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356B1 -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356B1
KR102121356B1 KR1020180168924A KR20180168924A KR102121356B1 KR 102121356 B1 KR102121356 B1 KR 102121356B1 KR 1020180168924 A KR1020180168924 A KR 1020180168924A KR 20180168924 A KR20180168924 A KR 20180168924A KR 102121356 B1 KR102121356 B1 KR 10212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astening
optical cable
tub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옥
양지수
Original Assignee
김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옥 filed Critical 김병옥
Priority to KR102018016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40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통신용 또는 전기용 광케이블을 매설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광케이블용 다중관에 관한 기술로서, 지중에서 내관의 연결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외관과 내관의 기밀성을 확보하여 지중에서 침전수나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광케이블을 물기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하는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다수개의 내관을 감싸도록 내관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외관이 성형된 다중관; 상기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의 외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다수개의 체결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한쌍의 체결캡; 상기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에서 외관의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한쌍의 패킹; 및 상기 한쌍의 체결캡 사이에 결합 설치되고, 내관이 서로 연결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Multi-tube coupler for optical cable}
본 발명은 지중에 통신용 또는 전기용 광케이블을 매설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광케이블용 다중관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중에서 내관의 연결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외관과 내관의 기밀성을 확보하여 지중에서 내관으로 침전수나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광케이블을 물기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하며, 광케이블의 연결작업이 순조롭게 수행되는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시가지에 위치한 통신용 또는 전기용 선로는 도시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주민들에게 거부감을 심어주고 있으며, 특히 학교시설을 횡단하거나 인접하고 있는 송전탑 및 송전선로는 학생들에게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주고 쾌적한 교육환경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통신용 또는 전기용 광케이블을 지중에 매설하여 시공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을 높일 뿐만 아니라 도로의 전망과 교통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보도를 넓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민들이나 보행자에게 안전하고 이용하기 쉬운 보행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통신용 또는 전기용 광케이블을 지중에 매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광케이블용 다중관(Corrugated Optic Duct: COD)은 광케이블이 내입되는 다수(3~7)의 내관과, 상기 내관을 감싸 토압이나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외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관은 내구성과 유연성을 보다 높이고자 주름관 형태로 성형된다.
이러한 광케이블용 다중관은 압출기를 통해 성형된 다음, 대략 500~1000m 길이로 롤에 감겨 작업현장으로 운반되며, 시공작업에서 외관에 삽입된 다수의 내관이 비틀림이나 서로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대부분 외관의 내벽에 다수의 내관이 열융착되어 성형되고, 시공 길이에 따라 작업현장에서 다중관을 서로 연결하여 지중에 매설하게 된다.
종래 광케이블용 다중관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118호(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외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한쌍의 외관 고정접속체와; 상기 외관에 끼워져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다수의 삽입 가이드와 중앙 가이드가 형성된 내관고정구와; 상기 외관 고정접속체와 내관고정구 사이에 설치되어 내관과 외관을 방수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광케이블용 다중관을 서로 연결하여 접속할 때, 외관의 탈피작업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으나, 내관의 단부와 내관고정구 사이에 가스켓을 끼운 상태에서 외관 고정접속체를 볼트로 조일 경우, 내관의 구멍과 가스켓 및 내관고정구의 구멍이 틀어지고, 연질의 가스켓이 압착되면서 내관의 안쪽으로 밀려 인입됨으로써, 내관에 광케이블을 끼우는 작업과정에서 장애가 발생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종래 광케이블용 다중관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기 위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1008호(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광케이블이 내입되는 다수의 내관을 감싸도록 내관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외관이 형성된 한쌍의 다중관과; 상기 다중관의 단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볼트와 너트로 체결 설치되는 한쌍의 체결캡; 및 상기 다중관의 외관과 내관 사이에 각각 끼워지는 한편 한쌍의 체결캡 사이에 조립되고, 내관의 단부에 밀착 설치되는 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선행기술은 지중에서 다중관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할 경우, 다중관의 연결작업이 순조롭지 못하고, 다중관의 연결 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내관과 외관의 기밀성이 떨어짐에 따라 광케이블이 내입된 내관으로 침전수 및 물기가 스며들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광케이블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67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9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1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10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1010호.
본 발명은 종래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의 선행기술에서 내관의 연결 작업이 까다롭고, 광케이블이 내입된 내관으로 침전수나 물기가 스며들어 유입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다중관의 외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다수개의 체결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한쌍의 체결캡과,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한쌍의 패킹 및 상기 한쌍의 체결캡 사이에 결합 설치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에서 내관의 연결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외관과 내관의 기밀성을 확보하여 지중에서 침전수나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광케이블을 물기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하는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다수개의 내관을 감싸도록 내관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외관이 성형된 다중관; 상기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의 외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다수개의 체결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한쌍의 체결캡; 상기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에서 외관의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한쌍의 패킹; 및 상기 한쌍의 체결캡 사이에 결합 설치되고, 내관이 서로 연결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패킹은 중앙부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은 내측면에 외관과 동일하게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연결관은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에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랜지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중에서 내관의 연결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외관과 내관의 기밀성을 확보하여 지중에서 내관으로 침전수나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광케이블을 물기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하며, 광케이블의 연결작업이 순조롭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패킹이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나 또는 우레탄 고무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외관과 체결캡에 밀착력을 높이므로, 외관의 기밀성을 확보하여 내관으로 침전수나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립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치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킹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킹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플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플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다수개의 내관(12)을 감싸도록 내관(12)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외관(11)이 성형된 다중관(10); 상기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10)의 외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다수개의 체결볼트(24)와 너트(25)로 결합되는 한쌍의 체결캡(20); 상기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10)에서 외관(11)의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한쌍의 패킹(30); 및 상기 한쌍의 체결캡(20) 사이에 결합 설치되고, 내관(12)이 서로 연결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연결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다중관(10)은 종래 일반적으로 공지된 선행기술로서, 상기 다중관(1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광케이블이 내입되는 다수개(3~7)의 내관(12)과, 상기 내관(12)을 감싸 토압이나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외관(11)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관(12)의 외측에 나선형 관으로 외관(11)이 성형된다.
상기에서 다수개의 내관(12)은 다중관(10)의 제조공정에서 제1압출기를 통해 각각 성형된 다음, 제2압출기로 이송되어 내관(12)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외관(11)이 성형되며, 이러한 다중관(10)은 통상 500~1000m 길이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체결캡(20)은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10)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체결캡(2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중앙부에 테이퍼홀(21)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면 둘레에 플랜지(2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랜지(22)에 다수개의 체결공(2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에서 테이퍼홀(21)은 다중관(10)에서 외관(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한쪽에서 대향쪽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게 테이퍼져 형성되며, 외측면 둘레에 직경이 크게 플랜지(2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체결캡(20)은 한쌍으로 구비되고,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10)의 외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끼워져 설치되고, 다수개의 체결공(23)에 체결볼트(24)가 각각 끼워져 너트(25)로 결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패킹(30)은 외관(11)의 기밀성을 확보하고,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10)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패킹(3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중앙부에 체결홀(31)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면 둘레에 테이퍼면(32)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체결홀(31)은 내측면에 외관(11)과 동일하게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테이퍼면(32)은 한쪽에서 대향쪽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게 테이퍼져 형성되며, 상기 체결캡(20)에 형성된 테이퍼홀(21)과 대응하는 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패킹(30)은 한쌍으로 구비되고,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나 또는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결홀(31)이 외관(11)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어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10)에서 외관(11)의 단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결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연결관(40)은 기밀성을 확보하고, 내관(12)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공간을 조성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연결관(4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에 각각 플랜지(4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랜지(41)에 다수개의 체결공(4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에서 연결관(40)은 패킹(30)의 외경보다 크게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한쌍의 체결캡(20) 사이에 위치하며, 체결캡(20)의 플랜지(22)와 양측 단부의 플랜지(41) 체결공(23)(42)에 다수개의 체결볼트(24)가 끼워져 너트(25)로 결합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연결관(40)은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플라스틱)나 또는 아크릴 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작업자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서로 연결을 위한 다중관(10)의 단부에 체결캡(20)을 마주하도록 각각 끼우고, 다음은 외관(11)의 단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각각 패킹(30)을 끼워 나사 결합한 후, 어느 한쪽 다중관(10)에 연결관(40)을 끼운 다음, 양쪽 내관(12)의 단부를 소켓(50)에 끼워 연결한다.
다음은, 도면에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양쪽 다중관(10)에 배치된 체결캡(20)의 플랜지(22)와 연결관(40)의 플랜지(41)에 각각 다수개의 체결볼트(24)를 끼우고, 너트(25)를 조이면 체결캡(20)의 테이퍼홀(21)이 패킹(30)의 테이퍼면(32)에 밀착되면서 패킹(30)이 압착되고, 이와 함께 패킹(30)의 체결홀(31)이 외관(11)의 나사산에 밀착되면서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너트(25)의 조임력으로 체결캡(20)의 테이퍼홀(21)이 패킹(30)의 테이퍼면(32)을 강하게 압착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패킹(30)의 체결홀(31)이 외관(11)의 나사산에 밀착되어 외관(11)의 기밀성이 확보되며, 또한 체결캡(20)의 플랜지(22)와 연결관(40)의 플랜지(41) 사이에 가스켓을 끼워서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내관(12)을 서로 연결하는 소켓(50)은 도면에서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내관(12)의 수에 따라 다수개의 소켓(50)이 일체로 제작되거나 또는 단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관통된 홀(51)의 양측에 각각 내관(12)을 끼워 서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에서 소켓(50)은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플라스틱)나 또는 아크릴 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작업자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패킹이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나 또는 우레탄 고무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외관과 체결캡에 밀착력을 높이므로, 외관의 기밀성을 확보하여 내관으로 침전수나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지중에서 내관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또한 연결관이 내관의 연결 부분을 감싸 밀폐함에 따라 광케이블을 물기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다중관 11: 외관
12: 내관 20: 체결캡
21: 테이퍼홀 22: 플랜지
23: 체결공 24: 체결볼트
30: 패킹 31: 체결홀
32: 테이퍼면 40: 연결관
41: 플랜지 42: 체결공
50: 소켓 51: 홀

Claims (3)

  1. 다수개의 내관(12)을 감싸도록 내관(12)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외관(11)이 성형된 다중관(10); 상기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10)의 외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다수개의 체결볼트(24)와 너트(25)로 결합되는 한쌍의 체결캡(20); 상기 서로 연결되는 다중관(10)에서 외관(11)의 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한쌍의 패킹(30); 및 상기 한쌍의 체결캡(20) 사이에 결합 설치되고, 내관(12)이 서로 연결 설치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연결관(4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캡(20)은 중앙부에 테이퍼홀(21)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면 둘레에 플랜지(2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랜지(22)에 다수개의 체결공(2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홀(21)은 다중관(10)에서 외관(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한쪽에서 대향쪽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게 테이퍼져 형성되며,
    상기 패킹(30)은 중앙부에 체결홀(31)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면 둘레에 테이퍼면(3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31)은 내측면에 외관(11)과 동일하게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32)은 한쪽에서 대향쪽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게 테이퍼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관(40)은,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에 각각 플랜지(4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플랜지(41)에 다수개의 체결공(42)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1020180168924A 2018-12-26 2018-12-26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102121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924A KR102121356B1 (ko) 2018-12-26 2018-12-26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924A KR102121356B1 (ko) 2018-12-26 2018-12-26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356B1 true KR102121356B1 (ko) 2020-06-10

Family

ID=7108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924A KR102121356B1 (ko) 2018-12-26 2018-12-26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375B1 (ko) 2021-08-11 2022-02-23 이광희 광케이블용 통신관 커플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768A (ja) * 2000-09-29 2002-04-10 Totaku Industries Inc 管の接続構造
KR100966786B1 (ko) 2009-11-02 2010-06-29 주식회사 퍼팩트 소켓 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0967922B1 (ko) 2010-04-13 2010-07-06 (주)국민통신 지중매설형 통신 광케이블의 연결용 어댑터와 이를 이용한 내진 포설공법
KR101166118B1 (ko) 2011-12-30 2012-07-23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KR101409246B1 (ko) * 2014-03-26 2014-06-20 주식회사 젠트로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
KR101491008B1 (ko) 2014-04-07 2015-02-09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1491010B1 (ko) 2014-04-07 2015-02-10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광케이블용 다중관 연결 컨넥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768A (ja) * 2000-09-29 2002-04-10 Totaku Industries Inc 管の接続構造
KR100966786B1 (ko) 2009-11-02 2010-06-29 주식회사 퍼팩트 소켓 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0967922B1 (ko) 2010-04-13 2010-07-06 (주)국민통신 지중매설형 통신 광케이블의 연결용 어댑터와 이를 이용한 내진 포설공법
KR101166118B1 (ko) 2011-12-30 2012-07-23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KR101409246B1 (ko) * 2014-03-26 2014-06-20 주식회사 젠트로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
KR101491008B1 (ko) 2014-04-07 2015-02-09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1491010B1 (ko) 2014-04-07 2015-02-10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광케이블용 다중관 연결 컨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375B1 (ko) 2021-08-11 2022-02-23 이광희 광케이블용 통신관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200202205B (en) Cathodic protection device for flexible pipes.
KR10149101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연결 컨넥터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100713243B1 (ko)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KR102121356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101491008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0706785B1 (ko)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KR10213634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JP2002369324A (ja) ハンドホール継手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0926528B1 (ko)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KR100937943B1 (ko)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JP2005065406A (ja)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KR10048821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657177B1 (ko) 연약지반 상수도관 이음장치
KR100657178B1 (ko) 상수도 이음부 이탈방지장치
CN113904294B (zh) 一种线缆保护管
KR101503819B1 (ko) 조립식 이경 관로구 어댑터
KR10217940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나선형 파형관용 패킹구조체
KR20110000252U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120046453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110042744A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KR200261453Y1 (ko) 관로구용 나선관 밀폐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