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050B1 - 관로구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관로구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050B1
KR102521050B1 KR1020160049932A KR20160049932A KR102521050B1 KR 102521050 B1 KR102521050 B1 KR 102521050B1 KR 1020160049932 A KR1020160049932 A KR 1020160049932A KR 20160049932 A KR20160049932 A KR 20160049932A KR 102521050 B1 KR102521050 B1 KR 10252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ble
pipe member
conduit
waterproof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755A (ko
Inventor
이승호
백남열
문경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04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05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구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지중 구조물의 관로구에 설치된 관부재 내에 삽입되고 케이블을 둘러싸는 관로구 방수장치로서, 상기 관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 설치된 가스공에 의해 가스가 내부로 주입되어 팽창함으로써 상기 케이블과 상기 관부재 사이를 밀폐시키고,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배수관을 구비한 튜브를 포함하여서, 케이블의 손상 없이 매우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교체시 케이블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관로구 방수장치 {Waterproofing apparatus for cable pathway}
본 발명은 예컨대 지중 전력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맨홀이나 전력구 등과 같은 지중 구조물 내로 케이블과 관로구 사이로부터 우수 또는 지하수 등과 같은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관로구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로구는 지중 전력 선로의 인입 및 인출 처리를 위해 맨홀이나 전력구 등과 같은 지중 구조물에 매설할 때 사용하여 지중 전력 선로를 지중 구조물의 내외부로 연결시켜 주는 것으로, 먼저 지중 구조물과 관로구를 먼저 구성한 다음, 지중 전력 선로에 사용되는 케이블을 관로구를 통해 출입시키면 된다.
한편, 우수 또는 지하수 등과 같은 물이 주로 관로구를 통해 지중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관로구에는 방수장치를 취부하여 지중 구조물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이러한 관로구 방수장치는 케이블과 관로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고무 재질의 패킹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관로구 방수장치의 유지보수시 관로구 내에서 케이블이 일측방으로 치우쳐 있어 관로구 방수장치에 편심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관로구 방수장치가 케이블과 관로구 사이에 꽉 끼어 있어 철거와 교체가 곤란하고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또한, 관로구 방수장치의 철거를 위해 일측방으로 치우쳐 있는 케이블을 관로구의 동심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케이블 접속부의 건전성에 상당한 위해가 될 수 있고, 더구나 케이블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지중 구조물 내로 케이블과 관로구 사이로부터 우수 또는 지하수 등과 같은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탈거 및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교체시 케이블 또는 케이블 접속부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관로구 방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는, 지중 구조물의 관로구에 설치된 관부재 내에 삽입되고 케이블을 둘러싸는 관로구 방수장치로서, 상기 관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 설치된 가스공에 의해 가스가 내부로 주입되어 팽창함으로써 상기 케이블과 상기 관부재 사이를 밀폐시키고,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배수관을 구비한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손상 없이 매우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교체시 케이블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성이 향상됨으로써 다른 금구류의 부식을 예방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튜브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이탈방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튜브를 팽창하기 전, 이탈방지수단을 생략한 채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튜브를 팽창시킨 후, 이탈방지수단을 생략한 채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는 지중 구조물(1)의 관로구(2)에 설치된 관부재(3) 내에 삽입되고 케이블(5)을 둘러싸는 관로구 방수장치로서, 관부재(3)와 케이블(5)의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 설치된 가스공(11)에 의해 가스가 내부로 주입되어 팽창함으로써 케이블과 관부재 사이를 밀폐시키고,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배수관(12)을 구비한 튜브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관부재(3)는 지중 구조물(1)의 관로구(2) 내에서 그 입구 부분에 설치되는 관 형상 부재이다. 이 관부재는 지중 구조물에 관로구를 형성할 때 함께 설치되어 관로구의 내면과 밀접하면서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관부재(3)의 일단, 즉 노출된 단부에는 절곡되어 방사상으로 연장한 플랜지부(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가 관로구(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부(4)와 지중 구조물(1)의 벽부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부재(3) 내에는 케이블(5)이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는데, 케이블은 관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접촉하지 않은 채로 위치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튜브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튜브(10)는 양측 표면에 각각 주름부(13)를 갖는 신축가능한 재질의 부재이다. 튜브의 재질은 폴리머와 같은 수지 또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튜브의 재질로는 고무 중에도 수팽창 고무가 채용되어, 고무가 수분을 흡수하면 부피가 팽창하여 수밀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주름부(13)는 튜브(10)와 관부재(3)의 사이 또는 튜브(10)와 케이블(5)의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다시 말해,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실링부재를 설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튜브의 표면에 주름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튜브(10)의 일측에는 바깥쪽으로 길게 돌출되어 선단이 마개(미도시)에 의해 밀봉되는 가스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공에 의해 가스가 튜브의 내부로 주입되어 튜브가 팽창함으로써, 관부재(3)와 케이블(5)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물의 유입 내지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가스는 공기, 산소, 질소 등과 같은 가스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압축 공기가 채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튜브(10)에는 이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수관(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배수관의 일단, 즉 전술한 튜브의 일측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밸브(미도시)가 있고, 배수관의 타단은 개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관로구 방수장치에 의해 지중 구조물(1)로의 유입이 차단된 우수 또는 지하수 등과 같은 물은 관로구(2) 내에 채워지게 되는데, 타단이 개방된 배수관(12) 내에도 물이 채워져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관으로 인해, 작업자가 관로구 방수장치의 유지보수 전에 배수관의 밸브를 열어 관로구 및 배수관에 채워진 물을 별도의 용기나 관을 통해 편리하게 배수할 수 있으며, 관로구 내부의 높은 수압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튜브(10)의 타측(길이방향 반대측)에는 대략 반원 단면의 오목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튜브(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튜브의 양단에는 결합을 위한 요철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두께방향으로도 결합을 위한 요철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철부(15, 16)도 가스의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신축가능하다.
이러한 튜브(10)는 도 3의 (a)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요철부(15, 16)가 형성된 양단을 구부려 케이블(5)을 둘러싸도록 한 후, 도 3의 (b)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의 요철부를 결합하여 대략 원형 단면의 관 형상 부재로 변형시킬 수 있다. 결합된 요철부는 튜브의 팽창시 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공(11) 및 배수관(12)의 밸브가 구비된 튜브(10)의 일측은 관부재(3)에서 외부를 향해 노출되고 관부재의 플랜지부(4)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한편, 튜브의 타측은 관부재의 내부에 위치된다.
관부재(3)의 내부에 있게 되는 튜브(10)의 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부(14)가 형성된 경우에는, 이 오목부(14)가 관로구(2) 내부의 높은 수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는 튜브(10)가 관로구(2) 내부의 수압에 의해 관부재(3)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이탈방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수단(20)은 관부재(3)의 플랜지부(4)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대략 반원호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절반부(21), 및 이들 절반부를 연결하는 연결구(25)를 포함하고 있다.
각 절반부(21)는 반원호 형상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끼움홈(22)을 구비하는데, 이 끼움홈은 반원호의 중심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또한, 끼움홈의 깊이는 관부재(3)의 플랜지부(4)가 갖는 방사상으로 연장한 길이와 같거나 그 이상이면 된다. 끼움홈의 일측 측벽(23)은 끼움홈의 타측 측벽(24)보다 반원호의 방사상으로 연장한 길이가 길다.
한 쌍의 절반부(21)는 각각 관부재(3)의 플랜지부(4)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는데, 플랜지부의 일부가 각 절반부의 끼움홈(22)에 삽입됨으로써 각 절반부와 플랜지부가 결합하게 된다.
이어서, 연결구(25)를 사용하여 이들 절반부(21)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탈방지수단(20)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연결구로는 예컨대 훅 클램프(Hook Clamp; 소위 매미고리)나 버클(Buckle) 등이 채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연결구는 한쪽 절반부에만 또는 양쪽 절반부에 장착될 수 있다.
관부재(3)의 플랜지부(4)에 이탈방지수단(20)의 절반부(21)들이 끼워져 장착되면, 각 절반부의 방사상으로 보다 길게 연장한 끼움홈(22)의 일측 측벽(23)이 관부재에 삽입되어 있는 튜브(10)의 노출면 중 일부(예컨대 노출면의 절반 이상)를 덮어씌우게 된다. 또한, 플랜지부(4)와 지중 구조물(1)의 벽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는 끼움홈(22)의 타측 측벽(24)이 삽입되게 된다.
결국, 튜브(10)가 관로구(2) 내부의 수압에 의해 관부재(3)로부터 밀려나오려 할 때, 관부재의 플랜지부(4)에 끼워진 이탈방지수단(20)의 절반부(21)들이 튜브의 방사상 외측 단부와 간섭되면서 튜브를 지지하여, 튜브가 관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튜브(10)가 관로구(2) 내부의 수압에 의해 관부재(3)로부터 밀려나오려 할 때, 튜브가 케이블(5)의 외주면 및 관부재의 내주면을 향해 팽창되어 수밀성은 더욱 향상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설치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튜브를 팽창하기 전, 이탈방지수단을 생략한 채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튜브를 팽창시킨 후, 이탈방지수단을 생략한 채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관부재(3) 내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5)을 둘러싸도록 튜브(10)를 구부려 그 양단의 요철부(15, 16)를 결합한다. 이때, 튜브는 가스를 주입하기 전이므로, 얇은 두께를 갖고 있다. 이러한 튜브를 관부재 내에 삽입하여 도 5 및 도 6처럼 튜브가 관부재와 케이블의 사이에 위치되게 한다.
다음으로, 튜브(10)의 일측에 형성된 가스공(11)을 통해 튜브의 내부에 가스를 주입시켜 튜브를 팽창시킨다. 이때 튜브의 주름부(13)는 각각 케이블(5)의 외주면 및 관부재(3)의 내주면과 밀착되면서 튜브와 관부재의 사이 및 튜브와 케이블의 사이를 수밀하게 밀봉한다. 이로써, 관부재와 케이블 사이의 공간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팽창한 튜브가 밀폐시켜 물의 유입 내지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 이탈방지수단(20)의 절반부(21)들을 각각 관부재(3)의 플랜지부(4)에 끼우고, 연결구(25)를 사용하여 이들 절반부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장치를 유지보수할 때에는, 먼저 배수관(12)의 밸브를 열어 관로구(2) 및 배수관에 채워진 물을 별도의 용기나 관을 통해 배수한 다음에, 전술한 설치방법의 역순으로 이탈방지수단(20)을 분리하고 가스공(11)을 통해 가스를 배출시켜 튜브(10)를 수축시킨 후 튜브를 관부재(3)로부터 빼내어 케이블(5)에서 제거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손상 없이 매우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교체시 케이블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지중 구조물 2: 관로구
3: 관부재 4: 플랜지부
5: 케이블 10: 튜브
11: 가스공 12: 배수관
13: 주름부 14: 오목부
15, 16: 요철부 20: 이탈방지수단
21: 절반부 25: 연결구

Claims (10)

  1. 지중 구조물의 관로구에 설치된 관부재 내에 삽입되고 케이블을 둘러싸는 관로구 방수장치로서,
    상기 관부재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 설치된 가스공에 의해 가스가 내부로 주입되어 팽창함으로써 상기 케이블과 상기 관부재 사이를 밀폐시키고,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배수관을 구비한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관부재의 내부에 있게 되는 상기 튜브의 타측에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의 일단에는 절곡되어 방사상으로 연장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지중 구조물의 벽부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가 상기 관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관부재의 플랜지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절반부, 및 상기 절반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반부는 각각 방사상으로 형성된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홈의 일측 측벽은 상기 끼움홈의 타측 측벽보다 방사상으로 연장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표면에 주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재질은 수팽창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일단에는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의 타단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양단에는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또는 상기 튜브의 두께방향으로 결합을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KR1020160049932A 2016-04-25 2016-04-25 관로구 방수장치 KR10252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932A KR102521050B1 (ko) 2016-04-25 2016-04-25 관로구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932A KR102521050B1 (ko) 2016-04-25 2016-04-25 관로구 방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755A KR20170121755A (ko) 2017-11-03
KR102521050B1 true KR102521050B1 (ko) 2023-04-14

Family

ID=6038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932A KR102521050B1 (ko) 2016-04-25 2016-04-25 관로구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348B1 (ko) * 2022-02-21 2023-06-30 (주)동성기술감리단 안전 설계가 강화된 지중 송전선로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882B2 (ja) * 1995-09-28 2001-02-2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浄水器付コーヒーメーカー
KR100437577B1 (ko) * 2001-10-04 2004-06-30 한국전력공사 공 관로구 밀폐구조
KR100966786B1 (ko) * 2009-11-02 2010-06-29 주식회사 퍼팩트 소켓 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JP2011190833A (ja) * 2010-03-12 2011-09-2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止水方法および止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882U (ja) * 2007-09-28 2007-12-13 株式会社土井製作所 管路口止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882B2 (ja) * 1995-09-28 2001-02-2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浄水器付コーヒーメーカー
KR100437577B1 (ko) * 2001-10-04 2004-06-30 한국전력공사 공 관로구 밀폐구조
KR100966786B1 (ko) * 2009-11-02 2010-06-29 주식회사 퍼팩트 소켓 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JP2011190833A (ja) * 2010-03-12 2011-09-2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止水方法および止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755A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837B1 (ko) 배관 이음부 누수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112714A (ko) 밀폐 조립체 및 개구에 밀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밀폐방법
KR100696318B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KR100788788B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RU2015136334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способ защиты соединений труб и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установки
KR101670907B1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KR102521050B1 (ko) 관로구 방수장치
CN205479821U (zh) 改进型流体管道快速接头
KR102120676B1 (ko) 세미쉴드 공법의 추진관 수밀구조
KR100933191B1 (ko) 공동주택용 지하매설 전선보호관
KR101311589B1 (ko) 현장 설치용 추가관로 형성 및 연결장치
CN107975652B (zh) 管维修工具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ITTO20080159U1 (it) Elemento di giunto tubolare.
KR100726736B1 (ko) 하수관거 연결고정 구조물
KR100937943B1 (ko)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KR200279518Y1 (ko)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JP6375198B2 (ja) ケーブルの止水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ケーブルの止水ユニットの設置構造
KR20080095458A (ko) 매질주입 및 팽창이 가능한 중공형 링, 이를 구비한연결관,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방법
KR20120085398A (ko) 비굴착식 파형강관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팩커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JPH06113438A (ja) ケーブル等の管路の止水方法と構造
KR101894562B1 (ko) 상하수도관의 누수방지를 갖춘 이중장치 구조
KR101937815B1 (ko) 지중케이블 수납관로 연결구조체
JP6465757B2 (ja) マンホール内の管路接続構造および管路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