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419Y1 -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419Y1
KR200333419Y1 KR20-2003-0025905U KR20030025905U KR200333419Y1 KR 200333419 Y1 KR200333419 Y1 KR 200333419Y1 KR 20030025905 U KR20030025905 U KR 20030025905U KR 200333419 Y1 KR200333419 Y1 KR 200333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eakage
fluid reservoir
pack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아
윤정효
Original Assignee
임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아 filed Critical 임정아
Priority to KR20-2003-0025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4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4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Abstract

본 고안은 민 나사산(8)을 가지며 선단을 비스듬히 깍은 중공(中空) 볼트(3)와 중공 볼트의 선단과 맞물리며, 지지용 원통형 링(6)을 삽입한 관(1)의 누수 및 누설을 방지하는 사다리꼴 원통형 중공 패킹(7)을 삽입한 너트(2)와 유체 저장조(5)의 내·외면에 누수 및 누설 방지용 패킹(9, 10)을 장착한 너트(4)로 구성된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로 유체 저장조의 내부 면이 깊어 시공이 어려운 부위에도 연결 장치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연결 관이 유연한 경우에도 누수와 누설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 장치를 제거하거나 연결 위치를 변경 할 때에도 연결 장치의 손상없이 재사용이 가능한,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이다.

Description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Non-leaky connection system of fluid reservoir}
등록 번호 2002748920000인 고안 '파이프 연결장치'는 배수로 관으로 널리 사용되는 호오스 및 나선관, 하수도관, 배수관, 일반관 등의 파이프에 대한 누수방지용 연결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연결부위에서 누수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특히 내측면에 누수방지용 방수시트나 발포체 또는 연결수지를 나선권회로 일체화하되 외측면은 기존 나선관의 구조를 서로 결합시켜 형성된 중공구에 공기접촉으로 수축 후 경질화되는 튜브에 삽설된 철심을 조여주어서 지중에 매몰시켜 일정 기간 방치하면 파이프의 누수방지목적과 견고히 연결되는 장치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이 고안은 내측면에 방수시트(3)를 나선권회로 일체화시켜 주되 외측면은 기존 보강중공부를 나선권회로 일체화 시켜 구성되는 연결 관(4)의 중공부(13)에다 공기접촉으로 수축 후 경질화되는 튜브(2)에 철심(5)으로 구성된 조임대(6)를 삽입구(9)에 삽설시켜 준 조임대(6)를-중공부(13)애 삽설시켜 줄 때 나선권회로 구조가 되어 있으므로 중첩되는 중공 보강부(15)를 절개 시켜준 절개부(11)를 통하여 튜브(2)와 철심(5)을 단단히 묶어서 고정시켜 지중에 매몰시켜 주면 일정시간 지나면서 튜브(2)가 수축되고 경질화로 고정시켜 주므로서 파이프(1)의 누수방지와 나선 방수시트(3') 적용으로 보강돌출부(19)와 요홈부(19')가 연속 반복적으로 구성된 나선관(1')에서도 탁월한 누수방지를 제공하는 고안으로 종래의 연결 관(4)의 내측면을 방수시트(3)로 구성하고 공기접촉으로 수축 후 경질화되는 조임대(6)의 역할로 일정시간 경과하므로서 견고히 누수방지를 제공하는 장치로 간단히 시공할 수 있으며 경제성을 제공하는 고안이다.
등록번호 2002697690000인 고안 '콘크리트 흄 관의 연결장치'는 배수로 관의 한 종류로서 널리 사용되는 콘크리트 흄 관(22)에서 연결보위의 가장자리에 접속하는 연결부위를 누수방지와 완벽하게 일체화 시켜주도록 구성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로서는 칼라링이나 고무링을 삽설시켜 사용되었으나 이는 시공현장에서 흄관(22)의 무겁고 부스러지기 쉬워서 정확히 연결시켜 누수 방지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는 바 이의 해결을 위하여 안출된 고안으로서 흄관(22)의 연결하려고 하는 가장자리의 연결부위에 일측에 투입요홈(24)가 형성된 연결대(23)와 내측관(28)으로 충진요홈(25)을 구성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로 고정하되 시공 현장에서 더파기한 배수관로에서 이 고안의 흄관(22)의 연결부위에서 연결대(23)의 투입요홈(24)과 내측관(28)을 서로 맞추어 조립하여 투입구(24')와 충진공간(25')를 형성하면서 철근(27)을 먼져 투입공간(25')에 삽설한 다음 시멘트 몰탈(26)을 충진시켜 일정시간 양생하여 주도록 구성된 고안으로 특히 물이 흐르는 흄관의 하측뿐 아니라 상측부위도 완벽히 일체화 시켜주어 견고성 및 누수방지도 해결하는 제품이다.
등록번호 2002511170000인 고안 '합성수지관용 연결 관'은 통상의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관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이 양측에서 끼워져 3면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내면에 완만한 경사면과 급경사면을 일체로 하여 이탈이 방지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포함하는 결합홈에 발라져서 사이에 끼워지는 합성수지관이 안정되게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제층들로 구성함으로써 연결 관의 양측에서 합성수지관을 강제로 끼우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연결함은 물론, 합성수지관이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등록번호 2002385400000인 고안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는 상수관 이나 하수관과 같은 송수관들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신축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축되는 조인트 장치에 의하여 지반의 침하 및 과도한 수압에 의하여 부하가 발생하였을 때 송수관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송수관용 조인트는 주로 단순하게 양측 관들을 결합시킨 것이므로 지반이 침하 되거나 송수관 내부에 과도한 수압이 발생되면 조인트에서 양측 관들이 이탈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 고안은 일측 송수관(10)과 압륜(20)에 돌출 형성된 지지관(30)과 안내관(40)의 걸림턱(31)(41)들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서로 결합되어 지지관(30)과 안내관(40)들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므로 과도한 수압이 발생되거나 지반이 침하 되더라도 양측 송수관(10)(11)들이 걸림턱(31)(41)들의 간격만큼 신축 조절되고, 완만하게 굴곡되면서 부하를 완충시키므로 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지진에 견딜 수 있는 내진 설계를 이루어 송수관용 조인트장치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다.
등록번호 2002200290000인 고안 '파이프 연결 장치'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볼트조임 방식으로 간단하게 체결하여 파이프 상호간의 결속력을 높이고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이 고안은 2개의 합성수지재 파이프를 연결시킴에 있어서, 반원형의 커넥터를 서로 마주 보게 파이프의 선단에 끼워 볼트 결합시키고, 파이프의 선단에는 선단과 그 내외부를 감싸는 패킹을 끼우며, 2개의 파이프를 맞붙인 후 커넥터의 외측면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에 볼트를 끼워 커넥터끼리 조여 주므로써 볼트 조임만으로 견고하고 간단하게 파이프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등록번호 2002234990000인 고안은 '보일러용 주름관의 절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는 제 1밀폐링의 극히 일부만이 돌출되기 때문에 외관상의 분량을 충분히 해소할 수 있고, 제 1 밀폐링과 함께 제 2 밀폐링을 구비하여 수압 발생시에도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기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보일러용 주름관의 절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고안은, 일측으로 주름단부(112)를 형성하며, 외주면으로 피복(14)을 감싸는 주름관(10); 내부에는 암나사공(22)이 관통되며, 상기 암나사공(22)의 일측 단부에 내측 플렌지(24)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구(20); 상기 내측 플렌지(24)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외측면으로 플렌지홈(32)이 형성되는 제 1밀폐링(30), 상기 제 1밀폐링(30)에 접촉되며 상기 주름단부(112)에 걸려지는 제 2밀폐링(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밀폐링(30)과 상기 제 2밀폐링(34)의 일측은 절개 형성하는 밀폐수단; 및 상기 연결구(20)의 암나사공(22)에 끼워져 주름관(10)의 주름단부(112)를 밀어 고정하도록 수나사부(52)를 형성한 체결구(5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번호 2001647260000인 고안 '관 연결장치'은 보일러 및 가스렌지 본체에 구비되는 체결부재에 탄성부재의 고정력과 체결부재의 체결력으로써 관을 연결하는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 일측 내경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 단부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가 외경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편 외주연이 밀착 삽입되는 경사면을 갖는 끼움공이 관통 형성된 연결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편의 내주연에 밀착되고, 상기 관의 외경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가 걸리게 되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이 걸리게 되는 걸림턱이 내경에 형성된 체결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관의 외경에 탄성부재가 위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보일러 및 가스렌지에 구비된 체결부재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고, 관 연결에 따른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등록번호 2002419400000인 고안 '가스관 연결구'는 보일러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버너와 메인 공급간 사이에 연결되는 가스관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 고안은 가스관의 연결구를 구성하는 주름관의 주연에 말단부를 감싸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괘지링을 설치하고, 볼트체의 삽입홈에는 1개의 패킹과 이 패킹의 내경부에 위치하는 괘지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볼트체와 너트체의 체결시 상기 괘지링이 주름관의 말단부를 감싸면서 패킹에 압착되어 결국, 상기 패킹에는 주름관의 말단부와 괘지링이 2중 구조로 동시에 압착되므로 연결부위의 기밀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괘지링 자체가 주름관과 너트체 및 볼트체를 완전히 분리시키므로 이들 사이의 통전이 방지되어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고, 부품수의 감소로 인한 원가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등록번호 2001014130000인 고안 '난방용 파이프 히터의 연결장치'는 히터코일과 신화마그네슘이 충진된 파이프(10)와 전선(10)을 연결하는 난방용 파이프 히터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두개의 패킹용 홀더(24,26)와 하나의 접속구(27) 및 두개의 패킹용 홀더(24,26)의 외측에 끼워져 압착되는 슬리빙관(2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파이프히터의 연결장치이다. 상기 두개의 패키용 홀더(24,26)중 파이프(10)의 단부에 끼워지는 패킹용 홀더(24)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써 전체적인 형상이 일측이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파이프(10)에 끼워지는 삽입부(23)가 형성되고 폐쇄변(25)에는 히터단자(14)가 관통되는 관통구(21)가 형성되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파이프히터의 연결장치이다. 상기 두개의 패킹용 홀더(24,26)중 전선(15)에 끼워지는 패킹용 홀더(26)는 그 내부에 전선(15)을 끼우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구(29)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파이프 히터의 연결장치이다. 두개의 패캥용 홀더(24,26)의 외측에서 끼워져 압착되는 슬리빙관(28)은 그 관통구(30)의 양단 둘레에 테이퍼부(32)를 형성하여 두개의 패킹용 홀더(24,26)의 끼움을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파이프 히터의 연결장치이다.
등록번호 2000425530000인 고안 '온수보일러의 관 연결장치'는 온수 보일러(2)의 온수 배출구(3) 및 환수구(4)와 온돌 호스간에 각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관연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출구(3) 측에는 방향자재한 L형 관(1), 하단에 신축자재한 신축관(9)과 상단에 급수관(8)을 장설한 " * "형관(6), 일측에 퇴수구(18)를 가진 2중 밸브(14)를 나합하고 하부에 연결 관(19)을 나합한 T형관(11), 방향자재토록 나합공(30)(31)을 가진 연결구(22)를 순차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환수구(3)측에는 방향자재한 L형 관(1), 연결 관(19a) 또는 (29), 방향자재토록 나합공(30a)(31a)을 가진 연결구(22a)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서 된 온수 보일러의 관연결장치로 상부에 급수관(8)을 나착한 " * "형관(6) 하부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관(9)을 삽설하되, " * "형관(6)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 너트(13)와 그 내부의 밀폐용 팩킹(12)에 의하여 신축관(9)이 밀폐 고정토록 된 온수 보일러의 관연결장치이며, " * "형관(6)과 접속관(10)에 의해 나착된 T형관(11) 일측에 밸브(14)의 선단을 나합하여 나선축(16)의 선단 밀폐 패킹(17)이 접속관(10)의 선단관 배브(14)의 선단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온수 보일러의 관연결장치로 급수관(8) 상단에 나합한 배기관(23) 하부에 다수의 급수공(24)을 천공하고 그 외주에 하단이 개방된 커어버(25)를 고착한 온수 보일러의 관연결장치이며, 배기관(23) 선단에 배기변(26)을 착설하되 그 측방에 수개의 배기공(27)을 천공하고 상기 배기공(27)단부에 비교적 얇은 고무막(27a)틀 장설하였으며, 그 외주연부에는 하방이 개방된 외관(28)을 나착하여서 된 온수보일러의 관 연결장치이다.
본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경우 연결 장치를 설치할 경우 유체저장조의 내·외부 면에서 시공을 하였으며, 본체의 용량이 크고 깊이가 깊은 곳에 관을 연결할 경우, 내부 면에서의 시공은 용이하지 않았다. 본 고안은 연결 장치의 시공을 유체 저장조의 외부 면에서 모두 가능하게 하였다. 민 나사 산을 가진 중공 볼트의일자구조를 통하여 유체 저장조 외부 면에서 내부면 어느 곳이든 중공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의 잠금도 외부에서 모두 죄므로 내부 면에서의 작업이 필요 없다. 둘째, 종래의 연결 장치의 연결 관은 경직 관이 많았다. 본 고안은 연결 관이 유연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누수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유연 관의 선단에 지지용 링을 삽입하여 중공볼트의 내주 면에 연결 관을 끼우고 사다리꼴 중공 패킹을 채운 후 너트를 잠근다. 셋째, 종래의 경우 연결 장치를 해체 한 후에는 연결장치의 재사용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연결 장치는 장치의 해체가 용이하며 해체 후 연결장치의 손상 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다. 연결 관을 해체할 경우에는 너트를 푼 후 중공 패킹을 빼고 연결 관을 푼 후, 유체 저장조 외·내부 면의 중공 패킹을 빼고 삽입된 중공 볼트를 꺼낸다.
도면 1은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면 2는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의 부분 단체도이다.
도면 3는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의 전체 입체도이다.
〈도면의 부호설명〉
1. 관
2. 관의 누수 및 누설 방지용 너트
3. 중공 볼트
4.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수 방지용 너트
5. 유체 저장조
6. 관 지지용 원통형 링
7. 사다리꼴 원통형 중공 패킹
8. 민 나사산
9. 유체 저장조 내면 원통형 중공 패킹
10. 유체 저장조 외면 원통형 중공 패킹
본 고안은 유체 저장조(기체, 액체, 슬러지)의 내부면이 깊어 시공이 어려운 부위에도 연결 장치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연결 관이 유연한 경우에도 누수와 누설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 장치를 제거하거나 연결위치를 변경 할 때에도 연결 장치의 손상 없이 재사용이 가능한,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민 나사산(8)을 가지며 끝을 비스듬히 작은 중공(中空) 볼트(3)와 중공 볼트의 나사 끝과 맞물리게 위치하며, 지지용 링(6)을 삽입한 관(1)의 누수 및 누설을 방지하는 사다리꼴 원통형 중공 패킹(7)을 장착한 너트(2)와 유체 저장조(5)의 내·외면에 누수 및 누설 방지용 패킹(9, 10)을 장착한 너트(4)로 구성된다. 본 연결 장치의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체 저장조에 홀을 내어 민 나사산이 있으며, 선단을 비스듬히 깍은 중공 볼트를 끼운다. 유체 저장조 내·외부 면에 패킹을 넣은 후 너트로 잠근다. 이 때 중공 볼트가 공 회전하지 않게 민 나사산 부분을 스패너로 잡아준 후 너트를 잠근다. 유체 저장조에 연결할 관을 준비한다. 관이 유연한 경우 너트의 조임에 의해 수축·변형되어 유속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관 지지용 원통형 링을 삽입한다. 중공 볼트의 선단과 맞물리게 설계되어 누수와 누설을 방지하는 사다리꼴 원통형 중공 패킹을 넣고 너트를 잠근다.
본 고안을 각부의 명칭과 기능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장치에 있어,
관(1)을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에 홀을 낸 유체 저장조(5)와 ;
유체 저장조의 내면에 삽입되며 민 나사산(8)을 가지며 선단을 비스듬히 깍은 중공(中空) 볼트(3)와 ;
중공 볼트의 측면에 위치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유체 저장조 내면의 원통형 중공 패킹(10)과 ;
유체 저장조의 외면에 접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유체 저장조 외면의 원통형 중공 패킹(9)과 ;
외면 원통형 중공 패킹의 측면에 위치하며 유체 저장조와 외면 원통형 중공패킹을 밀착시켜 죄는 누수 및 누설 방지용 너트(4)와 ;
너트(4)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너트를 죌 때 공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부위인민 나사산(8)과 ;
중공 볼트의 선단에 위치하며 중공 볼트(3)와 맞물리게 형성된 사다리꼴 원통형 중공 패킹(7)과 ;
중공 볼트(3)와 사다리꼴 원통형 중공 패킹(7)의 내주면에 위치하며 유연 관을 지지하는 관 지지용 원통형 링(6)과 ;
관 지지용 원통형 링을 삽입한 관(1)과;
관(1)을 외주면으로 감싸며 누수 및 누설을 방지하는 너트(2);
로 구성된 유체 저장조(5)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장치이다.
본 고안은 유체 저장조의 내부 면이 깊어 시공이 어려운 부위에도 연결장치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연결 관이 유연한 경우에도 누수와 누설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 장치를 제거하거나 연결 위치를 변경 할 때에도 연결 장치의 손상 없이 재사용이 가능한,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방지 연결 장치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경우 연결장치를 설치할 경우 유체 저장조의 내·외부 면에서 시공을 하였다. 본체의 용량이 크고 깊이가 깊은 곳에 관을 연결할 경우, 유체 저장조 내부 면에서의 패킹이나 너트의 잠금 작업이 있는 연결장치의 시공은 용이하지 않았다. 본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는 민 나사산을 가진 중공 볼트의 일자구조로 이를 통하여 유체 저장조 외부 면에서 내부 면 어느 곳이든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의 잠금도 외부에서 모두 죄므로 내부 면에서의 작업이 필요 없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연결 장치는 유체 저장조 어느 곳이든 연결 장치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둘째, 연결 관이 신축 관이나 유연 관일 경우 누수 및 누설 방지가 까다로우며 만일 연결 관의 외부에서 조임 밴드로 관을 고정할 경우 조임에 의해 관의 변형을 초래해 관류의 유속 변화를 일으킬 수 있었다. 본 고안은 관이 유연한 경우에 관의 선단에 관 지지용 패킹 링을 삽입하여 유연 관의 수축이나 변형 없이 연결할 수 있다. 셋째, 연결 관과 맞물리는 사다리꼴 원통형 패킹 링으로 관과의 연결부분이 누수 및 누설이 완전히 방지된다. 끝을 비스듬히 깍은 중공 볼트와 이에 맞게 설계된 사다리꼴 원통형 패킹 링으로 연결 관의 누수 및 누설 방지 효과를 크게 하였다. 넷째, 연결장치의 해체가 용이하다. 해체 후 연결장치의 손상 없이 재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1)

  1. 관(1)을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에 홀을 낸 유체 저장조(5)와 ;
    유체 저장조의 내면에 삽입되며 민 나사산(8)을 가지며 선단을 비스듬히 깍은 중공(中空) 볼트(3)와 ;
    중공 볼트의 측면에 위치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유체 저장조 내면의 원통형 중공 패킹(10)과 ;
    유체 저장조의 외면에 접하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유체 저장조 외면의 원통형 중공 패킹(9)과 ;
    외면 원통형 중공 패킹의 측면에 위치하며 유체 저장조와 외면 원통형 중공패킹을 밀착시켜 죄는 누수 및 누설 방지용 너트(4)와 ;
    너트(4)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너트를 죌 때 공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부위인 민 나사산(8)과 ;
    중공 볼트의 선단에 위치하며 중공 볼트(3)와 맞물리게 형성된 사다리꼴 원통형 중공 패킹(7)과 ;
    중공 볼트(3)와 사다리꼴 원통형 중공 패킹(7)의 내주면에 위치하며 유연 관을 지지하는 관 지지용 원통형 링(6)과 ;
    관 지지용 원통형 링을 삽입한 관(1)과;
    관(1)을 외주면으로 감싸며 누수 및 누설을 방지하는 너트(2);
    로 구성된 유체 저장조(5)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장치
KR20-2003-0025905U 2003-08-05 2003-08-05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 KR200333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905U KR200333419Y1 (ko) 2003-08-05 2003-08-05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905U KR200333419Y1 (ko) 2003-08-05 2003-08-05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419Y1 true KR200333419Y1 (ko) 2003-11-15

Family

ID=4941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905U KR200333419Y1 (ko) 2003-08-05 2003-08-05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4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091B1 (ko) * 2012-02-16 2012-06-29 윤다은 수전 연결구
CN107768602A (zh) * 2016-08-22 2018-03-06 江苏三环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的合膏机恒流量加酸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091B1 (ko) * 2012-02-16 2012-06-29 윤다은 수전 연결구
CN107768602A (zh) * 2016-08-22 2018-03-06 江苏三环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的合膏机恒流量加酸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200333419Y1 (ko) 유체 저장조의 누수 및 누설 방지 연결 장치
KR101311589B1 (ko) 현장 설치용 추가관로 형성 및 연결장치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100836834B1 (ko) 하수관 연결용 단지관
KR200342277Y1 (ko) 맨홀의 관 접합장치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20090008779A (ko)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20070009508A (ko) 외부 일체형 보강리브를 구비한 합성수지관 접합용 클램프및 이를 이용한 관 접합장치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200452242Y1 (ko)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KR200216504Y1 (ko) 클립 플랜지를 이용한 관이음장치
KR100637586B1 (ko) 상,하수도관로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KR100657178B1 (ko) 상수도 이음부 이탈방지장치
KR200424466Y1 (ko)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KR200234951Y1 (ko)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KR100756307B1 (ko) 오폐수 도관의 결합구조
KR100624009B1 (ko) 맨홀의 관연결장치
JP3003786U (ja) 内部止水バンド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419728Y1 (ko) 파이프 연결구
JP2011190833A (ja) 止水方法および止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