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118B1 -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118B1
KR101166118B1 KR1020110146808A KR20110146808A KR101166118B1 KR 101166118 B1 KR101166118 B1 KR 101166118B1 KR 1020110146808 A KR1020110146808 A KR 1020110146808A KR 20110146808 A KR20110146808 A KR 20110146808A KR 101166118 B1 KR101166118 B1 KR 101166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tube
pair
exterior
optic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1014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118B1/ko
Priority to PCT/KR2012/008396 priority patent/WO20131003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9Ducts; Conduits; Hollow tubes for air blown fib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한 쌍을 연결 접속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을 연결 접속할 때 외관의 탈피 과정이 불필요하고, 이음 구조물의 구성과 조립 작업이 간단하고 쉬우므로, 작업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 불량도 방지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내관 고정구과 외관 고정 접속체에 의해 내관의 일직선 연결과 정확한 물림이 가능하고, 개선된 개스킷의 구조와 상기 내관 고정구 및 외관 고정 접속체에 의해 완전 방수를 달성함과 아울러 내?외관의 연결부에 대한 강도를 크게 보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관 고정구와 고정 접속체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끼리 연결하는 데에 소요되는 원가를 크게 절감하게 된다.

Description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Pipe assembly for protecting optic cable having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한 쌍을 내?외관의 방수에 완벽을 기함과 아울러 연결부의 강도를 강화하면서 일직선으로 연결 접속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근거리 및 광역 통신망이나 가입자 회선 등의 통신선으로 사용되는 광케이블은 매우 가는 유리나 플라스틱 심(core)으로 만든 광섬유로 제작이 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영향에 대단히 취약하다. 따라서, 광케이블은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전용의 보호용 통신관에 삽입되어 포설이 된다.
통상적인 종래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은 방수성과 내충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관과 이 내관을 둘러싸는 코러게이트(corrugated) 구조의 외관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일정 길이마다 통신관들을 서로 연결 접속하기 위한 이음 구조물을 구비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이음 구조물은 내관 가이드와 내관 연결용 결합구, 외관용 방수링, 외관 연결용 덮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이음 구조물을 이용하여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을 연결 시공한 그림이 첨부도면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도 1을 보면, 먼저 ①번 그림과 같이 특수한 형태의 커터를 이용하여 외관(2)을 일정 길이만큼 벗겨냄으로써 내관(1)을 노출시키는 탈피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②번 그림과 같이 내관(1)의 노출된 부위를 다듬은 다음, 지그(J)를 이용하여 내관(1)과 외관(2)을 일직선으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③번 그림처럼 양측의 내관(1)에 각각 이음 구조물의 내관 가이드(3)를 결합한다. 그 다음, ④번 그림과 같이 이음 구조물의 내관 연결용 결합구(4)를 한쪽의 내관(1)에 결합한 상태에서, ⑤번 그림처럼 내관 연결용 결합구(4)를 다른 한쪽의 내관(1) 방향으로 밀어 넣고 외관용 방수링을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⑥번 및 ⑦번 그림처럼 양쪽 외관(2)에 각각 외관 연결용 덮개(5)를 결합하여 연결을 완성한다. ⑧번 그림은 이렇게 연결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을 시공한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
전술한 종래의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은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을 연결 접속함에 있어서, 특수한 형태의 커터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외관을 일정 길이만큼 벗겨냄으로써 내관을 노출시키는 탈피 과정과 더불어 노출된 내관을 다듬는 과정이 요구되는데, 이들 과정의 작업을 수행하기가 매우 힘들고 곤란하며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탈피 작업시 부주의로 인해 내관이 파손됨으로써 제품 불량이 유발되는 문제가 심각하여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 외관의 탈피 후 내관끼리 일직선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내관 가이드와 내관 연결용 결합구 및 외관 연결용 덮개 등을 순서대로 조립하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조립 작업 후 내관과 외관의 방수 처리가 완벽하지 못하여 방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데, 연결부에 실리콘 마감처리를 하더라도 우수한 방수성을 확보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관의 탈피 과정을 배제하고 이음 구조물의 구조 개선을 통해 통신관끼리의 연결 접속 및 이음 구조물의 조립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품 불량을 방지하게 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관의 일직선 연결과 정확한 물림으로 완전 방수를 달성하고, 내?외관의 연결부에 대한 강도 보완 효과가 우수한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관끼리 연결하는 데에 소요되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밀착된 복수 개로 구성되어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내관과, 이 내관을 둘러싸며 외주면이 스크류형인 코러게이트관으로서의 외관과, 이들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하되, 상기 이음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먼저, 내관 고정구가 구비되는데, 이 내관 고정구는,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관과 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각각에 대해 내관과 외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 공간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링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삽입 가이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대해 상기 내관 고정구의 링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링형 부재로서 외관 고정 접속체가 구비되는데, 이 외관 고정 접속체에는 외관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도록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에 대한 연결 작업 전에 상기 내관과 외관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외관과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볼트가 외관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수직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관 고정구의 링부와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 사이에 개재되어 내관과 외관을 방수하는 개스킷이 구비되는데, 이 개스킷에는 내관과 통하는 제1호울 및 상기 삽입 가이드가 관통하는 제2호울이 형성된 구조로 내관 방수면과 외관 방수면을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이음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먼저, 내관 고정구가 구비되는데, 이 내관 고정구는,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사이에 배치되어 내관과 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각각에 대해 내관과 외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 공간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링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삽입 가이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대해 상기 내관 고정구를 감싸며 결합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외관 고정 접속체가 구비되는데, 이것은 플랜지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외관의 외주면에서 상기 플랜지끼리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팅 조립이 되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에 대한 연결 작업 전에 내관과 외관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외관과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볼트가 외관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수직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내관 고정구의 링부와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 사이에 개재되어 내관과 외관을 방수하는 개스킷이 구비되는데, 이 개스킷은 내관과 통하는 제1호울 및 삽입 가이드가 관통하는 제2호울이 형성된 구조로 내관 방수면과 외관 방수면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이음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먼저, 내관 고정구가 구비되는데, 이 내관 고정구는,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사이에 배치되어 내관과 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링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각각에 대해 내관과 외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 공간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링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삽입 가이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링형 부재인 외관 고정 접속체가 구비되는데, 이것은 외관의 외주면과 링부의 외주면에 각각 나선결합되도록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내관 고정구의 링부와 외관 고정 접속체 사이에 개재되어 내관과 외관을 방수하는 개스킷을 구비하는데, 이 개스킷은 내관과 통하는 제1호울 및 삽입 가이드가 관통하는 제2호울이 형성된 구조로 내관 방수면과 외관 방수면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이음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먼저, 내관 고정구가 구비되는데, 이 내관 고정구는,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사이에 배치되어 내관과 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부를 구비하고,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각각에 대해 내관과 외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 공간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링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삽입 가이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대해 내관 고정구의 링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링형 부재인 외관 고정 접속체가 구비되는데, 이것은 외관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도록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의 경사면에 각각 형합되도록 경사진 결합면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외곽에는 플랜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부재로서,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면끼리 볼팅되어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를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관 고정구의 링부와 외관 고정 접속체 사이에 개재되어 내관과 외관을 방수하는 개스킷을 구비하는데, 이 개스킷은 내관과 통하는 제1호울 및 삽입 가이드가 관통하는 제2호울이 형성된 구조로 내관 방수면과 외관 방수면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내관이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 내관들로 둘러싸인 중앙 공간부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 중앙 공간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링부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개스킷의 중앙에는 상기 중앙 가이드가 관통하는 제3호울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내관 고정구의 삽입 가이드는,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적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에는, 재료 절감을 위해 외주면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살제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관 고정구의 삽입 가이드는, 내관에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링부에 접한 부분으로부터 내관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초입 부분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감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는 각각이 1/2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들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수평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여 외관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수평 볼트 체결공은, 외관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 개수보다 여분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들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의 수직 볼트 체결공은, 외관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볼트의 체결 개수보다 여분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성들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의 수직 볼트 체결공은 볼트 머리가 매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을 연결 접속할 때 외관의 탈피 과정이 불필요하고, 이음 구조물의 구성과 조립 작업이 간단하고 쉬우므로, 작업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 불량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관 고정구과 외관 고정 접속체에 의해 내관의 일직선 연결과 정확한 물림이 가능하고, 개선된 개스킷의 구조와 상기 내관 고정구 및 외관 고정 접속체에 의해 완전 방수를 달성함과 아울러 내?외관의 연결부에 대한 강도를 크게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관 고정구와 고정 접속체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끼리 연결하는 데에 소요되는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음 구조물을 이용하여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을 연결 접속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예시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정면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서 내관 고정구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외관 고정 접속체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의 (a),(b),(c)는 각각 본 발명에서 내관의 개수가 2공, 3공, 5공인 예를 나타낸 정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중앙 가이드부가 배제된 내관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삽입 가이드부가 부분적으로 배제된 내관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외관 고정 접속체의 외주면에 살제거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외관 고정 접속체에 수직 볼트 체결공과 수평 볼트 체결공이 여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볼트 머리가 외관 고정 접속체의 볼트 구멍 안으로 매입되도록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외관 고정 접속체가 환테형의 플랜지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내관 고정구와 외관 고정 접속체가 나선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외관 고정 접속체가 1/2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외관 고정 접속체가 측면 플랜지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외관 고정 접속체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부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서 삽입 가이드와 중앙 가이드가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진 내관 고정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조립 상태 사시도,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과 도 7은 각각 도 2의 실시예에서 내관 고정구와 외관 고정 접속체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위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면이 원형인 내관(10)과 이 내관(10)을 둘러싸는 외관(20), 그리고, 이들 내관(10)과 외관(20)으로 구성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한 쌍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이음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요소별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내관(10)은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관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도 8에 2공, 3공, 5공으로 예시된 것처럼 2개, 3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관이 4개, 즉 4공짜리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내관(10)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내관(10)과 외관(20)의 사이에는 공간부(S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관(10)의 개수가 4개이므로, 이 경우 공간부(S1)는 4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 내관(10)들로 둘러싸인 부분에는 하나의 중앙 공간부(S2)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8의 2공짜리 내관으로 구성된 통신관에서는 중앙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외관(20)은 단면이 원형인 코러게이트관(corrugated pipe)으로서, 외주면이 나선결합이 가능한 스크류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음 구조물은 내관 고정구(30)와 외관 고정 접속체(40) 및 개스킷(50)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내관 고정구(30)는, 도 2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의 링부(31)와 이 링부(31)로부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삽입 가이드(32)로 구성되어 있다. 링부(31)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내관(10)과 통하는 관통공(31a)들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31a)의 크기는 내관(1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32)는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각각에 대해 내관(10)과 외관(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1)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도 3과 도 4에 보이는 것처럼, 링부(31)는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사이에 배치되고, 삽입 가이드(32)는 공간부(S1) 중으로 삽입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내관 고정구(30)에서는 삽입 가이드(32) 이외에 링부(31)의 중앙에도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중앙 가이드(33)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중앙 가이드(33)는 내관(10)들로 둘러싸인 중앙 공간부(S2)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 공간부(S2) 안으로 삽입이 된다. 이러한 중앙 가이드(33)는 내관(10)이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관(10)이 2개인 경우에는 배제된다.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40)는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대해 내관 고정구(30)의 링부(31)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즉, 외관 고정 접속체(4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41)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주면이 스크류형인 외관(20)에 나선결합이 된다. 또,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에 대한 연결 접속 작업을 수행하기에 앞서서 내관(10)과 외관(20)의 끝단을 맞추기 위해 커터나 쇠톱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절단할 경우에는, 이렇게 외관 고정 접속체(40)를 외관(20)에 나선결합한 다음에 외관(20)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볼트(42)가 외관(20)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개 이상의 수직 볼트 체결공(43)이 외관 고정 접속체(40)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들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40)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두 개 이상의 수평 볼트 체결공(44)을 구비함으로써, 외관(20)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볼트(45)와 너트(46)에 서로 견고하게 고정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개스킷(50)은 내관(10)과 외관(20) 모두에 대하여 방수 기능을 하는 부재로서, 내관 고정구(30)의 링부(31)와 외관 고정 접속체(40) 사이에 개재된다.
도 5에 보이는 것처럼, 개스킷(50)은, 내관(10)의 단면부에 밀착되는 내관 방수면(51)과, 외관(20)의 단면부에 밀착되는 외관 방수면(5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내관 방수면(51)의 내측 둘레에는 내관(10)과 통하는 제1호울(53)이 형성되어 있고, 외관 방수면(52)의 내측 둘레에는 내관 고정구(30)의 삽입 가이드(32)가 관통하는 제2호울(54)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내관(10)이 3개 이상으로 구성되면서 내관 고정구(30)의 링부(31)의 중앙에 중앙 가이드(33)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개스킷(50)의 중앙에는 중앙 가이드(33)가 관통하는 제3호울(55)이 형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연결 접속이 이루어진다.
먼저,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각각에 대하여 서로 연결 접속되는 부위의 선단으로부터 외관 고정 접속체(40)를 나선결합한다.
그리고, 내관 고정구(30)의 링부(31)의 전?후면에 각각 개스킷(50)을 부착한 상태에서 삽입 가이드(32)와 중앙 가이드(33)를 통신관의 공간부(S1) 및 중앙 공간부(S2)에 삽입함으로써, 내관 고정구(30)가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어서,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40)의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 볼트 체결공(44)에 대하여 볼트(45)와 너트(46)를 외관(20)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외관 고정 접속체(40)끼리 서로 견고하게 고정이 되도록 한다.
필요할 경우, 외관 고정 접속체(40)의 수직 볼트 체결공(43)에 볼트(42)를 외관(20)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외관 고정 접속체(40)을 외관(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에서는 한 쌍의 통신관을 연결 접속할 때 외관의 탈피 과정이 불필요하고, 이음 구조물의 조립이 간단하고 쉬우므로, 작업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 불량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먼저, 앞에서 도 8을 참조로 언급한 바와 같이, 외관(20)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되 내관(10)의 개수는 2개, 3개, 5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관(10)의 개수가 2개인 경우에는 내관 고정구(30)의 삽입 가이드(32)가 공간부(S1)의 개수와 동일한 2개로 마련되거나 그 보다 적은 1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중앙 공간부는 형성되지 않으므로 전술한 실시예의 중앙 가이드(33)는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내관(10)의 개수가 3개 또는 5개인 경우에 내관 고정구(30)의 삽입 가이드(32)는 공간부(S1)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적은 개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관(10)들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중앙 공간부(S2)에 삽입될 수 있는 전술한 실시예의 중앙 가이드(33)는 필요에 따라 구비될 수도 있고 배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내관 고정구(130)의 다른 실시예로서, 링부(131)와 삽입 가이드(132)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되, 링부(131)의 중앙에 중앙 가이드가 없는 구조를 갖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중앙 가이드가 없더라도 내관 고정구(130)를 내관(10)에 견고하게 삽입 고정하는 데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재료비를 절감하는 데에 오히려 유리하다.
다음으로, 도 10은 내관 고정구(23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링부(231)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되, 내관(10)과 외관(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1)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232)의 개수가 공간부(S1)의 개수보다 적게 구비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예 또한 내관 고정구(230)를 내관(10)에 견고하게 삽입 고정하는 데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재료비를 절감하는 데에 오히려 유리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링부(231)의 중앙에는 내관(10)들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중앙 공간부(S2)에 삽입될 수 있는 중앙 가이드(233)가 구비되어 있다. 이 중앙 가이드(233)는 실시 의도에 따라 배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1은 외관 고정 접속체(140)의 다른 실시예로서, 재료 절감을 위해 외주면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살제거부(141)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살제거부(141)에 의해 외관 고정 접속체(140)의 살두께가 부분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외관 고정 접속체(140)를 제작하는 데에 소요되는 원자재의 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2는 외관 고정 접속체(24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수직 볼트 체결공(243)과 수평 볼트 체결공(244)이 각각 여분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수직 볼트 체결공(243)에 체결되는 볼트(242)의 개수보다 수직 볼트 체결공(243)이 더 많이 형성되고, 수평 볼트 체결공(244)에 체결되는 볼트(245)의 개수보다 수평 볼트 체결공(244)이 더 많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240)를 외관(20)에 조립할 때, 볼트(242)의 체결 위치를 보다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240)끼리 연결하여 고정할 때도 수평 볼트 체결공(244)의 위치를 서로 맞추는 데에 어렵지 않게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들 수직 볼트 체결공(243)과 수평 볼트 체결공(244)은 볼트(242,245)의 머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매립되도록 넓고 깊은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작업 중에 걸리적거리는 등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수직 볼트 체결공(243)과 수평 볼트 체결공(244)을 여분으로 형성하는 구성과 볼트 머리가 매립되도록 하는 구성은 선택적으로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13은 외관 고정 접속체(34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340 : 341,342)의 서로 맞대어지는 부위에 각각 환테형의 플랜지(341b,342b)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플랜지(341b,342b)에 체결되는 볼트(343) 및 너트(344)에 의해 조립이 되는 구조이다. 외관 고정 접속체(340 : 341,342)의 내주면에는 외관에 조립되는 나사산(341a,342a)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외관에 고정될 수 있는 수직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수직 볼트 체결공(341c,342c)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14는 내관 고정구(430)와 외관 고정 접속체(440)가 서로 나선결합되는 실시예이다. 즉, 내관 고정구(430)의 링부(431)가 길게 형성되면서 링부(431)의 외주면에 나사산(431a)이 형성되어 있고, 외관 고정 접속체(440)의 내주면에는 외관(20)에 나선결합되기 위한 나사산(442)은 물론 상기 링부(431)의 나사산(431a)에도 나선결합이 이루어지기 위한 나사산(44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관 접속체(440)를 외관(20)의 외주면에 나선결합시킨 다음에 내관 고정구(430)의 링부(431)에 최종적으로 나선결합시킴으로써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외관 고정 접속체에 구비되던 수직 볼트 체결공과 수평 볼트 체결공은 불필요하게 된다. 특히, 내관 고정구(430)의 링부(431)에 형성되는 나사산(431a)은 링부(431) 전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나사산 형성이 용이하도록 외관 고정 접속체(440)가 체결되는 가장자리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관 고정구(430)에 구비되는 삽입 가이드(432)와 중앙 가이드(433)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는 외관 고정 접속체(54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가 그 각각이 1/2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 데에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 모두에 있어서 각각의 외관 고정 접속체(540)가 상하(또는 보기에 따라 좌우)로 양분할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처럼 양분할된 외관 고정 접속체(540)의 각 반분체(541,542)를 합쳤을 때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외관 고정 접속체와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구조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들 또는 후술하는 실시예들의 외관 고정 접속체는 본 실시예의 외관 고정 접속체(540)처럼 1/2로 분리된 구조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은 외관 고정 접속체(64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외관 고정 접속체 한 쌍(640 : 641,642)이 상하 대칭(보기에 따라서는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한 쌍의 연결 접속되는 외관을 덮개처럼 감싸는 형태가 되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 외관 고정 접속체(640 : 641,642)의 측면부에는 볼팅 결합되는 측면 플랜지(641a,6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에는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처럼 수직 볼트가 체결되는 수직 볼트 체결공(641b)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외관의 외주면과 형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에서 외관 고정 접속체가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부 단면도로서, 내관 고정구의 구성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되, 외관 고정 접속체(40')의 구조가 변경됨과 아울러 결속부재(700)가 추가된 특징을 갖는다. 즉, 한 쌍의 외관(20) 사이에 내관 고정구의 링부(31)가 개스킷(50)과 함께 위치한 상태로 그 위에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40')가 결합이 되는데, 이 외관 고정 접속체(40')는 링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외관(20)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도록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외관 고정 접속체(40')의 외주면에는 경사면(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부재(700)는 상하(보기에 따라서는 좌우) 한 쌍의 부재로서 외관 고정 접속체(40') 한 쌍의 경사면(41')에 각각 형합되도록 경사진 한 쌍의 결합면(701)을 내주면에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결속부재(700)의 외곽에는 볼팅 결합이 될 수 있도록 볼트 구멍(702a)을 가진 플랜지면(702)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결속부재(700)가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41')를 감싸 덮은 상태에서 플랜지면(702)끼리 볼트(703)와 너트(704)로 결합되어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40')를 결속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41')를 감싸 덮는 결속부재(700)를 구비함으로써 내?외관의 연결부에 대한 강도 보완 효과가 더욱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9는 본 발명에서 삽입 가이드와 중앙 가이드가 테이퍼형으로 이루어진 내관 고정구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의 내관 고정구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의 내관 고정구에서 삽입 가이드(32')와 중앙 가이드(33')는 내관 고정구(30)의 링부(31)에 접한 부분으로부터 내관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초입 부분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점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내관 고정구(30)는 삽입 가이드(32')와 중앙 가이드(33')를 내관에 삽입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구조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내관
20 : 외관
30,130,230,430 : 내관 고정구
31,131,231,431 : 링부
31a : 관통공
32,32'132,232,432 : 삽입 가이드
33,33',233,433 : 중앙 가이드
40,140,240,340,440,540,640 : 외관 고정 접속체
41,341a,342a,431a,441,442 : 나사산
41' : 경사면
42,45,242,245,343,703 : 볼트
43,243,341c : 수직 볼트 체결공
44,244,342c : 수평 볼트 체결공
46,344,704 : 너트
50 : 개스킷
51 : 내관 방수면
52 : 외관 방수면
53 : 제1호울
54 : 제2호울
55 : 제3호울
141 : 살제거부
341b,342b : 플랜지
700 : 결속부재
701 : 결합면
S1 : 공간부
S2 : 중앙 공간부

Claims (12)

  1.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밀착된 복수 개로 구성되어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내관과, 이 내관을 둘러싸며 외주면이 스크류형인 코러게이트관으로서의 외관과, 이들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하되, 상기 이음 구조물은,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관과 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각각에 대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링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삽입 가이드를 구비한 내관 고정구와,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대해 상기 내관 고정구의 링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링형 부재인 외관 고정 접속체와, 상기 내관 고정구의 링부와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관과 외관을 방수하는 개스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관 고정구의 삽입 가이드는 상기 공간부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는 상기 외관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도록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에 대한 연결 작업 전에 상기 내관과 외관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외관과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볼트가 상기 외관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수직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의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수평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외관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 볼트 체결공은 상기 외관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 개수보다 여분으로 더 형성되며,
    상기 개스킷은 상기 내관과 통하는 제1호울 및 상기 삽입 가이드가 관통하는 제2호울이 형성된 구조로 내관 방수면과 외관 방수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2.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밀착된 복수 개로 구성되어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내관과, 이 내관을 둘러싸며 외주면이 스크류형인 코러게이트관으로서의 외관과, 이들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하되, 상기 이음 구조물은,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관과 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각각에 대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링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삽입 가이드를 구비한 내관 고정구와,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대해 상기 내관 고정구를 감싸며 결합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플랜지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외관의 외주면에서 상기 플랜지끼리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팅 조립이 되는 외관 고정 접속체와, 상기 내관 고정구의 링부와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관과 외관을 방수하는 개스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관 고정구의 삽입 가이드는 상기 공간부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는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에 대한 연결 작업 전에 상기 내관과 외관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외관과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볼트가 상기 외관에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수직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외관 고정 접속체의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수평 볼트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외관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 볼트 체결공은 상기 외관에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 개수보다 여분으로 더 형성되며,
    상기 개스킷은 상기 내관과 통하는 제1호울 및 상기 삽입 가이드가 관통하는 제2호울이 형성된 구조로 내관 방수면과 외관 방수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3.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밀착된 복수 개로 구성되어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내관과, 이 내관을 둘러싸며 외주면이 스크류형인 코러게이트관으로서의 외관과, 이들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하되, 상기 이음 구조물은,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관과 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각각에 대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링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삽입 가이드를 구비한 내관 고정구와, 상기 한 쌍의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대해 상기 내관 고정구의 링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링형 부재인 외관 고정 접속체와, 상기 내관 고정구의 링부와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관과 외관을 방수하는 개스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관 고정구의 링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삽입 가이드는 상기 공간부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는 상기 외관의 외주면과 상기 링부의 외주면에 각각 나선결합되도록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스킷은 상기 내관과 통하는 제1호울 및 상기 삽입 가이드가 관통하는 제2호울이 형성된 구조로 내관 방수면과 외관 방수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이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 내관들로 둘러싸인 중앙 공간부에 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 공간부 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링부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개스킷의 중앙에는 상기 중앙 가이드가 관통하는 제3호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 고정구의 삽입 가이드는,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적은 개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 고정구의 삽입 가이드는, 상기 내관에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링부에 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관에 삽입되기 시작하는 초입 부분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고정 접속체의 수직 볼트 체결공은 볼트 머리가 매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KR1020110146808A 2011-12-30 2011-12-30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KR101166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808A KR101166118B1 (ko) 2011-12-30 2011-12-30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PCT/KR2012/008396 WO2013100338A1 (ko) 2011-12-30 2012-10-15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808A KR101166118B1 (ko) 2011-12-30 2011-12-30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118B1 true KR101166118B1 (ko) 2012-07-23

Family

ID=4671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808A KR101166118B1 (ko) 2011-12-30 2011-12-30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6118B1 (ko)
WO (1) WO201310033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63B1 (ko) 2014-04-25 2014-07-24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765kV 이하 발전소 및 변전소 차단기의 에어라인 보호 장치
KR20180063009A (ko) 2018-05-28 2018-06-11 한국도로공사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KR20180001810U (ko) * 2018-06-05 2018-06-18 한국도로공사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KR102121356B1 (ko) 2018-12-26 2020-06-10 김병옥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20200079619A (ko) 2018-12-26 2020-07-06 김병옥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2136097B1 (ko) 2020-01-23 2020-07-21 이광희 광케이블 통신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1557B (zh) * 2018-08-17 2020-02-14 福州万山电力咨询有限公司 一种带中间接头结构的工程光缆导线
US10908377B1 (en) * 2018-08-30 2021-02-02 ARIA Technologies, Inc. Microduct manifold fit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956Y1 (ko) 2001-08-24 2001-12-24 대주산업 주식회사 파형관용 접속장치
JP2004173453A (ja) * 2002-11-21 2004-06-17 Mirai Ind Co Ltd 保護管連結装置、配線・配管材保護管、連結具及び保護管固定具
JP2005065406A (ja) * 2003-08-12 2005-03-10 Doi Seisakusho:Kk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908A (ko) * 2000-08-19 2002-02-27 변무원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의 연결구조 및 그의 연결방법
JP2003049987A (ja) * 2001-08-08 2003-02-21 Kubota Corp 多条ケーブル保護管の継手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956Y1 (ko) 2001-08-24 2001-12-24 대주산업 주식회사 파형관용 접속장치
JP2004173453A (ja) * 2002-11-21 2004-06-17 Mirai Ind Co Ltd 保護管連結装置、配線・配管材保護管、連結具及び保護管固定具
JP2005065406A (ja) * 2003-08-12 2005-03-10 Doi Seisakusho:Kk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63B1 (ko) 2014-04-25 2014-07-24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765kV 이하 발전소 및 변전소 차단기의 에어라인 보호 장치
KR20180063009A (ko) 2018-05-28 2018-06-11 한국도로공사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KR20180001810U (ko) * 2018-06-05 2018-06-18 한국도로공사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KR200489098Y1 (ko) * 2018-06-05 2019-04-30 한국도로공사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KR102121356B1 (ko) 2018-12-26 2020-06-10 김병옥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20200079619A (ko) 2018-12-26 2020-07-06 김병옥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2136097B1 (ko) 2020-01-23 2020-07-21 이광희 광케이블 통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0338A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118B1 (ko)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US9923356B2 (en) Cable breakout with integrated strain relief
CN109270639B (zh) 一种室外光纤连接器
JPH05500868A (ja) ケーブルジョイント
TWI436530B (zh) 纜線對接保護裝置、具有保護裝置之纜線及其組裝方法
KR20070066981A (ko) 편복선 동축 케이블용 압축 커넥터
JP2005114770A (ja) 光コネクタ
US20230228962A1 (en) Optical cable member,towing member, and towing method
CN213937400U (zh) 一种电线电缆快速接合装置
JP2013150370A (ja) 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とそれを用いた外装鉄線接続方法及び接続部
JP2007200797A (ja) ケーブル保護キャップ
CN210156560U (zh) 一种双电缆连接器
CN103926664B (zh) 一种皮缆连接头
JP4880975B2 (ja) 電線接続部の保護構造
TWM577119U (zh) The optical fiber connector
KR102155070B1 (ko) 열수축튜브 케이블 그랜드
KR200482507Y1 (ko) 커넥터
JPH10284167A (ja) ケーブル接続具
CN215989505U (zh) 一种hsd高速线束连接器
CN220307178U (zh) 一种光伏发电用光伏组件接线装置
CN211183252U (zh) 一种线束波纹管连接管夹
CN218585046U (zh) 一种连接头及铠装尾纤
CN210867158U (zh) 一种电力工程用电缆配接装置
KR101117489B1 (ko)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보호관
JP5875187B2 (ja) 鉄線外装ケーブルの外装鉄線接続金具及び外装鉄線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