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684B1 -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 Google Patents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684B1
KR101290684B1 KR1020110116700A KR20110116700A KR101290684B1 KR 101290684 B1 KR101290684 B1 KR 101290684B1 KR 1020110116700 A KR1020110116700 A KR 1020110116700A KR 20110116700 A KR20110116700 A KR 20110116700A KR 101290684 B1 KR101290684 B1 KR 101290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tube
adapter
packing assembly
cabl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529A (ko
Inventor
김범술
Original Assignee
화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6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7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penetrating the insulation being actuated by screws, nuts or bolts
    • H01R4/2479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penetrating the insulation being actuated by screws, nuts or bolts penetrating the area under the screw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들 간의 접촉면에 개재되어 물체들을 연결할 시에 실링재를 파열시켜 접촉면의 틈새를 실링재로 메워서 기밀을 유지하며, 케이블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시에 케이블의 진동 및 이탈도 방지하는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유동성의 실링재(111)를 피복(112)으로 감싼 실링튜브(110); 상기 실링튜브(1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두개의 물체를 연결할 시에 실링튜브(110)에 적층되되, 실링튜브(110)의 피복(112)을 관통시킬 크랙킹돌기(123)를 실링튜브(110)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게 형성하여 실링재(111)를 피복(112) 밖으로 유출시키는 부재(120); 로 패킹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Description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PACKING ASSEMBLY AND CABLE CONNECTOR USING IT}
본 발명은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체들 간의 접촉면에 개재되어 물체들을 연결할 시에 실링재를 파열시켜 접촉면의 틈새를 실링재로 메워서 기밀을 유지하며, 케이블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시에 케이블의 진동 및 이탈도 방지하는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 방진 또는 방폭 시설물은 볼트 또는 너트를 나사체결하는 경우에, 또는 개방된 부위를 덮개로 막는 경우에, 접촉면에 발생하는 틈새를 막아 물이나 가스가 침투하지 못하게 밀폐할 필요가 있어서 접촉면에 오링과 같은 패킹을 개재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88260호에서 보여준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는 케이블의 심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부공간에 물이 들어가면 누전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므로 내부공간을 밀폐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 케이블을 커넥터에 삽입할 시에 패킹을 사용한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5822호는, 패킹의 파손을 방지하여 기밀유지를 양호하게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들은 패킹에만 의존하여 밀폐하므로, 패킹 또는 패킹이 삽입되는 홈에 이물질이 끼이면 틈새가 생길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갖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패킹을 설치할 시에 깨끗이 청소한다 해도 청결 상태를 매번 보장하는 것도 아니어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또한, 패킹은 재질 특성상 시간 경과에 따른 노후화 또는 진동에 의한 흠짐 등의 요인으로 인해서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데, 이러한 패킹이 적용된 장치는 수중 또는 습기가 많은 곳에 설치되거나 아니면 타 시설물과 연동되게 설치되어서 패킹 교체를 어렵게 한다.
또한, 물이나 가스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밀봉재로 틈새를 막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작업은 수작업에 의한 것이어서 밀폐 상태를 보장하지 못하며, 별도의 부가장치를 설치하거나 아니면 패킹이 설치되는 부위의 구조를 변경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부가장치에 대한 설치비용 및 설계변경의 어려움을 수반한다.
한편, 케이블(또는 배관)을 연결하는 경우에 케이블을 견고하게 파지함으로써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고 진동에 의한 접속부위의 파손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밀폐를 위한 부가재로 케이블을 견고하게 파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R 10-2010-0088260 A 2010.08.09. KR 20-0375822 Y1 2005.03.09.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체간의 접촉면에 개재되었던 종래 패킹을 대신하여 미세한 틈새도 메워 기밀상태를 완전하게 유지하는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를 위한 부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이나 배관을 견고하게 파지하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부가재로 방수 및 방진 조건을 만족시키며, 아울러, 설치도 용이한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체들을 서로 연결할 시에 물체들 사이에 개재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 어셈블리에 있어서, 유동성의 실링재(111)를 피복(112)으로 감싼 실링튜브(110); 상기 실링튜브(1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두개의 물체를 연결할 시에 실링튜브(110)에 적층되되, 실링튜브(110)의 피복(112)을 관통시킬 크랙킹돌기(123)를 실링튜브(110)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게 형성하여 실링재(111)를 피복(112) 밖으로 유출시키는 부재(12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튜브(110)는 오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재(120)는 상기 실링튜브(110)의 형상에 맞는 짧은 관의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120)는, 실링튜브(110)에 접촉되는 일측면에 대해 타측면으로 갈수록 외주면의 관경을 크게 하고, 타측면에 슬롯(121)을 형성하여 탄성력을 받으며 오므리게 하며, 돌출 형성되는 락킹돌기(122)를 타측 내주면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돌기(122) 및 크랙킹돌기(123)는, 각각 부재(120)의 둘레방향을 따라가며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120)는, 실링튜브(110)에 접촉되는 면을 내향으로 경사진 사면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은, 케이블(10) 간의 접속을 위한 내부공간(211)을 케이스(210)의 내부에 마련하고, 외주면에 수나사를 조성한 중공의 어댑터(220)를 내부공간(211)과 연통되게 케이스(210)의 외주면에 구비하여 어댑터(220)에 케이블(10)의 단부를 삽입하게 하며, 케이블(10)에 관통되는 유니언너트(230)를 어댑터(220)에 나사체결하여 케이블(10)을 어댑터(220)에 고정하는 케이블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20)의 단부 내주면을 둘레방향을 따라가며 절삭하여 단턱(222)을 형성하고,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에 어느 한항으로 이루어지는 패킹 어셈블리(100)를 상기 단턱(222)에 끼우며, 상기 유니언너트(230)는, 상기 패킹 어셈블리(100)를 가압할 내향 플랜지(232)를 내주면에 갖추어서, 상기 유니언너트(230)를 어댑터(220)에 나사체결할 시에, 패킹 어셈블리(100)의 실링튜브(110)를 파열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댑터(220)의 단부에서 상기 단턱(222)에 이르는 깊이는, 상기 실링튜브(110) 및 부재(120)의 적층 두께보다 작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턱(222)에 의해 형성된 상기 어댑터(220)의 단부측의 내주면은, 상기 어댑터(220)의 단부를 향해 벌어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일면을 개구하여 덮개(213)로 막도록 형성하되, 개구된 면에 테두리를 따라가며 이어지는 요홈(212)을 구비하고, 유동성의 실링재를 피복으로 감싼 실링튜브(110a) 및 실링튜브(110a)를 향하는 면에 실링튜브의 피복을 파열시킬 크랙킹돌기(123a)를 구비한 부재(120)를 서로 적층하여 상기 요홈(212)에 삽입할 수 있도록 띠의 형태로 구비며, 상기 덮개(213)는, 요홈(212)에 적층된 상태로 삽입된 실링튜브(110a) 및 부재(120a)를 가압할 돌기(21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되는 물체들의 접촉면에서 유동성 실링재를 충진한 실링튜브를 파열시키게 구성되어서 실링튜브에서 유출되는 실링재로 접촉면의 미세한 틈새까지 메우므로, 접촉면의 기밀 상태를 완전하게 유지하여 신뢰성을 보장하며, 종래 사용되던 패킹처럼 쉽게 설치할 수 있어서 추가 작업 없는 향상된 작업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되는 순간에 케이블(또는 배관)을 견고하게 파지하여 케이블 이탈은 물론이고 진동도 방지하므로, 별도의 파지수단을 부가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고정 및 방진 조건을 충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방수 및 방진 조건을 기존 패킹이 설치된 공간에서 하나의 조립과정으로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 어셈블리에서, 부재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 어셈블리에서, 부재의 측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 어셈블리에서, 실링튜브의 상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 어셈블리에서, 실링튜브의 측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에서, 덮개(213)를 분리한 상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의 측면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로서, 덮개(213)를 분리한 상태의 분리 상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의 다른 형태로서, 덮개(213)를 분리한 상태의 분리 상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 또는 작용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 어셈블리(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은 패킹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실링튜브(110) 및 부재(12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부재(120)의 상면도이고, 도 3은 부재(12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실링튜브(110)의 상면 단면도이고, 도 5는 실링튜브(110)의 측면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 어셈블리(100)는 링 형상의 실링튜브(110)와, 전체적으로 상기 실링튜브(110)의 형상에 맞추어 적층할 수 있는 짧은 중공관으로 형성된 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실링튜브(110)는, 전체적으로 보면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오링(O-Ring)이 설치되었던 곳에 오링을 대신하여 설치되게 하며, 유동성의 실링재(111)를 피복(112)으로 감싸 형성됨에 따라,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피복(112)을 파열하면 파열된 부위를 통해 실링재(111)가 외부로 유출된다.
여기서, 실링튜브(110)의 내부에 충진되는 실링재(111)는 유동성 접착제나 아니면 유동성 점착제로 이루어져서 주변 물체에 붙어 실링튜브(110)가 설치된 부위를 밀폐시킬 수 있으면 만족한다. 그리고, 상기 피복(112)은 후술하는 부재(120)의 크랙킹돌기(123)에 의해 파열될 정도의 강도를 갖추면 만족하며, 가능하면 실링튜브(110)를 오링처럼 끼워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손으로 잡았을 때에 원형에 가깝게 유지하면서, 구멍이 생겨 실링재(111)가 액체처럼 외부로 흘러나올 때에 눌려 압착될 정도의 강도를 갖추는 것이 좋다.
상기 부재(120)는, 상기 실링튜브(1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상기 실링튜브(110)에 적층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링튜브(110)를 오링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짧은 중공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개구된 일단 면에 상기 실링튜브(110)을 마주하며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부재(120)는 실링튜브(110)의 피복(112)을 파열시킬 크랙킹돌기(123)를 실링튜브(110)를 향하는 일단 면에 돌출되게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크랙킹돌기(123)는 끝이 뾰족한 첨두 돌기로 형성되어 실링튜브(110)의 피복(112)에 구멍을 생기게 하며, 상기 부재(120)의 일단 개구면에 복수개로 조성하되, 상기 부재(120)의 둘레방향을 따라가며 간격을 두고 조성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로 조성된 상기 크랙킹돌기(123)는 실링튜브(110)를 다지점에서 파열시켜 실링재(111)를 실링튜브(110)의 둘레에 고르게 유출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 어셈블리(100)의 부재(120)는, 실링튜브(110)의 파열로 유출되는 실링재(111)를 외향보다는 내향으로 많이 흘러가게 하기 위해서, 실링튜브(110)을 향하는 일단 개구면을 내향으로 경사진 사면(斜面, 124)으로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실링튜브(110)을 향하는 일단 개구 부위의 내경은 타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면 형상은 후술하는 케이블커넥터(200)에 적용함에 있어 유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 어셈블리(100)의 부재(120)는, 내부 중공을 관통하는 물체(예를 들면, 후술하는 케이블)의 외주면을 압착하며 파지하는 콜렛(collet)의 작용도 하게 형성되며, 이를 위해서, 상기 실링튜브(110)에 접촉되는 일측 개구면에 대해 타측 개구면으로 갈수록 외주면의 관경을 크게 하고, 타측 개구면에는 일측 개구면을 향해 절개된 슬롯(121)을 형성하여서, 타측 부위를 오므리게 할 수 있다. 아울러, 타측 내주면에는 내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락킹돌기(122)를 조성하여서 타측 부위를 오므릴 때에 락킹돌기(122)로 물체를 누르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락킹돌기(122)는 복수개로 조성하되 부재(120)의 타측 개구의 내주면을 따라가며 서로 이격되게 조성하여서, 관통하는 물체의 둘레를 고르게 분포된 지점에서 압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패킹 어셈블리(100)는, 서로 다른 물체를 연결할 시에 물체 간에 접하는 면에 개재되어 기밀(氣密)을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물체들이 접하는 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매워 밀폐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물체에 대한 예를 들면,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중공 볼트에 너트를 체결할 시의 중공 볼트와 너트, 중공 볼트에 마개를 나사체결할 시의 중공 볼트와 마개, 박스의 개구를 덮개로 덮어 고정할 시의 박스와 덮개,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커플링을 체결할 시의 배관과 커플링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아울러, 후술하는 케이블커넥터(200)에서의 어댑터(220), 유니언너트(230)및 케이블(10)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물체는 반드시 두개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이는 기기의 구성품이나 배관 부품 등을 결합할 시에 3개 이상의 부품이 접하는 곳에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재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패킹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실링튜브(110) 및 부재(120)를 링의 형태로 예시하였으나, 기존 패킹이 개재할 부분의 형상에 맞게 타원형이나 다각형은 물론이고 직선형이나 꺾인선형으로도 가능하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물체들을 연결할 시에 물체들 간의 접촉면을 통해 물이나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오링과 같은 패킹재를 물체들 간의 접촉면에 개재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패킹 어셈블리(100)는 실링튜브(110)와 부재(120)를 적층한 상태로 기존의 패킹이 개재되던 패킹 장착 공간에 장착되되, 물체들가 결합되는 순간에 부재(120)가 실링튜브(110)를 가압하며 구멍을 내어 실링제(111)를 실링튜브(110)의 흘러나오게 함으로써, 패킹 장착 공간을 실링체(111)로 빈틈 없이 채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200)에 대해 설명하며, 이에 따르면, 케이블들을 접속하는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서 케이블이 내부 접속 공간에 삽입하는 부위의 틈새를 상술한 패킹 어셈블리(100)를 사용하여 밀폐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은 케이블커넥터(200)로 두 케이블의 단부를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두 케이블을 연결할 때에 케이블커넥터(200)의 장착과정을 보여주는 케이블커넥터(2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케이블커넥터(200)에서 유니언너트(230)를 어댑터(220)에 나사체결할 시에 패킹 어셈블리(100)의 상태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200)는, 케이블(10)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내부공간(211)을 마련한 전후단이 개구된 중공관 형상의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어 케이블(10)의 심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심선접속재(240)와, 외주면에 수나사산(221)를 조성한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케이스(210)의 외벽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부공간(211)을 외부와 연통되게 하여 접속할 케이블(10)의 단부를 관통하게 한 어댑터(220)와, 상기 어댑터(220)에 나사체결되는 유니언너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케이블커넥터(200)는, 어댑터(220)를 통해서만 외부와 연통되게 하고 관통형성된 어댑터(220)를 제외한 면으로는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전후를 개구한 중공의 케이스(210)를 구비하므로, 전후의 개구에 각각 하나씩의 어댑터(220)가 형성된다.
상기 유니언너트(230)는 전후를 개구한 중공의 몸체로 형성되어 케이블(10)을 관통시키고, 전방의 내주면에 암나사산(231)을 조성하여 상기 어댑터(220)에 나사체결하며, 후방의 내주면에 내향 플랜지(232)를 조성하여 케이블(10)에 근접하게 외삽된다.
상기 어댑터(220)는 단부의 내주면을 둘레방향을 따라가며 절삭하여 단턱(222)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패킹 어셈블리(100)를 단턱(222)에 얹는 형태로 단부의 내주면에 삽입하게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심선(11)을 실드 피복(12)으로 감싼 케이블(10)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두개의 케이블(10)에 각각 유니언너트(230), 부재(120) 및 실링튜브(110)를 외삽한다. 다음으로, 두개의 케이블(10) 중에 어느 하나의 케이블(10)을 케이스(210)에 관통시킨다. 다음으로, 심선(11)이 케이블(10)의 단부에 돌출되도록 실드 피복(112)을 탈피하고(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선(11)을 감싸는 내피도 있는 것이라면 내피도 탈피하고) 양측 케이블(10)의 심선(11)을 각각 심선접속재(240)에 연결하여 심선접속재(24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다음으로, 케이스(210)를 이동하여 심선접속재(240)를 케이스(210)의 내부공간(211)에 수용되게 하며, 이에 따라, 양측 케이블(10)은 각각 어댑터(220)를 관통하여 케이스(210)의 내부공간(211)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실링튜브(110) 및 부재(120)를 어댑터(220)의 단부 내주면에 삽입한 후에 유니언너트(230)를 어댑터(220)에 나사체결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커넥터(200)를 이용한 케이블의 연결이 완료된다.
여기서, 유니언너트(230)를 어댑터(220)에 나사체결할 시에, 패킹 어셈블리(100)의 상태 변화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는, 단턱(222)을 형성한 어댑터(220)의 단부 내주면에 실링튜브(110) 및 부재(120)를 밀착되게 삽입하고 유니언너트(230)를 나사체결하는 과정의 상태로서 유니언너트(230)를 어댑터(220)에 완전히 체결하기 전이다. 이때에는, 실링튜브(110)를 단턱(222)에 닿게 하고, 부재(120)를 실링튜브(110)에 근접하게 한 상태이며, 부재(120)의 크랙킹돌기(123)로 실링튜브(110)를 파열하기 전이다.
아울러, 이 상태에서는, 부재(120)의 일부(실링튜브와 접하는 일측부위보다 관경이 큰 타단 부위)가 어댑터(220)의 단부 개구부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어댑터(220)의 단부 개구부를 오므리지 아니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단턱(222)을 형성하기 위해 어댑터(220)의 단부 내주면을 절삭할 때에는, 단부에서 단턱(222)에 이르는 깊이를 상기 실링튜브(110) 및 부재(120)를 적층한 상태의 총 두께보다 작게 한다. 또한, 부재(120)의 타단 외경은 상기 어댑터(120)의 단부 내경보다 크게 한다. 그리고, 부재(120)를 어댑터(220)에 쉽게 삽입하기 위해서 어댑터(120)의 단부측의 내주면을 단부를 향해 벌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8의 (b)는, 상기 도 8의 (a) 상태에서 유니언너트(230)를 어댑터(220)에 완전히 체결한 상태로서, 부재(120)가 유니언너트(230)의 내향 플랜지(232)에 의해 가압되어 어댑터(220)의 내부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부재(120)의 크랙킹돌기(123)로 실링튜브(110)를 파열시키며, 아울러, 부재(120)에 의해서 실링튜브(110)를 가압하게 한다. 이에 따라, 실링튜브(110)의 내부에 충진되었던 실링재(111)가 흘러나와 주변의 틈새, 즉, 케이블(10)과 어댑터(230) 간의 틈새를 매우므로, 케이스(210)의 내부공간(211)을 밀폐할 수 있다. 도면에는 명확하게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흘러나온 실링재(111)는 케이블(10)과 유니언너트(230) 간의 틈새, 또는 어댑터(230)와 유니언너트(230) 간의 틈새도 매우게 된다.
한편, 부재(120)가 어댑터(220)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부재(120)의 후단이 어댑터(220)의 단부 내주면에 눌려 오므리게 되므로, 부재(120)의 내주면에 돌출된 락킹돌기(122)가 케이블(10)을 누르며 파지하므로, 케이블(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구체적으로, 도 9는 케이블들의 단부를 케이블커넥터의 내부공간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케이블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 간의 연결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덮개를 분리한 상태의 케이블커넥터의 상면도이고, 도 12는,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의 케이블커넥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상기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는, 케이스(2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를 개구한 후에 상부 개구를 덮개(213)로 막게 하고 심선접속재(240)를 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고정한 점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차이 나며, 케이스(210)에 어댑터(220)를 형성하고 어댑터(220)에 유니언너트(230)를 체결할 시에 패킹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밀폐시키는 것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210)는 상부를 개구하고 저면 및 측면이 막혀 있되 측면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어댑터(220)를 구비하여 케이블의 단부를 어댑터(220)를 통해 내부공간(211)에 삽입하며, 삽입한 케이블들을 저면에 고정한 심선접속재(240)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10)는 상부를 개구하였으므로 개구된 상부를 통해서 케이블의 심선을 심선접속재(240)에 고정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210)는 상부 개구를 덮개(213)로 막아 내부공간을 밀폐하되, 상술한 패킹 어셈블리(100)의 변형된 패킹 어셈블리(100a)를 이용하여서 상부 개구면과 덮개(213) 사이의 틈새를 막는다.
이를 위해서,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 개구면에는 테두리를 따라가며 이어져서 상면도로 보면 폐곡선을 이루는 요홈(212)이 조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성된 요홈(212)에는 유동성의 실링재를 피복으로 감싼 실링튜브(110a)와 실링튜브(110a)를 향하는 면에 실링튜브(110a)의 피복을 파열시킬 크랙킹돌기(123a)를 구비한 부재(120a)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튜브(110a) 및 부재(120a)는 각각 상기 요홈(212)에 삽입할 수 있는 띠의 형상으로 갖추며, 적층된 상태로 상기 요홈(212)에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덮개(213)의 저면에는 요홈(212)의 위치 및 형상에 맞는 폐곡선을 이루며 돌출되는 돌기(214)를 구비하여서,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 개구를 막을 때에 돌기(214)로 부재(120)를 가압하게 한다.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홈(212) 내에 삽입된 실링튜브(110a)는 부재(120a)에 의해 가압되면서 크랙킹돌기(123)에 의해 파열되고, 이에 따라, 실링튜브(110a)에서 흘러나오는 실링재(111a)로 요홈(212)과 돌기(214) 사이의 틈새를 메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는, 4개의 케이블을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한 케이블커넥터로서, 케이스(210)의 상부를 개구하여 덮개(213)로 한 형태는 상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도 13 및 도 14에서 덮개(213)을 열은 상태의 상면도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케이스(210)의 형상은 원통형(도 12)이나 직육면체(도 13)만 예시하였나, 이는 케이블의 배선 방향 및 케이블커넥터의 설치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며, 커넥터(220)도 4개만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5개 이상의 커넥터(220)를 갖도록 케이스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커넥터는 각각 어댑터(220)에 케이블을 관통할 시에 패킹 어셈블리(100) 및 유니언너트(230)를 설치하는 방식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하며, 케이스(210)의 내부공간(211)에 심선접속재(240)를 구비한 점도 동일하다. 아울러, 케이스(210)의 상부 개구에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듯이 테두리를 따라가며 형성된 요홈(212)을 형성한 점도 동일하며, 다만, 요홈(212)은 케이스(210)의 형상에 맞게 형성하고, 형성한 요홈(212)에 삽입할 수 있는 띠의 형상으로 실링튜브(110a) 및 부재(120a)를 형성하면 된다.
한편, 상기 도 14를 살펴보면, 케이스(210)의 내부공간(212)에 케이블 고정부(250)를 추가 설치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케이블 고정부(150)는 케이스(210)의 내부공간(212)에 인입된 다수의 케이블들을 고정하여 케이블들을 정리하기 위함이며, 아울러, 케이블끼리 얽힘 및 요동침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케이블 11 : 심선 12 : 실드 피복
100 : 패킹 어셈블리
110 : 실링튜브 111 : 실링재 112 : 피복
120 : 부재 121 : 슬롯 122 : 락킹돌기
123 : 크랙킹돌기
200 : 케이블커넥터
210 : 케이스 211 : 내부공간 212 : 요홈
213 : 덮개 214 : 돌기 220 : 어댑터
221 : 수나사산 222 : 단턱 230 : 유니언너트
231 : 암나사산 232 : 내향플랜지 240 : 심선접속재

Claims (9)

  1. 물체들을 서로 연결할 시에 물체들 사이에 개재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 어셈블리에 있어서,
    유동성의 실링재를 피복으로 감싼 실링튜브;
    상기 실링튜브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두개의 물체를 연결할 시에 실링튜브에 적층되되, 실링튜브의 피복을 관통시킬 크랙킹돌기를 실링튜브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게 형성하여 실링재를 피복 밖으로 유출시키는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튜브는 오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재는 상기 실링튜브의 형상에 맞는 짧은 관의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실링튜브에 접촉되는 일측면에 대해 타측면으로 갈수록 외주면의 관경을 크게 하고, 타측면에 슬롯을 형성하여 탄성력을 받으며 오므리게 하며, 돌출 형성되는 락킹돌기를 타측 내주면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돌기 및 크랙킹돌기는, 각각 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가며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실링튜브에 접촉되는 면을 내향으로 경사진 사면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어셈블리.
  6. 케이블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내부공간을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하고, 외주면에 수나사를 조성한 중공의 어댑터를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케이스의 외주면에 구비하여 어댑터에 케이블의 단부를 삽입하게 하며, 케이블에 관통되는 유니언너트를 어댑터에 나사체결하여 케이블을 어댑터에 고정하는 케이블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단부 내주면을 둘레방향을 따라가며 절삭하여 단턱을 형성하고,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에 어느 한항으로 이루어지는 패킹 어셈블리를 상기 단턱에 끼우며,
    상기 유니언너트는, 상기 패킹 어셈블리를 가압할 내향 플랜지를 내주면에 갖추어서, 상기 유니언너트를 어댑터에 나사체결할 시에, 패킹 어셈블리의 실링튜브를 파열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어셈블리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단부에서 상기 단턱에 이르는 깊이는,
    상기 실링튜브 및 부재의 적층 두께보다 작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어셈블리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에 의해 형성된 상기 어댑터의 단부측의 내주면은,
    상기 어댑터의 단부를 향해 벌어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어셈블리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면을 개구하여 덮개로 막도록 형성하되,
    개구된 면에 테두리를 따라가며 이어지는 요홈을 구비하고, 유동성의 실링재를 피복으로 감싼 실링튜브 및 실링튜브를 향하는 면에 실링튜브의 피복을 파열시킬 크랙킹돌기를 구비한 부재를 서로 적층하여 상기 요홈에 삽입할 수 있도록 띠의 형태로 구비며,
    상기 덮개는, 요홈에 적층된 상태로 삽입된 실링튜브 및 부재를 가압할 돌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어셈블리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KR1020110116700A 2011-11-10 2011-11-10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KR101290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700A KR101290684B1 (ko) 2011-11-10 2011-11-10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700A KR101290684B1 (ko) 2011-11-10 2011-11-10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529A KR20130051529A (ko) 2013-05-21
KR101290684B1 true KR101290684B1 (ko) 2013-07-29

Family

ID=4866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700A KR101290684B1 (ko) 2011-11-10 2011-11-10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3773B (zh) * 2015-11-19 2018-01-26 中国石油天然气集团公司 用于三相分离器的防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22Y1 (ko) 2004-11-18 2005-03-09 홍성화 패킹의 가압수단이 개선된 배관의 이음쇠
JP2010078144A (ja) 2008-08-28 2010-04-08 Toyoda Gosei Co Ltd 配管の接続構造体
KR20100088260A (ko) * 2009-01-30 2010-08-09 시온종합무역(주) 케이블 연결용 박스커넥터
JP2011169448A (ja) 2010-02-22 2011-09-01 Kyocera Corp ガスケット、シーリング構造および無線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22Y1 (ko) 2004-11-18 2005-03-09 홍성화 패킹의 가압수단이 개선된 배관의 이음쇠
JP2010078144A (ja) 2008-08-28 2010-04-08 Toyoda Gosei Co Ltd 配管の接続構造体
KR20100088260A (ko) * 2009-01-30 2010-08-09 시온종합무역(주) 케이블 연결용 박스커넥터
JP2011169448A (ja) 2010-02-22 2011-09-01 Kyocera Corp ガスケット、シーリング構造および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529A (ko) 201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7367B2 (en) Sealed connector with an extended seal sleeve and an anti-water pooling retainer
US10211565B2 (en) Plastic sealing internal sheath for a conductor connection, connection part, cover nut and sealed connection between two conductors
US9653895B2 (en)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US7611379B2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cable end seals and related methods
US7625252B2 (en) Submersible electrical connector
US7927119B2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cable end seals with tear stop member and related methods
MXPA06012214A (es) Sello para conductores para receptaculos de iluminacion para albercas y tinas.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CN103851559A (zh) 防水灯具及其电缆线接头结构
JP2012089640A (ja) ケーブル挿通部の密閉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クロージャ
KR101290687B1 (ko) 케이블커넥터
KR101290684B1 (ko)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CA2761988C (en) Submersible electrical set-screw connector
EP2839546B1 (fr) Système de connexion monovoie rapide
KR100880450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20200065772A (ko) 케이블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 글랜드
US6818829B1 (en) Buried splice enclosure
KR102101717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 연결장치
KR100770167B1 (ko)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EP2424057B1 (en) An electrical conduit system and sealing device therefor
WO2013069833A1 (ko) 패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커넥터
KR101290689B1 (ko)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KR200474527Y1 (ko) 기밀성이 향상된 전선관 커넥터
KR200427877Y1 (ko)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JP6298187B1 (ja) 架空電線用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