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508A -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508A
KR20070009508A KR1020060132762A KR20060132762A KR20070009508A KR 20070009508 A KR20070009508 A KR 20070009508A KR 1020060132762 A KR1020060132762 A KR 1020060132762A KR 20060132762 A KR20060132762 A KR 20060132762A KR 20070009508 A KR20070009508 A KR 20070009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ipe
clamp
resin pipe
reinforc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판
성금화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테크 filed Critical (주)코리아테크
Priority to KR102006013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9508A/ko
Publication of KR20070009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 돌출된 보강리브와, 일단에는 다른 관이 결합할 수 있도록 직경이 넓은 확관형 슬리브구조가 일체로 구성된 합성수지관의 접속 시 접속면을 접합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면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각각 관부걸림턱과 확관부걸림턱이 돌출된 연결덮개가 한 쌍 구비되어 마주보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각 연결덮개의 일끝단부는 경첩으로 연결되며, 그 타끝단부는 서로 결합·고정 가능한 결합부가 각각 구비된 클램프가 형성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에 설치가 간단한 클램프를 구성한다.
그리고 외부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인 보강리브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고, 일단에는 다른 관이 결합할 수 있도록 직경이 넓은 확관형 슬리브구조가 일체로 구성된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의 접합 시, 합성수지관의 보강리브 사이로 링 형태의 패킹링을 삽입하고, 삽입할 합성수지관 일단의 확관형 슬리브구조 내부로 상기 패킹링이 삽입된 합성수지관을 끼움결합한 뒤, 클램프를 상기 합성수지관 외부의 보강리브와 확관형 슬리브구조 외부의 보강리브 사이로 각각 관부걸림턱과 확관부걸림턱이 동시에 삽입·고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수밀성과 결속력을 가지는 합성수지관 접합장치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웃하는 합성수지관과 확관형 슬리브구조를 동시에 연결·고정 가능한 한 쌍의 연결덮개에 경첩과 결합부를 일체로 형성한 클램프를 구성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가 쉬우며, 이웃하는 합성수지관끼리의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패킹링을 설치하여 합성수지관을 끼움접합하고, 클램프를 합성수지관의 접합부위에 설치·고정함으로써,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의 접합이 용이하고, 결속력과 수밀성이 더욱 향상된다.
합성수지관, 확관형 슬리브구조, 보강리브, 보조리브, 클램프, 패킹링

Description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 a clamp for pipe connecting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using the same }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개방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끼움접합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설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부분 절취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합성수지관 2: 확관형 슬리브구조
3: 보강리브 4: 보조리브
10: 클램프 11,11´: 연결덮개
12: 관부걸림턱 13: 확관부걸림턱
14: 단턱 15: 경첩
16: 결합부 17: 삽입부
18: 지지부 19: 결합볼트
19´: 결합너트 20: 메인패킹링
21: 수팽창 패킹링
본 발명은 외부로 돌출된 보강리브와, 일단에는 다른 관이 결합할 수 있도록 직경이 넓은 확관형 슬리브구조가 일체로 구성된 합성수지관의 접속 시 접속면을 접합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는 배관이 설치되어 수도용, 가스용, 하수용, 전선용 등으로 사용되는데, 상기 배관은 토압, 수압 등의 각종 압력에도 견딜 수 있는 견고성을 가지도록 금속 또는 콘크리트로 제조하여 왔지만, 최근에는 내부식성이 강하고, 가공 및 시공이 용이한 합성수지관이 다양하게 제조되어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이동 및 보관이 편하도록 일정단위의 길이로 절단하여 생산하게 되며, 시공현장에서는 이러한 단위길이의 합성수지관을 상호 접합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합성수지관의 접합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통상 다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플랜지식, KP식, 편수관 등을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접합이 있지만, 다수개의 부속으로 구성되어 보관·관리 및 운반이 어렵고, 장시간의 체결시간이 소요되며, 체결 시 전체 면에서 균일한 힘으로 체결시킬 수 없고, 연결구의 결합부분이 쉽게 깨지며, 연결구의 후 가공 부위가 약화하여 누수의 원인이 되고, 고무패킹은 연결구가 두꺼운 경우 파이프의 삽입이 곤란하거나 얇은 구조가 누수의 원인이 되었고, 기존의 누름구는 고무링을 온전하게 누르지 못하거나, 누를 경우 캡의 결합에 장애를 가져오며, 연결구의 후 가공 부위에서 편차가 발생하여 누수의 원인이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합성수지관의 접합부위를 한바퀴 감아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으로 합성수지관과 일체형으로 간단하게 접합하는 열수축시트를 이용한 접합방법이 있지만, 외력이 작용하면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고, 합성수지관을 용융시킨 후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E/F시트 접합방법은 연결성능이 좋지만, 새벽에 안개가 발생하거나 비가 오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합성수지관 외부에 물이 묻는 경우 작업이 불가능하고, 작업 시 융착기가 필요하며,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켓의 양측 또는 일측으로 합성수지관을 삽입한 후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용융되면서 접합하도록 하는 소켓방식은 소켓과 합성수지관의 구경이 일치하지 않고, 많은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 의 발생으로 연결 안전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기존에는 합성수지관의 지하매설 시 공간을 넓게 판 후 인력을 투입하여 합성수지관을 조립하였지만, 최근에는 합성수지관의 지하매설 시 좁은 공간만을 파기 때문에, 지하에서 합성수지관의 조립작업에 힘이 들고, 부실시공의 가능성이 컸다.
또한, 최근 합성수지관의 강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수지관 외주면으로 다수개의 보강리브를 일체로 구비한 합성수지관이 다수건 출원되었지만, 이를 접합하기 위한 적합한 장치가 발명되지 못하여, 토압에 의한 지반 부등침하 및 내수압 등의 압력에 의해 합성수지관의 접합부가 유동 및 이탈하여 누수 및 파손의 원인이 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로 다수개의 보강리브가 형성된 합성수지관의 접합 시 접합부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클램프를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클램프와 패킹링을 이용하여 높은 결속력과 수밀성을 가지는 합성수지관 접합장치를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 돌출된 보강리브와, 일단에는 다른 관이 결합할 수 있도록 직경이 넓은 확관형 슬리브구조가 일체로 구성된 합성수지관의 접속 시 접속면을 접합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면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각각 관부걸림턱과 확관부걸림턱이 돌출된 연결덮개가 한 쌍 구비되어 마주보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각 연결덮개의 일끝단부는 경첩으로 연결되며, 그 타끝단부는 서로 결합·고정 가능한 결합부가 각각 구비된 클램프가 형성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에 설치가 간단한 클램프를 구성한다.
그리고 외부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인 보강리브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고, 일단에는 다른 관이 결합할 수 있도록 직경이 넓은 확관형 슬리브구조가 일체로 구성된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의 접합 시, 합성수지관의 보강리브 사이로 링 형태의 패킹링을 삽입하고, 삽입할 합성수지관 일단의 확관형 슬리브구조 내부로 상기 패킹링이 삽입된 합성수지관을 끼움결합한 뒤, 클램프를 상기 합성수지관 외부의 보강리브와 확관형 슬리브구조 외부의 보강리브 사이로 각각 관부걸림턱과 확관부걸림턱이 동시에 삽입·고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수밀성과 결속력을 가지는 합성수지관 접합장치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를 각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10)는 반원형을 가지는 한 쌍의 연결덮개(11)(11´)가 구비되고, 각 일끝단부는 경첩(15)으로 연결되어, 원형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각 연결덮개(11)(11´)는 일측면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관부걸림턱(12)이 형성되고, 타측면으로는 상기 관부걸림턱(12)과 평행하게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확관부걸림턱(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부걸림턱(12)은 확관부걸림턱(13)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이는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3)를 구비한 합성수지관(1)의 접합을 위해 상기 클램프(10)를 설치 시 확관형 슬리브구조(2)가 합성수지관(1)보다 더 높은 위치를 가지기 때문에, 합성수지관(1)과 확관형 슬리브구조(2)에 형성된 각 보강리브(3)에 밀착·삽입하기 위해 길이 차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덮개(11)(11´)의 연결되지 않은 각 끝단부로는 서로 결합·고정이 가능한 결합부(16)가 형성되어, 합성수지관(1)에 클램프(10)를 설치한 후 결합부(16)로 고정하는데, 상기 결합부(16)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연결덮개(11)의 끝단부로는 외측으로 개방된 ‘ㄷ’형태를 가지는 삽입부(17)로 형성되고, 다른 연결덮개(11´)의 끝단부로는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부(18)가 한 쌍 형성되어, 상기 각 지지부(18) 사이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부(18)와 연결된 결합볼트(19)가 형성됨으로써, 클램프(10)의 설치 시 상기 결합볼트(19)를 회전시켜 삽입부(17) 내로 삽입한 후 결합너트(19´)를 결합볼트(19)에 결합해 각 연결덮개(11)(11´)가 서로 벌어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덮개(11)(11´) 내측으로는 관부걸림턱(12)과 확관부걸림턱(13) 사이로 단턱(14)이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합성수지관(1)에 클램프(10)를 연결 시 각 단턱(14)에 보강리브(3) 사이로 형성되는 보조리브(4)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리브(4)가 연결덮개(11)(11´)에 눌려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클램프(10)를 이용한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장치를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합성수지관 접합장치는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3)를 구비한 합성수지관(1)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3)를 구비한 합성수지관(1)은 원형상의 관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다른 합성수지관(1)을 접합할 수 있도록 직경이 넓은 확관형 슬리브구조(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는 원주방 향을 따라 다수개의 보강리브(3)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3) 사이로는 다수개의 보조리브(4)가 형성되어 합성수지관(1)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관(1)의 접합은 이탈을 방지하는 클램프(10)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메인패킹링(20)과 수팽창 패킹링(21)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데, 먼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1)의 보강리브(3) 사이로는 링 형태의 메인패킹링(20)을 삽입하고, 상기 메인패킹링(20) 상부에 물과 접촉하면 부피가 늘어나는 링 형태의 수팽창 패킹링(21)을 순차로 삽입한 후, 삽입할 합성수지관(1) 일단의 확관형 슬리브구조(2) 내부로 상기 메인패킹링(20)과 수팽창 패킹링(21)이 삽입된 합성수지관(1)을 일정길이 끼움접합하여, 합성수지관(1) 접합부위의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합성수지관(1) 접합부위의 외부로 돌출된 보강리브(3) 사이로 관부걸림턱(12)이 삽입·고정되고, 확관형 슬리브구조(2) 외부로 돌출된 보강리브(3) 사이로 확관부걸림턱(13)이 삽입·고정되도록 클램프(10)를 위치시킨 후 결합부(16)로 클램프(10)를 결합·고정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합성수지관(1)을 접합함으로써, 합성수지관(1)이 토압 또는 수압 등의 압력에 의한 이탈을 방지한다.
이렇게 도6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클램프(10)와 메인패킹링(20) 및 수팽창 패킹링(21)로 구성된 접합장치를 통해 합성수지관(1)을 접합함으로써, 패킹링(20)(21)에 의해 합성수지관(1)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클램프(10)로 이웃하는 합성수지관(1)을 동시에 연결·고정시켜, 지반의 부등침하 및 관 내의 압력 등에 의하여 연결된 각 합성수지관(1)끼리의 이탈 및 빠짐 현상을 방지하여, 합성수지관(1)의 안정성을 더욱 증대하며, 지상에서 결합 후 지하에 바로 삽입·시공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웃하는 합성수지관과 확관형 슬리브구조를 동시에 연결·고정 가능한 한 쌍의 연결덮개에 경첩과 결합부를 일체로 형성한 클램프를 구성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가 쉬우며, 이웃하는 합성수지관끼리의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패킹링을 설치하여 합성수지관을 끼움접합하고, 클램프를 합성수지관의 접합부위에 설치·고정함으로써,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의 접합이 용이하고, 결속력과 수밀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반원형을 가지고, 일측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관부걸림턱(12)이 형성되며, 타측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확관부걸림턱(13)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덮개(11)(11´)가 마주보도록 연결된 클램프(10)를 구성함으로써,
    외부로 보강리브(3)가 구비된 합성수지관(1)의 접합 시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덮개(11)(11´)는,
    일끝단부가 경첩(15)으로 연결되고;
    타끝단부가 서로 결합·고정 가능한 결합부(16)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클램프(10)의 보관 및 운반이 쉽고, 합성수지관(1)에 설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6)는,
    일끝단부는 외부로 개방된 ‘ㄷ’형태의 삽입부(17)로 형성되고;
    타끝단부는 양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18)와, 상기 지지부(18) 사이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결합볼트(19)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볼트(19)를 회전시켜 삽입부(18) 내로 삽입 후 결합너트(19´)로 결합해 고정함으로써,
    클램프(1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덮개(11)(11´) 내측으로는,
    합성수지관(1) 표면의 보조리브(4)가 삽입되는 단턱(14)이 형성됨으로써,
    합성수지관(1)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
  5. 원형의 관 형태를 가지고, 외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인 보강리브(3)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며, 일단에는 다른 관이 결합할 수 있도록 직경이 넓은 확관형 슬리브구조(2)가 일체로 구성된 합성수지관(1)의 접합에 있어서,
    합성수지관(1)의 보강리브(3) 사이로 링 형태의 메인패킹링(20)을 삽입하고, 이의 상부에 물과 접촉하면 부피가 늘어나는 링 형태의 수팽창 패킹링(21)을 순차로 삽입하고;
    삽입할 합성수지관(1) 일단의 확관형 슬리브구조(2) 내부로 상기 메인패킹링(20)과 수팽창 패킹링(21)이 삽입된 합성수지관(1)을 끼움결합한 후;
    합성수지관(1) 외부로 돌출된 각 보강리브(3) 사이로 관부걸림턱(12)이 삽입·고정되고, 확관형 슬리브구조(2) 외부로 돌출된 각 보강리브(3) 사이로 확관부걸림턱(13)이 삽입·고정되도록 클램프(10)를 위치시킨 후 결합부(16)로 결합·고정함으로써,
    높은 수밀성과 결속력을 가지도록 합성수지관(1)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장치.
KR1020060132762A 2006-12-22 2006-12-22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KR20070009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762A KR20070009508A (ko) 2006-12-22 2006-12-22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762A KR20070009508A (ko) 2006-12-22 2006-12-22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508A true KR20070009508A (ko) 2007-01-18

Family

ID=3801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762A KR20070009508A (ko) 2006-12-22 2006-12-22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95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823B1 (ko) * 2012-12-21 2015-01-13 이치명 복수의 내경을 갖는 이경 클램프
KR101664309B1 (ko) * 2015-05-01 2016-10-11 주식회사 세전더블유엠에스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102613738B1 (ko) * 2023-09-04 2023-12-14 주식회사 아지즈 연도 연결용 체결 밴드
KR102621849B1 (ko) * 2023-09-05 2024-01-05 주식회사 아지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일러 연장 연도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미사용 연도 연결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823B1 (ko) * 2012-12-21 2015-01-13 이치명 복수의 내경을 갖는 이경 클램프
KR101664309B1 (ko) * 2015-05-01 2016-10-11 주식회사 세전더블유엠에스 폴리에틸렌 파이프 열융착용 파이프 클램핑 장치
KR102613738B1 (ko) * 2023-09-04 2023-12-14 주식회사 아지즈 연도 연결용 체결 밴드
KR102621849B1 (ko) * 2023-09-05 2024-01-05 주식회사 아지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일러 연장 연도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미사용 연도 연결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6904B2 (ja) プラスチックパイプ接合構造体
IE62593B1 (en) Secondary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KR20070009508A (ko)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KR200484396Y1 (ko) 파형관 연결장치
KR100966786B1 (ko) 소켓 관과 클램프를 이용한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1311589B1 (ko) 현장 설치용 추가관로 형성 및 연결장치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KR20100071161A (ko) 이중벽관용 일체형 소켓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200395103Y1 (ko) 편수관용 수밀 연결구조
JP2013167140A (ja) 管体のスラブ埋設部構造
KR10108870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200434270Y1 (ko) 관 연결구
KR100779987B1 (ko) 본관과 지관의 연결을 위한 관 연결구
KR20090035979A (ko) 관이음용 조인트
KR200333419Y1 (ko)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
KR200380676Y1 (ko) 가스관 연결장치
KR100651210B1 (ko) 가스관 연결장치
KR20110042744A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