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246B1 -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246B1
KR101409246B1 KR1020140035570A KR20140035570A KR101409246B1 KR 101409246 B1 KR101409246 B1 KR 101409246B1 KR 1020140035570 A KR1020140035570 A KR 1020140035570A KR 20140035570 A KR20140035570 A KR 20140035570A KR 101409246 B1 KR101409246 B1 KR 10140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
auxiliary
pair
member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to KR102014003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9Ducts; Conduits; Hollow tubes for air blown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형의 외관 내부에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내관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COD)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COD의 외면에 체결되는 전후 한 쌍의 체결부재; 상기 COD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상기 전후 연결부재를 연결하면서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보조 내관; 상기 보조 내관을 커버하는 상태로 상기 전후 연결부재의 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 외관; 및 상기 전후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COD의 연결이 더욱 간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 내관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를 통해 상기 케이블을 더욱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COD 연결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Connecter for COD}
본 발명은 케이블의 지중 배설을 위한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COD: Corrugated Optic Duct)를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IT산업의 고속 성장과 발맞추어 인터넷 통신망 구축사업이 광범위하게 시행되면서 기존의 포설 방법에 따른 비효율성과 시공방법의 보완을 위해 COD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COD(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외관(11)과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3~6개)의 내관(12)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외관(11)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인 내구성이 높아서 충격 및 압축 강도가 좋을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있어서 시공시 일정한 반경 내에 구부림이 가능하고, 바닥의 고저 차에 따른 휨 설치가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외관(11)이 내관(12)을 보호하기 때문에 내관(12) 내부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에 의해 현재 광케이블 시공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COD는 시공시 내관의 방향성을 일정하게 맞추어 연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기존에는 빈 외관 내부에 케이블이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외관 내부를 통해서 케이블의 설치가 쉽게 이루어졌으나, 상기 COD는 외관과 내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시공시 내관의 방향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면 COD의 내관 내부를 통해서 케이블을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다시 말해서 COD의 외관을 맞댄 상태로 연결하더라도 내관이 어긋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통과하는데 걸림이나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COD의 신설 또는 교체에 따른 시공 과정에서 상기 내관의 방향을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데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상기 COD의 내관을 시공 후 연결하는 과정에서 내관의 방향을 일치시켰는데, 이미 내관의 방향이 어긋난 COD를 바로잡아 연결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COD 단부를 비틀어 맞춰야 하는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일본공개특허 공보 제2005-065406호(공개일자 2005. 3. 10.)
본 발명은 COD의 신설 또는 교체 작업 후 간편하게 연결하면서 내관을 통한 케이블의 연결 설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COD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나선형의 외관 내부에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내관이 일체로 형성된 COD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COD의 외면에 체결하도록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체결구가 형성된 전후 한 쌍의 체결부재; 상기 COD의 단부에 결합하도록 하되, 전후에는 상기 COD의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삽입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삽입돌기 사이에는 상기 다수개의 내관과 대응하는 연결구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한편, 통상의 가스켓을 배재한 상태에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일체 형성된 전후 한 쌍의 연결부재; 상기 전후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끼워 연결하면서 그 내부로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도록 하되, 전후에 어긋난 연결구 사이에서 비틀림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 내관; 상기 전후 연결부재의 삽입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 내관을 커버하는 상태로 상기 전후 연결부재의 단부 사이에 끼워 연결하는 보조 외관; 및 상기 전후 체결부재의 체결구에 끼워 체결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중 일측 연결부재의 연결구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내관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일측 연결부재의 연결구와 상기 보조 내관의 일측 단부는 상호 나사식 체결되고, 타측 연결부재의 연결구와 상기 보조 내관의 타측 단부는 상호 끼움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중 일측 연결부재의 단부 테두리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외관의 일측 단부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일측 연결부재와 상기 보조 외관의 일측 단부는 상호 나사식 체결되고, 타측 연결부재와 상기 보조 외관의 타측 단부는 상호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의 COD 연결장치에 의하면 상기 보조 내관이 어긋난 내관 사이에서 유연하게 비틀리면서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이를 통해 상기 케이블을 더욱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COD 연결장치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사이에 보조 내관과 보조 외관을 연결 설치시 일측에서는 상호 암나사와 수나사에 의한 나사식 체결이 이루어지고 타측에서는 끼움 결합됨으로써, COD의 연결 설치가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COD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COD 연결장치를 도시한 연결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COD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COD 연결장치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COD 연결장치를 도시한 B-B선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COD 연결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COD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시공 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COD 연결장치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OD의 외면에 체결되는 전후 한 쌍의 체결부재(100a, 100b), 상기 COD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200a, 200b), 상기 전후 연결부재를 연결하면서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보조 내관(300), 상기 보조 내관을 커버하는 상태로 상기 전후 연결부재의 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 외관(400) 및 상기 전후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볼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COD(10: Corrugated Optic Duct)는 보통 인터넷 등의 통신을 위한 광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선형의 외관(11) 내부에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내관(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내관(12)은 3~6로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나 2 또는 7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OD(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100a, 100b)는 상기 COD(10)의 외면에 체결하도록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체결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100a, 100b)는 두 COD(10)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체결부재(100a, 100b)는 상기 COD(10)에 체결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볼트(500)를 통해 두 COD(10)가 벌어지지 않도록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재(200a, 200b)는 상기 COD(1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후에는 상기 COD(10)의 외관(11)과 내관(12)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삽입돌기(21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삽입돌기(210) 사이에는 상기 다수개의 내관(12)과 대응하는 연결구(220)가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00a, 200b)는 통상의 가스켓을 배재한 상태에서도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일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200a, 200b)는 두 COD(10)의 단부에 결합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200a, 200b)는 두 COD(10)의 단부 사이에 후술하는 다수개의 보조 내관(300)과 하나의 보조 외관(400)을 연결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00a, 200b)의 연결구(220)는 상기 내관(12)에 대응하면서 후술하는 보조 내관(300)의 단부가 끼워지는 것인데, 이를 위한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는 전후 한 쌍의 연결부재(200a, 200b) 중 일측의 연결구(220) 내면에는 후술하는 보조 내관(300)의 수나사와 대응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0a, 200b)의 테두리에는 상기 보조 내관(300)을 보호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보조 외관(400)의 단부가 끼워지는 것인데, 이를 위한 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는 전후 한 쌍의 연결부재(200a, 200b) 중 일측 단부의 테두리에는 후술하는 보조 외관(400)의 암나사와 대응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수나사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측의 연결부재(200a)에 상기 보조 내관(300) 및 보조 외관(400)의 일측 단부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타측의 연결부재(200b)에 상기 보조 내관(300) 및 보조 외관(400)의 타측 단부를 간편하게 끼우는 상태로 연결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 내관(300)은 상기 전후 연결부재(200a, 200b)의 연결구(220)에 끼워 연결함으로써, 그 내부로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 내관(300)의 가장 큰 특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 연결부재(200a, 200b)의 연결구(220) 방향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어긋나 있더라도 연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케이블이 간편하게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상기 보조 내관(300)은 전후의 연결부재(200a, 200b) 사이에 연결된 상태에서 도 5 및 도 8과 같이 비틀림이 가능한데, 이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두 COD의 단부에 드러난 내관의 방향을 일치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전후 연결부재(200a,200b)를 COD(10)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전후 연결부재(200a, 200b) 사이에 상기 보조 내관(300)을 연결하는 것만으로 케이블의 설치가 매우 편리해지는 것이다.
상기 보조 내관(3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 연결부재(200a)의 연결구(220)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대응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외관(400)은 상기 전후 연결부재(200a, 200b)의 삽입돌기(210)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 내관(300)을 커버하는 상태로 상기 전후 연결부재(200a, 200b)의 단부 사이에 끼워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 외관(400)은 전후 연결부재(200a, 200b) 사이에 결합되어 보조 내관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조 외관(400)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연결부재(200a)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체결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일측 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볼트(500)는 상기 전후 체결부재(100a, 100b)의 체결구(110)에 끼워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 개가 구비되며 주지된 바와 같이 너트 또는 와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보조 내관이 어긋난 내관 사이에서 유연하게 비틀리면서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이를 통해 상기 케이블을 더욱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사이에 보조 내관과 보조 외관을 연결 설치시 일측에서는 상호 암나사와 수나사에 의한 나사식 체결이 이루어지고 타측에서는 끼움 결합됨으로써, COD의 연결 설치가 매우 편리하다.
10: COD 11: 외관
12: 내관
100a, 100b: 체결부재 110: 체결구
200a, 200b: 연결부재 210: 삽입돌기
220: 연결구
300: 보조 내관
400: 보조 외관
500: 볼트

Claims (3)

  1. 나선형의 외관 내부에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내관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COD: Corrugated Optic Duct)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COD의 외면에 체결하도록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체결구가 형성된 전후 한 쌍의 체결부재;
    상기 COD의 단부에 결합하도록 하되, 전후에는 상기 COD의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삽입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삽입돌기 사이에는 상기 다수개의 내관과 대응하는 연결구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한편, 통상의 가스켓을 배재한 상태에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일체 형성된 전후 한 쌍의 연결부재;
    상기 전후 연결부재의 연결구에 끼워 연결하면서 그 내부로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도록 하되, 전후에 어긋난 연결구 사이에서 비틀림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 내관;
    상기 전후 연결부재의 삽입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 내관을 커버하는 상태로 상기 전후 연결부재의 단부 사이에 끼워 연결하는 보조 외관; 및
    상기 전후 체결부재의 체결구에 끼워 체결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COD)의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중 일측 연결부재의 연결구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내관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일측 연결부재의 연결구와 상기 보조 내관의 일측 단부는 상호 나사식 체결되고, 타측 연결부재의 연결구와 상기 보조 내관의 타측 단부는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COD)의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중 일측 연결부재의 단부 테두리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외관의 일측 단부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일측 연결부재와 상기 보조 외관의 일측 단부는 상호 나사식 체결되고, 타측 연결부재와 상기 보조 외관의 타측 단부는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COD)의 연결장치.
KR1020140035570A 2014-03-26 2014-03-26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 KR101409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570A KR101409246B1 (ko) 2014-03-26 2014-03-26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570A KR101409246B1 (ko) 2014-03-26 2014-03-26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246B1 true KR101409246B1 (ko) 2014-06-20

Family

ID=5113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570A KR101409246B1 (ko) 2014-03-26 2014-03-26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2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356B1 (ko) * 2018-12-26 2020-06-10 김병옥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102180536B1 (ko) * 2020-04-28 2020-11-19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선 보호관 접속구조
KR102505304B1 (ko) * 2022-03-17 2023-03-06 (주)대한엔지니어링 해저 케이블용 커버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137Y1 (ko) 2000-08-04 2001-01-15 고병기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200256956Y1 (ko) 2001-08-24 2001-12-24 대주산업 주식회사 파형관용 접속장치
JP2005065406A (ja) 2003-08-12 2005-03-10 Doi Seisakusho:Kk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KR100873875B1 (ko) 2008-08-29 2008-12-19 제일엔지니어링 (주) 지중케이블 보호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137Y1 (ko) 2000-08-04 2001-01-15 고병기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200256956Y1 (ko) 2001-08-24 2001-12-24 대주산업 주식회사 파형관용 접속장치
JP2005065406A (ja) 2003-08-12 2005-03-10 Doi Seisakusho:Kk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KR100873875B1 (ko) 2008-08-29 2008-12-19 제일엔지니어링 (주) 지중케이블 보호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356B1 (ko) * 2018-12-26 2020-06-10 김병옥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102180536B1 (ko) * 2020-04-28 2020-11-19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선 보호관 접속구조
KR102505304B1 (ko) * 2022-03-17 2023-03-06 (주)대한엔지니어링 해저 케이블용 커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8183B1 (ko) 케이블 보호용 파형 튜브, 하우징을 파형 튜브에 커플링하는 체결기 및 하우징에 대해 파형 튜브를 밀봉하는 밀봉 요소
KR101409246B1 (ko)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
US20150083486A1 (en) Threaded Sleeve Compressed Split Cable Gland
JP5060362B2 (ja) 配線・配管材引出具
US20160247609A1 (en) Grommet for mounting cable gland or the like
KR10149101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연결 컨넥터
KR101491008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1674516B1 (ko) Cod 연결구조
JP5302996B2 (ja) 配線又は配管材の貫通部形成部材及び装置
KR100706785B1 (ko)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CN209472300U (zh) 一种电子环网的电缆敷设施工装置
CN210123489U (zh) 光纤连接器
KR20110011340U (ko) 호스 연결부의 분리방지용 연결 클램프
KR100850305B1 (ko) 지중전력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US20060157972A1 (en) Inside reducing pipe bushing
KR101867587B1 (ko) 주름관 컨넥터
KR20090011547A (ko) 관 이음장치
US20040094959A1 (en) Device for coupling two conduits
JP2005065406A (ja)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KR20130121267A (ko) 파이프 연결구
KR10213634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2101717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 연결장치
KR101349697B1 (ko) 케이블 분배기
JP6083087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端部構造、端部構造製造方法
EP1953885B1 (en) Sealing accessory for cable-condui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