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712Y1 - 파형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형관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8712Y1 KR200398712Y1 KR20-2005-0022735U KR20050022735U KR200398712Y1 KR 200398712 Y1 KR200398712 Y1 KR 200398712Y1 KR 20050022735 U KR20050022735 U KR 20050022735U KR 200398712 Y1 KR200398712 Y1 KR 2003987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rugated
- pipe
- corrugated pipe
- tube
- pai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결튜브(200)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이 요철 면처리되며,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이 이에 상응하게 요철 면처리되어,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과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이 상호 요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파형관 연결을 위한 별도의 작업공간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파형관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파형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파형관은, 전력용 케이블이나 통신용 케이블의 지중배전선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기본 물성이 우수한 것들이 개발되어 상수관이나 하수관 등으로도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파형관은 요·철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서 파형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폴리에틸렌이나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종래 파형관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연결튜브(200)에 끼워져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고,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감싸고 있는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 ; 100')의 요부(b) 사이의 틈새에 밀봉부재(300 ; 300')가 끼워지며, 이음관(400)이 연결튜브(200)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조여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튜브(200)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등으로 제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밀봉부재(300 ; 300')로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고무로 제조되어진 밀봉용 쐐기(310)를 적용하였다. 또한, 상기 이음관(400)은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진 원통형태의 본체(410)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410)의 절개 선단에는 각각 체결부(410a,410b)가 형성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이들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는 보울트(10)와 너트(20)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체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종래 방식의 파형관 연결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연결튜브(200)를 이음관(400) 내부에 배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튜브(200)의 양쪽 개구 선단으로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각각 끼워넣어서, 이들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밀봉용 쐐기(310,310')를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 ; 100')의 요부(b) 사이의 틈새로 끼워넣는다. 이후, 상기 보울트(10)와 너트(20)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를 체결하여, 이음관 본체(410)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조여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이음관 본체(410)에 의해 조여져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연결튜브(200)가 이음관(40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연결튜브(200)의 양쪽 개구 선단 외측에 배치시킨 후에, 연결튜브(200)에 개별적으로 끼워넣어야 하므로, 보다 확대된 작업공간을 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가 보울트(10)와 너트(20)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이음관(400)을 조여서 파형관(100,100')을 조여 고정하기 위해서는 보울트(10)와 너트(20)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다루어야 하고, 이들 보울트(10)나 너트(20)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체결기구도 다루어야 하므로, 이음관(400)을 연결하는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안이 제시되었는데, 이에 따르면, 상기 이음관(400)의 본체(410)가 길이방향을 따라 2분할되어서 상호 힌지(h) 연결되고, 제1본체(411)와 제2본체(412)의 자유단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임기구(420)가 보강 설치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조임기구(420)로는 제2본체(412)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걸림턱(421)과 ; 제1본체(411)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422a)와, 조임레버(42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턱(421)에 착탈가능하게 맞물리는 걸쇠(422b)로 이루어진 조임레버(422)로 구성되어진 것을 적용하였다.
도 3에 따른 종래 방식의 파형관 연결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연결튜브(200)의 양쪽 개구 선단으로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각각 끼워넣어서, 이들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도록 한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이음관(400)을 설치 위치에 배치시키되, 제1·2본체(411,412)를 벌려놓는다. 이후,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과, 이들 파형관(100,100')을 감싸고 있는 연결튜브(200)를 설치 위치로 이동시켜서, 제2본체(412)에 연결튜브(200)를 얹어놓는다. 이후, 상기 밀봉용 쐐기(310,310')를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 ; 100')의 요부(b) 사이의 틈새로 끼워넣는다. 이후, 상기 제2본체(412)에 안착된 연결튜브(200)를 제1본체(411)로 덮고, 조임레버(422)의 걸쇠(422b)를 잡아당겨서 걸림턱(421)에 걸어놓은 후, 손잡이(422a)를 회전시켜서 제1본체(411)와 제2본체(412)를 조여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이음관 본체(410)에 의해 조여져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음관 본체(410)가 제1본체(411)와 제2본체(412)로 2분할되어서 개폐가능하게 상호 힌지(h)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파형관(100,100') 연결을 위한 별도의 작업공간을 확보해야할 필요가 없게 된다.
더욱이, 2분할 되어진 이음관 본체(410)가 자체 구비된 조임기구(420)에 의해서 편리하게 착탈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파형관 연결작업이 상당히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종래 실시예도 역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실시예와 같이, 파형관(100,10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튜브(200)의 양쪽 개구 선단으로 해당 파형관(100,100')을 집어넣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서, 파형관 연결작업이 난이하게 된다.
또한, 이처럼 원통형의 연결튜브(200)를 이용하게 되면, 밀봉용 쐐기(310,310')를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 ; 100')의 요부(b) 사이의 틈새로 끼워넣는 작업 역시도 매우 어렵게 된다. 실제로, 이러한 문제로 인해서 밀봉용 쐐기(310,310')가 만족스럽게 끼워넣어지지 못하여, 밀봉용 쐐기(310,310')에 의한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밀봉용 쐐기(310,310')가 아예 빠져버리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처럼, 밀봉부재(300,300')에 의한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빗물이나 토사, 오물등의 이물질들이 요부(b)에 의한 통로를 따라서 외부로부터 파형관(100,100')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파형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파형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 쌍의 파형관이 연결튜브에 끼워져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고,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을 감싸고 있는 연결튜브와, 각각의 파형관의 요부 사이의 틈새에 밀봉부재가 끼워지며, 이음관이 연결튜브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을 조여서 고정하는 구조를 이루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진 원통형태의 이음관 본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2분할되어서 상호 힌지 연결되고, 제1본체와 제2본체의 자유단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임기구가 보강 설치되어진 파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연결튜브의 외면이 요철 면처리되며, 이음관 본체의 내면이 이에 상응하게 요철 면처리되어, 연결튜브의 외면과 이음관 본체의 내면이 상호 요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는,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연결튜브(200)에 끼워져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고,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감싸고 있는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 ; 100')의 요부(b) 사이의 틈새에 밀봉부재(300 ; 300')가 끼워지며, 이음관(400)이 연결튜브(200)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조여서 고정하는 구조를 이루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진 원통형태의 이음관 본체(410)가 길이방향을 따라 2분할되어서 상호 힌지(h) 연결되고, 제1본체(411)와 제2본체(412)의 자유단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임기구(420)가 보강 설치되며, 연결튜브(200)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이 요철 면처리되고,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이 이에 상응하게 요철 면처리되어,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과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이 상호 요철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이 적용되어진 상태에서의 파형관 연결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이음관(400)을 설치 위치에 배치시키되, 제1·2본체(411,412)를 벌려놓은 상태에서,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진 연결튜브(200)를 제1·2본체(411,412)의 내부에 배치시킨 후 펼쳐놓는다. 이후, 상기 펼쳐진 상태로 제2본체(412)에 안착되어진 연결튜브(200)에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끼워넣어서, 이들 파형관(100,100')이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파형관(100,100')의 요부(b)에 밀봉부재(300,300')를 끼워넣는다. 이후, 상기 연결튜브(200)의 펼쳐진 부분으로 파형관(100,100')을 감싸서, 연결튜브(200)가 파형관(100,100')과 이의 요부(b)에 끼워진 밀봉부재(300,300')를 완전하게 감싼다. 이후, 상기 제1본체(411)로 연결튜브(200)의 노출면을 덮고, 조임레버(422)의 걸쇠(422b)를 잡아당겨서 걸림턱(421)에 걸어놓은 후, 손잡이(422a)를 회전시켜서 제1본체(411)와 제2본체(412)를 조여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이음관 본체(410)에 의해 조여져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튜브(200)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진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연결튜브(200)를 이음관(400)의 본체(411,412) 내면에 끼워넣어서 펼쳐놓은 후, 파형관(100,100')과, 이의 요부(b)에 끼워지는 밀봉부재(300,300')를 연결튜브(200)에 얹어놓고서, 연결튜브(200)로 파형관(100,100')과 밀봉부재(300,300')를 감싸고, 이 연결튜브(200)를 이음관(400)으로 조여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파형관 연결작업이 단순하면서도 편리하게 되고, 파형관 연결을 위한 별도의 작업공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상기와 같이 연결튜브(200)의 한쪽 측면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하는 경우에는, 이음관(400)으로 연결튜브(200)를 조여서 고정할 때 연결튜브(200)가 외부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벌려지거나, 파형관 연결작업 완료 후에 연결튜브(200)가 파형관(100,100')에 밀착되어서 위치이동되어 벌려질 수 있지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을 요철 면처리하고,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을 이에 상응하게 요철 면처리해서,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과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이 상호 요철 결합되도록 하면, 연결튜브(200)와 이음관 본체(411,412) 간의 상호 요철결합에 의해서 연결튜브(200)가 위치이동되거나 벌려지는 일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용 쐐기(310)를 밀봉부재(300,300')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밀봉용 쐐기(310)는 파형관(100,100')의 요부(b)에 끼워넣더라도 고정성이 없어서, 작업자가 밀봉용 쐐기(310)를 잡고서 연결튜브(200)를 덮어씌워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와이어(321)와, 이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피복(322)으로 이루어진 밀봉용 바아(320)를 밀봉부재(300,300')로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는 손쉽게 해소된다. 참고로, 상기 밀봉용 바아(320)를 나선형으로 파형관(100,100')의 요부(b)로 끼워넣어서 파형관(100,10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면, 작업자가 밀봉용 바아(320)를 잡고 있지 않아도 밀봉용 바아(320)가 파형관(100,100')의 요부(b)에 끼워진 상태로 파형관(100,100')에 고정된다.
더욱이, 상기 밀봉용 바아(320)를 사용하게 되면, 밀봉용 쐐기(310)에 비해서 밀봉면이 크게 확대되어 밀봉기능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관 본체(411,412)에 이탈방지돌기(c)를 보강해서, 이탈방지돌기(c)가 파형관(100,100')의 요부(b)에 끼워지도록 하면, 파형관(100,100')의 철부(a)가 이탈방지돌기(c)에 걸쳐지게 되어, 파형관(100,100')의 축방향으로의 이탈이 만족스럽게 방지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본체(412)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걸림턱(421)과 ; 제1본체(411)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422a)와, 조임레버(42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턱(421)에 착탈가능하게 맞물리는 걸쇠(422b)로 이루어진 조임레버(422)로 구성된 것을 조임기구(420)로 적용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본체(411)와 제2본체(412)를 상호 착탈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는 공지의 어떤 것이라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튜브(200)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이 요철 면처리되며,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이 이에 상응하게 요철 면처리되어,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과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이 상호 요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파형관 연결을 위한 별도의 작업공간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파형관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응용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대한 대응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100' ; 파형관, 200 ; 연결튜브,
200a ; 연결튜브 외면, 300,300' ; 밀봉부재,
310 ; 밀봉용 쐐기, 320 ; 밀봉용 바아,
321 ; 금속와이어, 322 ; 피복,
400 ; 이음관, 410 ; 본체,
410a,410b ; 체결부, 411 ; 제1본체,
411a ; 제1본체 내면, 412 ; 제2본체,
412a ; 제2본체 내면, 420 ; 조임기구,
421 ; 걸림턱, 422 ; 조임레버,
422a ; 손잡이, 422b ; 걸쇠,
a ; 철부, b ; 요부,
c ; 이탈방지돌기, h ; 힌지.
Claims (3)
-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연결튜브(200)에 끼워져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고,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감싸고 있는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 ; 100')의 요부(b) 사이의 틈새에 밀봉부재(300 ; 300')가 끼워지며, 이음관(400)이 연결튜브(200)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조여서 고정하는 구조를 이루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진 원통형태의 이음관 본체(410)가 길이방향을 따라 2분할되어서 상호 힌지(h) 연결되고, 제1본체(411)와 제2본체(412)의 자유단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임기구(420)가 보강 설치되어진 파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상기 연결튜브(200)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이 요철 면처리되며,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이 이에 상응하게 요철 면처리되어,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과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이 상호 요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 본체(411,412)에 파형관(100,100')의 요부(b)에 끼워져서 철부(a)에 걸쳐지는 이탈방지돌기(c)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300,300')는 금속와이어(321)와, 이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피복(322)으로 이루어진 밀봉용 바아(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735U KR200398712Y1 (ko) | 2005-08-05 | 2005-08-05 | 파형관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735U KR200398712Y1 (ko) | 2005-08-05 | 2005-08-05 | 파형관 연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8712Y1 true KR200398712Y1 (ko) | 2005-10-14 |
Family
ID=4369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2735U KR200398712Y1 (ko) | 2005-08-05 | 2005-08-05 | 파형관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871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0123B1 (ko) | 2016-02-15 | 2017-01-26 | 주식회사성호철관 |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
KR20200055559A (ko) | 2018-11-13 | 2020-05-21 | 김성철 | 파형관 이음부재 |
-
2005
- 2005-08-05 KR KR20-2005-0022735U patent/KR20039871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0123B1 (ko) | 2016-02-15 | 2017-01-26 | 주식회사성호철관 |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
KR20200055559A (ko) | 2018-11-13 | 2020-05-21 | 김성철 | 파형관 이음부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14147C (en) | Single-bolt band clamp with gasketed center rib and pipe lap joint using the same | |
KR100696318B1 (ko) |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 |
JP5095627B2 (ja) | パイプ留め具 | |
JPH0742889A (ja) | 管継手及び付属ナット | |
US20090302601A1 (en) | Pipe coupling device | |
US8276947B2 (en) | Connecting piece comprising a gripping element on the outer surface for rotating the connecting piece | |
KR200398712Y1 (ko) | 파형관 연결구조 | |
NZ579974A (en) | Pipe clamp | |
JP2012031985A (ja) | 樹脂管の接続構造 | |
KR101689684B1 (ko) | 배관 연결용 클램핑 구조 | |
KR200477330Y1 (ko) | 배관 클램프 | |
KR100926528B1 (ko) |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 |
GB2201177A (en) | Clamp | |
KR20090011547A (ko) | 관 이음장치 | |
KR200210137Y1 (ko) |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 |
JP3285642B2 (ja) | 電力ケーブル接続部保護筒 | |
JPH082134B2 (ja) | 地中埋設される波付管の端末固定装置 | |
KR100751807B1 (ko) |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 |
KR20110042744A (ko) |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 |
KR102595044B1 (ko) | 범용 사용 가능한 파형관 연결용 멀티 이음관 | |
JP4837699B2 (ja) | 締付けバンド | |
JP2002106768A (ja) | 管の接続構造 | |
JP3556124B2 (ja) | ラセン管接続装置 | |
JP3821593B2 (ja) | リング拡張装置 | |
JP2514367Y2 (ja) | コルゲ―トチュ―ブ用接続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