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516B1 - Cod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Cod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516B1
KR101674516B1 KR1020160009119A KR20160009119A KR101674516B1 KR 101674516 B1 KR101674516 B1 KR 101674516B1 KR 1020160009119 A KR1020160009119 A KR 1020160009119A KR 20160009119 A KR20160009119 A KR 20160009119A KR 101674516 B1 KR101674516 B1 KR 101674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
fastening
cods
female screw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에이코스믹
Priority to KR102016000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지중 배설을 위해 COD(Corrugated Optic Duct)를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한 COD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면에는 제1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된 제1 체결부재(100); 내면에는 제2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1 수나사가 형성된 제2 체결부재(200); 양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 돌기 사이에는 제1 연결구가 형성된 중간부재(300); 및 상기 일측 단부의 내면에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내면에는 제3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체결이 간편하고 부식에 의한 체결구조의 취약성을 해소할 수 있는 COD 연결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COD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COD}
본 발명은 케이블의 지중 배설을 위한 COD(Corrugated Optic Duct)를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한 COD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IT산업의 고속 성장과 발맞추어 인터넷 통신망 구축사업이 광범위하게 시행되면서 기존의 포설 방법에 따른 비효율성과 시공방법의 보완을 위해 COD(Corrugated Optic Duct)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COD는 나선형의 외관과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3~6개)의 내관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외관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인 내구성이 높아서 충격 및 압축 강도가 좋을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있어서 시공시 일정한 반경 내에 구부림이 가능하고, 바닥의 고저 차에 따른 휨 설치가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외관이 내관을 보호하기 때문에 내관 내부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에 의해 현재 광케이블 시공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상기 COD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409246호에는 전후 COD의 단부를 체결하는 전후 한 쌍의 체결부재와 상기 전후 체결부재를 연결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065406호(2005.3.10.)에도 전후 COD의 단부를 체결하는 한 쌍의 체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체결부재를 연결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에 의하면 다수개의 볼트를 체결함에 따른 불편함은 물론이고, 상기 볼트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지중에 매설시 쉽게 부식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볼트의 부식이 지속되면 인장력이 점점 약해지면서 결국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볼트가 끊어지면 전후 COD 사이에 연결된 부분이 벌어지고 그 틈으로 수분이 침투하거나 내부에 연결된 케이블이 끊어지는 등 문제점 있다.
또한, COD의 연결장치를 점검할 경우에는 상기 부식된 볼트가 쉽게 풀리지 않기 때문에 절단 후 새로운 볼트로 연결해야 하는 등 지속적으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COD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형의 외관과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3~6개)의 내관이 일체로 형성된 것인데, 이때 상기 다수개의 내관은 서로 구분이 되지 않고 있어서 케이블을 연결할 때 케이블의 신호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후 체결부재의 연결이 볼트를 통하지 않고 이루어지도록 한 COD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 COD를 연결할 때 내관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확인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구분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한 COD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나선형의 외관 내부에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내관이 일체로 형성된 양측 COD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일측 COD의 외관을 체결하도록 내면에는 제1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환형의 제1 걸림턱이 형성된 제1 체결부재; 상기 타측 COD의 외관을 체결하도록 내면에는 제2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1 수나사가 형성된 제2 체결부재; 상기 양측 COD의 단부 사이에 결합하도록 하되, 양측에는 상기 COD의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 돌기 사이에는 상기 다수개의 내관과 대응하는 제1 연결구가 형성된 중간부재; 및 상기 제1,2 체결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하되, 일측 단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1 걸림턱이 걸리도록 환형의 제2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수나사에 체결하도록 제3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간부재와 양측 COD의 단부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밀부재는 연성의 판재로 형성되면서 상기 중간부재의 돌기가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구; 및 상기 다수개의 내관과 대응하는 제2 연결구;가 형성된다.
상기 COD의 내관은 각각 다른 색상으로 형성 또는 도색된다.
본 발명의 COD 연결구조에 의하면 전후 제1,2 체결부재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하나의 연결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됨으로써, 체결이 간편하고 부식에 의한 체결구조의 취약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COD 연결구조에 의하면 외관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내관을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내관을 통해 연결되는 케이블의 신호를 일일이 확인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COD 연결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COD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COD 연결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COD 연결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COD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COD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는 제1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된 제1 체결부재(100); 내면에는 제2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1 수나사가 형성된 제2 체결부재(200); 양측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 돌기 사이에는 제1 연결구가 형성된 중간부재(300); 및 상기 일측 단부의 내면에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내면에는 제3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COD(10)는 나선형의 외관(11)과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3~6개)의 내관(12)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보통 인터넷 등의 통신을 위한 광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내관(12)은 3~6로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나 2 또는 7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OD(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COD는 실시 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12)을 각각 다른 색상으로 형성 또는 도색함으로써, 케이블을 연결할 때 별도로 케이블의 신호를 확인하는 등의 작업 없이 내관(12)의 색상만으로 구별하여 연결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체결부재(100)는 상기 일측 COD(10)의 외관을 체결하도록 내면에는 제1 암나사(110)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환형의 제1 걸림턱(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체결부재(200)는 상기 타측 COD(10)의 외관을 체결하도록 내면에는 제2 암나사(210)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전단부 측에 제1 수나사(220)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재(300)는 상기 양측 COD의 단부 사이에 결합하도록 하되, 양측에는 상기 COD의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각 돌기 사이에는 상기 다수개의 내관과 대응하는 제1 연결구(4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간부재(300)는 상기 양측 COD의 단부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가스켓을 배재한 상태에서도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연성 재질로 일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2 체결부재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 단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1 걸림턱이 걸리도록 환형의 제2 걸림턱(410)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수나사에 체결하도록 제3 암나사(4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재(100)를 일측 COD(10)에 체결하기 전에 상기 제1 체결부재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일측 COD로부터 빠지지 않고 걸려 있는 것이며, 상기 제2 체결부재(200)와 체결할 때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로부터 공회전하기 때문에 간편한 체결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중간부재(300)와 양측 COD(10)의 단부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기밀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밀부재(500)는 케이블로 수분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막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중간부재(300)의 양측 단부와 상기 양측 COD(10)의 단부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밀부재(500)는 실시 예로서 연성의 판재로 형성되면서 상기 연결부재의 돌기가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구(510) 및 상기 다수개의 내관과 대응하는 제2 연결구(520)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 체결부재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하나의 연결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부식에 의한 체결구조의 취약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관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내관을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내관을 통해 연결되는 케이블의 신호를 일일이 확인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10: COD 11: 외관
12: 내관
100: 제1 체결부재 110: 제1 암나사
120: 제1 걸림턱
200: 제2 체결부재 210: 제2 암나사
220: 제1 수나사
300: 중간부재 310: 돌기
320: 제1 연결구
400: 연결부재 410: 제2 걸림턱
420: 제3 암나사
500: 기밀부재 510: 결합구
520: 제2 연결구

Claims (4)

  1. 나선형의 외관 내부에 케이블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내관이 일체로 형성된 양측 COD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양측 COD의 단부 사이에 결합하도록 하되 양측에는 상기 COD의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 돌기 사이에는 상기 다수개의 내관과 대응하는 제1 연결구가 형성된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와 양측 COD의 단부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연성의 판재로 형성되면서 상기 중간부재의 돌기가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구와 상기 다수개의 내관과 대응하는 제2 연결구가 형성된 기밀부재;를 포함하는 COD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일측 COD의 외관을 체결하도록 내면에는 제1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환형의 제1 걸림턱이 형성된 제1 체결부재;
    상기 타측 COD의 외관을 체결하도록 내면에는 제2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1 수나사가 형성된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1,2 체결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하되, 일측 단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1 걸림턱이 걸리도록 환형의 제2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수나사에 체결하도록 제3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D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OD의 내관은 각각 다른 색상으로 형성 또는 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D 연결구조.
KR1020160009119A 2016-01-26 2016-01-26 Cod 연결구조 KR101674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119A KR101674516B1 (ko) 2016-01-26 2016-01-26 Cod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119A KR101674516B1 (ko) 2016-01-26 2016-01-26 Cod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516B1 true KR101674516B1 (ko) 2016-11-10

Family

ID=5748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119A KR101674516B1 (ko) 2016-01-26 2016-01-26 Cod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5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097B1 (ko) * 2020-01-23 2020-07-21 이광희 광케이블 통신관
KR102366375B1 (ko) * 2021-08-11 2022-02-23 이광희 광케이블용 통신관 커플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323A (ko) * 2000-01-18 2001-08-11 오마츠 세이이치 튜브연결구조
JP2005065406A (ja) * 2003-08-12 2005-03-10 Doi Seisakusho:Kk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323A (ko) * 2000-01-18 2001-08-11 오마츠 세이이치 튜브연결구조
JP2005065406A (ja) * 2003-08-12 2005-03-10 Doi Seisakusho:Kk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097B1 (ko) * 2020-01-23 2020-07-21 이광희 광케이블 통신관
KR102366375B1 (ko) * 2021-08-11 2022-02-23 이광희 광케이블용 통신관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0811A (en) Duct transition converter and flexible connectors including same
JP5106235B2 (ja) 変換器を含む強化コネクタシステム
US6517122B1 (en) Clamshell coupling system and method
US7900971B2 (en) Fastening device for cable and wave hose
US6114631A (en) Swivel fitting
US7097211B2 (en) Pipe coupling system having an anti-reversing locking ring
KR20160000421A (ko) 케이블 보호용 파형 튜브, 하우징을 파형 튜브에 커플링하는 체결기 및 하우징에 대해 파형 튜브를 밀봉하는 밀봉 요소
KR101674516B1 (ko) Cod 연결구조
US743512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environmental seal
US8781144B2 (en) Attachment of a hook to a hearing device
JP3140637U (ja) ケーブル、可撓管固定連接装置
KR101409246B1 (ko) 일체형 광케이블 보호관의 연결장치
KR101095471B1 (ko) 케이블접속구조체
US20160365685A1 (en) Cable connector
JP2005065406A (ja)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KR100698973B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2101717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 연결장치
US766435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acing fiber optic cable
CN110566744A (zh) 管件马鞍接驳结构
CN219980349U (zh) 一种通信管连接装置
EP3091623A1 (en) Installation box with connection for flex tubes of two diameters
KR200385731Y1 (ko) 관체 접속구조
RU218722U1 (ru) Кабельная муфта
CN112077874B (zh) 机械臂和机器人
KR940000814Y1 (ko) 건물옥상 파이프 덮개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