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852B1 -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852B1
KR101935852B1 KR1020180052122A KR20180052122A KR101935852B1 KR 101935852 B1 KR101935852 B1 KR 101935852B1 KR 1020180052122 A KR1020180052122 A KR 1020180052122A KR 20180052122 A KR20180052122 A KR 20180052122A KR 101935852 B1 KR101935852 B1 KR 101935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leeve
clamping
pipe
hume pip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호
이병재
Original Assignee
이명호
이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호, 이병재 filed Critical 이명호
Priority to KR102018005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PCT/KR2019/000225 priority patent/WO2019212120A1/ko
Publication of KR101935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9/00Connecting arrangements, e.g.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ipes of brittle material, e.g. glass, earthenware
    • F16L49/02Joints with a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흄관의 이음부를 둘러싸는 탄성슬리브의 구조개선을 통해 수밀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으며 흄관의 이음부를 둘러싸는 탄성슬리브의 단부연결과 탄성슬리브의 양측 둘레를 조이는 클램핑밴드의 클램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는, 일측에 확관부가 형성된 흄관의 이음부 둘레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에 있어서,상기 흄관의 이음부 둘레를 둘러싸도록 양단부가 연접되는 탄성슬리브와, 상기 탄성슬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단부마감부재와, 상기 단부마감부재를 서로 연결고정하는 단부연결부재와, 상기 단부연결부재에 의한 상기 단부마감부재의 연결고정에 의해 상기 흄관의 이음부 둘레에 설치된 탄성슬리브의 양측 둘레에 설치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조이는 클램핑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흄관용 밀폐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HUME PIPES WATER-TIGHTLY}
본 발명은 관부재용 밀폐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흄관을 이음부의 누수없이 연결하기 위한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관은 가정이나 건물 등에서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배관과, 가정이나 건물 등으로부터 사용된 후 배출되는 오수 또는 우수를 정화하여 하천으로 방류하는 종말처리장으로 보내기 위한 배관으로, 주로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로 제조되어 지중에 매설된다.
이러한 상하수관은 주로 철근을 원통 바구니 또는 원통형으로 조립한 것을 철제의 틀에 넣고,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성형한 흄관으로 이루어진다.
흄관은 유연성이 전혀 없는 강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음부의 누수방지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흄관의 이음부 둘레에는 흄관을 누수없이 수밀적으로 연결하는 흄관용 밀폐연결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93380호(2016.08.08. 공개)에는 제 1 직관부의 단부에 제 1 확관부가 구비되고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제 1 상하수관을 제 2 직관부의 단부에 제 2 확관부가 구비되고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제 2 상하수관을 상기 제 1 직관부를 상기 제 2 확관부로 삽입하여 연결하는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이며, 상기 제 1 직관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확관부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실링용 링부재와, 상기 제 1 직관부의 단부 측 일부분과 상기 제 2 확관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실링 커버튜브부재와, 상기 실링 커버튜브부재의 양 단부 측을 각각 감싸는 튜브 고정밴드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35209호(2017.03.30. 공개)에는 제 1 하수관과 제 2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지고 절개부위의 양단부를 인접 또는 분리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를 구속하여 상기 제1하수관과 상기 제2하수관 사이의 연결부위로부터 하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부와, 상기 개폐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폐부의 양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소켓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6-0004207호(2016.12.07. 공개)에는 일측 콘크리트 하수관의 소켓부에 타측 콘크리트 하수관의 일자부가 삽입연결되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에 있어서,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를 누수방지 연결구에 의하여 상기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를 밀착되게 감싸되 누수방지 연결구의 형상이 하수관 소켓 조인트부와 동일하게 하는 한편, 누수방지 연결구의 종방향 절개부와, 양 단부 내측 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원주방향의 누수방지돌출부와, 그리고 그 양 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의 탄성밴드 안착 돌출부가 누수방지 연결구에 하나로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의 경우에는 흄관의 이음부를 둘러싸는 탄성슬리브의 양측 둘레를 클램핑하는 구조로만 형성되어 수밀성능이 저하됨은 물론 흄관의 이음부를 둘러싸도록 탄성슬리브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탄성슬리브의 양측 둘레를 조이는 클램핑밴드의 클램핑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93380호(2016.08.08. 공개)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35209호(2017.03.30. 공개) 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6-0004207호(2016.12.0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흄관의 이음부를 둘러싸는 탄성슬리브의 구조개선을 통해 수밀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흄관용 밀폐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흄관의 이음부를 둘러싸는 탄성슬리브의 단부연결과 탄성슬리브의 양측 둘레를 조이는 클램핑밴드의 클램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흄관용 밀폐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일측에 확관부가 형성된 흄관의 이음부 둘레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흄관의 이음부 둘레를 둘러싸도록 양단부가 연접되는 탄성슬리브와, 상기 탄성슬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단부마감부재와, 상기 단부마감부재를 서로 연결고정하는 단부연결부재와, 상기 단부연결부재에 의한 상기 단부마감부재의 연결고정에 의해 상기 흄관의 이음부 둘레에 설치된 탄성슬리브의 양측 둘레에 설치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조이는 클램핑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용 밀폐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슬리브는 고무재질로만 형성되거나 또는 폴리우레탄층, 편물층 및 고무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 적층구조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슬리브의 내측면에는 링형 요철돌기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슬리브의 내측면에는 링형 패킹돌기가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슬리브는 중앙부가 반경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부마감부재는 상기 탄성슬리브의 양단부의 내,외측면에 각각 덧대어지는 내,외측금속편과, 상기 내,외측금속편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부연결부재는 상기 탄성슬리브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단부마감부재의 체결볼트에 양측이 각각 관통결합되는 연결걸쇠편과, 상기 단부마감부재의 체결볼트의 단부에 각각 체결고정되는 제 2 체결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클램핑밴드는 상기 탄성슬리브의 양측 둘레를 둘러싸는 금속밴드부재와, 상기 금속밴드부재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부와, 상기 금속밴드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금속밴드부재의 일단부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부가 결합되면서 상기 소켓부에 의해 상부가 둘러싸여지는 플러그부와, 상기 소켓부에 구비되는 클램핑너트부와, 상기 플러그부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클램핑너트부에 체결가능한 클램핑볼트부를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에 의하면, 흄관의 이음부를 둘러싸는 탄성슬리브의 내측면에 링형 요철돌기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거나 링형 패킹돌기가 돌출형성됨에 따라 수밀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에 의하면, 탄성슬리브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단부마감부재를 단부연결부재로 연결고정하기만 하면 탄성슬리브가 흄관의 이음부를 둘러싸도록 탄성슬리브의 단부가 용이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에 의하면, 금속밴드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플러그부를 금속밴드부재의 일단부 상에 안착시킨 후, 플러그부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소켓부를 금속밴드부재의 일단부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플러그부에 나사결합된 클램핑볼트부를 회전시켜 소켓부에 구비된 클램핑너트부 내로 나사결합시키만 하면 클램핑밴드의 클램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에 있어서, 탄성슬리브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에 있어서, 단부마감부재 및 단부연결부재의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에 있어서, 클램핑밴드의 체결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하수도관으로 사용되는 흄관(3)의 이음부 둘레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1)에 의해 수밀적으로 연결되는 흄관(3)은 일측에 확관부(5)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재질의 원형 관 형상을 가진다. 흄관(3)의 이음부는 흄관(3)의 확관부(5) 내로 다른 흄관(3)의 타측이 삽입되는 부위에 해당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1)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흄관(3)의 이음부 둘레를 둘러싸도록 양단부가 연접되는 탄성슬리브(10)와,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단부마감부재(20)와, 단부마감부재(20)를 서로 연결고정하는 단부연결부재(30)와, 단부연결부재(30)에 의한 상기 단부마감부재(20)의 연결고정에 의해 흄관(3)의 이음부 둘레에 설치된 탄성슬리브(10)의 양측 둘레에 설치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조이는 클램핑밴드(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슬리브(10)는 흄관(3)의 확관부(5) 내로 다른 흄관(3)의 타측이 삽입된 흄관(3)의 이음부 둘레를 수밀적으로 둘러싸면서 연결하는 관형 연결부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 3에는 이러한 탄성슬리브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된다.
탄성슬리브(1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무재질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방수를 위한 폴리우레탄층(11)과, 편물층(13)과, 통상의 고무층(15)으로 이루어지는 3층 적층구조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편물층(13)은 탄성슬리브(10) 내에서 보강심재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폴리우레탄층(11)과 고무층(15)을 일체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슬리브(10)의 내측면에는 링형 요철돌기(17)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링형 요철돌기(17)는 흄관(3)의 이음부 둘레에 밀착됨에 따라 누수를 다단으로 방지하는 일종의 패킹돌기의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슬리브(10)의 내측면에는 링형 패킹돌기(19)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링형 패킹돌기(19)는 링형 요철돌기(17)와 마찬가지로 흄관(3)의 이음부 둘레에 밀착됨에 따라 누수를 방지하는 일종의 패킹돌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반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 다양한 형태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성슬리브(10)는 흄관(3)의 이음부를 둘러싸기에 적합하도록 양단부는 일자형 관 형상을 가지되 중앙부는 반경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소경부와 대경부가 확관부에 의해 단차지게 연결되는 형태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에는 단부마감부재(20)가 각각 연결된다. 단부마감부재(20)는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되는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가 용이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도 4에는 이러한 탄성슬리브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된다.
단부마감부재(2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의 내,외측면에 각각 덧대어지는 내,외측금속편(21, 23)과, 내,외측금속편(21, 23)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5)와, 체결볼트(25)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너트(27)를 포함한다.
내,외측금속편(21, 23)은 서로 연접고정될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의 형상을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성슬리브(10)의 일측단부의 횡단면과 유사하게 양단부는 일자형 판 형상을 가지되 중앙부는 탄성슬리브(10)의 중앙부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양단부는 높이가 다른 일자형 판을 가지되 중앙부는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판으로 형성되는 단차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내,외측금속편(21, 23)은 그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와 함께 3층의 적층구조체를 형성한다.
체결볼트(25)는 탄성슬리브(10)의 내측에서 내측금속편(21),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 및 외측금속편(23)을 관통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 1 체결너트(27)는 탄성슬리브(10)의 외측에서 체결볼트(25)의 돌출단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체결볼트(25)와 함께 내,외측금속편(21, 23)을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의 내,외측에 체결고정시킨다.
전술한 단부마감부재(20)는 단부연결부재(30)에 의해 서로 연결고정된다. 단부연결부재(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연접되는 단부마감부재(20)에 걸쳐져 흄관(3)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열되되 양측이 단부마감부재(20)의 체결볼트(25)에 각각 관통결합되는 연결걸쇠편(31)과, 연결걸쇠편(31)의 양측이 관통결합된 단부마감부재(20)의 체결볼트(25)의 단부에 각각 체결고정되는 제 2 체결너트(33)를 포함한다.
이 때 체결볼트(25) 중에서 단부연결부재(30)가 설치되는 체결볼트(25)는 제 2 체결너트(33)에 의한 연결걸쇠편(31)의 설치를 위해 다른 체결볼트(25) 보다 더 긴 길이로 돌출된다.
연결걸쇠편(31)의 양측에는 체결볼트(25)로의 관통을 위한 통공이 형성되되, 일측에 형성된 통공은 원형공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통공은 타원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체결너트(33)는 연결걸쇠편(31)의 양측이 관통결합된 단부마감부재(20)의 체결볼트(25)의 단부에 1개가 아니라 2개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단부연결부재(30)에 의한 상기 단부마감부재(20)의 연결고정에 의해 흄관(3)의 이음부 둘레에 설치된 탄성슬리브(10)의 양측 둘레에는 클램핑밴드(40)가 설치된다.
클램핑밴드(40)는 흄관(3)의 이음부 둘레에 설치된 탄성슬리브(10)의 양측 둘레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조여 흄관(3)의 이음부 둘레에 탄성슬리브(1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5에는 이러한 클램핑밴드의 체결구조도가 도시된다.
클램핑밴드(4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슬리브(10)의 양측 둘레를 둘러싸는 금속밴드부재(41)와, 금속밴드부재(41)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부(43)와, 금속밴드부재(41)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금속밴드부재(41)의 일단부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소켓부(43)가 상부에서 결합되면서 소켓부(43)에 의해 상부가 둘러싸여지는 플러그부(45)와, 소켓부(43)에 구비되는 클램핑너트부(47)와, 플러그부(45)에 나사결합되고 클램핑너트부(47)에 체결가능한 클램핑볼트부(49)를 포함한다.
금속밴드부재(41)는 탄성슬리브(10)의 양측 둘레를 둘러싸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띠 형상을 형성되되, 중앙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반원형 띠부재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켓부(4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밴드부재(41)의 일단부에는 플러그부(45)의 하부면이 지지되는 수평지지판이 구비되고, 이 수평지지판에는 소켓부(43)의 결합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소켓부(43)는 플러그부(45)의 하부면이 지지되는 수평지지판 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러그부(45)의 상부를 둘러싸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자형 횡단면을 가지는 지지대 형상을 가진다. 소켓부(43)의 하측에는 금속밴드부재(41)의 수평지지판에 대응되는 슬릿이 형성됨에 따라, 수평지지판의 관통공 내로 삽입된 후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슬릿이 금속밴드부재(41)의 수평지지판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반대공정을 통해 분리된다. 또한 소켓부(43)의 상측에는 암나사공 형태의 클램핑너트부(47)가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밴드부재(43)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플러그부(45)를 금속밴드부재(41)의 일단부 상에 안착시킨 후, 플러그부(45)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소켓부(43)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플러그부(45)에 나사결합된 클램핑볼트부(49)를 회전시켜 소켓부(43)에 구비된 클램핑너트부(47) 내로 나사결합시킴에 따라 탄성슬리브(10)의 양측 둘레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조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흄관용 밀폐연결장치(1)의 경우에는 흄관(3)의 확관부(5) 내로 다른 흄관(3)의 타측이 삽입된 흄관(3)의 이음부 둘레에 단부마감부재(20)가 양단부에 결합된 탄성슬리브(10)로 둘러싼 후, 단부연결부재(30)로 서로 인접된 단부마감부재(20)를 연결고정한 다음, 클램핑밴드(40)로 탄성슬리브(10)의 양측 둘레를 조여 고정하기만 하면, 흄관(3)의 수밀 연결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흄관(3)의 이음부를 둘러싸는 탄성슬리브(10)의 내측면에 링형 요철돌기(17)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링형 패킹돌기(19)가 이격되어 돌출형성됨에 따라 링형 요철돌기(17) 또는 링형 패킹돌기(19)가 흄관(3)의 이음부 둘레가 가압밀착되면서 수밀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단부마감부재(20)를 단부연결부재(30)로 연결고정하기만 하면, 탄성슬리브(10)가 흄관(3)의 이음부를 둘러싸도록 탄성슬리브(10)의 단부가 용이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으며, 금속밴드부재(43)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플러그부(45)를 금속밴드부재(41)의 일단부 상에 안착시킨 후, 플러그부(45)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소켓부(43)를 금속밴드부재(41)의 일단부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플러그부(45)에 나사결합된 클램핑볼트부(49)를 회전시켜 소켓부(43)에 구비된 클램핑너트부(47) 내로 나사결합시키기만 하면 클램핑밴드(40)의 클램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3 : 흄관
5 : 확관부
10 : 탄성슬리브
11 : 폴리우레탄층
13 : 편물층
15 : 고무층
17 : 링형 요철돌기
19 : 링형 패킹돌기
20 : 단부마감부재
21 : 내측금속편
23 : 외측금속편
25 : 체결볼트
27 : 제 1 체결너트
30 : 단부연결부재
31 : 연결걸쇠편
33 : 제 2 체결너트
40 : 클램핑밴드
41 : 금속밴드부재
43 : 소켓부
45 : 플러그부
47 : 클램핑너트부
47 : 클램핑볼트부

Claims (8)

  1. 일측에 확관부(5)가 형성된 흄관(3)의 이음부 둘레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흄관용 밀폐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흄관(3)의 이음부 둘레를 둘러싸도록 양단부가 연접되고, 폴리우레탄층(11), 편물층(13) 및 고무층(15)으로 이루어지는 3층 적층구조체로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링형 요철돌기(17)가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흄관 이음부 둘레에 밀착되어 수밀성을 높이는 패킹역할을 하는 반원형의 링형 패킹돌기(19)가 돌출형성되는 탄성슬리브(10);
    상기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양측 단부는 평탄부를 이루고 중앙부는 반경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단부마감부재(20);
    상기 단부마감부재(20)를 서로 연결고정하는 단부연결부재(30); 및
    상기 단부연결부재(30)에 의한 상기 단부마감부재(20)의 연결고정에 의해 상기 흄관(3)의 이음부 둘레에 설치된 탄성슬리브(10)의 양측 둘레에 설치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조이는 클램핑밴드(40)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마감부재(20)는 상기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의 내,외측면에 각각 덧대어지는 내,외측금속편(21, 23)과, 상기 내,외측금속편(21, 23)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5)와, 상기 체결볼트(25)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너트(27)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연결부재(30)는 상기 탄성슬리브(1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단부마감부재(20)의 체결볼트(25)에 양측이 각각 관통결합되는 연결걸쇠편(31)과, 상기 단부마감부재(20)의 체결볼트(25)의 단부에 각각 체결고정되는 제 2 체결너트(33)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밴드(40)는 상기 탄성슬리브(10)의 양측 둘레를 둘러싸는 금속밴드부재(41)와, 상기 금속밴드부재(41)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부(43)와, 상기 금속밴드부재(41)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금속밴드부재(41)의 일단부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부(43)가 결합되면서 상기 소켓부(43)에 의해 상부가 둘러싸여지는 플러그부(45)와, 상기 소켓부(43)에 구비되는 클램핑너트부(47)와, 상기 플러그부(45)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클램핑너트부(47)에 체결가능한 클램핑볼트부(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52122A 2018-05-04 2018-05-04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KR101935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122A KR101935852B1 (ko) 2018-05-04 2018-05-04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PCT/KR2019/000225 WO2019212120A1 (ko) 2018-05-04 2019-01-07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122A KR101935852B1 (ko) 2018-05-04 2018-05-04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852B1 true KR101935852B1 (ko) 2019-01-07

Family

ID=6501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122A KR101935852B1 (ko) 2018-05-04 2018-05-04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5852B1 (ko)
WO (1) WO201921212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127Y1 (ko) * 2015-12-11 2016-08-18 박균삼 방수 이음용 직물 밴드, 그것을 이용한 방수 이음 구조
KR101825428B1 (ko) * 2015-09-22 2018-02-05 권두영 하수관 연결소켓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280Y1 (ko) * 2004-05-13 2004-09-16 윤석은 주름관 연결장치
KR200363189Y1 (ko) * 2004-07-01 2004-09-24 강석근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484415Y1 (ko) * 2015-09-09 2017-09-19 (주) 다해산업개발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428B1 (ko) * 2015-09-22 2018-02-05 권두영 하수관 연결소켓 및 그 시공방법
KR200481127Y1 (ko) * 2015-12-11 2016-08-18 박균삼 방수 이음용 직물 밴드, 그것을 이용한 방수 이음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2120A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615A (en) Branch pipe connection
US3341232A (en) Pipe joint
JP2011516762A (ja) 柔軟な排水トラップ
KR101935852B1 (ko)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KR101297594B1 (ko) 하수관 연결구
KR102044690B1 (ko) 파형강관의 이음부 연결구조
JP2001221390A (ja) コルゲート管の接続構造
US3762684A (en) Rotatable pipe coupling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1422269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2447124B1 (ko) 하수관 결합구조체
KR101825428B1 (ko) 하수관 연결소켓 및 그 시공방법
KR102454257B1 (ko) 하수관 연결구조체
KR101624228B1 (ko) 호스형 연결구
KR20020084534A (ko) 관이음 플랜지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1700123B1 (ko) 하수관로의 나선형 파형 강관 연결부의 수밀용 딤플 가스켓 구조
JPH11230444A (ja) 送水用パイプの接合構造
KR200165409Y1 (ko)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JPH0225036Y2 (ko)
IL94399A (en) System for hermetically sealing pipes
KR100398790B1 (ko) 관이음 플랜지 지지밴드
JP2002266361A (ja) マンホ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