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297Y1 - 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297Y1
KR200277297Y1 KR2020020007243U KR20020007243U KR200277297Y1 KR 200277297 Y1 KR200277297 Y1 KR 200277297Y1 KR 2020020007243 U KR2020020007243 U KR 2020020007243U KR 20020007243 U KR20020007243 U KR 20020007243U KR 200277297 Y1 KR200277297 Y1 KR 200277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ing
pipes
pipe
couple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길
오종근
Original Assignee
코스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모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7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297Y1/ko
Priority to KR1020020028582A priority patent/KR100367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2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개의 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관을 간편하고 견고하며 누수방지를 위한 밀폐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양측 선단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요철부(2, 2')를 형성한 양측 관(1, 1')과,
상기 요철부(2, 2')에 조립되는 고정요철부(5, 5')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경사면(4, 4')이 형성된 고정링(3, 3')과,
상기 고정링(3, 3')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체결홈(14, 14')이 형성되며 하측에서는 돌출부(12, 13)와 홈(12', 13')이 연결핀(15)으로 결합되고 상측에서는 연결돌출부(7, 7')의 연결공(8, 8')에서 고정보울트(9)와 너트(9')로 양측의 고정링(3, 3')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클램프(6, 6')로 구성되어 안정되고 견고하게 두개의 관을 연결시키며, 연결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관 연결장치{A Pipe connection equipment}
본 고안은 두개의 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관을 간편하고 견고하며 누수방지를 위한 밀폐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기체류의 물질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관을 이용하게 되며, 이송하기 위한 물질의 특성과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모양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금속관, 합성수지관, 유리관 등으로 구분되어지고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연결한다.
이러한 종래의 관을 연결하는 구조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84491호(2000년 3월 22일 등록)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관의 양선단으로 원통형의 플랜지를 형성하여 다수의 구멍이 원주방향으로 설치되고, 원형의 플랜지 사이에 원형의 고무링 또는 가스켓을 삽입하여 보울트와 너트를 조여 연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관의 양선단으로 원통형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송 및 보관과 연결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의 일부분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일부분이 절단된 스토퍼를 삽입하고 관 사이에 돌기가 형성된 패킹을 삽입하여 플랜지를 보울트와 너트로 연결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관의 일부분에 원형의 홈을 가공하여 일부분이 절단된 스토퍼를 삽입하는 과정이 매우 어려워서 조립작업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양측의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서 보울트를 삽입시키는 시간이 지연되므로 작업시간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며, 보울트를 쉽게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길이가 매우 긴 관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비와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스토퍼의 밀림을 방지하는 금속재질의 매우 얇은 링을 사용하므로 스토퍼가 조여지는 힘에 의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안쪽으로 휘어지는 결점이 발생하여 조임력이 약화되어 결국 누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관과 연결장치를 구별되게 구성하여 부품의 보관 및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관에 삽입되는 고정링을 견고하게 형성하고 클램프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클램프가 체결된 후에 고정링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클램프의 고정보울트를 상측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하고 견고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양측 선단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요철부를 형성한 양측 관과,
상기 요철부에 조립되는 고정요철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측에서는 돌출부와 홈이 연결핀으로 결합되고 상측에서는 연결돌출부의 연결공에서 고정보울트와 너트로 양측의 고정링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클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관 2, 2' : 요철부
3, 3' : 고정링 4, 4' : 경사면
5, 5': 고정요철부 6, 6' : 클램프
7, 7' : 연결돌출부 8, 8' : 연결공
9 : 고정보울트 10, 10' : 패킹
11, 11' : 패킹홈 12, 13 : 돌출부
12', 13' : 홈 14, 14' : 체결홈
15 : 연결핀
본 고안은 압출되는 합성수지관 또는 이중벽관과 같은 다양한 재질의 관(1, 1') 선단으로 외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요철부(2, 2')를 형성하고, 양측 관(1,1')을 결합시킬 때 맞닿은 부분에는 반원형의 패킹홈(11, 11')을 형성하여 패킹(10, 10')의 삽입돌부(12, 12')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양측 관(1, 1')의 요철부(2, 2')에 체결되는 고정요철(5, 5')을 내경에 형성하며, 외측으로 경사면(4, 4')을 형성하여 클램프(6, 6')에 의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링(3, 3')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링(3, 3')의 일부분에는 절단면(3a, 3b)에 의하여 절단되어 있어서 양측으로 벌려 양측관(1, 1')에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양측 관(1, 1')에 삽입되는 클램프(6, 6')는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내부의 체결홈(14, 14')이 고정링(3, 3')의 외측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고정링(3, 3')의 외측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6등분으로 나누어져서 다관절로 이루어지며 상측으로 연결돌출부(7, 7')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연결공(8, 8')이 형성되어 고정보울트(9)와 너트(9')로 체결된다.
상기 클램프(6, 6')가 6등분되어 각각의 연결부분에서는 돌출부(12, 13)와 홈(12', 13')이 교대로 형성되어 양측에서 결합되도록 하여 연결핀(15)으로 결합시켜 클램프(6, 6')가 연결핀(15)을 축으로 양측으로 회전이동되도록 한다.
양측 관(1, 1')의 결합면에 형성된 패킹홈(11, 11')에는 일측면의 내부에 형성된 원형의 삽입돌부(12, 12')가 설치되며,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 관(1, 1')에 일자형으로 밀착되는 패킹(10, 10')을 구성한다.
상기 경사면(4, 4')은 진선형태로 형성하였으나 라운드형 또는 호상으로 형성하고 대응되는 체결홈(14, 14') 역시 일치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양측 관(1, 1')을 성형시킨 후 선단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요철부(2, 2')를 형성시키고, 양측 관(1, 1')의 결합면에 반원형의 패킹홈(11, 11')을 형성시켜 별도로 보관 및 이동하게 되므로 양측 관(1, 1')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서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양측 관(1, 1')의 체결시에는 관(1)의 요철부(2)에는 고정링(3)을, 관(1')의 요철부(2')에는 고정링(3')을 절단면(3a, 3b)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벌린 후 관(1, 1')에 간편하게 결합한다.
이때 고정링(3, 3')의 경사면(4, 4')이 관(1, 1')의 안쪽을 향하도록 하여 요철이 일치되도록 결합한다.
고정링(3, 3')이 결합된 후에 관(1, 1')의 패킹홈(11, 11')에는 미리 패킹(9, 9')의 삽입돌부(10, 10')를 결합시켜 놓을 수 있으며, 양측 관(1, 1')의 결합시에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관(1, 1')의 요철부(2, 2')에 고정링(3, 3')의 고정요철부(5, 5')가 안정되게 결합된 후에는 클램프(6, 6')를 양측으로 벌리면 다관절로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12, 13)와 홈(12', 13')의 중앙에서 연결핀(15)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램프(6, 6')가 각각의 연결부분에서 외측으로 자유롭게 벌어지게 된다.
클램프(6, 6')를 양측으로 벌린 후 고정링(3, 3')의 외측을 감싸도록 오므리면 도 3 과 같이 클램프(6, 6')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홈(14, 14')이 고정링(3, 3')과 경사면(4, 4')에 일치된다.
클램프(6, 6')의 상측에 형성된 연결돌출부(7, 7')의 연결공(8, 8')에 고정보울트(9)를 삽입하여 너트(9')로 결합시킨다.
그러면 체결홈(14, 14')과 고정링(3, 3')이 안정되고 견고하게 결합되며, 경사면(4, 4')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클램프(6, 6')에 의하여 고정링(3, 3')의 벌어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링(3)의 고정요철부(5, 5')와 요철부(2, 2')가 2개 이상의 요철형태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클램프(6, 6')나 고정링(3, 3')이 안으로 밀려 체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6, 6')는 편의상 6등분 되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3∼6등분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보울트(9)를 이용하여 양측 관(1, 1')을 체결하게 되면 패킹(10, 10')의 삽입돌부(12, 12')가 패킹홈(11, 11')에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밀폐성을 향상시켜 누수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클램프와 고정링을 별도로 가공하여 독립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관의 적층공간을 최소화하며 부품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관과 고정링이 결합되는 부분에 요철형태를 형성하여 견고하게 결합시켜 클램프를 체결하는 것이며, 체결되면서 경사면과 체결홈의 결합으로 고정링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도 최초의 체결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양측 관의 사이에 패킹(10, 10')을 삽입하고 원주방향으로 외측에서 클램프를 이용하여 밀폐시키도록 하는 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양측 선단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요철부(2, 2')를 형성한 양측 관(1, 1')과,
    상기 요철부(2, 2')에 조립되는 고정요철부(5, 5')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경사면(4, 4')이 형성되며 일부분에서 벌어지도록 절단면(3a, 3b)이 형성된 고정링(3, 3')과,
    상기 고정링(3, 3')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체결홈(14, 14')이 형성되며 적어도 3곳 이상에서 돌출부(12, 13)와 홈(12', 13')이 연결핀(15)으로 결합되고 상측에서는 연결돌출부(7, 7')의 연결공(8, 8')에서 고정보울트(9)와 너트(9')로 양측의 고정링(3, 3')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클램프(6, 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클램프(6, 6')가 돌출부(12, 13)와 홈(12', 13')에 의하여 다관절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KR2020020007243U 2002-03-12 2002-03-12 관 연결장치 KR200277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43U KR200277297Y1 (ko) 2002-03-12 2002-03-12 관 연결장치
KR1020020028582A KR100367098B1 (en) 2002-03-12 2002-05-23 Pipe conn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43U KR200277297Y1 (ko) 2002-03-12 2002-03-12 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297Y1 true KR200277297Y1 (ko) 2002-06-01

Family

ID=374911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243U KR200277297Y1 (ko) 2002-03-12 2002-03-12 관 연결장치
KR1020020028582A KR100367098B1 (en) 2002-03-12 2002-05-23 Pipe connection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582A KR100367098B1 (en) 2002-03-12 2002-05-23 Pipe conne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772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0422A1 (en) * 2003-07-28 2005-02-03 Su Gen Kim Pipe joint device by flange
KR100598898B1 (ko) * 2006-01-06 2006-07-12 주식회사 이진건축사사무소 수직압에 유용한 공동주택 하수관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81B1 (ko) 2004-07-30 2006-08-25 주식회사 롯데기공 조립체의 실링 확인방법 및 그 조립체
SE1550319A1 (sv) * 2015-03-17 2016-08-02 Roxtec Ab Seal
KR102098474B1 (ko) * 2018-07-03 2020-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기계용 클램핑 장치
KR101919020B1 (ko) * 2018-07-19 2018-11-15 강태호 연결관 일체형 파이프 및 이의 연결방법
KR200496393Y1 (ko) * 2020-10-12 2023-01-18 이노링커스 주식회사 록타이트 확인용 투시홈이 형성된 클램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0422A1 (en) * 2003-07-28 2005-02-03 Su Gen Kim Pipe joint device by flange
US7722092B2 (en) 2003-07-28 2010-05-25 Su Gen Kim Pipe joint device by flange
KR100598898B1 (ko) * 2006-01-06 2006-07-12 주식회사 이진건축사사무소 수직압에 유용한 공동주택 하수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7098B1 (en)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3530A (en) Grab rings
CA2011345C (en) Pipe jointing or closing device
KR101221346B1 (ko) 밀봉 슬리브를 가진 리브붙이 파이프 클램프
US6986533B2 (en) Pipe coupling
JP4094609B2 (ja) 管継手
US5303964A (en) Pipe connector
KR200277297Y1 (ko) 관 연결장치
KR101866793B1 (ko)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160086657A (ko) 관연결장치
KR20190056870A (ko)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US6708985B1 (en) Ring seal and retainer assembly
KR101656219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KR200184491Y1 (ko) 관 연결구
KR200275057Y1 (ko) 관 연결장치
KR101960492B1 (ko) 무용접 파이프 이음구
JP2002005353A (ja) 導管接続装置
KR960001359Y1 (ko) 관 연결용 클램프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101676735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JP3924459B2 (ja) 管接続具
KR200365436Y1 (ko) 관연결 소켓
KR200280056Y1 (ko) 관 연결장치
KR20140070165A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0318009B1 (ko) 배관용 연결 소켓링
CN219242885U (zh) 一种发动机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