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759B1 -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759B1
KR101294759B1 KR1020120052698A KR20120052698A KR101294759B1 KR 101294759 B1 KR101294759 B1 KR 101294759B1 KR 1020120052698 A KR1020120052698 A KR 1020120052698A KR 20120052698 A KR20120052698 A KR 20120052698A KR 101294759 B1 KR101294759 B1 KR 101294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piral
rubber sheet
adhesi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희
Original Assignee
한미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관의 양 측단을 맞닿게 접속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나선관의 양단부에 그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일체화 되게 형성한 연결접속단부와 반원형상의 상하부 조립체 및 가류되지 않는 접착성 고무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조립구조를 갖게 하여 견고하고 긴밀한 수밀 체결력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관 내부의 유체(流體)가 연결 접속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반대로 연결 접속부를 통해 관 내부로 지하수(地下水) 및 우수(雨水)가 유입되지 않게 함은 물론, 접속된 연결접속단부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압력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강한 체결력이 유지되게 하고, 설치 현장에서 이를 쉽게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pipe}
본 발명은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하수관이나 배수관 등과 같이 각종 유체 이송관으로 설치 사용되는 나선관들을 일렬로 연결 조립되는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되게 하면서 그 조립부위의 긴밀한 수밀성이 보장되게 한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관체의 연결 접속구조는, 그 관체의 형상과 재질 및 용도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연결 접속구, 플랜지, 반원형 접합구 등을 사용하여 접속 연결하였으며, 반원형 접속구를 이용한 접속구조는 비교적 그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확실하고 견고한 체결력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가장 많이 선호하고 있다.
일정한 길이로 제작된 합성수지제 관체를 수밀성이 유지되게 연결 접속함에 있어서는 각 관체들의 연접 단면을 서로 맞대어 체결함으로서 조립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기는 하나, 이 방법은 설치현장에서 직접 체결하는 작업 그 자체에 상당한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수반되는 것이었으며, 그 접속상태가 긴밀히 유지되지 못하여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높은 내압에 견디지 못하고 연접된 접속부위가 벌어지면서 발생되는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치명적 결함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 나선 파형관은 그 접속부위가 가장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2009-0008779호(2009년01월22일자 공개)의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성형된 나선 파형관의 양 측단에 합성수지제 연결 접속구를 일체화되게 성형 결합하여 나선 파형관과 연결 접속구가 서로 일체화되게 하고, 개선된 구조의 반원형 상하 조립판과 연결 접속구간의 견고한 물림결속에 의해 대향 접속된 연결 접속구가 분리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동시에 고무 튜브의 탄성을 이용한 접속부의 수밀력이 장기간 유지 보장될 수 있게 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나선 파형관 접속부 밀봉구조를 실제 제작하여 그 밀봉상태를 여러 번 실험하여 측정해 본 결과, 가류되지 않는 접착성 고무시트 만으로는 수밀이 안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 반원형 상하 조립판의 양단이 힘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접속된 연결접속단부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압력에 의해 쉽게 벌어질 수밖에 없어 상당한 간격이 벌어질 수밖에 없어 긴밀하고 견고한 체결력을 기대하기 어려웠으며, 이는 밀봉기능이 전혀 발휘되지 못하는 치명적인 시행착오를 겪게 되었고, 결국 실용화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완벽한 밀봉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나선 파형관의 접속단부에 연결 접속구를 결합시킴에 있어 긴밀하고 완벽한 밀봉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해결 과제인 것이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2009-0008779호,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해결 과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연결접속단부와 반원형상의 상하부 조립체 및 가류되지 않는 접착성 고무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조립구조를 갖게 하여 견고하고 긴밀한 수밀 체결력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관 내부의 유체(流體)가 연결 접속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반대로 연결 접속부를 통해 관 내부로 지하수(地下水) 및 우수(雨水)가 유입되지 않게 함은 물론, 접속된 연결접속단부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압력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강한 체결력이 유지되게 하고, 설치 현장에서 이를 쉽게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선관(1)의 양단부에 그 나선관(1)의 외경 보다는 큰 외경을 갖도록 연결접속단부(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접속단부(2)의 외부를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1고무시트(3)로 돌려 감은 후, 반원형상의 상하부 결합체(4a,4b)를 가압 체결하여 나선관(1)들을 연결 접속하는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접속단부(2)의 외주면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요입홈(5)을 1개 이상 형성하여 그 요입홈(5)에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2고무시트(6)를 삽입하되, 상기 요입홈(5)의 안쪽면에는 삽입홈(5a)들을 형성하여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2고무시트(6)가 삽입홈(5a)들로 채워지게 한 후, 그 위에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1고무시트(3)를 돌려 감아서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접속단부(2)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용 돌출턱(7)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용 돌출턱(7)에 결합될 수 있는 이탈방지용 끼움턱(8)을 상기 상하부 결합체(4a,4b)의 양단부에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용 돌출턱(7)과 끼움턱(8)을 서로 결합하여 연결 접속되는 연결접속단부(2)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벌어짐 방지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 결합체(4a,4b)가 맞물리는 양측부에는 합성수지판 혹은 철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조판(9)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판(9)이 가류되지 않는 접착성 제1고무시트(3)의 외부를 덮게 하여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결접속단부에 형성된 요입홈의 안쪽면에 삽입홈들을 형성하여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고무시트가 삽입홈들에 채워지게 함으로서 관 내부의 유체(流體)가 연결 접속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반대로 연결 접속부를 통해 관 내부로 지하수(地下水) 및 우수(雨水)가 유입되지 않게 하여 견고하고 긴밀한 수밀 체결력이 유지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결합체와 연결접속단부에 이탈방지용 끼움턱과 돌출턱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턱과 돌출턱의 결합으로 인해 접속된 연결접속단부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압력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강한 체결력이 유지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에 적용되는 나선관의 양단 일부분을 단면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요입홈(5)에 채워지는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2고무시트(6)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에 적용되는 나선관의 연결 접속단부에 대한 실시예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를 분리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나선관(1)의 양 측단을 맞닿게 접속하여 그 접속 외주면을 대향하는 반원형상의 상하부 결합체(4a,4b)로 가압 체결하여 연결 조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 조립을 위해, 본 발명은 나선관(1)의 양 측단 외면에 상기 나선관(1)의 외경 보다는 큰 외경을 갖는 연결접속단부(2)를 일체화 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접속단부(2)에는 반원형상의 상하부 결합체(4a,4b)를 가압 체결하여 나선관(1)들을 연결 접속한다. 즉, 상기 나선관(1)의 양단부에 그 나선관(1)의 외경 보다는 큰 외경을 갖도록 연결접속단부(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접속단부(2)의 외부를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1고무시트(3)로 돌려 감은 후, 반원형상의 상하부 결합체(4a,4b)를 가압 체결하여 나선관(1)들을 연결 접속한다.
이때, 상기 상하부 결합체(4a,4b)에는 이탈방지용 끼움턱(8)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용 끼움턱(8)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접속단부(2)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용 돌출턱(7)을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용 돌출턱(7)과 끼움턱(8)이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상하부 결합체(4a,4b)로서 나선부(1)의 양 측단을 맞닿게 접속할 때, 벌어짐을 방지하면서 나선관(1)들을 연결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부 결합체(4a,4b)에 형성된 이탈방지용 끼움턱(8)에 의해 그 강도를 보강하게 되므로, 상기 상하부 결합체(4a,4b)의 이탈방지용 끼움턱(8)이 연결접속단부(2)에 형성된 이탈방지용 돌출턱(7)에 결합되어 연결접속단부(2)의 벌어짐을 방지하면서 나선관(1)들을 연결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 결합체(4a,4b)가 맞물리는 양측부에는 보조판(9)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판(9)이 가류되지 않는 접착성 제1고무시트(3)의 외부에 덮어지게 하여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게 한다.
이때, 상기 보조판(9)은 합성수지판 혹은 철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a)는 반원형상의 상하부 결합체(4a,4b)를 가압 체결하기 위한 볼트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 부호 (10b)는 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연결접속단부(2)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를 갖는 요입홈(5)을 1개 이상 형성하여 그 요입홈(5)에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2고무시트(6)를 삽입하되, 상기 요입홈(5)의 안쪽면에는 삽입홈(5a)들을 형성하여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2고무시트(6)가 상기 삽입홈(5a)들에 채워지게 하여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게 한다. 즉, 상기 요입홈(5)에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2고무시트(6)를 5mm 정도 끊어서 삽입홈(5a)에 막는다.
이때, 상기 요입홈(5)은 도 1표시와 같이 작은 크기로 3개를 형성하고나 혹은 4개, 5개를 형성할 수 있고, 도 4표시와 같이 상기 요입홈(5)을 크게 하나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요입홈(5)의 안쪽면에는 삽입홈(5a)들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5a)들은 凹凸로 형성하여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2고무시트(6)가 채워지게 하고, 그 위에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1고무시트(3)를 돌려 감아줌으로 해서 긴밀한 수밀성을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의 상하부 결합체(4a,4b)의 양단부에 이탈방지용 끼움턱(8)을 형성하여 보강함과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용 끼움턱(8)에 결합되는 이탈방지용 돌출턱(7)을 나선관(1)의 연결접속단부(2)에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용 끼움턱(8)과 돌출턱(7)을 결합함에 의해 벌어지지 않게 연결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용 끼움턱(8)과 돌출턱(7)의 결합으로 연결접속단부(2)의 결합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면서 관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압력과 외부 기온 변화에 의한 신축현상, 불규칙하게 작용하게 되는 토압 등에 충분히 대응하게 되면서 연결 접속된 나선관들의 벌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접속단부(2)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를 갖게 형성되어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2고무시트(6)가 삽입되는 요입홈(5)의 안쪽면에 삽입홈(5a)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2고무시트(6)가 상기 삽입홈(5a)들로 채워져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 결합체(4a,4b)가 맞물리는 양측부에는 합성수지판이나 철판으로 된 보조판(9)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판(9)이 가류되지 않는 접착성 제1고무시트(3)의 외부를 덮어 눌러줌으로서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게 한다.
1 - 나선관 2 - 연결접속단부
3 - 제1고무시트 4a,4b - 상하부 결합체
5 - 요입홈 5a - 삽입홈
6 - 제2고무시트 7 - 이탈방지용 돌출턱
8 - 이탈방지용 끼움턱 9 - 보조판

Claims (2)

  1. 나선관(1)의 양단부에 그 나선관(1)의 외경 보다는 큰 외경을 갖도록 연결접속단부(2)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접속단부(2)의 외주면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요입홈(5)을 1개 이상 형성하여 그 요입홈(5)에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2고무시트(6)를 삽입하고 그 위에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1고무시트(3)로 돌려 감은 후, 반원형상의 상하부 결합체(4a,4b)를 가압 체결하여 나선관(1)들을 연결 접속하는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5)의 안쪽면에는 삽입홈(5a)들을 형성하여 상기 요입홈(5)에 삽입되는 가류되지 않은 접착성 제2고무시트(6)가 삽입홈(5a)들에 채워지게 하여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게 한 수밀 유지구조를 갖게 하고,
    상기 연결접속단부(2)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용 돌출턱(7)을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용 돌출턱(7)에 결합될 수 있는 이탈방지용 끼움턱(8)을 상기 상하부 결합체(4a,4b)의 양단부에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용 돌출턱(7)과 끼움턱(8)을 서로 결합하여 연결 접속되는 연결접속단부(2)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벌어짐 방지구조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결합체(4a,4b)가 맞물리는 양측부에는 합성수지판 혹은 철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조판(9)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판(9)이 가류되지 않는 접착성 제1고무시트(3)의 외부를 덮게 하여 긴밀한 수밀이 유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1020120052698A 2012-05-17 2012-05-17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10129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98A KR101294759B1 (ko) 2012-05-17 2012-05-17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98A KR101294759B1 (ko) 2012-05-17 2012-05-17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759B1 true KR101294759B1 (ko) 2013-08-09

Family

ID=4922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698A KR101294759B1 (ko) 2012-05-17 2012-05-17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7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3507A1 (zh) * 2016-02-23 2017-08-31 第一防蚀管业有限公司 快速管扣结构
KR102202156B1 (ko) 2019-10-18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91A (ko) * 2004-03-26 2005-09-29 김수근 관 이음 장치
KR20070017386A (ko) * 2004-05-25 2007-02-09 브리즈-토르카 프로덕츠 엘엘씨 밀봉 슬리브를 가진 리브붙이 파이프 클램프
KR20090008779A (ko) * 2007-07-19 2009-01-22 김봉희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JP2010527430A (ja) 2007-05-15 2010-08-12 ヴィ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可動の把持体を備えた管継ぎ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91A (ko) * 2004-03-26 2005-09-29 김수근 관 이음 장치
KR20070017386A (ko) * 2004-05-25 2007-02-09 브리즈-토르카 프로덕츠 엘엘씨 밀봉 슬리브를 가진 리브붙이 파이프 클램프
JP2010527430A (ja) 2007-05-15 2010-08-12 ヴィ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可動の把持体を備えた管継ぎ手
KR20090008779A (ko) * 2007-07-19 2009-01-22 김봉희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3507A1 (zh) * 2016-02-23 2017-08-31 第一防蚀管业有限公司 快速管扣结构
KR102202156B1 (ko) 2019-10-18 2021-01-14 일우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IE62593B1 (en) Secondary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CN1549902A (zh) 具有法兰端部的波纹塑料管及其结构密封的接头
KR20090000053U (ko) 연결단부를 개량한 나선형 주름관
KR100920808B1 (ko) 실링 및 그 실링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소켓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JP4390123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20180132318A (ko) 파이프 구조체
KR20090008779A (ko)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102384492B1 (ko)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KR20080002543U (ko) 분해 결합이 용이한 합성수지 플랜지관
KR20060080657A (ko) 연결 소켓의 팽창, 수축을 이용한 접속부 수밀구조를 가진나선 파형관
KR20070009508A (ko)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KR100937943B1 (ko)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20080107598A (ko) 나선 파형관의 접속부 수밀구조
KR100903088B1 (ko) 피씨 암거 연결 시공방법
KR100786669B1 (ko)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KR20150076956A (ko) 부식이 방지되는 매립용 파이프 및 이음쇠
KR100627322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200070166A (ko)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방법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