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026A -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026A
KR20210158026A KR1020200076284A KR20200076284A KR20210158026A KR 20210158026 A KR20210158026 A KR 20210158026A KR 1020200076284 A KR1020200076284 A KR 1020200076284A KR 20200076284 A KR20200076284 A KR 20200076284A KR 20210158026 A KR20210158026 A KR 2021015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box body
installation hole
low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027B1 (ko
Inventor
박은근
김태완
김경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02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력 케이블의 분기접속과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해 지중 저압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접속함 본체부와, 접속함 본체부에 형성되는 설치홀에 삽입되는 파형관을 포함하는 삽입관부와, 설치홀과 파형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외부 이물질이 접속함 본체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FIXING APPARATUS FOR LOW VOLTAGE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 시공 및 경사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구비하고, 파형관의 골을 메울 수 있는 골 메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접속함 본체부 내부로 토사 유입을 최소화하고 파형관을 접속함 본체부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압 접속함은 저압의 전력을 각 수용가에 분배하는 저압 전력케이블의 분기접속과 점검 기타 보수작업을 하기 위한 소형의 함구조물이다.
주택, 상가, 빌딩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지중에 매립되는 메인 케이블은 저압 접속함의 내부에서 여러 개의 분기용 케이블들과 연결되며, 각 분기용 케이블들은 다수의 전력 수요처로 각각 전기를 공급한다.
고압 접속함과 달리, 저압 접속함의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계 기준이 없고, 저압 접속함과 파형관의 연결 부분에서의 시공 기준이 없기 때문에, 저압 접속함에 저압 전력 케이블을 설치하는 경우, 현장 작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따라서 저압 접속함과 파형관의 연결 부분에 크고 작은 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틈을 통해 토사가 계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저압 접속함 내부에 많은 양의 토사가 적층됨으로써, 고장 및 누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464호(2011.01.27. 공개, 발명의 명칭: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수평 시공 및 경사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구비하고, 파형관의 골을 메울 수 있는 골 메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접속함 본체부 내부로 토사 유입을 최소화하고 파형관을 접속함 본체부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는: 전력 케이블의 분기접속과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해 지중 저압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접속함 본체부와, 접속함 본체부에 형성되는 설치홀에 삽입되는 파형관을 포함하는 삽입관부와, 설치홀과 파형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외부 이물질이 접속함 본체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1 플랜지부와, 제1 플랜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1 연장관부와, 제1 연장관부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를 포함하는 제1 체결 부재와,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속함 본체부의 내부에서 제1 체결 부재의 제1 나사부에 결합되며, 접속함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플렌지부와 제1 연장관부 사이에는 각도 조절을 위한 주름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삽입관부는 파형관에 형성되는 골을 메우도록 마련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2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2 연장관부와,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크기가 가변되는 가변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3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변 결합부는 제2 연장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2 연장관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접속함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되며, 탄성 변형되는 가변 몸체와, 가변 몸체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가변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확장 가변 몸체와, 확장 가변 몸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확장 가변 몸체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가변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4 플랜지부와, 제4 플랜지부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4 연장관부와, 제4 연장관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홈부를 포함하는 제4 체결 부재와,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속함 본체부의 내부에서 제4 체결 부재의 제1 체결홈부에 결합되는 제1 체결돌기부를 구비하며, 접속함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5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6 플랜지부와, 제6 플랜지부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6 연장관부와,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크기가 가변되는 변형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6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변형 결합부는 제6 연장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6 연장관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접속함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되며, 탄성 변형되는 변형 몸체와, 변형 몸체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가변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확장 변형 몸체와, 확장 변형 몸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확장 변형 몸체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변형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7 플랜지부와, 제7 플랜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7 연장관부를 포함하는 제7 체결 부재와,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과 제7 플랜지부 사이의 틈새와, 제7 플랜지부와 파형관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폼 형태로 도포되는 제8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삽입관부는 파형관에 형성되는 골을 메우도록 마련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삽입관부는 파형관 및 링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자기융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9 플랜지부와, 제9 플랜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9 연장관부와, 제9 플랜지부로부터 제9 연장관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부와, 연결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열에 의해 수축되어 파형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열수축관부를 포함하는 제9 체결 부재와,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속함 본체부의 내부에서 제9 체결 부재의 제9 연장관부에 결합되며, 접속함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10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는, 수평 시공 및 경사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구비하고, 파형관의 골을 메울 수 있는 골 메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접속함 본체부 내부로 토사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파형관을 접속함 본체부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분해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결합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1 실시예에 주름 구조부가 추가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2 실시예가 접속함 본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분해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결합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8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4 실시예가 접속함 본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5 실시예가 접속함 본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6 실시예에 대한 분해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분해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결합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1 실시예에 주름 구조부가 추가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는 전력 케이블의 분기접속과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해 지중 저압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접속함 본체부(10)와, 접속함 본체부(10)에 형성되는 설치홀(20)에 삽입되는 파형관(100)을 포함하는 삽입관부와, 설치홀(20)과 파형관(10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외부 이물질이 접속함 본체부(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포함한다.
접속함 본체부(10)는 전력 케이블의 분기 및 고장 구간 분리를 위해 지중 저압 배전선로의 중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접속함 본체부(10)의 상측에는 지상에 노출되는 뚜겅부(미도시)가 설치되며, 접속합 본체부(10)에는 전력 케이블을 수용한 파형관(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홀(20)이 형성된다.
삽입관부는 접속함 본체부(10)에 형성되는 설치홀(20)에 삽입되는 파형관(100)을 포함한다.
파형관(100)은 파형으로 압출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골(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파형관(100)은 지중 전력 케이블과의 마찰이 적을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특성을 가지며, 직선형태의 시공뿐만 아니라 우회시공에도 용이하다.
삽입관부는 파형관(100)에 형성되는 골(110)을 메우도록 마련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링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부재(120)는 탄성 변형되어 파형관(100)의 골(110)에 밀착됨으로써, 접속함 본체부(10)와의 연결 부분에서 파형관(100)의 골(110)을 통해 토사 등의 이물질이 접속함 본체부(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서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여러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제1 체결 부재(210)와, 제2 체결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210)는 파형관(1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인 대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체결 부재(21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10)의 설치홀(20)에 설치된다.
제1 체결 부재(21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면(11)에 밀착되는 제1 플랜지부(211)와, 제1 플랜지부(21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20)에 삽입되는 제1 연장관부(212)와, 제1 연장관부(212)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213)를 포함한다.
제2 체결 부재(220)는 파형관(1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인 대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체결 부재(22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내부에서 제1 체결 부재(210)의 제1 나사부(213)에 나사 결합되며, 나사 결합이 완료된 상태일 때, 접속함 본체부(10)의 내면(12)에 밀착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1 실시예를 통해, 파형관(100)을 접속함 본체부(10)에 결합하는 경우, 접속함 본체부(10) 내부로의 토사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파형관(100)을 접속함 본체부(1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1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플렌지부(211)와 제1 연장관부(212) 사이에는 각도 조절을 위한 주름관부(214)가 형성된다.
주름관부(214)를 통해, 제1 플렌지부(211)와 제1 연장관부(212)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용이하게 파형관(10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2 실시예가 접속함 본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며,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제3 체결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 부재(230)는 파형관(1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인 대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3 체결 부재(23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10)의 설치홀(2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설치된다.
제3 체결 부재(23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면(11)에 밀착되는 제2 플랜지부(231)와, 제2 플랜지부(23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20)에 삽입되는 제2 연장관부(232)와, 접속함 본체부(20)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크기가 가변되는 가변 결합부(233)를 포함한다.
가변 결합부(233)는 제2 연장관부(232)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2 연장관부(232)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접속함 본체부(10)의 내면(12)에 밀착되고, 탄성 변형되는 가변 몸체(233a)와, 가변 몸체(233a)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가변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확장 가변 몸체(233b)와, 확장 가변 몸체(233b)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확장 가변 몸체(233b)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가변 절개홈(233c)을 포함한다.
제3 체결 부재(230)를 접속함 본체부(10)에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가변 결합부(233)를 접속함 본체부(10)의 설치홀(2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억지 끼움 과정에서 가변 결합부(233)의 확장 가변 몸체(233b) 및 가변 몸체(233a)가 수축되면서 설치홀(2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되고, 설치홀(20)에 완전히 진입한 후, 확장 가변 몸체(233b) 및 가변 몸체(233a)는 다시금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설치홀(20)에 견고히 결합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2 실시예를 통해, 파형관(100)을 접속함 본체부(10)에 결합하는 경우, 접속함 본체부(10) 내부로의 토사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파형관(100)을 접속함 본체부(1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분해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결합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며,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제4 체결 부재(240)와 제5 체결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체결 부재(240)는 파형관(1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인 대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4 체결 부재(24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10)의 설치홀(20)에 설치된다.
제4 체결 부재(24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면(11)에 밀착되는 제4 플랜지부(241)와, 제4 플랜지부(241)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20)에 삽입되는 제4 연장관부(242)와, 제4 연장관부(242)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홈부(243)를 포함한다.
제5 체결 부재(250)는 파형관(1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인 대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5 체결 부재(25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내부에서 제4 체결 부재(240)의 제1 체결홈부(243)에 결합되는 제1 체결돌기부(251)를 구비한다.
제4 체결 부재(240)의 제1 체결홈부(243)는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제5 체결 부재(250)의 제1 체결돌기부(251)를 제4 체결 부재(240)의 제1 체결홈부(243)에 결합하는 경우, 제5 체결 부재(250)의 제1 체결돌기부(251)를 제4 체결 부재(240)의 제1 체결홈부(243)에 일정 깊이 밀어 넣은 다음 일정 각도 회전 시키면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되며, 결합이 완료된 상태일 때, 제5 체결 부재(25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내면(12)에 밀착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3 실시예를 통해, 파형관(100)을 접속함 본체부(10)에 결합하는 경우, 파형관(100)이 경사진 방향으로 접속함 본체부(10)에 결합되더라도 접속함 본체부(10) 내부로의 토사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파형관(100)을 접속함 본체부(1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8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4 실시예가 접속함 본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며,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제6 체결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체결 부재(260)는 파형관(1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인 대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6 체결 부재(26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10)의 설치홀(2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설치된다.
제6 체결 부재(26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면(11)에 밀착되는 제6 플랜지부(261)와, 제6 플랜지부(261)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20)에 삽입되는 제6 연장관부(262)와,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크기가 가변되는 변형 결합부(263)를 포함한다.
변형 결합부(263)는 제6 연장관부(262)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6 연장관부(262)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접속함 본체부(10)의 내면(12)에 밀착되고, 탄성 변형되는 변형 몸체(263a)와, 변형 몸체(263a)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가변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확장 변형 몸체(263b)와, 확장 변형 몸체(263b)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확장 변형 몸체(263b)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변형 절개홈(263c)을 포함한다.
제6 체결 부재(260)를 접속함 본체부(10)에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변형 결합부(263)를 접속함 본체부(10)의 설치홀(2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억지 끼움 과정에서 변형 결합부(263)의 확장 변형 몸체(263b) 및 변형 몸체(263a)가 수축되면서 설치홀(2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되고, 설치홀(20)에 완전히 진입한 후, 확장 변형 몸체(263b) 및 변형 몸체(263a)는 다시금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설치홀(20)에 견고히 결합된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4 실시예를 통해, 파형관(100)을 접속함 본체부(10)에 결합하는 경우, 파형관(100)이 경사진 방향으로 접속함 본체부(10)에 결합되더라도 접속함 본체부(10) 내부로의 토사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파형관(100)을 접속함 본체부(1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5 실시예가 접속함 본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며, 도 10을 참조하면,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제7 체결 부재(270)와 제8 체결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체결 부재(270)는 파형관(1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인 대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7 체결 부재(27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10)의 설치홀(20)에 설치된다.
제7 체결 부재(27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면(11)에 밀착되는 제7 플랜지부(271)와, 제7 플랜지부(27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20)에 삽입되는 제7 연장관부(272)를 포함한다.
제8 체결 부재(30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면(11)과 제7 플랜지부(271) 사이의 틈새와, 제7 플랜지부(271)와 파형관(100)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폼 형태로 도포된다.
제8 체결 부재(300)로는 밀폐성과 방수성이 우수한 우레탄 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8 체결 부재(300)를 적용함으로써,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면(11)과 제7 플랜지부(271) 사이의 틈새와, 제7 플랜지부(271)와 파형관(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접속함 본체부(10)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5 실시예를 적용함에 있어서, 삽입관부는 파형관(100)에 형성되는 골(110)[도 1 참조]을 메우도록 마련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링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관부는 파형관(100) 및 링부재(12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자기융착 테이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기융착 테이프(13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고온 및 저온에서 절연 성능 및 방수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파형관(100)과 제8 체결 부재(300) 사이의 틈새 및 파형관(100)과 링부재(12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6 실시예에 대한 분해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6 실시예가 도시되며, 도 11을 참조하면,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제9 체결 부재(280)와 제10 체결 부재(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9 체결 부재(280)는 파형관(1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인 대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9 체결 부재(28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부에서 접속함 본체부(10)의 설치홀(20)에 설치된다.
제9 체결 부재(28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외면(11)에 밀착되는 제9 플랜지부(281)와, 제9 플랜지부(28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설치홀(20)에 삽입되는 제9 연장관부(282)와, 제9 플랜지부(281)로부터 제9 연장관부(28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부(283)와, 연결관부(283)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열에 의해 수축되어 파형관(100)의 외면에 밀착되는 열수축관부(284)를 포함한다.
열수축관부(284)는 시공 시간의 단축을 위해, 연결관부(283)와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현장 여건에 따라 별도로 분리 구성된 연결관부(283)와 열수축관부(284)를 사용할 수 있다.
열수축관부(284)를 연결관부(283)와 분리 구성하는 경우, 현장 시공시 연결관부(283)와 파형관(100)을 동시에 감싸도록 열수축관부(284)를 끼운 뒤, 열수축관부(284)에 열을 가하게 되면, 열수축관부(284)가 수축하면서 연결관부(283)와 파형관(100) 사이의 틈새를 완벽히 차단한다.
열수축관부(284)와 연결관부(283)가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도, 시공 과정에서 열수축관부(284)에 열을 가함으로써,연결관부(283)와 파형관(100) 사이의 틈새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제10 체결 부재(290)는 파형관(1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인 대략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0 체결 부재(29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내부에서 제9 체결 부재(280)의 제9 연장관부에 결합되며, 결합이 완료된 상태일 때, 제10 체결 부재(290)는 접속함 본체부(10)의 내면(12)에 밀착된다.
도 11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의 제6 실시예를 통해, 파형관(100)을 접속함 본체부(10)에 결합하는 경우, 열에 의해 수축된 열수축관부(284)가 파형관(100)의 외면 및 연결관부(283)의 외면에 밀착되므로, 파형관(100)과 제9 체결 부재(280)의 연결관부(283) 사이의 틈새가 밀폐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접속함 본체부(10) 내부로의 토사 유입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파형관(100)을 접속함 본체부(1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시공 및 경사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구비하고, 파형관의 골을 메울 수 있는 골 메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접속함 본체부 내부로 토사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파형관을 접속함 본체부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접속함 본체부 11: 외면
12: 내면 20: 설치홀
100: 파형관 110: 골
120: 링부재 130: 자기융착 테이프
210: 제1 체결 부재 211: 제1 플랜지부
212: 제1 연장관부 213: 제1 나사부
214: 주름관부 220: 제2 체결 부재
230: 제3 체결 관부 231: 제1 플랜지부
232: 제2 연장관부 233: 가변 결합부
233a: 가변 몸체 233b: 확장 가변 몸체
233c: 가변 절개홈 240: 제4 체결 부재
241: 제4 체결 부재 242: 제4 연장관부
243: 제1 체결홈부 250: 제5 체결 부재
251: 제1 체결돌기부 260: 제6 체결 부재
261: 제6 플랜지부 262: 제6 연장관부
263: 변형 결합부 263a: 변형 몸체
263b: 확장 변형 몸체 263c: 변형 절개홈
270: 제7 체결 부재 271: 제7 플랜지부
272: 제7 연장관부 280: 제9 체결 부재
281: 제9 플랜지부 282: 제9 연장관부
283: 연결관부 284: 열수축관부
300: 제8 체결 부재

Claims (13)

  1. 전력 케이블의 분기접속과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해 지중 저압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접속함 본체부;
    상기 접속함 본체부에 형성되는 설치홀에 삽입되는 파형관을 포함하는 삽입관부; 및
    상기 설치홀과 상기 파형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외부 이물질이 상기 접속함 본체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상기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1 플랜지부;
    상기 제1 플랜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1 연장관부; 및
    상기 제1 연장관부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를 포함하는 제1 체결 부재;
    상기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체결 부재의 상기 제1 나사부에 결합되며,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2 체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렌지부와 상기 제1 연장관부 사이에는 각도 조절을 위한 주름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부는 상기 파형관에 형성되는 골을 메우도록 마련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상기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2 플랜지부;
    상기 제2 플랜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2 연장관부; 및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크기가 가변되는 가변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3 체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결합부는,
    상기 제2 연장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관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되며, 탄성 변형되는 가변 몸체;
    상기 가변 몸체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가변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확장 가변 몸체; 및
    상기 확장 가변 몸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장 가변 몸체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가변 절개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상기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4 플랜지부;
    상기 제4 플랜지부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4 연장관부; 및
    상기 제4 연장관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홈부;를 포함하는 제4 체결 부재;
    상기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4 체결 부재의 상기 제1 체결홈부에 결합되는 제1 체결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5 체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상기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6 플랜지부;
    상기 제6 플랜지부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6 연장관부; 및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크기가 가변되는 변형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6 체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결합부는,
    상기 제6 연장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6 연장관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되며, 탄성 변형되는 변형 몸체;
    상기 변형 몸체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고, 직경이 가변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확장 변형 몸체;
    상기 확장 변형 몸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장 변형 몸체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변형 절개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상기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7 플랜지부; 및
    상기 제7 플랜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7 연장관부;를 포함하는 제7 체결 부재;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과 상기 제7 플랜지부 사이의 틈새와, 상기 제7 플랜지부와 상기 파형관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폼 형태로 도포되는 제8 체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부는 상기 파형관에 형성되는 골을 메우도록 마련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부는 상기 파형관 및 상기 링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자기융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는,
    상기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설치홀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9 플랜지부;
    상기 제9 플랜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는 제9 연장관부;
    상기 제9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제9 연장관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부;
    상기 연결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열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파형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열수축관부;를 포함하는 제9 체결 부재;
    상기 파형관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9 체결 부재의 상기 제9 연장관부에 결합되며, 상기 접속함 본체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10 체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KR1020200076284A 2020-06-23 2020-06-23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KR10239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84A KR102394027B1 (ko) 2020-06-23 2020-06-23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84A KR102394027B1 (ko) 2020-06-23 2020-06-23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26A true KR20210158026A (ko) 2021-12-30
KR102394027B1 KR102394027B1 (ko) 2022-05-06

Family

ID=7917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84A KR102394027B1 (ko) 2020-06-23 2020-06-23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7221A1 (zh) * 2022-09-30 2024-04-04 江苏天合储能有限公司 一种密封连接仓及储能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77B1 (ko) * 2007-10-01 2007-12-21 (주)하나기연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20100134832A (ko) * 2009-06-16 2010-12-24 삼성파워텍주식회사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에 형성되는 각도를 갖는 관로구의 방수장치
KR20110008464A (ko) * 2009-07-20 2011-01-27 오명종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JP6499214B2 (ja) * 2017-02-23 2019-04-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管、電線管の接続構造、ベルブロック、電線管同士の接続方法、電線管とベルブロックの接続方法、管継手、リング部材
KR20200071985A (ko) * 2018-12-12 2020-06-22 (주)가올 전선 가요관용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77B1 (ko) * 2007-10-01 2007-12-21 (주)하나기연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20100134832A (ko) * 2009-06-16 2010-12-24 삼성파워텍주식회사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에 형성되는 각도를 갖는 관로구의 방수장치
KR20110008464A (ko) * 2009-07-20 2011-01-27 오명종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JP6499214B2 (ja) * 2017-02-23 2019-04-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管、電線管の接続構造、ベルブロック、電線管同士の接続方法、電線管とベルブロックの接続方法、管継手、リング部材
KR20200071985A (ko) * 2018-12-12 2020-06-22 (주)가올 전선 가요관용 커넥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7221A1 (zh) * 2022-09-30 2024-04-04 江苏天合储能有限公司 一种密封连接仓及储能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027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2360T3 (es) Dispositivo sujetacables
US8889989B2 (en) Elastomeric cable adapters for power transmission cables and cover assemblie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US7232347B1 (en) Seal for confined electrical conductor cable
KR100626148B1 (ko) 지중 케이블 보호관
BR112018011891B1 (pt) Sistemas de conexão elétrica modular para aplicações de contenção de pressão e para aplicações na cabeça de poço
KR100777263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2394027B1 (ko)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US5788414A (en) Fiber optic saddle
KR101927666B1 (ko) 지중케이블 관로 연결구조
WO2010029365A2 (en) Laying network cables in water supply pipes
KR101264909B1 (ko) 배전 케이블 지중 설치장치
US5437087A (en) Method of attaching an interduct to aduct
KR10081832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EP2594000B1 (en) Watertight cable connections
RU2120579C1 (ru) Система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способ прокладки труб и средства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US20150037096A1 (en) Sidewalk trench system
RU2625916C2 (ru)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чатых электрокабелей с разгрузкой натяжения
KR100501209B1 (ko) 지중 케이블 보호관
WO2015001332A1 (en) An improved cable transfer system
KR20110008464A (ko)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KR10213634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0731957B1 (ko)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US20220278513A1 (en) 360 degree coupling
WO2002054553A2 (en) Cable installations and components therefor
KR100712315B1 (ko) 건축 전기배관 누수 방지시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