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951Y1 -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951Y1
KR200234951Y1 KR2020010008577U KR20010008577U KR200234951Y1 KR 200234951 Y1 KR200234951 Y1 KR 200234951Y1 KR 2020010008577 U KR2020010008577 U KR 2020010008577U KR 20010008577 U KR20010008577 U KR 20010008577U KR 200234951 Y1 KR200234951 Y1 KR 200234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acking
band
colgate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이주형
조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조용주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2020010008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951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콜게이트관의 연결 접속부를 밀봉하기 위한 패킹과 밴드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는 콜게이트관(11)의 연결 대상 접속부상에 콜게이트관 외주면 요홈부(11a) 사이로 삽입되는 돌조(12a)가 적어도 하나이상 내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주름부(12b)가 구비된 신축성 튜브패킹(12)이 씌워지고 상기 튜브패킹(12)의 외주면에 양측단부상에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턱(13a)이 구비된 밴드(13)가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는 콜게이트관의 연결부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고탄력 재질의 튜브패킹 중앙부에 주름을 형성하여 콜게이트관 연결부의 튜브패킹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밴드의 양측단부에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구비되어 콜게이트관의 외주면 요홈부상에 밀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패킹과 밴드의 단단한 고정에 의한 콜게이트관 연결부의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패킹의 중앙부에 형성된 주름과 밴드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보조치구를 통해서 콜게이트관 외주면의 요홈부상에 밀착 결합되도록 튜브패킹과 밴드의 치수 보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콜게이트관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corrugated pipe}
본 고안은 콜게이트관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내주면에 콜게이트관의 요홈부에 밀착 결합되는 돌조가 일체로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튜브 패킹 중앙부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패킹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고 밴드의 양측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콜게이트관 외주면 요홈부상에 밀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콜게이트관 이음부의 기밀성과 수밀성이 향상된 콜게이트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게이트관이나 나선관을 포함한 지중매설관의 연결 방식은 소켓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이러한 소켓류는 소켓 내면에 링형상의 고무 패킹을 장착하여 관단부를 연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관 결합시 패킹좌에서 패킹이 벗어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패킹의 탄력이 줄어 누수의 원인이 됨으로써 밋밋한 원통형관이나 파형관상에서만 적용이 가능할 뿐 나선관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 나선관의 이음부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 밴드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밴드의 내면에 나선관 외주면상에 일치하여 결합되도록 나선형 돌조가 구비된 패킹이 일체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1은 종래의 나선관 연결방식이 도시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나선관 연결 방식은 나선관(2)의 일측 단부에 패킹(1)을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패킹(1)의 후단부가 나선관(2)의 선단부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관(2)의 선단부를 패킹(1)이 끼워진 나선관(2)과 그 중심을 일치시킴과 아울러 양 나선관의 나선이 접속부에서 일치하도록 조정한 다음 패킹(1)을 최초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중심이 나선관(2)의 접속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패킹(1)의 나선형 내향돌조(3)는 나선관(2)의 나선홈 형태로 변형됨과 동시에 나선관(2)의 나선 상부면 역시 패킹(1)의 내주면과 밀착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이 나선관 외주면에 장착되는 종래의 관이음용 밴드(4)는 관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는 고정판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 후 오랜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관 내부에서 유동하는 수압에 의해서 관 이음부에서 관이 빠지거나 수밀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체로 지중에 매설되는 콜게이트관은 관체 주위에 가해지는 국부적인 토압이나 지층 변화등의 요인에 의해서 관체 연결부상에서 부등침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관의 연결단부가 밴드상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나선관 연결 방식에서는 나선관 외주면의 나선홈을 따라 패킹 내주면의 나선형 돌조가 삽입되도록 관 또는 패킹을 회전시키며 장착해야 하고 고탄력의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기 장착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나선관 연결 방식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콜게이트관의 연결 단부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고탄력 재질의 패킹 중앙부에 주름을 형성하여 콜게이트관 연결부의 튜브패킹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밴드의 양측단부에 내주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콜게이트관의 외주면 요홈부상에 밀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콜게이트관 이음 연결부의 단단한 고정에 의한 기밀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킨 콜게이트관의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나선관 연결구조에 대한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콜게이트관 연결구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구조에 의한 관 연결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가)는 패킹과 콜게이트관의 결합전 단면도이고,
(나)는 패킹이 일측 콜게이트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다)는 콜게이트관이 연결구에 의해 완전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관 연결 단면도
도5는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 도면으로서,
(가)는 패킹의 단면도이고,
(나)는 관 연결 단면도이다.
도6는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밴드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7과 도8은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콜게이트관 12. 튜브패킹
12a. 돌조 12b. 주름부
13. 밴드 13a. 걸림턱
13b. 플랜지 22a. 장공부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콜게이트관의 연결 이음부 외주면의 요홈부상에 삽입되도록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돌조가 구비되고 중앙부에 여러겹의 주름이 형성된 튜브패킹과, 상기 튜브패킹 외주면상에 장착되고 양단부 내주면에 콜게이트관의 외주면 요홈부상에 삽입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밴드로 이루어진 구성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튜브패킹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조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양측 콜게이트관의 외주면 요홈부상에 삽입되며 탄력 튜브패킹 중앙부에 형성된 주름은 콜게이트관의 외주면에 고탄력 재질의 튜브패킹 장착시 손쉬운 장착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튜브패킹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밴드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고 양단부상에 마주보도록 구비된 플랜지의 결합에 의해서 장착되는 데, 상기 밴드의 내주면 양측부상에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콜게이트관의 요홈부상에 삽입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주면에 돌조가 구비되고 주름이 형성된 튜브패킹이 일체로 구비된 밴드의 콜게이트관 연결 이음부 장착 과정은 먼저 탄력 재질의 튜브패킹 일단부를 접속부의 콜게이트관 단부에 끼운 다음 타측의 튜브패킹을 뒤집은 후에 연결할 콜게이트관을 접속시켜 그 외주면으로 튜브패킹이 덮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장착된 튜브패킹의 외주면상에 걸림턱이 구비된 밴드를 체결하여 기밀한 콜게이트관의 기밀한 연결을 이루게 된다.
본 고안 콜게이트관의 연결 구조는 콜게이트관 외주면과 밴드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 콜게이트관의 수밀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개재되는 튜브패킹의 중앙부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여 튜브패킹의 용이한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금속성 재질의 밴드 양측단부상에 내주면으로 걸림턱이 구비됨으로써 콜게이트관의 연결 이음부상에 단단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콜게이트관 연결구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구의 시공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는 패킹과 콜게이트관의 결합전 단면도이고, (나)는 패킹이 일측 콜게이트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다)는 콜게이트관이 연결구에 의해 완전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는 콜게이트관(11) 연결 대상 접속부상에 상기 콜게이트관(11) 외주면 요홈부(11a) 사이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돌조(12a)가 일체로 형성된 고탄력 재질의 튜브패킹(12)이 씌워지고 상기 튜브패킹(12)의 외주면에 양측단부로 걸림턱(13a)이 구비된 밴드(13)가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패킹(12)은 고탄력 재질이나 고무등으로 구성되고 내주면상에 링 형태의 원형 돌조(12a)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분에 주름(12b)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튜브패킹(12) 중앙부의 주름(12a)은 양측 콜게이트관(11)에 튜브패킹(12)을 손쉽게 장착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으로서, 일측 콜게이트관(11) 단부에 튜브패킹(12)의 일단부를 씌운 후에 타단의 튜브패킹(12)을 뒤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튜브패킹(12)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밴드(13)는 금속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단부에서 마주보도록 구비된 플랜지(13b)의 결합에 의해서 고정되며 양측 단부상에 내주면을 따라 걸림턱(13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밴드(13) 양측단의 걸림턱(13a)은 콜게이트관(11)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튜브패킹(12)의 양단부를 감싸며 콜게이트관(11)의 요홈부(12a)상에 밀착 삽입되어 콜게이트관(11) 연결 이음부상에 밴드(13)의 결속력이 향상시키게 된다.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의 튜브패킹(12)과 밴드(13)의 콜게이트관 연결 과정을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튜브패킹(12)의 일단부측을 연결하고자 하는 콜게이트관(11) 단부에 끼우고 상기 튜브패킹(12)의 주름(12b)을 중심으로 타단부측을 반대로 뒤집은 상태에서 튜브패킹(12)이 끼워진 콜게이트관(11)과 접속될 콜게이트관(11)의 중심을 일치시킨 후에 뒤집혀 있는 튜브패킹(12)을 접속될 콜게이트관(11)의 외주면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튜브패킹(12)의 내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조(12a)가 콜게이트관(11) 외주면상의 요홈부(11a)상에 각각 결합되어 콜게이트관(11) 연결 이음부의 단단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콜게이트관(11)의 연결부에 튜브패킹(12)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 그 외주면으로 양측 단부에 걸림턱(13a)이 구비된 밴드(13)를 장착하고 밴드(13)에 구비된 플랜지(13b)의 체결공(13b')을 통하여 나사(14)를 체결함으로써 탄력 재질의 튜브패킹(12) 내주면 돌조(12a)가 콜게이트관(11) 외주면에 견고히 밀착하게 된다.
도4는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관 연결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 콜게이트관(11) 단부상에 중앙에 주름부(12b)가 형성된 튜브패킹(12)을 장착하고 주름부(12b)와 양측단부상에 빈공간의 콜게이트관 요홈부(11a)를 메우기 위해서 튜브패킹(12)의 주름부(12b) 외주면과 양측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15)이 장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오-링(15)은 콜게이트관(11)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튜브패킹 주름부(12b)와 양측단부 내주면의 콜게이트관 요홈부(11a) 공간을 메우기 위한 것으로서 콜게이트관 연결 접속부의 견고한 밀착과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5는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 도면으로서, (가)는 패킹의 단면도이고, (나)는 관 연결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는 양측 콜게이트관(11) 연결 접속부상에 중앙부에 주름부(12b)가 형성되고 내주면이 평활한 패킹(12)이 장착되고 상기 튜브패킹(12)의 외주면으로 콜게이트관 요홈부와 대응되게 사다리꼴 단면 형상의 오-링(16)이 삽입 장착되고 상기 오-링(16)의 외주면에 금속제 밴드(13)가 볼트등에 의해서 장착된 구조이다.
상기 본 실시예의 튜브패킹(12)은 중앙에 형성된 주름부(12b)가 양측 관체 삽입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부의 내주면을 평활하게 하는 이유는 관체의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패킹(12)의 외주면에는 콜게이트관 요홈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된 오-링(16) 또는 원형 단면의 오-링(15)이 삽입되어 콜게이트관 연결 접속부의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도6는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밴드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밴드(20)는 콜게이트관의 요홈부상에 삽입 고정되는 걸림턱(21)이 일측 단부에만 형성되고 타측 개구부(22)를 통하여 일단부에 걸림턱(23a)이 형성된 반원형 단면 형상의 보조치구(23)가 마주보는 형태로 삽입되어 볼트(24)에 의해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 실시예의 밴드(20)에 장착되는 보조치구(23)는 콜게이트관 연결 이음부의 외주면에 고탄력 재질의 튜브패킹을 결합하고 일측에 걸림턱(21)이 구비된 밴드(20)를 체결한 후에 밴드(20)의 타측 단부를 통해서 밴드(20)의 내주면과 튜브패킹의 외주면 사이에 걸림턱(23a)이 구비된 반원형 단면의 보조치구(23)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치구(23)의 고정은 밴드(20)의 보조치구(23)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부(22a)를 통한 볼트(24)와 너트(25)의 고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의 걸림턱(23a)이 구비된 보조치구(23)를 사용하는 이유는 콜게이트관 외주면의 요홈부상에 밴드 양측 단부의 걸림턱이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할 경우에 보조치구(23)를 일측에 삽입하여 밴드(20)의 길이방향 치수 보정을 하기 위함이다.
도7과 도8은 본 고안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밴드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도5의 실시예는 양단부에 외측으로 감겨진 륜상의 외륜부(32a)(32b)가 형성되고 양측부에 걸림턱(31a)이 구비된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의 외륜부(32a)(32b) 내부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요홈과 네크부가 형성되어 삽입되는 지지봉(33a)(33b)과, 상기 지지봉(33a)의 요홈상에 관통 삽입되어 너트(35)에 의해서 결합되고 전방이 고리 형태의 절곡부(34a)로 형성된 고정걸쇠(34)로 이루어진 밴드(30)가 콜게이트관(50) 외주면상에 장착된 구조이다.
또한, 도8의 실시예는 양측으로 걸림턱(41a)이 형성된 고정판(41) 일단부에 지지봉(43)이 삽입된 륜상의 외륜부(4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다수개의 홈(44a)이 형성된 고정편(44)이 장착되어 상기 외륜부(42)에 삽입된 지지봉(43)의 요홈상에 관통 결합된 고정걸쇠(45)가 고정편(44)의 홈(44a)에 삽입된 후에 후단부로부터 장착되는 너트(46)의 조임에 의해서 콜게이트관(50) 외주면상에 밴드(40)가 밀착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는 상기 도7와 도8의 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밴드 구성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패킹과 밴드 구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는 콜게이트관의 연결부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고탄력 재질의 튜브패킹 중앙부에 주름을 형성하여 콜게이트관 연결부의 튜브패킹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밴드의 양측단부에내주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콜게이트관의 외주면 요홈부상에 밀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패킹과 밴드의 단단한 고정에 의한 콜게이트관 이음 연결부의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는 튜브패킹의 중앙부에 형성된 주름과 밴드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보조치구를 통해서 콜게이트관 외주면의 요홈부상에 밀착 결합되도록 패킹과 밴드의 치수 보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콜게이트관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콜게이트관(11)의 연결 대상 접속부상에 콜게이트관 외주면 요홈부(11a) 사이로 삽입되는 돌조(12a)가 적어도 하나이상 내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주름부(12b)가 구비된 신축성 튜브패킹(12)이 씌워지고 상기 튜브패킹(12)의 외주면에 양측단부상에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턱(13a)이 구비된 밴드(13)가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게이트관의 요홈부상에 삽입 고정되는 밴드(20)의 걸림턱(21)이 일측 단부에만 형성되고 타측 개구부(22)를 통하여 일단부에 걸림턱(23a)이 형성된 반원형 단면 형상의 보조치구(23)가 마주보며 전후방으로 삽입되어 볼트(24)와 너트(25)에 의해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게이트관(11) 연결부상에 장착된 튜브패킹(12)의 주름부(12b)상에 빈공간의 콜게이트관 요홈부(11a)를 메우기 위해서 주름부(12b) 외주면과 양측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15)이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양측 콜게이트관 연결부의 콜게이트관(11) 외주면과 금속제 밴드(13) 사이에 내주면이 평활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주름부(12b)가 구비된 튜브패킹(12)이 장착되고 상기 튜브패킹(12) 외주면의 콜게이트관 요홈부와 대응된 위치에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밀착되는 오-링(15)이 삽입되어 밀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관의 연결 구조.
KR2020010008577U 2001-03-28 2001-03-28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KR200234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577U KR200234951Y1 (ko) 2001-03-28 2001-03-28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577U KR200234951Y1 (ko) 2001-03-28 2001-03-28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951Y1 true KR200234951Y1 (ko) 2001-10-18

Family

ID=7309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577U KR200234951Y1 (ko) 2001-03-28 2001-03-28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95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121A (ko) * 2002-10-31 2004-05-08 한국전력공사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KR20150073358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픽슨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KR20190079842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KR20210055526A (ko) * 2019-11-07 2021-05-17 (주)동우에프지엠 하이퍼링이 구비된 유니 플렉스 튜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121A (ko) * 2002-10-31 2004-05-08 한국전력공사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KR20150073358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픽슨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KR101589031B1 (ko) 2013-12-23 2016-01-27 주식회사 픽슨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KR20190079842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KR20210055526A (ko) * 2019-11-07 2021-05-17 (주)동우에프지엠 하이퍼링이 구비된 유니 플렉스 튜브
KR102263176B1 (ko) * 2019-11-07 2021-06-10 (주)동우에프지엠 하이퍼링이 구비된 유니 플렉스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55713B2 (ko)
JP4335179B2 (ja) 伸縮リングアセンブリ
KR102137111B1 (ko) 하수관 연결장치
KR200234951Y1 (ko)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JPH0561512B2 (ko)
KR20090008779A (ko)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20090043645A (ko)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JPH0799231B2 (ja) 管継ぎ手
US6364373B1 (en) Corrugated pipe adapter and connection system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JP2550157Y2 (ja) 波形管用管継手
JP3167634B2 (ja) 分岐サドル継手
JP2003097775A (ja) プラスチック管の離脱防止リング
KR200296093Y1 (ko) 링형 콜게이트관의 연결구조
JP3083418B2 (ja) 水管橋用管継手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JP3754161B2 (ja) マンホールに於ける大口径管の取付構造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200283812Y1 (ko) 이음관 및 이음관 연결기구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20040038121A (ko)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JP4229246B2 (ja) 可撓性の管継手
JP2003003506A (ja) リブパイプとマンホールの接続構造及び拡径バンド
KR100997533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