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810U -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810U
KR20180001810U KR2020180002465U KR20180002465U KR20180001810U KR 20180001810 U KR20180001810 U KR 20180001810U KR 2020180002465 U KR2020180002465 U KR 2020180002465U KR 20180002465 U KR20180002465 U KR 20180002465U KR 20180001810 U KR20180001810 U KR 201800018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cking
communication
channel
optic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098Y1 (ko
Inventor
김영문
도정암
김영도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2020180002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09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8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0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40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 G02B6/403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of the ferrule type, connecting a pair of ferr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8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for facilitating insertion by fluid drag in ducts or capilla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는, 외주면에 외부 나사 주름부를 갖는 외관과, 광케이블들이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관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관으로 이루어진 제1 통신관; 상기 제1 통신관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 통신관; 및 상기 제1 통신관과 제2 통신관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관은, 일체형의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케이블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관로들이 격벽들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통신관의 내관을 일체형의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케이블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관로들이 격벽들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광케이블 통신관에 비하여 내부 공간 사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내관에 다수개의 관로들이 형성됨으로써 많은 통신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고, 따라서 지하공간 활용률을 높일 수 있고,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안내부재의 양면에 안내편들이 형성됨으로써, 양쪽의 제1,2 통신관이 연결될 때, 양쪽 내관의 각 관로들이 정확하게 일치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CORRUGATED OPTIC DUCT ASSEMBLY FOR HIWAY}
본 고안은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광케이블 통신관에 비하여 내부 면적 공간 사용을 극대화시켜 지하공간 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를 관리하기 위하여 고속도로 관리용 통신망을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이러한 고속도로 통신망은 교통관리, 재난관리 및 통행료 징수 업무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지중으로 매설되는 광케이블의 보호와 광케이블의 포설 및 증설이 용이하도록 도 1과 같이 외관 내부에 원형으로 된 내관이 결합된 광케이블 통신관(COD : CORRUGATED OPTIC DUCT)을 고속도로 갓길에 포설한다.
최근에 고속도로 광통신케이블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충분한 통신관로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광케이블 통신관은 원형으로 된 내관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지름 100mm 크기의 외관은 28mm 크기의 내관을 5개밖에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내관이 28mm 이상으로 더 큰 경우에는 3개밖에 수용할 수 없음으로써 통신관로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1166118호(공고일 : 2012.07.23)에는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통신관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 5개의 내관을 수용할 수밖에 없음으로써, 각 내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1166118호(공고일 : 2012.07.23)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광케이블 통신관에 비하여 내부 공간 사용을 극대화시켜 지하공간 활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내관을 벌집형으로 분할 구성하여 외관의 내부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외주면에 외부 나사 주름부를 갖는 외관과, 광케이블들이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관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관으로 이루어진 제1 통신관; 상기 제1 통신관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 통신관; 및 상기 제1 통신관과 제2 통신관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관은, 일체형의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케이블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관로들이 격벽들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관로는, 상기 내관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관로; 및 상기 중앙 관로를 기준으로 상기 중앙 관로에 접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주변 관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로와 주변 관로들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중앙 관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변 관로들은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상기 외관의 외부 나사 주름부와 체결되는 내부 나사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가장자리에는 볼트 관통공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2 통신관들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외관 결합부재; 서로 마주보는 상기 외관 결합부재의 각 일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관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패킹용 격벽들에 의해 상기 관로들과 일치되는 패킹용 관로들을 갖는 한 쌍의 패킹부재; 및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상기 패킹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관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내용 격벽들에 의해 상기 관로들 및 상기 패킹용 관로들과 일치되는 안내용 관로들을 구비하고, 양쪽의 상기 패킹부재를 마주하는 양쪽 면에는 양쪽의 제1,2 통신관이 결합될 때 상기 안내용 관로와 상기 패킹용 관로와 상기 관로들이 서로 일치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편들이 상기 관로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편들은, 상기 안내용 관로들의 코너에서 돌출 형성되되, 뿌리 쪽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편들은, 상기 안내용 관로와 상기 패킹용 관로와 상기 관로들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그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를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제1 통신관과 제2 통신관의 각 단부에 외관 결합부재를 각각 체결하여 결합하되, 상기 내부 나사 주름부와 상기 외부 나사 주름부를 체결하여 결합하는 단계; b) 양쪽의 상기 제1,2 통신관 사이에 한 쌍의 패킹부재를 각각 배치시키고, 상기 패킹부재 사이에 상기 안내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안내부재의 양면에서 돌출 형성된 각 안내편들이 상기 패킹부재의 패킹용 관로들을 관통하고 상기 관로들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1,2 통신관이 결합된 각각의 상기 외관 결합부재를 양쪽의 패킹부재에 밀착시키고 상기 패킹부재를 상기 안내부재의 양쪽에 밀착시켜 가 결합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2 통신관이 가 결합된 상태에서, 양쪽의 상기 외관 결합부재에 형성된 볼트 관통공으로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여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를 결합시켜 상기 제1,2 통신관을 연결시키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의 접속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외관 결합부재에 형성된 나사공으로 조임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외관 결합부재와 상기 외관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통신관의 내관을 일체형의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케이블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관로들이 격벽들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광케이블 통신관에 비하여 내부 공간 사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내관에 다수개의 관로들이 형성됨으로써 많은 통신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고, 따라서 지하공간 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안내부재의 양면에 안내편들이 형성됨으로써, 양쪽의 제1,2 통신관이 연결될 때, 양쪽 내관의 각 관로들이 정확하게 일치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광케이블 통신관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광케이블 통신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속도로용 광케이블 통신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속도로용 광케이블 통신관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속도로용 광케이블 통신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속도로용 광케이블 통신관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100)는, 외주면에 외부 나사 주름부(212)를 갖는 외관(210)과, 광케이블들이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외관(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관(220)으로 이루어진 제1 통신관(200A)과, 제1 통신관(200A)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 통신관(200B)과, 제1 통신관(200A)과 제2 통신관(200B)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내관(220)은, 일체형의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광케이블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관로(224)들이 격벽(226)들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2 통신관(200A,200B)은 외부 나사 주름부(212)를 구비한 중공형의 외관(210)과, 다수개의 관로(224)들을 구비하여 외관(212)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관(220)으로 이루어진다.
내관(220)은, 도 3 및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의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광케이블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관로(224)들이 격벽(226)들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내관(220)의 관로(224)들은 다각형이나 벌집 형상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내관(220)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관로(224A)와, 중앙 관로(224A)를 기준으로 중앙 관로(224A)에 접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주변 관로(224B)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관로(224A)와 주변 관로(224B)들은 8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중앙 관로(224A)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주변 관로(224B)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사다리꼴은, 중앙 관로(224A)에 접한 주변 관로(224B)의 일측은 좁고, 반대 방향(내관의 외주면 쪽)은 넓게 형성되는 구조를 의미하며, 이러한 주변 관로(224B)는 직선들과 원호들이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내관(220)의 내부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여 다수개의 관로(224)들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내관(220)의 내부 공간이 격벽(226)들에 의해 중앙 관로(224A)와 다수개의 주변 관로(224B)들로 이루어짐으로써, 내관(220)의 내부 공간 활용이 극대화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원통형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내관에 비하여 내부 공간의 활용이 극대화되어 다수개(8개 이상)의 관로(224)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연결수단(300)은, 제1,2 통신관(200A,200B)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외관 결합부재(310)와, 한 쌍의 패킹부재(320)와, 양쪽의 패킹부재(320)들 사이에 배치되는 안내부재(330)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외관 결합부재(3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부(312)가 형성되고, 삽입부(312)의 내주면에 외관의 외부 나사 주름부(212)와 체결되는 내부 나사 주름부(314)가 형성되며, 삽입부(312)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볼트 관통공(316)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각각의 외관 결합부재(310)는 내부 나사 주름부(314)를 구비하여 서로 마주하여 연결될 제1,2 통신관(200A,200B)들의 단부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외관 결합부재(3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12) 쪽으로 관통하는 나사공(318)이 형성된다. 이 나사공(318)에는 조임볼트(318A)가 체결되어 외관 결합부재(310)와 외관(21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외부 나사 주름부(212)와 내부 나사 주름부(314)가 체결된 외관(210)와 외관 결합부재(310)의 결합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공(318)에 조임볼트(318A)을 조이게 되면, 조임볼트(318A)의 단부가 나사공(318)을 관통하여 외관(21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외관(210)와 외관 결합부재(31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패킹부재(320)는, 고무재나 실리콘재로 형성되어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310)들과 안내부재(330) 사이에 배치되어 외관 결합부재(310)들과 안내부재(33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패킹부재(320)는 내관(2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패킹용 격벽(322)들에 의해 관로(224)들과 일치되는 패킹용 관로(324)들이 형성된다.
안내부재(330)는,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310) 사이, 즉 패킹부재(320) 사이에 배치되어 한쪽의 외관 결합부재(310)와 결합된 제1 통신관(200A)의 내관(220)에 형성된 관로(224)와, 반대쪽 외관 결합부재(310)와 결합된 제2 통신관(200B)의 내관(220)에 형성된 관로(224)가 서로 일치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관(2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내용 격벽(332)들에 의해 관로(224)들 패킹용 관로(324)들과 일치되는 안내용 관로(334)들을 구비하고, 양쪽의 패킹부재(320)를 마주하는 양쪽 면에는 양쪽의 제1,2 통신관(200A,200B)이 결합될 때 안내용 관로(334)와 패킹용 관로(324)와 관로(224)들이 서로 일치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편(336)들이 관로(324)들을 향하는 방향(안내부재의 길이방향(L))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양쪽의 패킹부재(320) 사이에 배치되어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310)가 결합될 때, 안내용 관로(334)와 패킹용 관로(324)와 관로(224)들이 서로 일치되도록 패킹용 관로(324)를 관통하여 내관(220)의 관로(224)에 삽입되기 위한 안내편(336)들이 양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안내부재(330)의 안내편(336)들은, 안내용 관로(334)들의 코너에서 돌출 형성되되, 뿌리 쪽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게 형성된다. 안내편(336)들이 안내용 관로(334)들의 코너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은, 안내부재(330)과 패킹부재(320)가 밀착되었을 때, 각 안내편(336)들이 패킹부재(320)와의 밀착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안내편(336)들이 안내용 관로(334)의 코너에서 돌출 형성되므로, 안내부재(330)의 양쪽에 각 패킹부재(320)들이 밀착되었을 때 각 안내편(336)들은 패킹용 관로(324)에 삽입되어 안내부재(330)의 양쪽에 각 패킹부재(320)들이 밀착에 간섭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각 안내편(336)들이 코너영역이 아닌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제조가 곤란하고, 통신 케이블의 관통에 간섭될 수 있기 때문에 안내용 관로(334)의 코너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내편(336)들은, 안내용 관로(334)와 패킹용 관로(324)와 관로(224)들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그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안내편(336)의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체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100)의 조립방법, 즉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양쪽의 제1,2 통신관(200A,200B)를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a)단계
관로(224)들을 구비한 내관(220)과 내관(220)을 감싸는 주름관 형태의 외관(210)으로 이루어진 제1,2 통신관(220A,220B)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제1 통신관(200A)과 제2 통신관(200B)의 각 단부에 외관 결합부재(310)들을 각각 체결하여 결합한다. 이때, 외관(210)의 외주면에는 외부 나사 주름부(212)가 형성되어 있고, 외관 결합부재(310)의 내주면에는 내부 나사 주름부(314)가 형성되어 있음로, 외관 결합부재(310)를 외관(210)에 체결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외관 결합부재(310)에 구비된 나사공(318)에 조임볼트(318A)를 체결하여 조임볼트(318A)의 단부가 삽입부(312)에서 외관(210)의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이 과정으로 외관 결합부재(310)와 외관(210)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b)단계
전술한 a)단계 진행 후에, 양쪽의 제1,2 통신관(200A,200B) 사이에 한 쌍의 패킹부재(320)을 각각 배치시키고, 패킹부재(320)들 사이에는 안내편(336)들을 구비한 안내부재(330)을 배치한다.
c)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310) 사이에 패킹부재(320)가 각각 배치되고 양쪽의 패킹부재(320) 사이에 안내부재(330)가 배치되면, 안내부재(330)의 양면에서 돌출 형성된 각 안내편(336)들이 각 패킹부재(320)의 패킹용 관로(324)들을 관통하고 관로(224)들에 끼워지도록 제1,2 통신관(220A,220B)이 결합된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310)들을 양쪽의 패킹부재(320)에 각각 밀착시키고 패킹부재(320)들을 안내부재(330)의 양쪽에 밀착시켜 가 결합한다.
즉,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310)와 패킹부재(320) 및 안내부재(330)를 밀착시켜, 안내부재(330)의 각 안내용 관로(334) 코너 영영에서 돌출 형성된 각각의 안내편(336)들이 패킹용 관로(324)의 코너 영역을 통과하여 양쪽 각 내관(220)의 관로(224)들의 코너 영역에 삽입한다.
이 과정으로 양쪽 제1,2 통신관(200A,200B)의 각 내관(220)에 형성된 관로(224)들은 서로 일치될 수 있다. 특히, 각 안내편(336)들이 뿌리쪽에 비하여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패킹용 관로(324)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고 관로(22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편(336)들이 각 주변 관로(224B)의 코너 영역에 형성되어 있므로, 안내부재(330)의 양면에 패킹부재(320)들이 밀착되고, 각 패킹부재(320)들에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330)가 밀착되더라도 안내편(336)들은 각 부품의 밀착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d)단계
전술한 c)단계에 의해 양쪽의 제1,2 통신관(200A,200B)이 안내부재(330)와 한 쌍의 외관 결합부재(310)들에 의해 가 결합되면, 제1,2 통신관(200A,200B)이 가 결합된 상태에서,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310)에 형성된 볼트 관통공(316)으로 볼트(316A)를 관통시킨 후 너트로 체결하여 양쪽의 외관 결합부재(310)를 결합시켜 제1,2 통신관(200A,200B)을 서로 연결시킨다.
이때, a)단계에서 체결되었던 조임볼트(318A)를 전술한 d)단계 진행 후 나사공(318)에 체결하여 외관 결합부재(310)와 외관(210)을 최종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관(22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내부에 형성되는 관로(224)들이 격벽(226)에 의해 각각 구분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내관(220)의 내부 공간 활용율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고, 양쪽의 내관(220)들이 연결수단(300)에 의해 접속될 때, 안내부재(330)의 안내편(336)들이 양쪽의 관로(224)의 코너 영역으로 삽입되므로, 양쪽 내관(220)들의 각 관로(224)는 서로 일치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200A : 제1 통신관
200B : 제2 통신관 210 : 외관
212 : 외부 나사 주름부 220 : 내관
224 : 관로 224A : 중앙 관로
224B : 주변 관로 226 : 격벽
300 : 연결수단 310 : 외관 결합부재
312 : 삽입부 314 : 내부 나사 주름부
316 : 볼트 관통공 316A : 볼트
318 : 나사공 318A : 조임볼트
320 : 패킹부재 322 : 패킹용 격벽
324 : 패킹용 관로 330 : 안내부재
332 : 안내용 격벽 334 : 안내용 관로
336 : 안내편

Claims (1)

  1. 외주면에 외부 나사 주름부를 갖는 외관과, 광케이블들이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관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관으로 이루어진 제1 통신관; 상기 제1 통신관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 통신관; 및 상기 제1 통신관과 제2 통신관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관은, 일체형의 단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케이블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관로들이 격벽들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로는, 상기 내관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관로; 및 상기 중앙 관로를 기준으로 상기 중앙 관로에 접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주변 관로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관로와 주변 관로들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중앙 관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변 관로들은 사다리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상기 외관의 외부 나사 주름부와 체결되는 내부 나사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가장자리에는 볼트 관통공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2 통신관들의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외관 결합부재; 서로 마주보는 상기 외관 결합부재의 각 일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관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패킹용 격벽들에 의해 상기 관로들과 일치되는 패킹용 관로들을 갖는 한 쌍의 패킹부재; 및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상기 패킹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관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내용 격벽들에 의해 상기 관로들 및 상기 패킹용 관로들과 일치되는 안내용 관로들을 구비하고, 양쪽의 상기 패킹부재를 마주하는 양쪽 면에는 양쪽의 제1,2 통신관이 결합될 때 상기 안내용 관로와 상기 패킹용 관로와 상기 관로들이 서로 일치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편들이 상기 관로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관 결합부재에는, 조임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볼트를 조임에 따라 상기 외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외관과 상기 외관 결합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며,
    상기 안내편들은, 상기 안내용 관로들의 코너에서 돌출 형성되되, 뿌리 쪽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용 관로와 상기 패킹용 관로와 상기 관로들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그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KR2020180002465U 2018-06-05 2018-06-05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KR200489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65U KR200489098Y1 (ko) 2018-06-05 2018-06-05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65U KR200489098Y1 (ko) 2018-06-05 2018-06-05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691A Division KR20180063009A (ko) 2018-05-28 2018-05-28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10U true KR20180001810U (ko) 2018-06-18
KR200489098Y1 KR200489098Y1 (ko) 2019-04-30

Family

ID=6274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465U KR200489098Y1 (ko) 2018-06-05 2018-06-05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0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5736A (zh) * 2020-10-20 2021-01-22 徐菡 一种防水性好的光缆连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375B1 (ko) 2021-08-11 2022-02-23 이광희 광케이블용 통신관 커플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118B1 (ko) 1993-11-02 1999-03-20 기요시 마에하시 첩착기구
JP2004173453A (ja) * 2002-11-21 2004-06-17 Mirai Ind Co Ltd 保護管連結装置、配線・配管材保護管、連結具及び保護管固定具
KR20090130628A (ko) * 2008-06-16 2009-12-24 주식회사 동원파이프 다구형 배선관 및 그 성형장치
KR101166118B1 (ko) * 2011-12-30 2012-07-23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118B1 (ko) 1993-11-02 1999-03-20 기요시 마에하시 첩착기구
JP2004173453A (ja) * 2002-11-21 2004-06-17 Mirai Ind Co Ltd 保護管連結装置、配線・配管材保護管、連結具及び保護管固定具
KR20090130628A (ko) * 2008-06-16 2009-12-24 주식회사 동원파이프 다구형 배선관 및 그 성형장치
KR101166118B1 (ko) * 2011-12-30 2012-07-23 주식회사 현대인더스트리 이음 구조물을 구비한 광케이블 보호용 통신관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5736A (zh) * 2020-10-20 2021-01-22 徐菡 一种防水性好的光缆连接器
CN112255736B (zh) * 2020-10-20 2021-09-14 上海毕科电子有限公司 一种防水性好的光缆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098Y1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6904B2 (ja) プラスチックパイプ接合構造体
KR101116344B1 (ko) 회전식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489098Y1 (ko)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KR200484396Y1 (ko) 파형관 연결장치
JP2011208801A (ja) 継手要素及びその組立方法
KR10149101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연결 컨넥터
KR101491008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20180063009A (ko)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WO2002039002A1 (en) Splicing device and method for sealing conduit spaces
KR101472494B1 (ko) 새들 플랜지
KR20180040984A (ko)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및 그 접속방법
CN108825910B (zh) 毛细管分水接头
KR100770167B1 (ko)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US4300792A (en) Pipe assembly
CN213839928U (zh) 一种密封效果好的污水管道
KR20070009508A (ko)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JP2005065406A (ja)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KR200427877Y1 (ko)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JP2014096870A (ja) 管路形成部材、それを用いた管路、および管路形成方法
US8967676B1 (en) Two-piece split coupler for coupling large-diameter plastic corrugated pipe
CN214789657U (zh) 一种内嵌式骨架密封节流式波纹管
CN212960335U (zh) 一种锁扣式连接法兰
JP3954410B2 (ja) 地中埋設箱に対する鞘管類の固定装置
CN214197656U (zh) 一种方便安装的管件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