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270Y1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270Y1
KR200434270Y1 KR2020060025618U KR20060025618U KR200434270Y1 KR 200434270 Y1 KR200434270 Y1 KR 200434270Y1 KR 2020060025618 U KR2020060025618 U KR 2020060025618U KR 20060025618 U KR20060025618 U KR 20060025618U KR 200434270 Y1 KR200434270 Y1 KR 200434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receiving groove
assembled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규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to KR2020060025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2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 연결구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삽입부(P1)와 확장부(P2)를 통하여 조립되는 관(P)의 연결부분을 수용하도록 중앙부에 수용홈(12)과 양단에 클램프부(14)가 형성되는 동체(10)를 2등분 이상으로 분할 제작하고, 서로 대응하는 접합부에 체결구(B)로 결속되는 고정판(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관을 조립시공함에 있어 공기 단축과 함께 부등침하가 발생하여도 연결부위의 체결성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특히 현장시공중에 삽입부와 확장부가 정확한 깊이까지 삽입되지 않더라도 기밀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관, 삽입부, 확장부

Description

관 연결구{Pipe connec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가 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가 관에 설치된 상태로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동체 12: 수용홈 14: 클램프부
16: 고정판 16a: 체결공
본 고안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부와 확장부를 통하여 조립시공되는 관 연결부분의 결속력 및 기밀성을 보강하기 위한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관은 제조공장에서 규격화된 사이즈로 대량생산되고, 현장으로 운반되어 조립 시공되는바, 이때 관은 시공현장에서 다단으로 조립함에 따른 작업성 및 연결부분의 기밀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양끝단에 삽입부와 확장부가 형성된다.
이때, 관의 삽입부와 확장부는 단순히 끼워 맞춤방식으로 조립되어 다단으로 길게 시공됨에 따라 기초지반이 붕괴시 관의 연결부분 결속력이 저하되어 삽입부와 확장부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거나 부등침하가 심할 경우에는 관이 서로 이탈된다. 따라서 관을 시공하기에 앞서 콘크리트 기초공사를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하므로 공기가 상당히 지연됨은 물론 공사비상승을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관을 현장에서 조립시공하는 중에 연결부분 즉, 삽입부와 확장부의 조립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하기 어려워 작업자가 삽입부와 확장부를 정확하게 조립하지 않는 상태로 시공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발생되고, 이는 관 연결부분의 기밀성 저하로 직결되어 추후 누수발생의 주된 원인이 따랐다.
또한, 관은 재질이나 사용용도 등에 따라 직경은 물론 전장사이즈가 여러 종류로 형성되는바, 이때 다른 관종에 비해 짧은 길이로 제작되는 관(예컨대, 유황 폴리머관 등)은 시공시 접합 개소가 많이 존재하므로 작업성이 크게 떨어짐은 물론 그만큼 누수 될 확률이 높으므로 관을 시공시 조립부분의 결속력은 물론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결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을 조립시공함에 있어 공기 단축과 함께 부등침하가 발생하여도 연결부분의 체결성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특히 현장시공중에 삽입부와 확장부가 정확한 깊이까지 삽입되지 않더라도 기밀성이 확보되는 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삽입부(P1)와 확장부(P2)를 통하여 조립되는 관(P)의 연결부분을 수용하도록 중앙부에 수용홈(12)과 양단에 클램프부(14)가 형성되는 동체(10)를 2등분 이상으로 분할 제작하고, 서로 대응하는 접합부에 체결구(B)로 결속되는 고정판(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가 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가 관에 설치된 상태로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삽입부와 확장부를 통하여 조립되는 관 연결부분의 결속력 및 기밀성을 보강하기 위한 관 연결구에 관련되며, 이때 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동체(10)는 수용홈(12)과 클램프부(1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동체(10)는 삽입부(P1)와 확장부(P2)를 통하여 서로 맞대어 조립되는 관(P)의 연결부분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수용홈(12)과 양단에 클램프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동체(10)를 구성하는 수용홈(12)와 클램프부(14)는 관(P)의 연결부분 즉, 삽입부(P1)와 확장부(P2)의 외형을 고려하여 중앙부에 확장부(P2)를 긴밀하게 수용하도록 수용홈(12)이 형성되면서 수용홈(12)의 양단에 클램프부(14)가 일 체로 연장된다. 여기서 수용홈(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P2)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2)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클램프부(14)는 관(P) 외경에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관(P)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예컨대, 원형)으로 형성되고, 관(P) 외경에 각각 체결되어 삽입부(P1)와 확장부(P2)를 통하여 조립되는 관(P)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속한다. 즉, 일단에 클램프부(14)는 수용부(P1)와 인접하는 관(P) 외경에 체결되고, 다른 일단에 클램프부(14)는 확장부(P2)와 인접하는 관(P) 외경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12)과 클램프부(14)로 구성되는 동체(10)는 2등분 이상으로 분할제작되고, 관(P)의 연결부분에 조립시 서로 대응하는 접합부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B)에 의해 결속되는 고정판(16)이 형성된다. 고정판(16)은 동체(10)상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고, 다수의 체결공(16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에 분할된 동체(10)를 관(P)의 연결부분에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하고, 고정판(16)상에 체결공(16a)을 통하여 볼트 체결하면 동체(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동체(10)가 수용홈(12)과 클램프부(14)를 통하여 관(P)의 연결부분에 체결된 상태로 삽입부(P1)와 확장부(P2)의 연결부분에 기밀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동체(10) 내면에 고무와 같은 기밀부재(도시생략)가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동체(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2등분으로 분할 제작되어 관(P)의 연결부분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관(P)의 지름에 따 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2등분 이상으로 분할 제작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설치상에 있어서, 우선 기초공사가 완료된 관 매립위치에 관(P)의 삽입부(P1)와 확장부(P2)를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이어서 동체(10)를 관(P) 연결부분에 조립하되, 수용홈(12)이 확장부(P2)를 감싸듯이 수용하면서 클램프부(14)가 관(P) 외경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서로 대향하는 고정판(20)을 볼트 체결하면 관 연결구의 결속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관 연결구는 관(P)을 시공하는 공사현장에서뿐만 아니라, 관(P)을 제작하여 공장에서 출하하기 이전에 다른 관종보다 짧게 형성되는 2개 이상의 관(P)을 1조로 하여 미리 체결함은 물론 확장부(P2)상에 분할된 동체(10)를 한쪽만 미리부착한 상태로 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함에 따라 현장시공시 체결해야 하는 관(P)의 접합 개소가 줄어 공기가 단축됨은 물론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관을 조립시공함에 있어 공기 단축과 함께 부등침하가 발생하여도 연결부분의 체결성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특히 현장시공중에 삽입부와 확장부가 정확한 깊이까지 삽입되지 않더라도 기밀성이 확보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삽입부(P1)와 확장부(P2)를 통하여 조립되는 관(P)의 연결부분을 수용하도록 중앙부에 수용홈(12)과 양단에 클램프부(14)가 형성되는 동체(10)를 2등분 이상으로 분할 제작하고, 서로 대응하는 접합부에 체결구(B)로 결속되는 고정판(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2020060025618U 2006-09-22 2006-09-22 관 연결구 KR200434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618U KR200434270Y1 (ko) 2006-09-22 2006-09-22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618U KR200434270Y1 (ko) 2006-09-22 2006-09-22 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270Y1 true KR200434270Y1 (ko) 2006-12-18

Family

ID=4178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618U KR200434270Y1 (ko) 2006-09-22 2006-09-22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2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881B1 (ko) 2010-09-08 2010-12-09 부덕실업 주식회사 상수도용 스테인레스 강관
KR102272416B1 (ko) * 2020-11-11 2021-07-02 권태웅 파이프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881B1 (ko) 2010-09-08 2010-12-09 부덕실업 주식회사 상수도용 스테인레스 강관
KR102272416B1 (ko) * 2020-11-11 2021-07-02 권태웅 파이프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339B2 (en)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method
JP6142427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CN102575504B (zh) 垂直连接器
WO2015170407A1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EP2372210A2 (en) Coupling element
US9651181B2 (en) Hydraulic hose guide
US8360684B2 (en) Method for linking segments and linking tool
KR100981919B1 (ko) 수밀성이 향상된 일체형 파형강관
KR200434270Y1 (ko) 관 연결구
KR20140065793A (ko) 진공배관용 주름관 및 이와 파이프의 결합구조체
JP2010203580A (ja) 管継手構造
KR100931920B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80002543U (ko) 분해 결합이 용이한 합성수지 플랜지관
KR20100089377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연결구조 및 시공방법
JP2007239366A (ja) セグメントリングの補強構造
KR20070009508A (ko)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KR100779987B1 (ko) 본관과 지관의 연결을 위한 관 연결구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79984B1 (ko) 관 연결구
CN110307415B (zh) 套管组件和盾构机
CN116888345A (zh) 管修复施工方法
KR100704248B1 (ko) 내진형 관 연결구
JP2018003294A (ja) 杭状物の連結継手及び杭状物の連結体
KR200179201Y1 (ko) 개거 수로관용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