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123B1 -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 Google Patents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123B1
KR101700123B1 KR1020160017190A KR20160017190A KR101700123B1 KR 101700123 B1 KR101700123 B1 KR 101700123B1 KR 1020160017190 A KR1020160017190 A KR 1020160017190A KR 20160017190 A KR20160017190 A KR 20160017190A KR 101700123 B1 KR101700123 B1 KR 101700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pipe
watertight
tube
di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탁
송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호철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호철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호철관
Priority to KR102016001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태의 길이방향으로 주름형태가 반복되는 나선형 딤플(11)이 형성된 한 쌍의 파형 강관(10); 상기 파형 강관(10) 각각의 단부 일부분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에 상기 파형 강관(10)의 원주방향으로 끼워지는 다수 개의 수밀부재(21); 상기 한 쌍의 파형 강관(10)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파형 강관(10)의 맞대어진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튜브(30); 및 상기 튜브(30)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한 쌍의 파형 강관(10)을 조여서 고정하는 체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수밀부재(21)는 상기 튜브(30)에 뚫어진 장공(31)을 따라 움직이며 나사 결합되고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장공(31)은 상기 나선형 딤플(11)의 원주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수밀부재(21)는 상기 파형 강관(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DIMPLE GASKETS FOR WATERTIGHT STRUCTURE OF THE SPIRAL CORRUGATED STEEL PIPE CONNECTIONS OF SEWAGE PIPE LINE}
본 발명은 파형 강관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어 오수 또는 생활하수 등의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파형 강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파형 강관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에 수밀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수밀부재가 끼워진 파형 강관의 겉면을 체결부로 체결함으로써, 파형 강관을 상호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파형 강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수밀부재가 장공을 따라 움직이며 나선형 딤플에 결합하는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수도는 오수나 생활하수 등의 유체를 배수하기 위하여 주름관 형태의 파형 강관(파형 강관)을 매설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파형 강관은 그 단면이 주름형태로 반복되는 구조로 제조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및 토압에 의한 충격을 역학적으로 분산시켜 파형 강관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파형 강관은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 공장에서 제조 후 이송과 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일정한 길이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다수 개의 파형 강관을 상호 연결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파형 강관을 연결하는 구조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712호에 파형관 연결구조가 개시되었다.
도 1은 상기 파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로, 그 구성은 한 쌍의 파형관(100, 100`)이 연결튜브(200)에 끼워져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고,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 100`)을 감싸고 있는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 100`)의 요부(b) 사이의 틈새에 밀봉부재(300, 300`)가 끼워지며, 이음관(400)이 연결튜브(200)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 100`)을 조여서 고정하는 구조를 이루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진 원통형태의 이음관 본체(410)가 길이방향을 따라 2분할되어서 상호 힌지(h) 연결되고, 제1본체(411)와 제2본체(412)의 자유단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임기구(420)가 보강 설치되어진 파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200)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이 요철 면처리되며, 이음관 본체(411, 412)의 내면(411a, 412a)이 이에 상응하게 요철 면처리되어,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과 이음관 본체(411, 412)의 내면 (411a, 412a)이 상호 요철 결합되며,
상기 밀봉부재(300, 300`)는 금속와이어(321)와, 이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피복(322)으로 이루어진 밀봉용 바아(3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파형관 연결구조는 파형관(100, 100`)의 요부(b) 사이의 틈새에 고리형태의 밀봉부재(300, 300`)를 끼어 넣되, 금속와이어(321)와 이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피복(322)으로 이루어진 밀봉용 바아(320)를 밀봉부재(300, 300`)로 사용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요부(b)에 끼워진 밀봉부재(300, 300`)가 끼워진 상태가 유지가 되어 작업자가 밀봉부재(300, 300`)를 잡고서 연결튜브(200)를 덮어씌워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파형관 연결구조는 파형관의 크기, 즉 지름이 큰 파형관에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파형관은 그 단면이 주름형태로 반복되는 구조, 즉 나선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형관의 지름이 커질수록 주름형태의 요부(b)가 파형 강관의 겉면을 한바퀴 돌게되면, 상기 요부(b)의 시작점과 끝점은 파형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점점 더 멀어지게 된다.
이에 고리형태의 밀봉부재(300, 300`)를 요부(b)에 끼워 넣어 파형 강관의 겉면을 감싸는 경우, 파형 강관의 직경이 커질수록 밀봉부재(300, 300`)의 시작점과 끝점이 멀어져, 상기 밀봉부재(300, 300`)를 감싸는 연결튜브(200) 및 이음관(400)의 길이 또한 증가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자재비가 증가되고, 연결튜브(200) 및 이음관(400)의 폭을 파형관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각각 제조해야 하므로,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712(2005.10.0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나선형 딤플을 갖는 파형 강관의 끝단에 파형 강관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의 수밀부재가 끼워짐으로써, 파형 강관 연결시 수밀성 및 기밀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파형 강관의 나선형 딤플의 형태와 관계없이, 수밀부재 다수 개가 파형 강관 끝단에 파형 강관의 원주 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파형 강관 연결시 상기 파형 강관의 일부를 감싸는 튜브 및 체결부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수밀부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을 형성하고 파형 강관의 나선형 딤플에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게 한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수밀부재가 장공을 따라 이동하여 나선형 딤플에 고정되면 수밀부재를 나사 결합하고 용접하여 고정하는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나선형 딤플의 크기에 맞는 수밀부재를 선택 사용하는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는, 원통형태의 길이방향으로 주름형태가 반복되는 나선형 딤플(11)이 형성된 한 쌍의 파형 강관(10); 상기 파형 강관(10) 각각의 단부 일부분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에 상기 파형 강관(10)의 원주방향으로 끼워지는 다수 개의 수밀부재(21); 상기 한 쌍의 파형 강관(10)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파형 강관(10)의 맞대어진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튜브(30); 및 상기 튜브(30)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한 쌍의 파형 강관(10)을 조여서 고정하는 체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수밀부재(21)는 상기 튜브(30)에 뚫어진 장공(31)을 따라 움직이며 나사 결합되고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장공(31)은 상기 나선형 딤플(11)의 원주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수밀부재(21)는 상기 파형 강관(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튜브(30)의 내측에 상기 파형 강관(10) 각각의 단부 일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수밀부(2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수밀부(20)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수밀부재(21)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선형 딤플을 갖는 파형 강관의 끝단에 파형 강관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의 수밀부재가 끼워짐으로써, 파형 강관 연결시 수밀성 및 기밀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형 강관의 나선형 딤플의 형태와 관계없이, 수밀부재 다수 개가 파형 강관 끝단에 파형 강관의 원주 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파형 강관 연결시 상기 파형 강관의 일부를 감싸는 튜브 및 체결부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 운반 및 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밀부재가 장공을 따라 이동하여 나선형 딤플에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나선형 딤플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파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부재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와 수밀부재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밀부재가 장공에 나사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장공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오수 또는 생활하수 등의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파형 강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파형 강관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에 수밀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수밀부재가 끼워진 파형 강관의 겉면을 튜브 및 체결부로 감싸도록 체결함으로써, 파형 강관을 상호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파형 강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는 지중에 매설되어 오수 또는 생활하수 등의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파형 강관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되, 기밀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운반 및 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하며, 불필요한 자재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파형 강관(10), 수밀부(20), 튜브(30) 및 체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형 강관(10)은 지중에 매설되어 오수 또는 생활하수 등의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그 단면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형태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충격 및 토압이 역학적으로 분산되어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파형 강관(10)은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주름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형 강관(10)은 합성수지, 금속, 수지코팅금속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 다수의 소재를 여러 층으로 구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형 강관(10)은 다수의 소재가 여러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파형 강관의 내부에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판을 감싸도록 파형 강관(10)의 외부는 탄력이 있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이때, 지중에 매설되는 파형 강관(10)의 겉면에 형성된 주름형태의 나선형 딤플(11)은 파형 강관(10)의 단면을 절단하였을 경우, 상기 절단면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의 개수는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형 강관(10)의 절단면에 나선형 딤플(11)이 4개 형성되거나 또는 6개 또는 7개 또는 9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파형 강관(10)을 제조함에 있어, 파형 강관(1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도록 기울어진 형태의 나선형 딤플(11)의 기울기를 달리 제조함으로써, 파형 강관(10)의 절단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딤플(11)의 개수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나선형 딤플(11)은 파형 강관(10)의 크기, 즉 파형 강관(10)의 직경에 따라 그 개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300mm인 파형 강관(10)을 제조하는 경우, 그 단면을 보면 4개의 나선형 딤플(1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직경이 1500mm인 파형 강관(10)을 제조하는 경우, 직경 300mm인 파형 강관(10)의 절단면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의 개수와 동일한 4개의 나선형 딤플(11)이 형성되면, 파형 강관(1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도록 기울어진 형태의 나선형 딤플(11)의 기울기가 파형 강관(10)의 길이방향과 수직상태로 가까워지는 형태, 즉 나선형 딤플(11)의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형태로 되어 토압에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직경이 큰 파형 강관(10)을 제조하는 경우는, 파형 강관(10)의 절단면에 나선형 딤플(11)이 7개 또는 9개 등으로 형성되도록 제조함으로써, 파형 강관(10)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밀부(20)는 파형 강관(10)의 선단부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파형 강관(10)의 겉면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에 끼워져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수밀부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수밀부(20)는 섬유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파형 강관(10)의 겉면을 감싸는 경우, 용이하게 감쌀 수 있다.
이때, 수밀부(20)의 양 끝단은 파형 강관(10)을 감싼 후 상호 결합되도록, 결합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벨크로 타입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자석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밀부(20)는 파형 강관(10)의 겉면을 감싼 후, 후술되는 튜브(30)가 상기 수밀부(20)의 겉면을 감싸기 전에도 수밀부(20)가 파형 강관(10)을 견고하게 감싼 채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수밀부(20)는 PP 또는 PE 재질로 이루질 수 있으며, 이에 가볍고 뛰어난 유연성으로, 취급이 용이하여, 파형 강관(10)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수밀부재(21)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파형 강관(10)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섬유 재질의 수밀부(20)에 결합되어 상기 수밀부(20)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밀부(20)가 파형 강관(10)의 겉면을 감싸는 경우, 파형 강관(10)의 겉면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수밀부재(21)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강관(10)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나선형 딤플(11)의 틈을 차단하여 수밀성 및 기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수밀부재(21)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부(2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결합되되, 나선형 딤플(11)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형 강관(10)의 절단면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수밀부(20)에 결합된 수밀부재(21) 또한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나선형 형태로 이루어진 나선형 딤플(11)에 각각 수밀부재(21)가 끼워짐으로써, 파형 강관(10)의 겉면을 감싸는 수밀부(20)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한 나선형 딤플(11) 각각에 수밀부재(21)가 끼워짐으로써, 수밀성 및 기밀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수밀부재(21)는 튜브(30)에 뚫어진 장공(31)을 따라 움직이며 나사 결합되고 용접되어 고정되고, 장공(31)은 나선형 딤플(11)의 원주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수밀부재(21)는 장공(31)을 따라 움직일 수 있어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나선형 딤플(11)에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수밀부재(21)는 나사 결합으로 단단히 고정되고 용접되어 완전히 튜브(30)에 고정된다. 장공(3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딤플(11)의 원주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밀부재(21)가 이동하여 나선형 딤플(11)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수밀부재(21)를 장공(31)에 결합한 다음 바깥으로 인장하여 고정한 다음 용접될 수 있다. 수밀부재(21)가 파형 강관(10)에 단단히 고정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수밀부재(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강관(10)의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00mm 직경으로 이루어진 파형 강관(10)에는 도 5(b)에 도시된 수밀부재(21)가 사용될 수 있으며, 1500mm 직경으로 이루어진 파형 강관(10)에는 도 5(a)에 도시된 수밀부재(21)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5(a)에 도시된 수밀부재(21)는 직경이 큰 파형 강관(10)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직경이 큰 파형 강관(10)은 외경 또한 크기 때문에 수밀부재(21)의 길이가 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수밀부재(21)는 직경이 작은 파형 강관(10)은 외경 또한 작기 때문에 수밀부재(21)의 길이가 작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30)는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 강관(10) 각각에 설치된 수밀부(20)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튜브(3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져, 파형 강관(10)과 상기 파형 강관(10)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수밀부(20)의 겉면을 용이하게 감싸도록 구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튜브(3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취급이 용이하여, 현장에서 한 쌍의 파형 강관(10)을 맞대어지도록 놓은 다음 파형 강관(10) 각각의 끝 단에 원주 방향으로 수밀부(20)로 감싼 후, 그 겉면을 튜브(30)로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체결부(40)는 튜브(30)의 겉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일측이 절개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 체결부(40)의 양 끝단에는 각각 체결공(4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공(41)을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조임기구의 결합으로 상호 체결하여 체결부(40)를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부(40)의 체결에 의해 파형 강관(10)의 겉면에 설치되는 수밀부(20) 및 튜브(30)를 조이게 됨으로써,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켜, 나선형 딤플(11)을 통해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파형 강관(10)을 설치 위치에 배치한 후, 파형 강관(10) 각각의 일측단에서 타측단 방향으로 약 5 ~ 20cm 정도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에 수밀부재(21)가 파형 강관(10)의 원주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수밀부(20)로 감싼다. 이때, 수밀부재(21)가 튜브(30)의 장공(31)을 따라 움직이며 나선형 딤플(11)에 끼워진다. 수밀부재(21)는 나사 결합되고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후, 상기 한 쌍의 파형 강관(10) 각각에 설치된 수밀부(20)와 파형 강관(10)의 겉면을 감싸도록 튜브(30)로 감싼 다음 튜브(30)의 겉면을 감싸도록 체결부(40)를 위치시켜 체결함으로써, 수밀부(20)와 튜브(30)를 완전하게 감싸게 된다. 이후, 체결공(41)에 볼트는 삽입하고 너트와 체결하면, 수밀부(20), 튜브(30) 및 체결부(40)가 한 쌍의 파형 강관(10)을 조이게 되므로, 파형 강관(10)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되,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되어 파형 강관(10) 내부로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한 쌍의 파형 강관(10)이 맞대어지는 부분의 지면을 터파기하면, 파형 강관(10)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수밀부(20), 튜브(30) 및 체결부(40)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의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는 나선형 딤플(11)에 파형 강관(10)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의 수밀부재(21)가 끼워짐으로써, 파형 강관(10) 연결시 수밀성 및 기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형 강관(10)의 나선형 딤플(11)의 형태와 관계없이, 수밀부재(21) 다수 개가 파형 강관(10)의 원주 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파형 강관(10) 연결시 상기 파형 강관(10)의 일부를 감싸는 튜브(30) 및 체결부(40)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 운반 및 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의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와 수밀부재가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의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는 지중에 매설되어 오수 또는 생활하수 등의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파형 강관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되, 기밀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운반 및 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하며, 불필요한 자재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파형 강관(10), 수밀부재(21)가 결합된 튜브(30) 및 체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튜브(30)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 쌍의 파형 강관(10)을 상호 연결시 한 쌍의 파형 강관(10)의 끝단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파형 강관(10)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파형 강관(10)의 겉면에 접촉되는 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수밀부재(21)가 다수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밀부재(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강관(10)을 감싸는 튜브(30)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이루어지되, 한 쌍의 배열로 이루어져, 튜브(30)가 한 쌍의 파형 강관을 감싸는 경우, 하나의 배열로 형성된 수밀부재(21)는 하나의 파형 강관(10)의 겉면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에 끼워지고, 다른 하나의 배열로 형성된 수밀부재(21)는 다른 하나의 파형 강관(10)의 겉면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에 끼워짐으로써, 파형 강관(10)을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수밀부재(21)는 튜브(30)의 장공(31)을 따라 움직이며 파형 강관(10)의 나선형 딤플(11)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 파형 강관(10)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한 쌍의 파형 강관(10)을 배치한 후, 그 겉면에 튜브(30) 및 체결부(40)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밀부재가 장공에 나사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밀부재(21)가 장공(31)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됨을 보인다. 수밀부재(21)는 장공(31)을 따라 움직이지만 나사 결합되면 튜브(30)에 단단히 고정된다.
수밀부재(21)는 나사 결합이 용이하도록 돌출부를 가진다. 돌출부는 튜브(30) 두께만큼 더 돌출되어 나사가 결합할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킨다.
도 9은 장공과 수밀부재를 보인 예시도이다.
장공(31)이 나선형 딤플(11)을 따라 형성된 것과 수직으로 형성된 것 및 둘이 결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선형 딤플(11)을 따라 형성된 장공(31)은 수밀부재(21)가 나선형 딤플(11)을 따라 움직이고, 수직으로 형성된 장공(31)은 수밀부재(21)가 나선형 딤플(11)에 결합되어 피치 이동하고, 둘이 결합된 장공(31)은 수밀부재(21)의 결합 위치에 따라 나선형 딤플(11) 이동과 수직 피치 이동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파형 강관 11: 나선형 딤플
20: 수밀부 21: 수밀부재
30: 튜브 31: 장공
40: 체결부재 41: 체결공

Claims (5)

  1. 원통형태의 길이방향으로 주름형태가 반복되는 나선형 딤플(11)이 형성된 한 쌍의 파형 강관(10);
    상기 파형 강관(10) 각각의 단부 일부분에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에 상기 파형 강관(10)의 원주방향으로 끼워지는 다수 개의 수밀부재(21);
    상기 한 쌍의 파형 강관(10)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파형 강관(10)의 맞대어진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튜브(30); 및
    상기 튜브(30)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한 쌍의 파형 강관(10)을 조여서 고정하는 체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수밀부재(21)는 상기 튜브(30)에 뚫어진 장공(31)을 따라 움직이며 나사 결합되고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장공(31)은 상기 나선형 딤플(11)의 원주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수밀부재(21)는 상기 파형 강관(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 딤플(1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30)의 내측에 상기 파형 강관(10) 각각의 단부 일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수밀부(2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수밀부(20)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수밀부재(2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21)는
    상기 수밀부(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수밀부재(21)는 상기 튜브(30)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단부 일부분에 각각 한 쌍의 열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튜브(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KR1020160017190A 2016-02-15 2016-02-15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KR101700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190A KR101700123B1 (ko) 2016-02-15 2016-02-15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190A KR101700123B1 (ko) 2016-02-15 2016-02-15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123B1 true KR101700123B1 (ko) 2017-01-26

Family

ID=5799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190A KR101700123B1 (ko) 2016-02-15 2016-02-15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1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7395U (ko) * 1987-10-26 1989-04-28
KR200398712Y1 (ko) 2005-08-05 2005-10-14 오훈 파형관 연결구조
KR20090012635A (ko) * 2007-07-31 2009-02-04 김동응 합성수지 파형관의 연결구
KR20120043333A (ko) * 2010-10-26 2012-05-04 정문식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7395U (ko) * 1987-10-26 1989-04-28
KR200398712Y1 (ko) 2005-08-05 2005-10-14 오훈 파형관 연결구조
KR20090012635A (ko) * 2007-07-31 2009-02-04 김동응 합성수지 파형관의 연결구
KR20120043333A (ko) * 2010-10-26 2012-05-04 정문식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3194T5 (es) Manguera a presión para un sistema conductor de agua, especialmente para la conexión de equipos sanitarios móviles o para unir piezas del sistema conductor de agua
US8801049B2 (en) Pipe coupling system and method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716062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1431591B1 (ko) 파형 강관의 연결장치
KR101700123B1 (ko)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2044690B1 (ko) 파형강관의 이음부 연결구조
KR100532193B1 (ko)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0234898B1 (ko) 연결수단이 구비된 합성수지 나선관
KR100937943B1 (ko) 전선용 나선형 파형관 이음장치
KR101903474B1 (ko)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101557645B1 (ko)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
KR101935852B1 (ko)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KR100550294B1 (ko) 하수도용 신축관
KR200157905Y1 (ko) 나선관 및 그 연결구조
JP3556895B2 (ja) 埋設管の性能向上が可能な更生工法
KR20190045632A (ko) 하수관 연결구
KR20190001994A (ko)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KR200443541Y1 (ko) 가변형 관이음 장치
KR20040052722A (ko) 경사진 플랜지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접속장치
JP4776461B2 (ja) マンホール用可撓継手およびそこに用いられる止水ゴム構体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489471Y1 (ko)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