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645A -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645A
KR20090043645A KR1020070109291A KR20070109291A KR20090043645A KR 20090043645 A KR20090043645 A KR 20090043645A KR 1020070109291 A KR1020070109291 A KR 1020070109291A KR 20070109291 A KR20070109291 A KR 20070109291A KR 20090043645 A KR20090043645 A KR 20090043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corrugated
pipe
connecting tub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6528B1 (ko
Inventor
문재현
오민수
Original Assignee
문재현
오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현, 오민수 filed Critical 문재현
Priority to KR1020070109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5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한 쌍의 파형관(1,1')을 감쌀 수 있는 연결튜브(2)와, 상기 파형관(1,1')을 감싸고 있는 연결튜브(2)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1')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음관(4)을 포함하되; 상기 이음관(4)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진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 선단에는 각각 체결부(4a,4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부(4a,4b)를 통해 조임기구의 결합으로 상호 체결하여 조일 수 있는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2)의 내주면 양 끝단 부위에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호 형상과 맞물려 끼워지는 밀봉부(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음관(4)의 체결부(4a) 일측에는 밀폐커버부(4c)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4a,4b)를 통한 조임 작업시 상기 밀폐커버부(4c)가 반대편 체결부(4b) 내측으로 파고드는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을 연결할 때, 이음관에 의한 밀착력을 강화시켜 기밀성을 크게 개선함과 아울러 기밀성 확보를 위한 부재들을 일체화 혹은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파형관, 이음관, 지중하 공사, 연결튜브, 체결부, 밀봉부, 밀폐커버부

Description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Coupling structure for corrugate pipe}
본 발명은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을 연결할 때, 이음관에 의한 밀착력을 강화시켜 기밀성을 크게 개선함과 아울러 기밀성 확보를 위한 부재들을 일체화 혹은 단순화시킨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력을 가정 또는 건물로부터 전달하는 전선이나 통신수단인 통신케이블 등이 지상에 배선될 경우에 도시의 미관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에 매설하는 예가 늘고 있다.
이처럼 지하에 매설되는 각종 케이블의 보호를 위해 이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관체가 같이 매설된다.
종래의 관체는 PV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관체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관체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몸체가 웨이브(wave)진 파형관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파형관은 전력용 케이블이나 통신용 케이블의 지중배전선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기본 물성이 우수한 것들이 개발되어 상수관이나 하 수관 등으로도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파형관은 요철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서 파형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폴리에틸렌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High-Density Polyethylene)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그런데, 상기 파형관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관계로 인해 이 파형관과 파형관을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수단인 이음관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파형관과 파형관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연결수단, 즉, 지중하 공사용 이음관은 상기 각종 케이블이 내부에 관통되는 파형관이 지하에 매설되는 특성상 지하에 잔류하는 지하수 등이 상기 파형관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성 및 기밀성이 필요하다.
종래 상기와 같은 파형관을 연결하는 이음관 구조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39630호(2004.1.12. 등록)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98712호(2005.10.7. 등록) 등에 잘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398712호에 개시된 파형관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1실시예로써, 파형관 연결구조는,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는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감싸서 연결할 수 있는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 100')의 외주면 웨이브 진 틈새에 끼워지는 밀봉부재(300,300')와, 상기 연결튜브(200)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음관(400)을 갖추고 있다.
이때, 상기 이음관(400)은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진 원통 형태의 본체(410)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410)의 절개 선단에는 각각 체결부(410a,410b)가 형성되어 진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는 보울트(10)와 너트(20)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튜브(200)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등으로 제조되고, 상기 밀봉부재(300, 300')로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고무로 제조되어진 밀봉용 쐐기(310)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2, 3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1실시예에 나타난 구조 중에 일부 구조가 변형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이음관(400)은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진 원통 형태의 이음관 본체(410)가 길이방향을 따라 2분할되어 상호 힌지(h) 연결되고, 제1본체(411)와 제2본체(412)의 자유단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임기구(420)가 보강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조임기구(420)로는 제2본체(412)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걸림턱(421)과; 제1본체(411)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422a)와, 조임레버(42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턱(421)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걸쇠(422b)로 이루어진 조임레버(422)로 구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 외에 상기 연결튜브(200)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이 요철 면처리되고,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 412a)이 이에 상응하게 요철 면처리되어,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과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이 상호 요철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300, 300')로는 금속와이어(321)와, 이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피복(322)으로 이루어진 밀봉용 바아(320)가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와 제2,3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는 대동소이(大同小異)하기 때문에 그 연결 방식에 있어서도 거의 유사하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4실시예로써, 시중에서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는 파형관을 연결하는 전선 이음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따르면, 종래 개시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는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감싸서 연결할 수 있는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100')의 외주면 웨이브 진 틈새에 끼워지는 밀봉부재(300,300')와, 상기 연결튜브(200)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음관(400)과, 상기 이음관(400)에 의해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조여서 고정할 때 기밀성을 부여하기 위한 알루미늄 재질과 같은 금속재의 밀폐커버(500)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제4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튜브(200)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등 으로 제조되고, 상기 밀봉부재(300, 300')로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고무로 제조되어진 밀봉용 쐐기(320)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는 보울트(10)와 너트(20) 및 체결봉(30)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음관 본체(410)의 내주면 양 끝단 부위에 각각 이탈방지돌기(430)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튜브가 상기 이탈방지돌기(430) 사이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파형관(100,100')의 외주면 웨이브 진 틈새에 상기 이탈방지돌기(430)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탈방지돌기(4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튜브(200) 및 파형관(100,100')이 이탈방지돌기(430)에 걸쳐지게 되어, 연결튜브(200) 및 파형관(100,100')의 축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커버(500)가 상기 연결튜브(200)를 감싸는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 부위에 놓여 진 상태에서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를 조여서 밀폐커버(500)를 고정함으로써, 밀폐커버(500)를 통한 밀착력을 강화시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나타난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련한 연결작업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연결튜브(200)를 이음관(400) 내부에 배치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튜브(200)의 양쪽 개구 선단으로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각각 끼워넣어서 이들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밀봉부재(300,300')를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100')의 외주면 웨이브 진 틈새로 끼워넣는다.
그리고,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체결부재를 매개로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를 체결하여, 이음관 본체(410)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조여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이음관 본체(410)에 의해 조여져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4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밀폐커버(500)가 상기 연결튜브(200)를 감싸는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 부위에 놓여진 상태에서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를 통해 조여져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밀봉부재(300)가 밀봉용 쐐기(310,310') 혹은 밀봉용 바아(310,310') 형태로 별도 분리 제작되어, 상기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100')의 외주면 웨이브진 틈새로 끼워넣는 별도의 작업을 거쳐 집어넣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불편함이 있고, 이에 따른 파형관 연결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밀봉용 쐐기(310, 320) 및 밀봉용 바아(310)를 밀봉부재(300,300')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밀봉용 쐐기(310,320) 및 밀봉용 바아(320)는 파형관(100,100')의 웨이브진 호에 끼워넣더라도 고정성이 없어서 작업자가 밀봉용 쐐 기(310,320) 등을 잡고서 연결튜브(200)를 덮어씌워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실제로, 상기한 문제로 인해서 밀봉부재(300,300')가 만족스럽게 끼워 넣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특히, 밀봉부재(300,300')에 의한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밀봉부재(300,300')가 아예 빠져버리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밀봉부재(300,300')에 의한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빗물이나 토사, 오물 등의 이물질들이 웨이브진 틈새에 의한 통로를 따라서 외부로부터 파형관(100,100')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특히, 파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얼마나 밀착력을 높여 기밀성 및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 제품의 기술적 우수성을 가늠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바, 종래 기술에서도 이러한 밀착력을 높여 기밀성 및 방수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어 있고, 그 대표적인 예가 상기 제4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은 밀폐커버(500)를 사용하고 있는 예이다.
이처럼 별도의 밀폐커버(5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밀착력을 높여 기밀성 및 방수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밀폐커버(500)의 경우에는 그 자체로 분리된 개체로써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 작업시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별도의 부품을 취급해야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부품수의 증가는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을 연결할 때, 이음관에 의한 밀착력을 강화시켜 기밀성을 크게 개선함과 아울러 기밀성 확보를 위한 부재들을 일체화 혹은 단순화시키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는 한 쌍의 파형관을 감쌀 수 있는 연결튜브와, 상기 파형관을 감싸고 있는 연결튜브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음관을 포함하되; 상기 이음관은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진 원통 형태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의 절개 선단에는 각각 체결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부를 통해 조임기구의 결합으로 상호 체결하여 조일 수 있는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의 내주면 양 끝단 부위에 상기 파형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호 형상과 맞물려 끼워질 수 있는 밀봉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음관의 체결부 일측에는 밀폐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를 통한 조임 작업시 상기 밀폐커버부가 반대편 체결부 내측으로 파고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튜브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음관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돌출된 요철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는, 파형관을 연결할 때, 이음관에 의한 밀착력을 강화시켜 기밀성을 크게 개선함과 아울러 기밀성 확보를 위한 부재들을 일체화 혹은 단순화시킴으로써, 파형관 측의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파형관 연결에 필요한 부품수를 줄여줌에 따른 제품의 경제적은 효용성을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파형관 연결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 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7의 결합 사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8의 측단면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8의 정단면도 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는 한 쌍의 파형관(1,1')을 감싸서 연결할 수 있는 연결튜브(2)와, 상기 연결튜브(2)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1')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음관(4)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파형관(1,1')으로는,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그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웨이브진 호 형상 구조를 갖는 통상의 파형관(1,1') 한 쌍이 사용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튜브(2)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등으로 제조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튜브(2)의 내주면 양 끝단 부위에는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바 있는 밀봉부재(300,300')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밀봉부(3)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밀봉부(3)는 종래의 밀봉용 쐐기(320)와 동일한 형상 구조를 갖는 것으로, 다만, 종래 밀봉용 쐐기(320)가 별도 분리 제작되는 비해서 연결튜브(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고, 그 크기에 있어서도 종래 밀봉용 쐐기(320)에 비해서 원주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 제4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밀봉용 쐐기(320)가 대략 70㎜로 분리 제조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3)는 연결튜브(2)의 내주면에 120㎜ 크기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튜브(2)는 통상 수축율이 30%정도 되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상기 밀봉부(3)를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밀봉용 쐐기(320)에 비해서 밀봉면이 크게 확대되어 밀봉기능이 향상되는 잇점을 갖게 됨은 자명하다 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3)는 그 몸체가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으로 웨이브진 호 형상과 동일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파형관(1,1')의 외주면에 견고한 끼움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파형관(1,1')을 연결튜브92)에 끼워서 상호 연통되게 연결할 때, 상기 밀봉부(3)가 상기 연결튜브(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호 형상에 맞물려 나사식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파형관(1,1')과 연결튜브(2)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밀봉부(3)는 재질 자체가 연질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나사방식이 아닌 단순히 밀어넣어도 재질 특성상 용이하게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호 형상에 맞물려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튜브(2)는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튜브(2)의 길이방향으로 요홈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부(2a)는 후술하는 이음관(4)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요철부(4g)와 상호 작용을 통해 밀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음관(4)은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진 원통 형태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의 절개 선단에는 각각 체결부(4a,4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부(4a,4b)를 통해 볼트(4d)와 너트(4e)와 같은 조임기구의 결합으로 상호 체결하여 이음관(4)을 조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이음관(4)의 체결부(4a,4b)에는 이음관(4)의 길이방향으로 봉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4h)이 구비되고, 이 삽입공(4h)에는 볼트(4d)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을 갖는 체결봉(4f)이 각각 삽입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4a,4b)에는 상기 체결봉(4f)이 삽입된 삽입공(4h)과 수직한 방향으로 볼트(4d)와 너트(4e)와 같은 체결부재가 끼워져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음관(4)의 체결부(4a) 일측에는 밀폐커버부(4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밀폐커버부(4c)는 그 끝단이 뾰쪽한 상태에서 몸통 쪽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밀폐커버부(4c)는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제4실시예의 밀폐커버(500)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연결튜브(2)를 이음관(4)으로 감싼 후 체결부(4a,4b)의 볼트(4d) 및 너트(4e)의 조임 작업을 통해 연결 고정할 때,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커버부(4c)가 반대편 체결부(4b) 내측으로 파고드는 구조로 밀폐됨으로써, 기밀성과 방수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음관(4)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돌출된 요철부(4g)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4g)는 상기 이음관(4)이 연결튜브(2)를 감싸고 조임 고정될 때, 연결튜브(2)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부(2a) 쪽을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수축율이 대략 30%정도 되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연결튜브(2)가 압착됨에 따라 그 밀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련하여 연결작업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연결튜브(2)를 이음관(4) 내부에 배치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튜브(2)의 양쪽 개구 선단으로 한 쌍의 파형관(1,1')을 각각 끼워넣어 상호 연통된 체 맞대어지도록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튜브(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밀봉부(3)가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호 형상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나사 체결방식으로 파형관(1,1')이 연결튜브(2)에 끼움 체결되기 때문에, 종래 파형관(100,100')을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튜브(200)의 양쪽 개구 선단으로 해당 파형관(100,100')을 강제로 집어넣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도록 한 다음, 종래 기술에서 보여 준 바와 같은 각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밀봉부재(300,300')를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100')의 외주면 웨이브 진 틈새로 끼워넣는 작업이 필요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파형관(1,1')이 연결튜브(2)에 끼워지는 동시에 밀봉부(3)가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호 형상에 일치되게 끼워지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이 단축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파형관(1,1')이 연결튜브(2)에 상호 연통되게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튜브(2)를 감싸고 있는 이음관(4)의 체결부(4a,4b)를 통해 견고하게 조여주게 된다.
즉, 상기한 볼트(4d) 및 너트(4e)와 체결봉(4f)과 같은 조임기구를 매개로 이음관(4)의 체결부(4a,4b)를 체결하여 이음관(4)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조여서 상 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1')이 이음관(4)에 의해 조여져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밀폐커버부(4c)가 상기 연결튜브(2)를 감싸는 이음관(4)의 체결부(4a)에서 반대편 체결부(4a,4b) 내측으로 파고들면서 연결튜브(2)를 감싸는 이음관(4)의 체결부위 전체를 밀폐시키면서 감싸주기 때문에 기밀성 및 방수성을 높여 줌은 물론, 밀착력을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는, 파형관 측의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즉,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호 형상에 끼워지는 밀봉부(20)가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 형성된 호 형상에 동일한 높이로 끼워져 밀폐시키는 한편, 파형관(1,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연결튜브(2)가 밀봉부(3)에 위해서 파형관(1,1')에 외측에 나사식으로 씌울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밀봉부(3)는 연성재질의 합성고무재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튜브(2)가 파형관(1,1')의 외주면을 덮어 감싸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튜브(2)와 파형관(1,1') 사이의 공간부를 메워 주기 때문에 누수가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밀폐커버부(4c) 역시 이음관(4) 자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 별도 분리 제작되는 밀폐커버(500)가 갖고 있는 역할을 그대로 살릴 수 있으면서도 종래 밀폐커버(500)가 개별 분리됨에 따라 발생하는 구조적인 문제점 및 경제적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4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7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8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8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파형관 2 : 연결튜브
2a : 요홈부 3 : 밀봉부
4 : 이음관 4a,4b : 체결부
4c : 밀폐커버부 4d : 볼트
4e : 너트 4f : 체결봉
4g : 요철부 4h : 삽입공

Claims (2)

  1.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는 한 쌍의 파형관(1,1')을 감쌀 수 있는 연결튜브(2)와, 상기 파형관(1,1')을 감싸고 있는 연결튜브(2)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1')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음관(4)을 포함하되; 상기 이음관(4)은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진 원통 형태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의 절개 선단에는 각각 체결부(4a,4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부(4a,4b)를 통해 조임기구의 결합으로 상호 체결하여 조일 수 있는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2)의 내주면 양 끝단 부위에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호 형상과 맞물려 끼워질 수 있는 밀봉부(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음관(4)의 체결부(4a) 일측에는 밀폐커버부(4c)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4a,4b)를 통한 조임 작업시 상기 밀폐커버부(4c)가 반대편 체결부(4b) 내측으로 파고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2)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튜브(2)의 길이방향으로 요홈부(2a)가 형성되고,
    상기 이음관(4)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돌출된 요철부(4g)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KR1020070109291A 2007-10-30 2007-10-30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KR100926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291A KR100926528B1 (ko) 2007-10-30 2007-10-30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291A KR100926528B1 (ko) 2007-10-30 2007-10-30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645A true KR20090043645A (ko) 2009-05-07
KR100926528B1 KR100926528B1 (ko) 2009-11-12

Family

ID=4085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291A KR100926528B1 (ko) 2007-10-30 2007-10-30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5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9406A2 (en) * 2008-06-05 2009-12-10 Saro Sarkisyan Pipe coupling device
CN111059378A (zh) * 2019-12-25 2020-04-24 北京享云智汇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泵管道连接防泄露装置
CN115031063A (zh) * 2022-07-07 2022-09-09 吾乐思(广州)教育科技有限公司 多肋增强缠绕波纹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815B1 (ko) 2016-12-08 2019-01-14 주식회사 유진에스앤씨 지중케이블 수납관로 연결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676Y1 (ko) * 1986-08-27 1989-04-29 김상열 관 연결구
KR20050008349A (ko) * 2003-07-15 2005-01-21 홍승표 수밀 벨트
KR100638415B1 (ko) 2005-01-06 2006-10-24 이현미 연결 소켓의 팽창, 수축을 이용한 접속부 수밀구조를 가진나선 파형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9406A2 (en) * 2008-06-05 2009-12-10 Saro Sarkisyan Pipe coupling device
WO2009149406A3 (en) * 2008-06-05 2010-03-11 Saro Sarkisyan Pipe coupling device
CN111059378A (zh) * 2019-12-25 2020-04-24 北京享云智汇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泵管道连接防泄露装置
CN115031063A (zh) * 2022-07-07 2022-09-09 吾乐思(广州)教育科技有限公司 多肋增强缠绕波纹管
CN115031063B (zh) * 2022-07-07 2024-04-19 山东恒辉节能技术集团有限公司 多肋增强缠绕波纹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528B1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528B1 (ko)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KR100713243B1 (ko)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KR100920808B1 (ko) 실링 및 그 실링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소켓
KR102137111B1 (ko) 하수관 연결장치
KR102146010B1 (ko) 하수관 연결장치
KR200210137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100674497B1 (ko) 공동주택용 전선의 파형보호관 접속체결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398712Y1 (ko) 파형관 연결구조
KR20100089438A (ko) 삼중관 결합용 소켓
KR102121356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101040952B1 (ko) 송수관용 연결구조
KR20110042744A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1290689B1 (ko)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KR200234951Y1 (ko)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KR200157905Y1 (ko) 나선관 및 그 연결구조
KR200296553Y1 (ko) 광케이블 보호관의 맨홀인입용 고정구
KR200318948Y1 (ko) 나선형 관체 연결구
KR100719615B1 (ko) 이중벽관 연결장치 결합방법
KR20110000252U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JP2599480Y2 (ja) 波付管の管継ぎ手
KR102116101B1 (ko) 파형관 이음부재
KR200288621Y1 (ko) 파이프의 연결 장치
IT9022136U1 (it) Manicotto multiuso, in materiale flessibile, particolarmente adatto pe r la giunzione di tubi, per la protezione di cavi elettrici, telefonic i e sim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