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607U - 관로용 접속구 - Google Patents

관로용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607U
KR20140004607U KR2020130000769U KR20130000769U KR20140004607U KR 20140004607 U KR20140004607 U KR 20140004607U KR 2020130000769 U KR2020130000769 U KR 2020130000769U KR 20130000769 U KR20130000769 U KR 20130000769U KR 20140004607 U KR20140004607 U KR 201400046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nection
manhole
connection 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순
Original Assignee
박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순 filed Critical 박현순
Priority to KR2020130000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607U/ko
Publication of KR20140004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6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관로용 접속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관로용 접속구는, 관로가 연결되기 위한 맨홀의 벽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맨홀의 벽체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지지홀을 구비한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지지홀 측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맨홀의 벽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구의 지지홀과 연통되기 위한 접속홀을 구비한 접속구 그리고, 상기 접속구의 돌출 단부와 상기 관로의 단부 둘레부를 감싸는 상태로 체결 고정되면서 연결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두 개의 연결구를 구비한 체결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로용 접속구{CONNECTING DEVICE OF CLOSED CONDUIT FOR ELECTRIC CABLE}
본 고안은, 관로용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전력케이블들은 맨홀 측에서 분기되는 형태로 연결된 케이블 관로 내부를 따라 배선된다.
상기 케이블 관로는 주로 파형관과 같은 합성수지관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특히 맨홀과 대응하도록 연결할 때 안정적인 연결 고정 및 시일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맨홀과 관로를 연결하는 작업에는 대부분 관로용 접속구("연결구" 또는 "어댑터"라고도 함.)가 사용되며, 이 접속구는 관로 일단을 맨홀 측에 연통 상태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관로용 접속구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75104호의 관로연결구."가 있다.
상기 관로연결구는 맨홀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밀착판과, 이 밀착판 사이에 밀폐 패킹들을 설치하여 상기 두 개의 밀착판을 볼트 및 너트로 조여서 맨홀의 측벽 측에 시일 가능한 상태로 관로의 일단을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375104호의 관로연결구의 구조에 의하면, 맨홀의 측벽 내,외측에 각각 작업자가 배치된 상태로 밀착판 및 밀폐패킹을 설치해야 하므로 공정 및 작업이 복잡하고, 과다한 작업 인원(2명 이상)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두 개의 밀착판 간격을 조여서 밀폐패킹으로 맨홀의 측벽 홀 부분만 단순하게 시일하는 구조는 외부 압력(토압, 하중)에 의해 연결 상태가 쉽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시공 후 시일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맨홀의 측벽 내,외부면 측에 밀착판을 단순하게 덧대는 상태로 관로를 연결 고정하는 구조는 특히 관로의 길이 방향으로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시공 후 관로의 단부가 맨홀 측벽에서 쉽게 이탈하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력 케이블의 지중(地中) 배선을 위한 관로를 맨홀 측에 연결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고, 한층 향상된 연결 고정력 및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로용 접속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관로가 연결되기 위한 맨홀의 벽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맨홀의 벽체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지지홀을 구비한 지지구;
상기 지지구의 지지홀 측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맨홀의 벽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구의 지지홀과 연통되기 위한 접속홀을 구비한 접속구;
상기 접속구의 돌출 단부와 상기 관로의 단부 둘레부를 감싸는 상태로 체결 고정되면서 연결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두 개의 연결구를 구비한 체결연결부;
를 포함하는 관로용 접속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맨홀 벽체의 지지구 측에 접속구 일단을 연결하고, 이 접속구의 타단과 관로 일단을 감싸는 상태로 체결연결부(두 개의 연결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전력 케이블의 지중 배선을 위한 관로를 맨홀 측에 간편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맨홀 외부에서 관로의 연결 작업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므로, 예를 들어, 맨홀 내부 및 외부에 각각 작업자들이 배치된 상태로 연결 작업(체결)을 진행하는 구조를 갖는 관로용 접속구들과 비교할 때 한층 향상된 작업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로용 접속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로용 접속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로용 접속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로용 접속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면 부호 2는 지지구를 지칭한다.
그리고, 도면 부호 A는 맨홀을 지칭하고, 도면 부호 B는 관로를 지칭한다. 상기 맨홀(A)은 이미 잘 알려진 콘크리트 구조물 타입의 맨홀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관로(B)는 파형관 타입의 관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구(2)는 지지홀(H1)을 구비하고, 맨홀(A)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홀(H1)은 상기 지지구(2)를 관통하는 상태로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로(B)의 직경과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구(2)는, 맨홀(A)의 내부공간(A2)을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맨홀(A)의 벽체(A1) 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구(2)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홀(H1)에 의해 상기 맨홀(A)의 벽체(A1)를 관통하는 상태로 개방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맨홀(A)의 벽체(A1) 내,외부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맨홀(A)의 내부공간(A2)은 상기 지지구(2)의 지지홀(H1)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 상태가 된다.
상기 지지구(2)의 재질은 합성수지(또는 금속)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형 작업(예: 사출 성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2)를 상기 맨홀(A) 측에 설치하는 작업은,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맨홀(A)을 콘크리트 구조물 타입으로 성형할 때 통상의 방법으로 벽체(A1) 내측에 설치하거나, 이외에도 맨홀(A)의 성형 후, 벽체(A1) 측에 체결 고정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구(2)는 상기 지지홀(H1)과 대응하는 차단판(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C)은 상기 지지구(2)의 지지홀(H1)을 차단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홀(H1) 측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C)은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구(2)의 지지홀(H1) 내측에서 이 지지홀(H1)의 통로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가장자리 한 군데 이상의 지점이 상기 지지홀(H1)의 내부면과 연결된 이음부(C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C1)는, 예를 들어, 작업자가 간단한 도구(예: 망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단판(C)을 타격하면 이음 상태가 쉽게 끊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지지홀(H1) 측에서 상기 차단판(C)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C)은 예를 들어, 상기 지지구(2)를 성형할 때 상기 지지홀(H1) 내측에서 상기와 같이 이음부(C1)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차단판(C)은, 관로(B)의 연결 작업 전에는 외부의 각종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차단하고, 관로(B)의 연결시에는 맨홀(A) 외부에서 작업자가 떼어내는 동작에 의해 쉽게 분리되면서 상기 지지홀(H1)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로용 접속구는 상기 지지구(2)와 대응하는 접속구(4)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구(4)는 상기 지지구(2) 측에 관로(B)를 연결하기 위한 돌출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4)는 상기 지지구(2)의 지지홀(H1)과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홀(H1) 측에 일단이 끼워질 때 타단이 상기 맨홀(A)의 벽체(A1) 외측을 향하여 돌출 단부(P)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4)는 나사 결합으로 상기 지지구(2)의 지지홀(H1) 측에 일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접속구(4)의 일단 외부면에는 수나사(D1)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홀(H1)의 내부면에는 암나사(D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수나사(D1) 및 암나사(D2)를 이용한 체결 방식으로 상기 접속구(2)의 일단을 상기 지지구(2)의 지지홀(H1) 측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접속구(4)의 재질은 합성수지(또는 금속)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형 방법(예: 사출 성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로용 접속구는, 체결연결부(6)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연결부(6)는 특히 상기 접속구(4)의 돌출 단부(P)와, 관로(B) 단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체결되면서 연결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연결부(6)는 두 개의 연결구(E1, E2)를 구비하고, 이 두 개의 연결구(E1, E2)는 원형의 둘레부를 이루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구(E1, E2)들은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각각 반원형의 둘레부를 가지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접속구(4) 및 관로(B) 둘레부를 감싸는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E1, E2)의 일단은 상기 접속구(4)의 돌출 단부(P) 둘레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관로(B) 즉, 파형관의 둘레부와 대응하는 파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E1, E2) 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은 플랜지 타입의 체결부(F)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F)는 상기 두 개의 연결구(E1, E2)가 원형을 이루는 상태로 배치될 때 체결부재(F1, 예;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면서 상기 연결구(E1, E2)들을 결합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체결연결부(6)는, 도 4에서와 같이 접속구(4)의 돌출 단부(P)와 대응하도록 관로(B) 단부를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도 5에서와 같이 두 개의 연결구(E1, E2)를 체결 고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구(2)의 지지홀(H1)과 대응하도록 관로(B)를 연결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관로(B) 내부와 맨홀(A)의 내부공간(A2)은 서로 연통된 연결 고정 상태가 되므로 상기 맨홀(A) 내부에서 각종 전력케이블(미도시)들을 상기 관로(B)를 통하여 지중 배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로용 접속구는, 걸림부(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8)는 상기 연결구(E1, E2)의 체결시 상기 접속구(4)의 돌출 단부(P)와 고정력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부(8)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구(E1, E2)의 내부면에 홈(또는 돌기) 타입으로 형성되는 제1 걸림구(G1)와, 상기 접속구(4) 외부면에 돌기(또는 홈) 타입으로 형성되는 제2 걸림구(G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걸림구(G1, G2)는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두 개의 연결구(E1, E2)가 접속구(4)의 외부면을 감싸는 상태로 체결될 때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걸림구(G1, G2)는 상기 연결구(E1, E2)가 체결된 상태에서 접속구(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걸림 접촉력을 발생하므로 한층 향상된 체결 고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로용 접속구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시일부재(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일부재(10)는 접속구(4)와 관로(B)의 연결할 때 시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체결연결부(6)와 대응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시일부재(10)는 예를 들어, 상기 체결연결부(6)의 연결구(E1, E2) 안쪽면을 덮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재질은 고무나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일부재(10)는 도 7에서와 같이 체결연결부(6)의 연결구(E1, E2)로 접속구(4)와 관로(B)를 연결 고정할 때 이들의 접촉면 사이에 배치되어 접촉 틈새를 시일 상태로 메울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시일부재(10)가 연결구(E1, E2)들의 안쪽면을 덮는 상태로 형성되면 예를 들어, 일반 고무링 타입의 시일재들과 비교할 때 시일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더욱 안정적인 시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로용 접속구는, 도 5에서와 같이 맨홀(A)의 벽체(A1)와 대응하도록 설치된 지지구(2) 측에 접속구(4) 일단을 연결한 다음, 도 5에서와 같이 접속구(4)와 관로(B)를 체결연결부(6)의 체결에 의해 연결 고정하는 방식으로 전력케이블의 지중 배선을 위한 관로(B)를 맨홀(A) 측에 간편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맨홀(A) 외부에서 관로(B)의 연결 작업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므로, 예를 들어, 맨`홀 내부 및 외부에서 작업자들에 의해 연결 작업(체결)을 진행하는 구조를 갖는 관로용 접속구들과 비교할 때 한층 향상된 작업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2: 지지구 4: 접속구 6: 체결연결부
8: 걸림부 10: 시일부재 A: 맨홀
B: 관로 E1, E2: 연결구

Claims (7)

  1. 관로가 연결되기 위한 맨홀의 벽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맨홀의 벽체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지지홀을 구비한 지지구;
    상기 지지구의 지지홀 측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맨홀의 벽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구의 지지홀과 연통되기 위한 접속홀을 구비한 접속구;
    상기 접속구의 돌출 단부와 상기 관로의 단부 둘레부를 감싸는 상태로 체결 고정되면서 연결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 두 개의 연결구를 구비한 체결연결부;
    를 포함하는 관로용 접속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맨홀의 벽체 내,외부면이 상기 지지홀에 의해 관통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벽체 측에 설치되는 관로용 접속구.
  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지지홀과 대응하는 차단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은,
    상기 지지홀의 통로를 차단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용 접속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상기 지지구의 지지홀 측에 일단이 나사 결합으로 끼워져서 상기 지지홀과 상기 접속홀이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관로용 접속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연결구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지지구 및 상기 관로의 단부 둘레부를 감싸는 상태로 연결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관로용 접속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는 관로용 접속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로용 접속구는,
    시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일부재는,
    상기 체결연결부의 연결구로 상기 지지구 및 관로 둘레부를 감싸는 상태로 연결 고정할 때 이들의 접촉 틈새에 배치되어 틈새를 시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로용 접속구.
KR2020130000769U 2013-01-29 2013-01-29 관로용 접속구 KR201400046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69U KR20140004607U (ko) 2013-01-29 2013-01-29 관로용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69U KR20140004607U (ko) 2013-01-29 2013-01-29 관로용 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07U true KR20140004607U (ko) 2014-08-06

Family

ID=5244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69U KR20140004607U (ko) 2013-01-29 2013-01-29 관로용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60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887A (ko) * 2018-06-19 2019-12-30 김황경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
KR20210127472A (ko) * 2020-04-14 2021-10-22 김성찬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KR20230001143U (ko) * 2021-11-29 2023-06-07 (주)성원화학 맨홀용 지중 관로 연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887A (ko) * 2018-06-19 2019-12-30 김황경 지중배전선로의 맨홀용 관로구
KR20210127472A (ko) * 2020-04-14 2021-10-22 김성찬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KR20230001143U (ko) * 2021-11-29 2023-06-07 (주)성원화학 맨홀용 지중 관로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18B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US20150083486A1 (en) Threaded Sleeve Compressed Split Cable Gland
CN106461141A (zh) 用于流体导管的、具有位于内部的适配器套的插接连接器
KR20130112714A (ko) 밀폐 조립체 및 개구에 밀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밀폐방법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20140004607U (ko) 관로용 접속구
KR101496984B1 (ko) 안전증 방폭 배선함
KR101171058B1 (ko) 플랜지 접속형 상수도관 이음 장치
KR101664212B1 (ko) 탈착이 용이한 밀폐식 상하수도관
KR100743469B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1873784B1 (ko) 특고압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20090081480A (ko) 공동주택용 지하매설 전선보호관
KR100845787B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0850305B1 (ko) 지중전력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KR100786561B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0629894B1 (ko) 공동주택단지 지중배선용 파형관 방수구조
KR101412499B1 (ko) 가스차단접속관 및 시공방법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KR20090011547A (ko) 관 이음장치
JP2014096870A (ja) 管路形成部材、それを用いた管路、および管路形成方法
KR100806932B1 (ko) 송배전케이블 이설장치
CN202050205U (zh) 防爆电器用橡套电、光缆双重引入装置
KR100837666B1 (ko) 배전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1677054B1 (ko) 지중 송전선로용 조립식 덕트
KR20110000252U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