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577B1 -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577B1
KR100787577B1 KR1020070098598A KR20070098598A KR100787577B1 KR 100787577 B1 KR100787577 B1 KR 100787577B1 KR 1020070098598 A KR1020070098598 A KR 1020070098598A KR 20070098598 A KR20070098598 A KR 20070098598A KR 100787577 B1 KR100787577 B1 KR 100787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d
flange
protective tube
corrugated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선
Original Assignee
(주)하나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기연 filed Critical (주)하나기연
Priority to KR102007009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파형보호관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여 내부에 수밀이 되게 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접속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며, 관체(11)의 내부와 외부에 서로 엇갈리도록 각각 홈부(12)(13)가 형성되어 내부에 지중케이블이 설치되는 파형보호관(10); 관체(21)의 중앙부 외측 둘레에 플랜지(22)가 돌출 형성되고, 플랜지(22)를 중심으로 관체(21) 일측에 나사산(23)이 형성되어 벽체(1)의 설치홀(2)에 삽입되며, 관체(21) 타측의 외측면 둘레에 파형보호관(10)의 홈부(12)와 맞물리는 밀착돌기(24)가 다수개 형성되어 파형보호관(10)이 외측으로 삽입되고, 플랜지(22)의 밀착돌기(24)쪽 면에 다수개의 고정홈(26)이 형성되는 접속구(20); 접속구(20)가 벽체(1)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산(23)과 결합되어 접속구(20)를 벽체(1)에 고정하는 고정너트(30); 접속구(20)의 관체(21)에 끼워져 플랜지(22)와 파형보호관(10)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밀봉시키는 고무링(40); 일측이 절개된 관체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패드체(51)의 일단에 결합홈부(52)가 형성되고, 패드체(51)의 타단에 결합홈부(52)와 맞물리는 결합돌기(53)가 형성되며, 패드체(51)의 내측벽면에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밀착돌기(54)가 형성되고, 밀착돌기(54)는 밀봉패드(50)가 파형보호관(10)에 설치될 때 홈부(13)에 밀착되어 수밀시키는 밀봉패드(50); 원형의 관체(61) 일측단에 다수개의 고정돌기(6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고정돌기(63)의 단부에 구형걸림부(64) 일체로 형성되어 접속구(20)의 고정홈(26)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관체(61)의 타단에 내측으로 단턱(65)이 형성되고, 단턱(65)으로 통하도록 다수개의 볼트홀(66)이 관체(61)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걸림볼트(67)가 볼트홀(66)에 체결되어 파형보호관(10)의 홈부(1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구(60); 링형상의 패드에 다수개의 홀(71)이 형성되어 고정구(60)의 고정돌기(63)에 삽입된채 플랜지(22)와 고정구(60)를 수밀시키는 고무패드(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형보호관, 고정구, 벽체, 밀봉패드, 접속구

Description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Structure of connect for protecter using cable}
본 발명은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파형보호관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여 내부에 수밀이 되게 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접속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단지의 지하 공동구는 다수개의 콘크리트 박스가 연결되어 내부에 전력선 및 통신선 등이 설치되거나 배관 라인이 설치된다.
다수개의 콘크리트 박스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지하공동구는 이음부에 대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재 및 외벽 보호 미장 구조를 가지지만 이음부가 견고하게 처리되지 않는 경우 바닥 물고임의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콘크리트 박스는 대부분 지중에 설치되는 바 토사층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관계로 지하수가 이음부를 통해 유입되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맨홀에서 분기되는 지중케이블을 보호하는 파형보호관 이음부에 실링재를 감싸는 구조로 코킹 하는 단순 구조로 시공하게 되므로 이들 파형보호관이나 배관파이프 이음부에서 누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콘크리트 박스의 벽체 일측면 바닥에 소정의 두께만큼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박스에 분기되는 파형보호관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별도의 실링재로 밀봉되게 코킹한 후 상기 파형보호관의 타측단에 연결소켓을 조립하여 상기 연결소켓에 또 다른 파형보호관이 조립되도록 길게 연결하여 그 내측으로 지중배선용 케이블이 끼워지도록 배선한 다음 이들 연결부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2차 타설하는 시공방법이 널리 이용되었다.
하지만 파형보호관이 연결되는 연결부의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않으면 콘크리트 타설시 처짐현상으로 인해 파형보호관의 연결부가 초기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처지는 현상이 있고 그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단락되게 되어 케이블 배선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들 단락된 틈새로 물이 유입시에는 감전 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기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는 매년 몇 차례씩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지만 그에 따른 특별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파형보호관을 지중배전함 벽체나 맨홀 벽체에 접속할 때 접속작업이 간편하고, 누수의 염려가 없으며, 파형보호관의 변형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파형보호관의 내부 홈부의 대응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는 접속구를 벽체에 고정하고, 접속구에 파형보호관이 고정될 때 밀봉패드와 고정구에 의해 간편하게 밀봉시키면서 걸림볼트로 파형관에서 고정구가 이탈되지 않게 하고자 하여 밀봉상태를 계속 유지시키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체의 내부와 외부에 서로 엇갈리도록 각각 홈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지중케이블이 설치되는 파형보호관; 관체의 중앙부 외측 둘레에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고, 플랜지를 중심으로 관체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벽체의 설치홀에 삽입되며, 관체 타측의 외측면 둘레에 파형보호관의 홈부와 맞물리는 밀착돌기가 다수개 형성되어 파형보호관이 외측으로 삽입되고, 플랜지의 밀착돌기쪽 면에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접속구; 접속구가 벽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산과 결합되어 접속구를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너트; 접속구의 관체에 끼워져 플랜지와 파형보호관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밀봉시키는 고무링; 일측이 절개된 관체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패드체의 일단에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패드체의 타단에 결합홈부와 맞물리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패드체의 내측벽면에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밀착돌기가 형성되고, 밀착돌기는 밀봉패드가 파형보호관에 설치될 때 홈부에 밀착되어 수밀시키는 밀봉패드; 원형의 관체 일측단에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고정돌기의 단부에 구형걸림부 일체로 형성되어 접속구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관체의 타단에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으로 통하도록 다수개의 볼트홀이 관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걸림볼트가 볼트홀에 체결되어 파형보호관의 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구; 링형상의 패드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고정구의 고정돌기에 삽입된채 플랜지와 고정구를 수밀시키는 고무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밀봉패드가 접속구의 관체에 끼워진 파형보호관을 외측에서 압박하여 밀봉시켜주는 효과가 있고, 이는 파형보호관의 유동이 있어도 그 유동되는 거리를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구가 밀봉패드와 고무링으로 파형보호관을 둘러싸고 있는 위에 끼워져 접속구에 고정됨과 동시에 밀봉패드를 압착시켜 주므로 쉽게 수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고정구에 체결되는 걸림볼트가 파형보호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홈부에 삽입되어 파형보호관이 고정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지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파형보호관(10)을 콘트리트 벽체(1)로 이루어진 맨홀이나 배전함에 연결하는 구조로서, 파형보호관(10)을 둘러싸는 밀봉패드(50)와, 밀봉패드(50)를 외측에서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구(60)와, 고정구(6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63)가 끼워져 고정되는 접속구(20)로 이루어져 접속구(20) 일측은 벽체(1)에 고정너트(30)로 고정되고, 접속구(20)의 타측은 파형보호관(10)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봉패드(50)와 고정구(60)가 고정되며, 고정구(60)에 걸림볼트(67)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형보호관(10)은 관체(11)의 내부와 외부에 서로 엇갈리도록 각각 홈부(12)(13)가 형성되어 파형을 이루고, 관체(11)의 내부에 지중케이블이 설치된다.
접속구(20)는 중공홀(25)이 형성된 관체(21)의 중앙부 외측 둘레에 플랜지(22)가 돌출 형성되고, 플랜지(22)를 중심으로 관체(21) 일측에 나사산(23)이 형성되어 벽체(1)의 설치홀(2)에 삽입된다. 플랜지(22)는 벽체(1)에 닿아 더이상 진입을 방지하는 역할과 고정구(6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접속구(20) 관체(21)의 플랜지(22)에서 나사산(23)과 타측으로 외측면 둘레에 파형보호관(10)의 홈부(12)와 맞물리는 밀착돌기(24)가 다수개 형성되어 파형보호관(10)이 외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밀착돌기(24)는 파형보호관(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반원형 돌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구(20) 플랜지(22)의 밀착돌기(24)쪽 면에 다수개의 고정홈(26)이 일정 간격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데, 고정홈(26)에 후술할 고정구(60)의 고정돌기(63)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홈(26)은 입구가 좁고 안쪽이 넓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구(20)가 벽체(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너트(30)가 접속구(20) 나사산(23)과 결합되어 접속구(20)를 벽체(1)에 고정한다.
고무링(40)은 접속구(20)의 플랜지(22)에 인접하여 파형보호관(10)의 가장 외측단을 눌러 밀봉시키는 것으로서, 접속구(20)의 관체(21)에 끼워져 플랜지(22)와 파형보호관(10)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밀봉시킨다.
밀봉패드(50)는 일측이 절개된 관체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패드체(51)의 일단에 결합홈부(52)가 형성되고, 패드체(51)의 타단에 결합홈부(52)와 맞물리는 결합돌기(5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패드체(51)의 내측벽면에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밀착돌기(54)가 형성되고, 밀착돌기(54)는 밀봉패드(50)가 파형보호관(10)에 설치될 때 홈부(13)에 밀착되어 수밀시키게 된다.
고정구(60)는 밀봉패드(50)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밀봉패드(50)를 파형보호 관(10)에 압착시켜 밀봉시키되, 고정구(60)는 접속구(20)의 플랜지(22)에 고정된다.
고정구(60)는 원형의 관체(61) 일측단에 다수개의 고정돌기(6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고정돌기(63)의 단부에 구형걸림부(64) 일체로 형성되어 접속구(20)의 고정홈(26)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관체(61)의 타단에 내측으로 단턱(65)이 형성되고, 단턱(65)으로 통하도록 다수개의 볼트홀(66)이 관체(61)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걸림볼트(67)가 볼트홀(66)에 체결되어 파형보호관(10)의 홈부(13)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걸림볼트(67)를 단턱(65) 아래까지 돌려 진행시키면, 걸림볼트(67)가 파형보호관(10)의 홈부(13)에 삽입되어 파형보호관(10)이 바깥으로 빠져 나가지 않게 해준다.
고정구(60)의 관체(61) 외측벽면 중앙부에 여러개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파지부(62)가 형성되는데, 손으로 잡기 편하게 형성한다. 고정구(60)의 고정돌기(63)를 플랜지(22)의 고정홈(26)에 밀어넣을 때, 일반적으로 망치같은 것으로 쳐서 억지로 삽입하게 된다.
고무패드(70)는 링형상의 패드에 다수개의 홀(71)이 형성되어 고정구(60)의 고정돌기(63)에 삽입된 채 플랜지(22)와 고정구(60) 단부 사이에 끼워져 수밀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에 사용하는 밀봉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에 사용하는 고정구와 고무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에 사용하는 접속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의 걸림볼트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벽체 2 : 설치홀
10 : 파형보호관 11 : 관체
12, 13 : 홈부 20 : 접속구
21 : 관체 22 : 플랜지
23 : 나사산 24 : 밀착돌기
25 : 중공홀 26 : 고정홈
30 : 고정너트 40 : 고무링
50 : 밀봉패드 51 : 패드체
52 : 결합홈부 53 : 결합돌기
54 : 밀착돌기 60 : 고정구
61 : 관체 62 : 파지부
63 : 고정돌기 64 : 구형걸림부
65 : 단턱 66 : 볼트홀
67 : 걸림볼트 70 : 고무패드
71 : 홀

Claims (1)

  1. 관체(11)의 내부와 외부에 서로 엇갈리도록 각각 홈부(12)(13)가 형성되어 내부에 지중케이블이 설치되는 파형보호관(10);
    관체(21)의 중앙부 외측 둘레에 플랜지(22)가 돌출 형성되고, 플랜지(22)를 중심으로 관체(21) 일측에 나사산(23)이 형성되어 벽체(1)의 설치홀(2)에 삽입되며, 관체(21) 타측의 외측면 둘레에 파형보호관(10)의 홈부(12)와 맞물리는 밀착돌기(24)가 다수개 형성되어 파형보호관(10)이 외측으로 삽입되고, 플랜지(22)의 밀착돌기(24)쪽 면에 다수개의 고정홈(26)이 형성되는 접속구(20);
    접속구(20)가 벽체(1)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산(23)과 결합되어 접속구(20)를 벽체(1)에 고정하는 고정너트(30);
    접속구(20)의 관체(21)에 끼워져 플랜지(22)와 파형보호관(10)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밀봉시키는 고무링(40);
    일측이 절개된 관체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패드체(51)의 일단에 결합홈부(52)가 형성되고, 패드체(51)의 타단에 결합홈부(52)와 맞물리는 결합돌기(53)가 형성되며, 패드체(51)의 내측벽면에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밀착돌기(54)가 형성되고, 밀착돌기(54)는 밀봉패드(50)가 파형보호관(10)에 설치될 때 홈부(13)에 밀착되어 수밀시키는 밀봉패드(50);
    원형의 관체(61) 일측단에 다수개의 고정돌기(6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고정돌기(63)의 단부에 구형걸림부(64)가 일체로 형성되어 접속구(20)의 고정홈(26)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관체(61)의 타단에 내측으로 단턱(65)이 형성되고, 단턱(65)으로 통하도록 다수개의 볼트홀(66)이 관체(61)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걸림볼트(67)가 볼트홀(66)에 체결되어 파형보호관(10)의 홈부(1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구(60);
    링형상의 패드에 다수개의 홀(71)이 형성되어 고정구(60)의 고정돌기(63)에 삽입된채 플랜지(22)와 고정구(60)를 수밀시키는 고무패드(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1020070098598A 2007-10-01 2007-10-01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100787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598A KR100787577B1 (ko) 2007-10-01 2007-10-01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598A KR100787577B1 (ko) 2007-10-01 2007-10-01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577B1 true KR100787577B1 (ko) 2007-12-21

Family

ID=3914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598A KR100787577B1 (ko) 2007-10-01 2007-10-01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57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393B1 (ko) * 2011-04-11 2012-08-13 (주)경진이엠씨 조립식 가요전선관 연결구
CN110400653A (zh) * 2019-07-24 2019-11-01 江苏特宝利尔特种电缆有限公司 一种升降机电缆
KR20190134019A (ko) * 2018-05-24 2019-12-04 한국전력공사 맨홀 누수 방지 구조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104552B1 (ko) * 2019-12-13 2020-04-28 (주)현대이엔지 공동주택 전선배선의 보호덕트 구조
KR102153282B1 (ko) * 2020-03-20 2020-09-0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축용 통신선 접속구조
KR20210158026A (ko) * 2020-06-23 2021-12-30 한국전력공사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KR102474154B1 (ko) * 2021-10-08 2022-12-05 세종산업이웅커플러(주) 철근 커플러
KR102492928B1 (ko) * 2022-01-17 2023-01-30 김복희 지중배전선 접속용 감전방지형 안전배전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18B1 (ko) 2006-02-20 2007-03-19 허진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18B1 (ko) 2006-02-20 2007-03-19 허진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393B1 (ko) * 2011-04-11 2012-08-13 (주)경진이엠씨 조립식 가요전선관 연결구
KR20190134019A (ko) * 2018-05-24 2019-12-04 한국전력공사 맨홀 누수 방지 구조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156388B1 (ko) * 2018-05-24 2020-09-15 한국전력공사 맨홀 누수 방지 구조 및 이의 조립 방법
CN110400653A (zh) * 2019-07-24 2019-11-01 江苏特宝利尔特种电缆有限公司 一种升降机电缆
KR102104552B1 (ko) * 2019-12-13 2020-04-28 (주)현대이엔지 공동주택 전선배선의 보호덕트 구조
KR102153282B1 (ko) * 2020-03-20 2020-09-0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축용 통신선 접속구조
KR20210158026A (ko) * 2020-06-23 2021-12-30 한국전력공사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KR102394027B1 (ko) * 2020-06-23 2022-05-06 한국전력공사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KR102474154B1 (ko) * 2021-10-08 2022-12-05 세종산업이웅커플러(주) 철근 커플러
KR102492928B1 (ko) * 2022-01-17 2023-01-30 김복희 지중배전선 접속용 감전방지형 안전배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100696318B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KR100889357B1 (ko) 지중 배전용 배관파이프 방수구조
KR100713243B1 (ko)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KR10149101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연결 컨넥터
KR10081832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101226849B1 (ko)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KR101407928B1 (ko) 파형관 연결장치
US5147979A (en) Threadless floor electric wire junction box with water-proof protection
KR100629894B1 (ko) 공동주택단지 지중배선용 파형관 방수구조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100937943B1 (ko)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KR100904384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연결관 이음장치
KR20140004607U (ko) 관로용 접속구
KR20080046465A (ko) 방수플러그
KR200431070Y1 (ko) 유량계용 케이블 방수장치
KR20130096932A (ko) 방수기능을 갖는 전선관용 커넥터
KR200417301Y1 (ko) 수중 전선용 소켓
KR200318230Y1 (ko) 케이블관의 밀폐 설치구조
KR200452242Y1 (ko)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KR102549348B1 (ko) 안전 설계가 강화된 지중 송전선로 연결장치
KR100968600B1 (ko) 콘크리트 벽체에 관로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사용되는 방수관
KR200375104Y1 (ko) 관로연결구
KR101290684B1 (ko)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KR20110000252U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