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877Y1 -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 Google Patents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877Y1
KR200427877Y1 KR2020060017816U KR20060017816U KR200427877Y1 KR 200427877 Y1 KR200427877 Y1 KR 200427877Y1 KR 2020060017816 U KR2020060017816 U KR 2020060017816U KR 20060017816 U KR20060017816 U KR 20060017816U KR 200427877 Y1 KR200427877 Y1 KR 200427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flange
pipe
tub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종
유남기
김동수
함범식
최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Priority to KR2020060017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8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과 관을 연결할 시 플랜지를 상호 밀착시켜 플랜지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수밀성과 결속력을 증대시킨 구조의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타단부로는 관이 열융착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스토퍼링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아답터;와, 상기 스토퍼링에 의해 아답터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2중 단턱이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아답터의 일단부로 수밀을 위해 결합되는 고무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관과 관의 연결을 위해 각각 아답터가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플랜지는 상호 밀착되어 결속수단을 통해 결합되되, 상기 각 아답터는 상호 밀착되는 플랜지 밀착방향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 아답터, 스토퍼, 열융착, 플랜지, 수밀, 연결장치

Description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A flange connecting assembly with A pipe and connector by one coupling for having type adap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플랜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발췌된 아답터 및 상기 아답터에 결합되는 고무패킹과 스토퍼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도,
도 7은 도 2에서 발췌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답터와 스토퍼링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아답터 10a: 절개홈
10ab: 끼움홈 11: 스토퍼링
11a: 제 2경사면 11ab: 끼움돌기
20: 플랜지 21: 2중 단턱
21a: 제 2경사면 22: 결합공면, 제 1경사면
23: 결합공 23a: 볼트머리고정홈
24: 홈부 30: 고무패킹.2
31: 돌기 40: 볼트
41:너트 42: 와샤
100: 관 연결장치 200: 관
본 고안은 관과 관을 연결할 시 플랜지를 상호 밀착시켜 플랜지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수밀성과 결속력을 증대시킨 구조의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이 연결되는 아답터의 이탈방지를 위해 플랜지의 안측으로 아답터를 삽입시켜 구성하고, 이러한 아답터를 포함하는 플랜지는 상호 밀착시켜 고정시키되, 플렌지의 밀착면에 형성된 결합공면을 안측으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이 후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공을 압박하면 결속력에 의해 경사진 결합공면이 상호 밀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플랜지를 고정함은 물론 이로 인해 수밀성과 밀착성 및 결속력을 증대시킨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기체류의 물질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관을 이용하게 되 며, 이송하고자 하는 물질의 특성 및 사용용도에 따라 관은 여러가지 형태의 모양과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금속관, 합성수지관, 유리 섬유복합관 등으로 구분되어지고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관 연결장치는 먼저 관에 플랜지를 고정시킨 후 관을 맞대어 플랜지와 플랜지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플랜지와 플랜지가 떨어져 있으므로, 볼트를 통해 고정시키면 플랜지가 파손될 우려가 있거나,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수밀성과 결합성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관과 관을 연결할 시 플랜지를 상호 밀착시켜 플랜지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수밀성, 밀착성 및 결속력을 증대시킨 구조의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관이 연결되는 아답터의 이탈방지를 위해 플랜지의 안측으로 아답터를 삽입시켜 구성하고, 이러한 아답터를 포함하는 플랜지를 상호 밀착시켜 고정시키되, 플렌지의 밀착면에 형성된 결합공면을 안측으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이 후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공을 압박하면 결속력에 의해 경사진 결합공면이 상호 밀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플랜지를 고정함은 물론 이로 인해 수밀성, 밀착성 및 결속력을 증대시킨 구조의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 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관과 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타단부로는 관이 열융착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스토퍼링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아답터;와, 상기 스토퍼링에 의해 아답터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2중 단턱이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아답터의 일단부로 수밀을 위해 결합되는 고무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관과 관의 연결을 위해 각각 아답터가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플랜지는 상호 밀착되어 결속수단을 통해 결합되되, 상기 각 아답터는 상호 밀착되는 플랜지 밀착방향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에서 각 플랜지는 결속수단을 삽입시키기 위해 방사상으로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공과 결합공의 사이에는 질량 및 무게를 줄이기 위한 홈부가 양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각 플랜지의 밀착면에 형성된 홈부는 밀착과 수밀을 증대시키기 위해 원주면 가장자리 안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각 플랜지는 밀착시 원주면 가장자리는 밀착되되, 가장자리 안측에 형성된 결합공면은 상호 밀착되지 않도록 1 내지 20°의 제 1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결합수단은 사각, 오각, 육각, 칠각, 팔각 머리볼트 중 어느 하나 와, 이에 대응되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각 플랜지의 결합공에는 결합수단의 볼트머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볼트머리고정홈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각 플랜지의 2중 단턱 및 아답터에는 삽입되는 아답터를 플랜지의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 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각 아답터의 단부는 융착되는 관과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해 관을 융착시킬 시 용융물이 스며들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고무패킹은 수밀을 증대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스토퍼링은 결합 시 방향성을 유도하기 위해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아답터는 이에 대응되는 끼움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 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관과 아답터가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돌기를 갖는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플랜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발췌된 아답터 및 상기 아답터에 결합되는 고무패킹과 스토퍼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관과 관을 연결할 시 플랜지를 상호 밀착시켜 플랜지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수밀성, 밀착성 및 결속력을 증대시킨 구조의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이 연결되는 아답터의 이탈방지를 위해 플랜지의 안측으로 아답터를 삽입시켜 구성하고, 이러한 아답터를 포함하는 플랜지를 상호 밀착시켜 고정시키되, 플렌지의 밀착면에 형성된 결합공면을 안측으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이 후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공을 압박하면 결속력에 의해 경사진 결합공면이 상호 밀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플랜지를 고정함은 물론 이로 인해 수밀성, 밀착성 및 결속력을 증대시킨 구조의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연결 조립체(100)는 크게 3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아답터(10)와, 스토퍼링(11)과, 플랜지(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아답터(10)는 타단부로 관(200)이 열융착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스토퍼링(11)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아답터(10)의 타단부는 융착되는 관(200)과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해 관(200)의 용융물이 스며들 수 있도록 절개홈(10a)을 갖는 구성이다.
아울러 스토퍼링(11)은 아답터(10)를 플랜지(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아답터(10)의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스토퍼링(11)은 상방 일부분이 절단되어 있어 아답터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링(11)은 그 단면이 2개의 계단형상을 취하는 2중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아답터(10)는 수밀을 위해 일단부로 고무패킹(30)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 때 고무패킹(30)은 수밀을 증대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총 2개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20)는 스토퍼링(11)과 마찬가지로 스토퍼링(11)의 2중 단턱에 대응될 수 있은 2중 단턱(21)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아답터(10)와 플랜지(20)는 밀착면이 증대되는 효과로 수밀성이 증대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또한 플랜지(20)에 아답터(10)를 결합할 시 아답터(10)를 플랜지(20)의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플랜지(20)의 2중 단턱(21) 및 아답터의 2중 단턱에는 제 2경사면(11a,21a)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를 통해 아답터(10)를 플랜지(20)에 보다 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각 플랜지(20)는 아답터(10)를 고정시켜 관(200)과 관(200)을 실질적으로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플랜지(20)의 양면에 형성된 내경은 서로 다른 내경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플랜지(20)에서 아답터(10)가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플랜지(20)와 플랜지(20)가 결합되는 안측면(面)의 내경이 바깥쪽면(面)의 내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다.
따라서 관(200)과 관(200)의 연결을 위해 각각 아답터(10)가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플랜지(20)는 상호 밀착되어 결속수단을 통해 결합되되, 상기 각 아답터(10)는 상호 밀착되는 플랜지(20)의 밀착방향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또한 각 플랜지(20)는 결속수단을 삽입시키기 위해 방사상으로 다수의 결합공(2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공(23)과 결합공(23)의 사이에는 질량 및 무게를 줄이기 위한 살빼기 홈부(24)가 양면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각 플랜지(20)의 결합공(23)에는 결합수단의 볼트머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23)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볼트머리고정홈(23a)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결합수단은 볼트머리가 원형이 아닌 사각, 오각, 육각, 칠각, 팔각 머리볼트 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되는 너트(4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너트(41)를 체결할 때 볼트(40)가 같이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여 위하여 볼트 양쪽을 잡아주는 추가 장비가 필요 없이 쉽게 플랜지(20)와 플랜지(20)를 결속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와샤(42)를 표기하였지만 선택적으로 와샤(42)를 사용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각 플랜지(20)의 밀착면에 형성된 홈부(24)는 밀착과 수밀을 증대시키기 위해 원주면 가장자리 안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2개의 플랜지(20)를 밀착시킨 후 외부에서 보았을 경우에는 홈부(24)가 보이지 않는 구조이다.
이러한 이유는 이하에서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플랜지(20)는 밀착시 원주면 가장자리는 밀착되되, 가장자리 안측에 형성된 결합공면(22)은 상호 밀착되지 않도록 1 내지 20°로 경사진 제 1경사면(22)을 갖는다.
따라서 볼트(40)와 너트(41)를 체결하지 않고 한쌍의 플랜지(20)를 상호 밀착시키면 플랜지(2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하고 가장자리 안측면은 소정간격의 갭이 발생된다.
이 때 결합공(23)을 통해 볼트(40)와 너트(41)를 체결하면, 그 체결력에 의해 결합공면(22)이 상호 밀착되어 플랜지(20)의 탄성에 따른 밀착력을 부여함으로써, 결속력과 수밀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7은 도 2에서 발췌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답터와 스토퍼링의 사시도이다.
도 7과 같이, 종래의 구성과 달리, 본 고안의 아답터(10)는 상호 밀착되는 플랜지(20)의 밀착방향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때문에 상기 아답터(10)에 삽입되는 스토퍼링(11)의 방향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스토퍼링(11)과 플랜지(20)에 형성된 2중 단턱의 형상에 기인한다.
따라서 비숙련된 시공자가 이를 조립할 때 스토퍼링(11)을 반대방향으로 아답터(10)에 설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결국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의 스토퍼링(11)은 결합 시 방향성을 유도하기 위해 끼움돌기(11ab)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아답터(10)는 이에 대응되는 끼움홈(10ab)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에 따르면, 관과 관을 연결할 시 플랜지를 상호 밀착시켜 플랜지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수밀성, 밀착성 및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관이 연결되는 아답터의 이탈방지를 위해 플랜지의 안측으로 아답터를 삽입시켜 구성하고, 이러한 아답터를 포함하는 플랜지를 상호 밀착시켜 고정시키되, 플렌지의 밀착면에 형성된 결합공면을 안측으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이 후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공을 압박하면 결속력에 의해 경사진 결합공면이 상호 밀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플랜지를 고정함은 물론 이로 인해 수밀성과 밀착력(결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수밀성과 밀착력이 증대됨으로, 누수가 방지됨은 물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유지보수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10)

  1. 관과 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타단부로는 관이 열융착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스토퍼링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아답터;
    상기 스토퍼링에 의해 아답터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2중 단턱이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아답터의 일단부로 수밀을 위해 결합되는 고무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관과 관의 연결을 위해 각각 아답터가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플랜지는 상호 밀착되어 결속수단을 통해 결합되되, 상기 각 아답터는 상호 밀착되는 플랜지 밀착방향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는 결속수단을 삽입시키기 위해 방사상으로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공과 결합공의 사이에는 질량 및 무게를 줄이기 위한 홈부가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의 밀착면에 형성된 홈부는 밀착과 수밀을 증대시키기 위해 원주면 가장자리 안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는 밀착시 원주면 가장자리는 밀착되되, 가장자리 안측에 형성된 결합공면은 상호 밀착되지 않도록 1 내지 20°로 경사진 제 1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사각, 오각, 육각, 칠각, 팔각 머리볼트 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되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의 결합공에는 결합수단의 볼트머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볼트머리고정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의 2중 단턱 및 아답터에는 삽입되는 아답터를 플랜지의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 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아답터의 단부는 융착되는 관과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해 관을 융착시킬 시 용융물이 스며들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은 수밀을 증대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은 결합 시 방향성을 유도하기 위해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아답터는 이에 대응되는 끼움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 조립체.
KR2020060017816U 2006-06-30 2006-06-30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KR200427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816U KR200427877Y1 (ko) 2006-06-30 2006-06-30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816U KR200427877Y1 (ko) 2006-06-30 2006-06-30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620A Division KR100770167B1 (ko) 2006-06-30 2006-06-30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877Y1 true KR200427877Y1 (ko) 2006-10-02

Family

ID=4177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816U KR200427877Y1 (ko) 2006-06-30 2006-06-30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8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25B1 (ko) 2006-12-11 2008-06-10 주식회사 하이스텐 플랜지식 새들 분수전
KR101863844B1 (ko) * 2017-12-12 2018-06-01 (주)다원산업 커터 교체가 용이한 파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25B1 (ko) 2006-12-11 2008-06-10 주식회사 하이스텐 플랜지식 새들 분수전
KR101863844B1 (ko) * 2017-12-12 2018-06-01 (주)다원산업 커터 교체가 용이한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561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US7097211B2 (en) Pipe coupling system having an anti-reversing locking ring
US20070222217A1 (en) Pipe fittings
KR100770167B1 (ko)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KR200427877Y1 (ko)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KR101171058B1 (ko) 플랜지 접속형 상수도관 이음 장치
KR101188872B1 (ko) 패킹링의 파손이 방지되는 소켓관
KR100716221B1 (ko)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KR200489098Y1 (ko)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KR200277297Y1 (ko) 관 연결장치
US11187365B2 (en) Connector for piping networks
KR101225697B1 (ko) 하수관을 연결하는 관연결장치
RU2120578C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200368081Y1 (ko) 분기관 연결구조
GB2381050A (en) A pipe coupling including an integral polymeric sealing ring and end cap
KR20090047422A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0757050B1 (ko) 관과 아답터가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돌기를 갖는 플랜지관연결 조립체
KR101111722B1 (ko) 관 이음장치
KR101290684B1 (ko)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200274871Y1 (ko) 원형관 이음장치
KR100536985B1 (ko) 파이프 연결구
JP4432223B2 (ja) 異種管接続構造及び異種管接続方法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