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943B1 -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943B1
KR100937943B1 KR1020090092286A KR20090092286A KR100937943B1 KR 100937943 B1 KR100937943 B1 KR 100937943B1 KR 1020090092286 A KR1020090092286 A KR 1020090092286A KR 20090092286 A KR20090092286 A KR 20090092286A KR 100937943 B1 KR100937943 B1 KR 100937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rrugated pipe
filler
space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케이피에치이 주식회사
김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피에치이 주식회사, 김영태 filed Critical 케이피에치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플링이 금속재(STS)로 이루어져 강도가 증대되고, 종래에 파형관의 이음부에 고무 등의 수밀용 케이프를 사용하는 대신 액상의 충진재를 커플링의 내부에 충진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 굳게 되고, 상기 충진재가 굳은 후에도 탄성 및 수밀성이 유지되어 배관의 신축성이 증대되며, 상기 나선형 파형관의 이음부에 커플링 체결 후, 충진재를 충진하는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이 짧아지며, 작업공간이 크지 않고, 상기 커플링의 내부에 다수개의 스펀지를 사용하여 충진재가 흘러나오지 않아 기밀성이 유지되고, 상기 충진재가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나선형 파형관, ELP, 카우스, 충진재, 스펀지, 커플링

Description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Electric wire for helical HDPE of Joint equipment}
본 발명은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플링이 금속재(STS)로 이루어져 강도가 증대되고, 종래에 파형관의 이음부에 고무 등의 수밀용 케이프를 사용하는 대신 액상의 충진재를 커플링의 내부에 충진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 굳게 되고, 상기 충진재가 굳은 후에도 탄성 및 수밀성이 유지되어 배관의 신축성이 증대되며, 상기 나선형 파형관의 이음부에 커플링 체결 후, 충진재를 충진하는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이 짧아지며, 작업공간이 크지 않고, 상기 커플링의 내부에 다수개의 스펀지를 사용하여 충진재가 흘러나오지 않아 기밀성이 유지되고, 상기 충진재가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선형 파형관은 땅속 매설용 전선관(ELP) 또는 상, 하수도 등 관계수로 배관(HDPE)에 주로 사용되는 관으로 나선형의 파형을 만들어 외부의 토압 및 지상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진 비금속 관이다.
외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형으로 만들어져 압축강도가 높으며 좌,우, 상, 하 방향의 변형이 가능한 유연성을 가진 배관으로 여러 가지 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반면 표면이 매끈하지 않고 요철이 있는 파형인 관계로 완전한 이음(누수 방지 이음)이 어려운 단점도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LP전선관 이음방법은 연결하려고 하는 ELP전선관 한쪽 끝부분의 마개를 벗겨내고 ELP전선관 끝 부분에 감겨있는 전선인입용 예비 철선을 풀어내어 바르게 편다.
그리고, 연결 카우스를 ELP전선관의 나선방향에 따라 나사와 같이 돌리면서 끼워 넣고, 또 다른 ELP전선관도 반대측 카우스에 나사와 같이 돌려 끼워넣는데, 이때, 전선인입용 예비철선을 상호 연결한 뒤, 철선으로 감은 곳에 PVC 접착테이프로 강하게 당기면서 이중으로 감아 두어야 전선인입용 로프를 끌어당길때 관 내면에 상처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선인입용 예비철선의 연결이 완료되면 ELP전선관을 맞붙여 한쪽 전선 파이프에 미리 끼워둔 연결 카우스를 반대방향으로 돌려 양 전선 파이프의 이음부가 카우스의 중앙에 오게한다.
그런 다음, 상기 연결 카우스의 양 끝부분과 전선관의 틈 사이에 실링 테이프를 감고, 그 위에 수밀보호테이프를 강하게 당기면서 감은 후, 비닐테이프로 전체를 감아놓으면 물 한 방울의 침수도 불허하는 완전한 연결이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선관 이음방법인 연결 카우스를 활용한 이음방법은 이음 초기에는 내부의 고무테이프 등에 의한 누수방지 및 오염물질의 침입 등을 방지하 는 효과가 크지만 카우스 자체 재질이 배관제와 같은 비금속(ELP) 재질로 장기간 사용시, 반복되는 신축에 의해 틈새가 벌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사용한 고무테이프 등의 특성상 장시간 경과시, 탄성이 떨어지며 갈라지거나 경화되는 특성으로 인해 지하수 등의 침입, 틈새가 과다하게 벌어졌을 경우는 모래 등이 지하수와 함께 침입하여 전선 이음부에서의 누전 등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커플링이 금속재(STS)로 이루어져 강도가 증대되고, 종래에 파형관의 이음부에 고무 등의 수밀용 케이프를 사용하는 대신 액상의 충진재를 커플링의 내부에 충진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 굳게 되고, 상기 충진재가 굳은 후에도 탄성 및 수밀성이 유지되어 배관의 신축성이 증대되며, 상기 나선형 파형관의 이음부에 커플링 체결 후, 충진재를 충진하는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이 짧아지며, 작업공간이 크지 않는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의 내부에 다수개의 스펀지를 사용하여 충진재가 흘러나오지 않아 기밀성이 유지되고, 상기 충진재가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땅속 매설용 전선이 관통하는 나선형 파형관을 상호 이어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이 상호 접촉된 외주연에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끝단부에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외주연의 일단부에 공간부와 관통되어 충진 재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제 1 커플링과;
상기 파형관이 상호 접촉된 외주연에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플링의 플레이트에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외주연의 일단부에 공간부와 관통되어 충진재가 유입시, 공간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되는 제 2 커플링과;
상기 제 1,2 커플링의 양끝단부와 내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파형관의 외주연과 제 1,2 커플링의 내주연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공간부를 밀봉하고, 탄성력에 의해 외부의 충격이 파형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 1 커플링의 유입홀을 통해 충진되어 제 1,2 커플링의 공간부를 채워 수밀성을 유지하는 충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는 커플링이 금속재(STS)로 이루어져 강도가 증대되고, 종래에 파형관의 이음부에 고무 등의 수밀용 케이프를 사용하는 대신 액상의 충진재를 커플링의 내부에 충진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 굳게 되고, 상기 충진재가 굳은 후에도 탄성 및 수밀성이 유지되어 배관의 신축성이 증대되며, 상기 나선형 파형관의 이음부에 커플링 체결 후, 충진재를 충진하는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고 그로 인해 작업시간이 짧아지며, 작업공간이 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의 내부에 다수개의 스펀지를 사용하여 충진재가 흘러나오지 않아 기밀성이 유지되고, 상기 충진재가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땅속 매설용 전선이 관통하는 나선형 파형관을 상호 이어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이 상호 접촉된 외주연에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끝단부에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외주연의 일단부에 공간부와 관통되어 충진재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제 1 커플링과;
상기 파형관이 상호 접촉된 외주연에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플링의 플레이트에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외주연의 일단부에 공간부와 관통되어 충진재가 유입시, 공간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되는 제 2 커플링과;
상기 제 1,2 커플링의 양끝단부와 내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파형관의 외주연과 제 1,2 커플링의 내주연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공간부를 밀봉하고, 탄성력에 의해 외부의 충격이 파형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 1 커플링의 유입홀을 통해 충진되어 제 1,2 커플링의 공간부를 채워 수밀성을 유지하는 충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는 땅속 매설되어 전선이 관통하는 나선형 파형관(1)을 상호 이어주도록 커플링(10,20)과, 탄성부재(30)와, 충진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링(10,20)은 도 1과 도 4를 참고하여, 금속제(STS)로 이루어져 파형관(1)이 상호 접촉된 이음부의 외주연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그로 인해 상기 커플링(10,20)의 내주연과 파형관(1)의 외주연 사이에 공간부(50)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50)에 액상의 충진재(40)가 충진되어 공간을 매워 수밀성이 높아지고, 상기 커플링(10,20)이 원통형의 파형관(1)의 외주연에 설치되기 위해 반으로 나누어져 제 1 커플링(10)과 제 2 커플링(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커플링(10)은 도 4를 참고하여, 단면상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양끝단부에 제 2 커플링(20)과 볼트, 너트 등의 고정부재(60)에 의해 연결되도록 플레이트(11)가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1)는 제 1 커플링(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고정부재(60)가 삽입되도록 결합홀(13)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커플링(10)의 외주연에는 도 3을 참고하여, 충진재(40)가 커플링(10,20)의 공간부(50)에 충진시키기 위해 유입홀(12)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12)은 액상의 충진재(40)가 공간부(50)에 충진되기 때문에 제 1 커플링(10)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커플링(20)은 도 1을 참고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제 1 커플링(10)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별도의 기술은 더 이상 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제 2 커플링(20)의 상부 외주연에는 제 1 커플링(10)의 유입홀(12)을 통해 충진재(40)가 충진시, 공간부에 채워진 공기가 배출되어야 충진재(40)가 용이하게 충진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배출홀(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홀(12)과 배출홀(22)은 도 2을 참고하여, 공간부(50)가 탄성부재(30)에 의해 다수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지는데, 상기 공간부(50)의 개수와 위치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30)는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제 1,2 커플링(10,20)의 양끝단부와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부재(30)는 스펀지로 이루어져서 상기 파형관(1)의 외주연과 제 1,2 커플링(10,20)의 내주연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공간부(50)를 밀봉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는 링 형태의 스펀지로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외부의 충격이 파형관(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나선형의 요철로 형성된 파형관(1)의 외주연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0)는 제 1,2 커플링(10,20)의 공간부(50)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50)를 다수개로 구획하고, 상기 다수개의 공간부(50)와 공간부(50) 사이는 밀봉되어 상기에서 기술했듯이 각각의 공간부(50)에 맞춰 유입홀(12)과 배출홀(22)이 형성된다.
상기 충진재(40)는 제 1 커플링(10)의 유입홀(12)을 통해 공간부(50)에 충진되어 상기 공간부(50)의 구석구석을 채워지도록 액상으로 이루어졌고, 상기 충진재(40)가 충진됨으써, 상기 파형관(1)의 이음부를 밀봉하여 수밀성이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충진재(40)는 처음에 액상으로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고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져 공간부(50)에 충진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굳어지면서 수밀성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커플링 11,21 : 플레이트
12 : 유입홀 13 : 결합홀
20 : 제 2 커플링 22 : 배출홀
30 : 탄성부재 40 : 충진재
50 : 공간부 60 : 고정부재

Claims (3)

  1. 땅속 매설용 전선이 관통하는 나선형 파형관(1)을 상호 이어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1)이 상호 접촉된 외주연에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공간부(50)가 형성되고, 양끝단부에 플레이트(11)가 형성되며, 외주연의 일단부에 공간부(50)와 관통되어 충진재(40)가 유입되는 유입홀(12)이 형성되는 제 1 커플링(10)과;
    상기 파형관(1)이 상호 접촉된 외주연에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공간부(5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플링(10)의 플레이트(11)에 고정부재(60)에 의해 연결되도록 양끝단부에 플레이트(22)가 형성되며, 외주연의 일단부에 공간부와 관통되어 충진재(40)가 유입시, 공간부(50)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홀(22)이 형성되는 제 2 커플링(20)과;
    상기 제 1,2 커플링(10,20)의 양끝단부와 내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파형관(1)의 외주연과 제 1,2 커플링(10,20)의 내주연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공간부(50)를 밀봉하고, 탄성력에 의해 외부의 충격이 파형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제 1 커플링(10)의 유입홀(12)을 통해 충진되어 제 1,2 커플링(10,20)의 공간부(50)를 채워 수밀성을 유지하는 충진재(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는 나선형의 요철로 형성된 파형관(1)의 외주연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스펀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40)는 액상으로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고 탄력성 재질로 시간이 지나면 굳어져 수밀성을 견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KR1020090092286A 2009-09-29 2009-09-29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KR100937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286A KR100937943B1 (ko) 2009-09-29 2009-09-29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286A KR100937943B1 (ko) 2009-09-29 2009-09-29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943B1 true KR100937943B1 (ko) 2010-01-21

Family

ID=4181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286A KR100937943B1 (ko) 2009-09-29 2009-09-29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9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966B1 (ko) * 2012-05-18 2013-04-26 정천호 액체 및 가스 누출방지장치, 그 장치에 적용되는 카빙부재 및 이들을 이용한 액체 및 가스 누출방지방법
CN105736868A (zh) * 2016-04-13 2016-07-06 深圳市华瀚科技控股有限公司 一种塑钢缠绕管连接结构
KR101747816B1 (ko) 2011-11-11 2017-06-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전동식 브레이크용 롤러 스크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572Y1 (ko) 2001-09-07 2001-12-13 김대식 경첩형 파이프 지지구
KR200365505Y1 (ko) 2004-08-04 2004-10-25 (주)이성테크 밸브 보온용 캡
KR20050013496A (ko) * 2003-07-28 2005-02-04 김수근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0925701B1 (ko) 2009-07-08 2009-11-10 삼건세기(주) 퍼스널 프로텍션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572Y1 (ko) 2001-09-07 2001-12-13 김대식 경첩형 파이프 지지구
KR20050013496A (ko) * 2003-07-28 2005-02-04 김수근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200365505Y1 (ko) 2004-08-04 2004-10-25 (주)이성테크 밸브 보온용 캡
KR100925701B1 (ko) 2009-07-08 2009-11-10 삼건세기(주) 퍼스널 프로텍션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816B1 (ko) 2011-11-11 2017-06-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전동식 브레이크용 롤러 스크류
KR101256966B1 (ko) * 2012-05-18 2013-04-26 정천호 액체 및 가스 누출방지장치, 그 장치에 적용되는 카빙부재 및 이들을 이용한 액체 및 가스 누출방지방법
CN105736868A (zh) * 2016-04-13 2016-07-06 深圳市华瀚科技控股有限公司 一种塑钢缠绕管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100937943B1 (ko)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KR100713243B1 (ko)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081832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20180132318A (ko) 파이프 구조체
CN213117878U (zh) 一种埋地管道连接结构
KR101407928B1 (ko) 파형관 연결장치
KR100706785B1 (ko)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KR20090027957A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904384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연결관 이음장치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KR100671790B1 (ko) 신축밴드와 와이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시설물
KR20090008779A (ko)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102121356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101903474B1 (ko)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200479304Y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용 고무밴드
KR102521050B1 (ko) 관로구 방수장치
KR200157905Y1 (ko) 나선관 및 그 연결구조
KR20200017023A (ko)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구조 및 그 방법
KR102664616B1 (ko) 내진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배수관 연결 유니트를 갖는 단지 내 맨홀
CN211257228U (zh) 一种新型装配式检查井
KR10217940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나선형 파형관용 패킹구조체
KR20080107598A (ko) 나선 파형관의 접속부 수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