하고,
상기 제 1,2고정 부재와 상기 원주형 경사 부재의 중공은,
상기 어댑터의 둘레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워져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맨홀 본체는,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보조 진공층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 본체의 하단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어댑터의 하단부와 상기 하수관의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들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들 각각은,
상기 지지판 상단에서 탄성 스프링을 통해 탄성 유동을 하는 다단 파이프와,
상기 다단 파이프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어댑터의 하단 및 상기 하수관의 하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회전구를 구비하고,
상기 다단 파이프 하단은, 상기 지지판 상단에 제 2회전구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들 각각은 신축성을 갖는 보조 보호 튜브에 의해 에워싸인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공 방법은,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맨홀 본체를 준비하고,
상기 맨홀 본체의 하단 외측 둘레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1유로를 형성하는 어댑터를 마련하고,
상기 어댑터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2유로를 형성하는 하수관을 배치하고,
상기 어댑터의 단부와 상기 하수관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지진에 의한 외부 충격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마련하되,
상기 연결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주름관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주름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고, 상기 주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탄성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들 각각의 양단에는, 구 형상의 지지 돌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는, 제 1,2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연결 부재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 및 내주에 삽입되되, 상기 어댑터의 외주와 내주에 요철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 2연결 부재는, 상기 하수관의 외주 및 내주에 삽입되되, 상기 하수관의 외주와 내주에 요철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 1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제 1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링 부재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1링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 2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제 2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링 부재는, 상기 하수관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2링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주름관의 내주와 외주에는,
격자 형상을 이루는 탄성 격자층이 각각 더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탄성 격자층의 격자는, 상기 주름관의 내주와 외주에서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탄성 격자층의 단면은, 원형의 단면을 이루고,
상기 어댑터의 둘레에는, 신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관의 일단 외주에는, 제 1고정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 1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제 1축은, 상기 제 1고정링과 제 1와이어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하수관의 둘레에는, 신축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관의 타단 외주에는, 제 2고정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 2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제 2축은, 상기 제 2고정링과 제 2와이어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1,2실린더들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 1실린더들과 상기 제 2실린더들은 보호 튜브에 의해 에워싸이도록 설치된다.
이외 구성은 상술한 내진 연결 구조체의 구성을 동일하게 채택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통하여 본 발명은 맨홀 본체에 형성되는 어댑터와 하수관의 사이를 연결하되, 지진이 발생됨에 따르는 충격으로 인해 배관의 연결 부위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맨홀에 형성되는 어댑터와 하수관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늘음 및 방향 가변에 따라 파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주름관 자체의 내부에 탄성 와이어들을 매설하여 주름관 자체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주름관의 내주에 격자 형상의 탄성 격자 층을 더 형성하여 지진으로 인해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와 하수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다중의 주름관으로 형성하되, 이들 사이에 진공층을 형성하고, 각 진공층에서의 진공도를 지진 발생에 따른 충격력에 설정된 비율로 비례되도록 증가시켜 충격이 연결부 자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의 양단을 어댑터와 하수관의 단부에 요철을 이루는 구조로 결합시키고, 연결부의 양단을 별도의 실린더들의 축을 사용하여 당기거나 돌출시킴에 따라 지진 발생시 지진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서의 연결부의 자세를 변경하고, 어댑터의 일단 외주에 탄성체를 구비하고, 이 탄성체를 맨홀 본체의 둘레에 일체를 이루도록 매설하여, 어댑터의 일단과 맨홀 본체의 둘레 사이로 충격력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연결부, 어댑터 및 하수관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1,2연결 부재의 단부에 제 1,2링 부재가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주름관의 내주에 탄성 격자층이 더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는 어댑터 및 하수관 사이의 연결부가 강제 신축이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주름관의 신축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에 다중의 진공층이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어댑터의 외주가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맨홀 본체에 보조 진공층이 형성되고, 지지판이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와 이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연결부, 어댑터 및 하수관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는,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맨홀 본체(100)와, 상기 맨홀 본체(100)의 하단 외측 둘레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1유로를 형성하는 어댑터(200)과, 상기 어댑터(200)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2유로를 형성하는 하수관(300)과, 상기 어댑터(200)의 단부와 상기 하수관(300)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지진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4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주름관(410)과, 상기 주름관(4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 부재(420)와, 상기 주름관(410)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주름관(4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고, 상기 주름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탄성 와이어들(4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탄성 와이어들(430) 각각의 양단에는, 구 형상의 지지 돌기구(43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420)는, 제 1,2연결 부재(421, 42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연결 부재(421)는, 상기 어댑터(200)의 외주 및 내주에 삽입되되, 상기 어댑터(200)의 외주와 내주에 요철 결합을 이룬다.
상기 제 2연결 부재(422)는, 상기 하수관(300)의 외주 및 내주에 삽입되되, 상기 하수관(300)의 외주와 내주에 요철 결합을 이룬다.
본 발명의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는, 연결부(400)가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진 발생 시 어댑터(200)과 하수관(300)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와이어들(430)이 주름관(410)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어, 지진 발생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어댑터(200)과 하수관(30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결부(400)가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진 발생 시 어댑터(200)과 하수관(300)의 연결부위가 늘어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적 변형은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탄성 와이어들(430)이 주름관(410)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지진 발생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연결부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체는 지진 발생 시 어댑터(200)과 하수관(30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여, 맨홀의 기능을 유지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름 형상의 연결부로 인해 외부 충격에 따라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여, 지진 발생 시 어댑터와 하수관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와이어로 인해 충격을 흡수하여, 어댑터와 하수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요철 결합으로 인해 연결부위의 강도가 향상되어, 지진 발생 시 연결부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제 1,2연결 부재의 단부에 제 1,2링 부재가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제 1연결 부재(421)의 단부에는 제 1링 부재(421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링 부재(421a)는, 상기 어댑터(200)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1링 결합홈(201)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제 2연결 부재(422)의 단부에는 제 2링 부재(422a)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링 부재(422a)는, 상기 하수관(300)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2링 결합홈(301)에 끼워져 결합된다.
도 5는 주름관의 내주에 탄성 격자층이 더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주름관(410)의 내주와 외주에는, 격자 형상을 이루는 탄성 격자층(411)이 각각 더 형성된다. 외주에 형성되는 탄성 격자층(미도시)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상기 각각의 탄성 격자층(411)의 격자는, 상기 주름관(410)의 내주와 외주에서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탄성 격자층(411)의 단면은, 원형의 단면을 이룬다.
도 4의 구성을 통해, 제 1,2연결 부재(421, 422)의 단부가 어댑터(200), 하수관(3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습니다. 제 1,2링 부재(421a, 422a)가 어댑터(200), 하수관(300)의 외주에 형성된 제 1,2링 결합홈(201, 301)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연결부위의 강도가 향상되어, 지진 발생 시 연결부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결부위의 강도 향상 및 연결부위의 변형 방지를 이룰 수 있다.
도 5의 구성을 통해, 연결부(400)의 내진 성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탄성 격자층(411)이 주름관(410)의 내주와 외주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진 발생 시 발생하는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격자층(411)의 격자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결부(400)의 유연성이 향상되어, 지진 발생 시 연결부위의 변형을 더욱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즉, 연결부(400)의 내진 성능 향상과 연결부(400)의 유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본 발명의 구조체는 지진으로 인한 맨홀의 피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6는 어댑터 및 하수관 사이의 연결부가 강제 신축이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주름관의 신축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200)의 둘레에는, 신축되는 제 1축(511)을 갖는 제 1실린더들(510)이 설치된다. 상기 주름관(410)은 탄성에 의해 이완된 상태로의 형상을 유지하는 탄성력이 형성된다.
상기 주름관(410)의 일단 외주에는, 제 1고정링(R1)이 설치된다. 상기 제 1고정링(R1)은 하수관(300) 측 근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1실린더들(510) 각각의 상기 제 1축(511)은, 상기 제 1고정링(R1)과 제 1와이어들(W1)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하수관(300)의 둘레에는, 신축되는 제 2축(521)을 갖는 제 2실린더들(520)이 설치된다.
상기 주름관(410)의 타단 외주에는, 제 2고정링(R2)이 설치된다. 상기 제 2고정링(R2)은 어댑터(200) 근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2실린더들(520) 각각의 상기 제 2축(521)은, 상기 제 2고정링(R2)과 제 2와이어들(W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 1,2실린더들(510, 520)은,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제 1실린더들(510)과 제 2실린더들(520)의 사이는 신축이 가능한보호 튜브(530)에 의해 에워싸이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호 튜브(530)는 일정 깊이의 지중에서의 토압에 견딜 수 있는 두께 및 신축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두께와 재질은 지중의 깊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튜브의 내부에는 일정의 공기압이 충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200)과 상기 하수관(300) 각각에 설치되어, 지진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각각의 충격력을 평균처리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충격 측정부(70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평균 처리된 충격력이 기설정되는 지진에 해당되는 이상 충격력에 이르면, 상기 제 1실린더들(510)의 제 1축(511)을 제 1방향을 따라 당겨 상기 제 1와이어들(W1)을 긴장시켜 상기 제 1고정링(R1)을 당긴다.
동시에 제어부(600)는 상기 제 2실린더들(520)의 제 2축(521)을 상기 제 1방향과 반대 방향을 이루는 제 2방향을 따라 당겨 상기 제 2와이어들(W2)을 긴장시켜 상기 제 2고정링(R2)을 당긴다.
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평균 처리된 충격력이 기설정되는 지진에 해당되는 이상 충격력 미만을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 1실린더들(510)의 제 1축(511)을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돌출시킴을 통해 상기 제 1와이어들(W1)을 원래의 상태로 이완시켜 상기 제 1고정링(R1)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고, 상기 제 2실린더들(520)의 제 2축(521)을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돌출시킴을 통해 상기 제 2와이어들(W2)을 이완시켜 상기 제 2고정링(R2)에 가해진 힘을 제거한다.
도 6 및 도 7의 구성을 통해, 지진 발생 시 어댑터(200)과 하수관(300)의 연결부위가 강제적으로 신축될 수 있다. 이는 지진 발생 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진 발생 시 어댑터(200)과 하수관(300)의 연결부위는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늘어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 1실린더들(510)과 제 2실린더들(520)이 작동하여, 제 1고정링(R1)과 제 2고정링(R2)을 각각 당겨 연결부위의 신축을 제어한다. 이를 통해, 연결부위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튜브(530)가 설치되어, 제 1실린더들(510)과 제 2실린더들(52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연결부위의 신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은 지진으로 인한 맨홀의 피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에 다중의 진공층이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410)의 내부에는, 다중의 진공층(410a)이 형성된다.
상기 다중의 진공층(410a)의 내주면은, 웨이브 형상의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다중의 진공층(410a) 각각에서의 진공도를 측정하는 진공 센서들(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다중의 진공층(410a) 각각은, 각각의 진공 튜브(440)와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진공 튜브(440)는 진공 제공기(450)를 통해 진공을 제공 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각각의 진공 튜브(440)에는 제공되는 진공을 조절하는 밸브들(460)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측정되어 평균처리된 상기 충격력에 설정된 비율로 증가되도록 상기 다중의 진공층(410a) 각각의 진공도를 상기 진공 제공기(450) 및 상기 밸브들(460)의 구동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도 8의 구성을 통해, 지진 발생 시 연결부위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는 연결부위의 강성을 향상시켜, 지진 발생 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지진 발생 시 연결부위는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늘어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다중의 진공층(410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위의 변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다중의 진공층(410a)의 내주면이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위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웨이브 형상의 내주면은 연결부위의 변형에 따라 진공이 변하게 되므로, 연결부위의 변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진공도가 높을수록 연결부위의 강성이 증가하므로, 지진 발생 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측정된 충격력에 따라 진공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므로, 지진 발생 시 연결부위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은 지진으로 인한 맨홀의 피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구성을 통해 다중의 진공층으로 연결부위의 변형 억제, 웨이브 형상의 내주면으로 연결부위의 변형 억제, 진공도의 실시간 제어로 연결부위의 변형 억제를 이룰 수 있다.
도 9는 어댑터의 외주가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어댑터(200)의 일단 외주에는 탄성체(250)가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250)의 일측부는, 상기 맨홀 본체(100)의 둘레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된다.
상기 탄성체(250)는, 제 1고정 부재(251)와, 원주형 경사 부재(253)와, 제 2고정 부재(252)가 일체를 이루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고정 부재(251)는, 상기 어댑터(200) 주변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맨홀 본체(1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고정홈(101)에 끼워져 걸려 고정된다.
상기 원주형 경사 부재(253)는 상기 제 1고정 부재(251)에서 상기 제 2고정 부재(252)를 따라 반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원주 둘레를 형성한다.
상기 제 1,2고정 부재(251, 252)와 상기 원주형 경사 부재(253)의 중공은, 상기 어댑터(200)의 둘레에 형성되는 끼움홈(202)에 끼워져 설치된다.
도 9의 구성을 통해, 어댑터(200)의 연결부위가 지진 발생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어댑터(200)의 외주가 탄성체(25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지진 발생 시 어댑터(200)의 연결부위는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변형될 수 있다. 이때, 탄성체(25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어댑터(200)의 변형을 흡수하여,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250)가 어댑터(200)의 외주에 끼워져 설치되므로, 어댑터(200)과 연결부위의 마찰을 감소시켜, 연결부위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은 지진으로 인한 맨홀의 피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구성을 통해 탄성체(250)로 어댑터(200)의 변형 흡수, 탄성체(250)로 어댑터(200)과 연결부위의 마찰 감소를 이룰 수 있다.
도 10은 맨홀 본체에 보조 진공층이 형성되고, 지지판이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 하면, 상기 맨홀 본체(100)의 내부에는 진공이 형성되는 보조 진공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맨홀 본체(100)의 하단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판(15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150)에는, 상기 어댑터(200)의 하단부와 상기 하수관(300)의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들(800)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들(800) 각각은 상기 지지판(150) 상단에서 탄성 스프링을 통해 탄성 유동을 하는 다단 파이프(810)와, 상기 다단 파이프(8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어댑터(200)의 하단 및 상기 하수관(3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회전구(10)를 갖는다.
상기 다단 파이프(810) 하단은, 상기 지지판(150) 상단에 제 2회전구(2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들(800) 각각은 신축성의 보조 보호 튜브(820)에 의해 에워싸여 배치된다.
도 10의 구성을 통해, 지진 발생 시 연결부위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는 맨홀 본체(100)에 보조 진공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연결부위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판(150)이 설치되어 어댑터(200)과 하수관(300)의 하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연결부위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진 발생 시 연결부위는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보조 진공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위의 변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판(150)이 설치되어 어댑터(200)과 하수관(300)의 하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연결부위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은 지진으로 인한 맨홀의 피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은 맨홀 본체에 형성되는 어댑터와 하수관의 사이를 연결하되, 지진이 발생됨에 따르는 충격으로 인해 배관의 연결 부위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맨홀에 형성되는 어댑터와 하수관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늘음 및 방향 가변에 따라 파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주름관 자체의 내부에 탄성 와이어들을 매설하여 주름관 자체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주름관의 내주에 격자 형상의 탄성 격자 층을 더 형성하여 지진으로 인해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와 하수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다중의 주름관으로 형성하되, 이들 사이에 진공층을 형성하고, 각 진공층에서의 진공도를 지진 발생에 따른 충격력에 설정된 비율로 비례되도록 증가시켜 충격이 연결부 자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의 양단을 어댑터와 하수관의 단부에 요철을 이루는 구조로 결합시키고, 연결부의 양단을 별도의 실린더들의 축을 사용하여 당기거나 돌출시킴에 따라 지진 발생시 지진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서의 연결부의 자세를 변경하고, 어댑터의 일단 외주에 탄성체를 구비하고, 이 탄성체를 맨홀 본체의 둘레에 일체를 이루도록 매설하여, 어댑터의 일단과 맨홀 본체의 둘레 사이로 충격력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맨홀 본체
200 : 어댑터
300 : 하수관
400 : 연결부
410 : 주름관
420 ; 연결 부재
430 : 탄성 와이어

Claims (4)

  1.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맨홀 본체;
    상기 맨홀 본체의 하단 외측 둘레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맨홀 본체의 내부와 연결되어 중공 형상의 제 1유로를 형성하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2유로를 형성하는 하수관; 및,
    상기 어댑터의 단부와 상기 하수관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외부 충격에 따라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주름관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주름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고, 상기 주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탄성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들 각각의 양단에는, 구 형상의 지지 돌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는, 제 1,2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연결 부재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 및 내주에 삽입되되, 상기 어댑터의 외주와 내주에 요철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 2연결 부재는, 상기 하수관의 외주 및 내주에 삽입되되, 상기 하수관의 외주와 내주에 요철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 1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제 1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링 부재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1링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 2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제 2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링 부재는, 상기 하수관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2링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주름관의 내주와 외주에는, 격자 형상을 이루는 탄성 격자층이 각각 더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탄성 격자층의 격자는, 상기 주름관의 내주와 외주에서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탄성 격자층의 단면은, 원형의 단면을 이루고,
    상기 어댑터의 둘레에는, 신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관의 일단 외주에는, 제 1고정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 1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제 1축은, 상기 제 1고정링과 제 1와이어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하수관의 둘레에는, 신축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관의 타단 외주에는, 제 2고정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 2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제 2축은, 상기 제 2고정링과 제 2와이어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1,2실린더들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 1실린더들과 상기 제 1고정링은 제 1보호 튜브에 의해 에워싸이고,
    상기 제 2실린더들과 상기 제 2고정링은 제 2보호 튜브에 의해 에워싸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 방법은,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맨홀 본체를 준비하고,
    상기 맨홀 본체의 하단 외측 둘레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1유로를 형성하는 어댑터를 마련하고,
    상기 어댑터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2유로를 형성하는 하수관을 배치하고,
    상기 어댑터의 단부와 상기 하수관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외부 충격에 따라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마련하되,
    상기 연결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 부재와,
    상기 주름관의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주름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고, 상기 주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탄성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들 각각의 양단에는, 구 형상의 지지 돌기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는, 제 1,2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연결 부재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 및 내주에 삽입되되, 상기 어댑터의 외주와 내주에 요철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 2연결 부재는, 상기 하수관의 외주 및 내주에 삽입되되, 상기 하수관의 외주와 내주에 요철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 1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제 1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링 부재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1링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 2연결 부재의 단부에는 제 2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링 부재는, 상기 하수관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2링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주름관의 내주와 외주에는,
    격자 형상을 이루는 탄성 격자층이 각각 더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탄성 격자층의 격자는, 상기 주름관의 내주와 외주에서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탄성 격자층의 단면은, 원형의 단면을 이루고,
    상기 어댑터의 둘레에는, 신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관의 일단 외주에는, 제 1고정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 1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제 1축은, 상기 제 1고정링과 제 1와이어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하수관의 둘레에는, 신축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름관의 타단 외주에는, 제 2고정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 2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제 2축은, 상기 제 2고정링과 제 2와이어들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1,2실린더들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 1실린더들과 상기 제 1고정링은 제 1보호 튜브에 의해 에워싸이고,
    상기 제 2실린더들과 상기 제 2고정링은 제 2보호 튜브에 의해 에워싸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0230136347A 2023-10-13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68365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8365B1 true KR102668365B1 (ko) 2024-05-22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651B1 (ko) * 2005-08-25 2007-08-02 강영종 섬유보강 플라스틱 파형관
KR102533691B1 (ko) * 2023-01-27 2023-05-17 정근배 내진성능을 갖는 공동주택단지 내 맨홀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651B1 (ko) * 2005-08-25 2007-08-02 강영종 섬유보강 플라스틱 파형관
KR102533691B1 (ko) * 2023-01-27 2023-05-17 정근배 내진성능을 갖는 공동주택단지 내 맨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166B1 (ko) 내진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단지용 맨홀구조체
KR101059345B1 (ko) 이중 벽체용 이중 신축 관체
KR102216269B1 (ko) 내진 성능을 구비한 단지내 맨홀구조
BR112019006136B1 (pt) Estrutura offshore
CN211624439U (zh) 一种减振防水穿墙管结构
CN110985764A (zh) 一种减振防水穿墙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96538B1 (ko) 물 고임 방지 내진 밸브실
KR102668365B1 (ko) 맨홀의 어댑터와 하수관과의 내진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4947786B2 (ja) 下水管路
JP2016169756A (ja) 耐震用配管部材
KR100808574B1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KR100647525B1 (ko) 하수관 연결용 엘보
JP5437138B2 (ja) 地盤沈下対策配管構造及び地盤沈下対策配管方法
JP2010261485A (ja) 不等沈下対策配管構造
KR101093540B1 (ko) 수로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JP2015148044A (ja) 可撓継手構造
KR100849527B1 (ko) 맨홀의 관 연결부재
KR100889824B1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KR102664616B1 (ko)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JP2722325B2 (ja) 地下構築物の継手における土砂侵入防止構造
JP2011122673A (ja) 基礎下免震の外部配管接続構造
JPS6115236B2 (ko)
JP5733903B2 (ja) 下水道用の管路の部分補修構造
KR101390514B1 (ko) 부력 방지 맨홀
JP3064261B2 (ja) 管路形成用推進管および継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