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464A -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8464A KR20110008464A KR1020090065827A KR20090065827A KR20110008464A KR 20110008464 A KR20110008464 A KR 20110008464A KR 1020090065827 A KR1020090065827 A KR 1020090065827A KR 20090065827 A KR20090065827 A KR 20090065827A KR 20110008464 A KR20110008464 A KR 201100084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rugated pipe
- junction box
- connector
- connection devic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파형관을 접속함의 연결구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연결할 수 있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는 파형관을 접속함의 연결구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로서, 상기 연결장치는 접속함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면서 접속함의 연결구에 위치한 파형관의 끝단부 내측면을 따라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삽입부를 포함하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삽입부를 파형관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더 제공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돌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는 파형관에 면 접촉하며 삽입될 수 있도록 파형관 내주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접속함, 파형관, 연결장치, 체결부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설치되는 접속함과 파형관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처나 시설물 등에 저압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지중으로 배전선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전선로는 대부분의 경우 도로나 인도 등을 따라서 지중에 관로를 매설하고 관로 내부에 전력 케이블을 배선하는 방법으로 구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배전선로에는 접속함이 설치되어 전력 케이블을 접속하거나 또는 분기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접속함은 내부가 공간부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부로 형성된 본체와, 이 본체의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접속함 본체는 통상적으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중에 매설되고 뚜껑은 지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개폐 가능하게 덮여진다.
상기 관로는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직관을 이용하거나 또는 유연성을 갖는 파형관을 사용하게되는데, 작업의 편리성 및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성을 갖 는 파형관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접속함에 파형관을 연결하려면 접속함에 파형관 크기로 구멍을 뚫어 연결구를 마련하고, 이 연결구를 통하여 접속함 내부로 파형관의 끝단부를 삽입하여 파형관을 접속함에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연결구를 뚫을 때 접속함의 파손우려가 있으며, 작업자가 접속함 절단 시 몇 개의 파형관 연결구를 대단면으로 한번에 절단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취약해 진다.
특히 파형관과 연결구 사이를 통하여 접속함 내부로 물이나 토사가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접속함 내부에 물이나 토사 등이 유입되면 누전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감전 사고로 이어져 인명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파형관이 접속함 연결구에 튼튼하게 지지되지 않으므로 토사의 압력에 의하여 파형관이 연결구에서 탈락되어 향후 유지관리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형관을 접속함의 연결구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연결할 수 있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는,
파형관을 접속함의 연결구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로서, 상기 연결장치는 접속함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면서 접속함의 연결구에 위치한 파형관의 끝단부 내측면을 따라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삽입부를 포함하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삽입부를 파형관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더 제공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돌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는 파형관에 면 접촉하며 삽입될 수 있도록 파형관 내주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는 접속함에 파형관의 끝단부가 밀착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파형관과 접속함의 연결구를 통하여 접 속함 내부로 물이나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누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감전 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100)는 접속함(200)에 파형관(300)을 튼튼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재이다.
상기 접속함(200)에는 파형관(300)을 연결하기 위하여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연결구(210)가 형성되며, 이 연결구(210)에는 전력 케이블이 삽입되어 사용처로 안내하기 위한 파형관(300)이 연결된다.
접속함(200)의 재질은 FRP,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구(210)를 파형관(300)의 설치에 맞도록 접속함(200)을 제작할 때 같이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장치(100)는 그 중앙부가 관통되어 접속함(200) 내부는 파형관(300)과 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장치(100)는 접속함(200)의 내벽에 면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플랜지부(110)와, 상기 플랜지부(110)에 고정되면서 접속함(200)의 연 결구(210)에 끼워진 파형관(300)의 끝단부 내측면을 따라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삽입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20)는 그 외주면이 파형관(30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삽입부(120)는 파형관(300)의 끝단부 내주면을 따라서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삽입부(120)를 파형관(3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110)에는 체결부재(130)가 더 제공된다.
이 체결부재(130)는 연결장치(100)를 더욱 용이하게 회전시켜 삽입부(120)를 파형관(300) 내부로 쉽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부재이다.
상기 체결부재(130)는 본 실시 예에서는 플랜지부(110)에서 돌출되는 돌기로 이루여진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랜지부(110)에 형성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130)가 돌기인 경우 돌기를 잡고 연결장치(100)를 회전시켜 삽입부(120)를 파형관(300) 내부에 체결하면 되고, 체결부재(130)가 홈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이 홈에 봉을 삽입하여 연결장치(100)를 회전시켜 삽입부(120)를 파형관(300) 내부에 체결하면 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연결장치(100)를 이용하여 접속함(200)에 파형관(300)을 연결하려면, 먼저 파형관(300)의 끝단부를 접속함(200)의 열결구(210)외측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연결장치(100)의 삽입부(120) 외측에 개스켓(400)을 끼우고 접속 함(200) 내측에서 삽입부(120)를 파형관(300)의 끝단부 내측으로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하면 개스켓(400)이 접속함(200)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이와 아울러 파형관(300)의 끝단부는 접속함(200)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튼튼하게 고정된다.
이렇게 설치된 파형관(300)과 접속함(200)은 지중에 매립하고 파형관(300) 내부로는 케이블을 포설한 다음, 접속함(200) 내부에서 케이블의 접속 작업을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접속함(200) 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뚜껑을 덮어 접속함(200) 내부를 밀폐시킨다.
이렇게 설치된 파형관(300)은 접속함(200)에 연결장치(100)를 통하여 튼튼하게 고정되면서, 연결장치(100)의 삽입부(120) 외측면에는 개스켓(400)이 더욱 제공되므로 파형관(300)과 연결구(210) 사이를 통하여 저압 접속함(200) 내부로 물이나 토사는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Claims (5)
- 파형관을 접속함의 연결구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로서,상기 연결장치는 접속함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플랜지부;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면서 접속함의 연결구에 위치한 파형관의 끝단부 내측면을 따라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삽입부;를 포함하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삽입부를 파형관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더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체결부재는 돌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삽입부는 파형관에 면 접촉하며 삽입될 수 있도록 파형관 내주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삽입부 외측면으로는 개스켓이 더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5827A KR20110008464A (ko) | 2009-07-20 | 2009-07-20 |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5827A KR20110008464A (ko) | 2009-07-20 | 2009-07-20 |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8464A true KR20110008464A (ko) | 2011-01-27 |
Family
ID=4361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5827A KR20110008464A (ko) | 2009-07-20 | 2009-07-20 |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8464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24362A (ja) * | 2019-04-22 | 2019-07-25 | 未来工業株式会社 | 配設経路形成装置及び配設経路構造 |
IT201800010635A1 (it) * | 2018-11-28 | 2020-05-28 | Deregibus Tubigomma | Porzione di raccordo di un tubo multistrato, particolarmente per fluidi chimici e alimentari |
KR20210158026A (ko) * | 2020-06-23 | 2021-12-30 | 한국전력공사 |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
-
2009
- 2009-07-20 KR KR1020090065827A patent/KR2011000846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1800010635A1 (it) * | 2018-11-28 | 2020-05-28 | Deregibus Tubigomma | Porzione di raccordo di un tubo multistrato, particolarmente per fluidi chimici e alimentari |
EP3660379A1 (en) * | 2018-11-28 | 2020-06-03 | Tubigomma Deregibus S.r.l. | Connecting portion of a multilayer tube, particularly for chemical and food-related fluids |
JP2019124362A (ja) * | 2019-04-22 | 2019-07-25 | 未来工業株式会社 | 配設経路形成装置及び配設経路構造 |
KR20210158026A (ko) * | 2020-06-23 | 2021-12-30 | 한국전력공사 | 저압 접속함용 체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08464A (ko) |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 |
KR100831821B1 (ko)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 |
KR101569868B1 (ko) | 토압으로부터 지중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 | |
JP2019022290A (ja) | 電線収容設備における保護管の取付具 | |
KR102584880B1 (ko) | 배전선로 전력구 접지봉의 유지보수공법 | |
KR101497335B1 (ko)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관 | |
KR100770154B1 (ko) |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 |
KR100736833B1 (ko) |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구조 | |
KR100706785B1 (ko) |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 |
KR100904384B1 (ko) |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연결관 이음장치 | |
KR100980601B1 (ko) | 방수용 지중(地中)송전 전력관로 이음장치 | |
KR100731957B1 (ko) |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 |
KR102136340B1 (ko) |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 |
KR20120102946A (ko) | 관로구 방수 장치 | |
WO2011135383A2 (en) | Watertight cable connections | |
KR100891105B1 (ko) | 전력선 보호구 | |
KR100941030B1 (ko) | 배전용 지중 전력 케이블 관로 보호구 | |
KR200469266Y1 (ko) | 지중매설관 연결장치 | |
CN221597390U (zh) | 跨路电力电缆排管预制品装置 | |
WO2015001332A1 (en) | An improved cable transfer system | |
KR100574614B1 (ko) | 보수용 전선관 | |
KR200375104Y1 (ko) | 관로연결구 | |
KR101033840B1 (ko) | 공동주택용 입상관 연결구조 | |
CN221609998U (zh) | 一种隧道二衬电热保温排水装置 | |
KR100654219B1 (ko) | 공동주택단지 지중에 매설되는 다용도 하수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