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124B1 - 하수관 결합구조체 - Google Patents

하수관 결합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124B1
KR102447124B1 KR1020220031596A KR20220031596A KR102447124B1 KR 102447124 B1 KR102447124 B1 KR 102447124B1 KR 1020220031596 A KR1020220031596 A KR 1020220031596A KR 20220031596 A KR20220031596 A KR 20220031596A KR 102447124 B1 KR102447124 B1 KR 102447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material
connecting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ho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만
Original Assignee
한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만 filed Critical 한기만
Priority to KR1020220031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의 이송을 위한 주배관에 분기관을 연결시키는 하수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패킹재가 주배관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패킹재의 플랜지부가 관통홀을 형성하는 주배관의 테두리에 간섭되어 패킹재가 주배관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하수관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 결합구조체{The connection structure of pipe}
본 발명은 하수관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의 이송을 위한 주배관에 분기관을 연결시키는 하수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배관에 결합된 후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하수관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가정 및 공장 등에서 발생 되는 오수가 흐르는 관으로 주로 지하에 매설되며, 하수관의 매설이나 교체 및 관경의 확대, 관로의 추가, 맨홀설치 등의 목적으로 하수관들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하수관의 연결 방법으로 지하에 매설된 본관에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콘크리트 옹벽으로 이루어진 지하시설물로서의 하수관과, 필요에 의해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하수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수관은 사람이 사용하고 버리는 생활하수를 일정한 장소 즉, 생활하수를 정화하는 하수정화처리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하는 관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변에 사람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새로운 건축물(주택이나 빌딩)을 건축할 경우에 주변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에 새로운 하수관을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이하 '본관'이라 칭한다.)에 새로운 하수관(이하 '연결관'이라 칭한다.)을 연결시킬 경우, 본관의 외주면에 연결관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구멍을 뚫고 연결관의 일단을 본관의 내측으로 끼워 넣고 그 주변에 시멘트몰탈을 덮어 연결관을 연결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멘트 몰탈을 덮는 방법은 연결관을 본관에 연결시킨 후 연결관과 본관을 흙으로 덮는 과정에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시멘트몰탈 부분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되는 본관과 연결관의 연결부에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내면에 스테인리스 보강링을 갖춘 원통형의 연결구 본체와 너트형의 고정환으로 구성된 연결관이 있었으나 본관과 연결관을 연결시킬 구멍을 조금이라도 틀어지게 뚫었을 경우에 구멍을 다시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파기 후 하수관 개량시에 절단된 연결관을 연결하는 경우 이음소켓을 사용하여 시공이 힘든 경우가 많아 연결관 자재인 PVC관을 불에 달구어 형상을 늘려 접합부분을 길게하여 접합하였는데 이는 누수의 위험과 PVC관의 강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들이 아래에 개시된다.
기존 하수관 연결과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7594호 "하수관 연결구"(등록일자 : 2013.08.12)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주배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전방의 외주면이 밀착되게 삽입되고, 후방의 외주면에는 둘레 함몰홈이 형성된 연결구 본체와;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의 전방 둘레에 직경의 가변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의 전방 둘레를 외측으로 눌러주어 상기 연결구 본체의 전방 둘레를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고정하는 직경 가변형 고정링과;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결배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둘레 함몰홈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배관을 연결구 본체의 내부에 고정하는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위의 경우에는 연결구 본체의 단부가 주배관의 관통홀에 단순히 삽입되는 결합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결구 본체와 주배관의 결합구조적 특성상 연결구 본체가 주배관의 관통홀로부터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관통홀의 후방 주위의 둘레면에 단순히 밀착되는 수밀링의 구조적 특성으로는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하수가 쉽게 유출될 우려가 있어서 수밀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기존 하수관 연결과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동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7111호 "하수관 연결장치"(등록일자 : 2020.07.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 외측 둘레에는 본관의 내측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앙 외측 둘레에는 사방으로 휘어지도록 나선형 형태의 주름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 둘레에 삽입 장착되어 본관의 연결구를 밀폐시키는 고무패킹; 및 상기 본체부의 주름부 외측을 덮어지게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고무패킹을 가압하여 조여주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고무패킹을 가압하여 조여주게 됨에 따라 고무패킹이 본관 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결합력이 향상되지만 수밀성을 충족시키기 어렵고, 조립작업에 다소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7594호 "하수관 연결구"(등록일자 : 2013.08.1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7111호 "하수관 연결장치"(등록일자 : 2020.07.17)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수의 이송을 위한 주배관에 분기관을 연결시키는 하수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패킹재가 주배관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패킹재의 플랜지부가 관통홀을 형성하는 주배관의 테두리에 간섭되어 패킹재가 주배관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하수관 결합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주배관의 관통홀 내부에 진입된 후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주배관의 테두리에 간섭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주배관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패킹몸체가 마련되며, 상기 패킹몸체의 내부에 상,하로 개구되도록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는 패킹재와; 하부 외주면이 상기 패킹재의 통공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부 외주면에 상기 제1나사부와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하수를 분기관측으로 공급하도록 내부에 연결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나사부는 상,하로 번갈아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내주면 좌,우측에 각각의 선단이 이격되게 형성된 제1,2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제2나사부는 상기 제1,2나사산에 각각 체결되도록 대응되는 제3,4나사산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패킹재의 내경과 상기 연결부재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패킹재의 나사 체결시 상기 패킹재를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가압 밀착시키도록 된 것이다.
상기 통공은 내주면에 형성된 제1,2나사산의 상측에 평면형태의 제1평면부와, 상기 제1평면부의 상측에 오목하게 단차지도록 연장되고 평면형태의 제2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제1,2평면부에 각각 면접촉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로 단차진 제1,2단턱부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패킹재는 상기 관통홀 내의 진입을 위해 플랜지부의 둘레에 상기 패킹재의 부피를 축소시키기 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을 더 구비한다.
상기 패킹몸체는 외주면 둘레에 수밀을 위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밀돌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패킹재와 결합되는 하부연결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상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분기관이 결합되는 상부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상부 외주면이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하부 내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결속을 위한 제2클램프가 결합되도록 제2둘레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의 상부 외주면에 상기 분기관과의 결속을 위한 제1클램프가 결합되도록 제1둘레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패킹재의 플랜지부가 주배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패킹몸체의 제1나사부에 연결부재의 제2나사부가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며, 연결부재의 상부연결부재에 분기관이 결합됨에 따라, 패킹재와 주배관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상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나사산과 제3,4나사산이 하나의 피치 간격마다 2개의 나사산이 번갈아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패킹재와 하부연결부재의 체결작업시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각도를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나사산과 제3,4나사산의 체결작업으로 결합력을 향상시켜 패킹재에 대한 하부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패킹재와 하부연결부재의 체결 결합시 단차진 제1,2평면부에 제1,2단턱부가 각각 면접촉되므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연결부재와 패킹재의 나사 체결작업시 상기 패킹재를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가압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패킹재의 외주면이 관통홀에 밀착되어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관통홀에 대한 패킹재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수밀돌부로 인해 수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부의 좌,우 양측에 절개홈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 가압력에 의해 패킹재의 부피가 축소 변형될 경우, 부피 변형 여유공간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패킹재의 플랜지부가 관통홀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결합구조체의 일 실시 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패킹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하부연결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패킹재와 하부연결부재의 체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상,하부연결부재와 분기관 및 패킹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결합구조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패킹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절개홈을 이용한 패킹재와 주배관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결합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주배관(10)의 관통홀(15) 내부에 진입된 후에 상기 관통홀(15)이 형성된 주배관(10)의 테두리에 간섭되는 플랜지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5)이 형성된 주배관(10)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패킹몸체(102)가 마련되며, 상기 패킹몸체(102)의 내부에 상,하로 개구되도록 연통되는 통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50)의 내주면에 제1나사부(110)가 형성되는 패킹재(100)와; 하부 외주면이 상기 패킹재(100)의 통공(150)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부 외주면에 상기 제1나사부(110)와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주배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하수를 분기관(50)측으로 공급하도록 내부에 연결공(250a,250b)이 형성되는 연결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패킹재(100)는 부피의 축소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가 채택될 수 있으며, 플랜지부(105)와 패킹몸체(102)로 구성된다.
상기 패킹몸체(102)는 내부에 통공(150)이 형성되는 원통형 구조로서, 내주면에 상기 연결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나사부(11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나사부(110)는 상,하로 번갈아 형성되며 상기 통공(150)의 내주면 좌,우측에 각각의 선단이 이격되게 형성된 제1,2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제2나사부(210)는 상기 제1,2나사산(112,114)에 각각 체결되도록 대응되는 제3,4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나사산(112)과 제2나사산(11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재(100)의 통공(150) 내주면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시작점이 되는 선단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의 나선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3,4나사산(212,214)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의 외주면 좌,우 양측에 시작점인 선단이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패킹재(100)와 하부연결부재(200B)의 결합시 상기 제1,2나사산(112,114)의 시작점이 되는 선단 부위로부터 나사 체결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1,2나사산(112,1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형성되고, 하나의 피치 내에 제1,2나사산(112,114)이 번갈아 배치되므로, 상기 연결부재(200)와 패킹재(100)의 체결작업시 상기 연결부재(200)의 회전각도를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제1,2나사산(112,114)은 상기 패킹재(100)의 내주면에 대해 3~5°의 각도로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2나사산(112,114)의 각도가 3°미만일 경우 체결작업이 어려워지는 반면에, 5°초과시에는 패킹재(100)의 통공(150)으로부터 연결부재(200)가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다.
또, 상기 패킹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몸체(102)의 외주면 둘레에 수밀을 위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밀돌부(1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수밀돌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재(100)와 연결부재의 결합시 상기 패킹몸체(102)의 외주면이 관통홀(15)의 내주면에 가압 밀착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15)과 패킹재(100)의 사이의 틈새를 차폐시켜 수밀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105)는 상기 패킹재(100)와 주배관(10)의 결합시 상기 관통홀(15)이 형성된 주배관(10)의 테두리 하측에 간섭되도록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플랜지부(105)는 주배관(10)의 내측에 결합되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배관(10) 내에 흐르는 하수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하부면이 주배관(10)의 내주면 곡률과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곡률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패킹재(100)의 외주 둘레 부위별 높이가 차등진 구조를 갖는다(h1>h2).
상기 패킹재(100)의 내경과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00)와 패킹재(100)의 나사 체결작업시 상기 패킹재(100)의 패킹몸체(102)를 상기 관통홀(15)의 내주면에 가압 밀착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테이퍼진 구조를 갖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하단 높이가 하강될수록 상기 패킹재(100)의 외주면이 관통홀(15)의 내주면에 더 강한 힘으로 가압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재(100)와 결합되는 하부연결부재(200B)와,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의 상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분기관(50)이 결합되는 상부연결부재(200A)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는 하부에 결합되는 패킹재(100)와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연결부재(200A)보다 경질의 소재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가 패킹재(100)와 상부연결부재(200A)보다 경질로 형성되어 충분한 결합력 및 강성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상기 패킹재(100)는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과의 테이퍼진 결합과정에서 외경이 팽창되고 결합 해제시 외경이 복귀되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소재(일 예로 고무)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의 상부 외주면이 상기 상부연결부재(200A)의 하부 내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200A)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의 결속을 위한 제2클램프(420)가 결합되도록 제2둘레홈부(26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200A)의 상부 외주면에 상기 분기관(50)과의 결속을 위한 제1클램프(410)가 결합되도록 제1둘레홈부(26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부에서 가압력을 제공하여 패킹재(100)의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로 플랜지부(105)가 주배관(10)의 관통홀(15)을 통과하도록 한 후에, 외부 가압력을 해제시키면 상기 패킹재의 부피가 탄성 복원되어 상기 패킹재의 패킹몸체(102)가 관통홀(15)에 결합되면서 주배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플랜지부(105)가 관통홀(15)을 형성하는 주배관(10)의 내주면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패킹재(100)의 플랜지부(105)가 관통홀(15)을 형성하는 주배관(10)의 내주면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결합됨에 따라, 패킹재(100)와 하부연결부재(200B)가 체결된 후에 패킹재(100)와 주배관(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어서, 상기 패킹재(100)의 통공(150) 내부에 하부연결부재(200B)의 하부를 삽입시킨 후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의 제3,4나사산(212,214)이 상기 패킹재(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2나사산(112,114)과 서로 맞물리도록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2나사산(112,114)과 제3,4나사산(212,214)은 하나의 피치 간격마다 2개의 나사산이 번갈아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패킹재(100)와 하부연결부재(200B)의 체결작업시 상기 연결부재(200)의 회전각도를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나사산(112,114)과 제3,4나사산(212,214)의 체결작업으로 결합력을 향상시켜 패킹재(100)에 대한 하부연결부재(200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즉, 작업자가 조금만 회전시키더라도 제1,2나사산(112,114)과 제3,4나사산(212,214)이 서로 번갈아 맞물리도록 체결되어 최소한의 회전동작으로 손쉽게 패킹재(100)와 하부연결부재(200B)의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패킹재(100)와 하부연결부재(200B)의 체결 결합시 단차진 제1,2평면부(142,144)에 제1,2단턱부(242,244)가 각각 면접촉되므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연결부재(200)와 패킹재(100)의 나사 체결작업시 상기 패킹재(100)를 상기 관통홀(15)의 내주면에 가압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패킹재(100)의 외주면이 관통홀(15)에 밀착되어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관통홀(15)에 대한 패킹재(1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수밀돌부(130)로 인해 수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킹재(100)의 플랜지부(105)가 주배관(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패킹몸체(102)의 제1나사부(110)에 연결부재(200)의 제2나사부(210)가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연결부재(200A)에 분기관(50)이 결합됨에 따라, 패킹재(100)와 주배관(1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상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의 연결부재(200)가 상,하부연결부재(200A,200B)로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반면에, 본 발명 연결부재(200)의 다른 실시 예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연결공(250)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연결부재(200)는 제3,4나사산(212,214)의 상측에 패킹재(100)의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1,2평면부(142,144)에 대응되는 제1,2단턱부(242,244)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다른 실시 예의 연결부재(200)는 하측에 패킹재(100)가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고, 상측에 분기관(50)과 클램프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 패킹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패킹재(100)는 상기 관통홀(15) 내의 진입을 위해 플랜지부(105)의 둘레에 상기 패킹재(100)의 부피를 축소시키기 위한 변형 여유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107)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절개홈(107)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05)의 둘레 중 일부위를 요홈 형태로 형성되도록 절개되는 구조로서, 상기 플랜지부(105)의 좌,우 양측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홈(107)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가압력에 의해 패킹재(100)의 부피가 축소 변형될 경우, 부피 변형 여유공간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패킹재(100)의 플랜지부(105)가 관통홀(15)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패킹재(100)는 플랜지부(105)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주배관(10)의 내측으로 진입한 후에 다시 원래 부피로 탄성 복원되어 상기 플랜지부(105)가 주배관(1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패킹몸체(102)의 외주면이 관통홀(15)이 형성된 주배관(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주배관 15 : 관통홀
100 : 패킹재 102 : 패킹몸체
105 : 플랜지부 107 : 절개홈
110 : 제1나사부 112 : 제1나사산
114 : 제2나사산 130 : 수밀돌부
142 : 제1평면부 144 : 제2평면부
150 : 통공 200 : 연결부재
200A : 상부연결부재 200B : 하부연결부재
210 : 제2나사부 212 : 제3나사산
214 : 제4나사산 242 : 제1단턱부
244 : 제2단턱부 250a,250b : 연결공
410,420 : 제1,2클램프

Claims (8)

  1.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주배관(10)의 관통홀(15) 내부에 진입된 후에 상기 관통홀(15)이 형성된 주배관(10)의 테두리에 간섭되도록 플랜지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5)이 형성된 주배관(10)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패킹몸체(102)가 마련되며, 상기 패킹몸체(102)의 내부에 상,하로 개구되도록 연통되는 통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50)의 내주면에 제1나사부(110)가 형성되는 패킹재(100)와;
    하부 외주면이 상기 패킹재(100)의 통공(150)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부 외주면에 상기 제1나사부(110)와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주배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하수를 분기관(50)측으로 공급하도록 내부에 연결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재(200);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나사부(110)는 상,하로 번갈아 형성되며 상기 통공(150)의 내주면 좌,우측에 각각의 선단이 번갈아 이격되게 형성된 제1,2나사산(112,114)이 마련되고,
    상기 제2나사부(210)는 상기 제1,2나사산(112,114)에 각각 체결되도록 대응되는 제3,4나사산(212,214)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패킹재(100)와 결합되는 하부연결부재(200B)와,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의 상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분기관(50)이 결합되는 상부연결부재(200A)로 구성되며,
    상기 제3,4나사산(212,214)은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의 외주면 좌,우 양측에 시작점인 선단이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패킹재(100)와 하부연결부재(200B)의 결합시 상기 제1,2나사산(112,114)의 시작점이 되는 선단 부위로부터 나사 체결작업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2나사산(112,114)은 상,하 방향 나선 형태로 하나의 피치 내에 제1,2나사산(112,114)이 번갈아 배치되므로, 상기 연결부재(200)와 패킹재(100)의 체결작업시 상기 연결부재(200)의 회전각도를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통공(150)은 내주면에 형성된 제1,2나사산(112,114)의 상측에 평면형태의 제1평면부(142)와, 상기 제1평면부(142)의 상측에 오목하게 단차지도록 연장되고 평면형태의 제2평면부(144)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외주면에 상기 제1,2평면부(142,144)에 각각 면접촉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로 단차진 제1,2단턱부(242,244)가 형성되어,
    상기 패킹재(100)와 하부연결부재(200B)의 체결 결합시 단차진 제1,2평면부(142,144)에 제1,2단턱부(242,244)가 각각 면접촉되므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재(100)의 내경과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부재(200)와 패킹재(100)의 나사 체결시 상기 패킹재(100)를 상기 관통홀(15)의 내주면에 가압 밀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재(100)는 상기 관통홀(15) 내의 진입을 위해 플랜지부(105)의 둘레에 상기 패킹재(100)의 부피를 축소시키기 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107)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몸체(102)는 외주면 둘레에 수밀을 위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밀돌부(1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체.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의 상부 외주면이 상기 상부연결부재(200A)의 하부 내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200A)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하부연결부재(200B)의 결속을 위한 제2클램프(420)가 결합되도록 제2둘레홈부(26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결부재(200A)의 상부 외주면에 상기 분기관(50)과의 결속을 위한 제1클램프(410)가 결합되도록 제1둘레홈부(2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결합구조체.
KR1020220031596A 2022-03-14 2022-03-14 하수관 결합구조체 KR102447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596A KR102447124B1 (ko) 2022-03-14 2022-03-14 하수관 결합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596A KR102447124B1 (ko) 2022-03-14 2022-03-14 하수관 결합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124B1 true KR102447124B1 (ko) 2022-09-23

Family

ID=8344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596A KR102447124B1 (ko) 2022-03-14 2022-03-14 하수관 결합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12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222Y1 (ko) * 2005-02-14 2005-05-12 주식회사 신영기술공사 이경이축접속구를 이용한 하수관에의 지관설치구조
KR200386397Y1 (ko) * 2005-03-03 2005-06-13 성기필 유체이송관의 분기소켓 설치구조
KR100603195B1 (ko) * 2004-11-04 2006-07-20 주식회사 신영기술공사 압입형 하수관 분기구
JP2007285336A (ja) * 2006-04-13 2007-11-01 Japan Power Fastening Co Ltd もみ切り式自己穿孔ねじ
JP2007315544A (ja) * 2006-05-29 2007-12-06 Aron Kasei Co Ltd 接続支管
KR101297594B1 (ko) 2011-12-16 2013-08-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KR102137111B1 (ko) 2019-03-13 2020-07-23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195B1 (ko) * 2004-11-04 2006-07-20 주식회사 신영기술공사 압입형 하수관 분기구
KR200384222Y1 (ko) * 2005-02-14 2005-05-12 주식회사 신영기술공사 이경이축접속구를 이용한 하수관에의 지관설치구조
KR200386397Y1 (ko) * 2005-03-03 2005-06-13 성기필 유체이송관의 분기소켓 설치구조
JP2007285336A (ja) * 2006-04-13 2007-11-01 Japan Power Fastening Co Ltd もみ切り式自己穿孔ねじ
JP2007315544A (ja) * 2006-05-29 2007-12-06 Aron Kasei Co Ltd 接続支管
KR101297594B1 (ko) 2011-12-16 2013-08-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KR102137111B1 (ko) 2019-03-13 2020-07-23 한기만 하수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US84489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US77709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KR102137111B1 (ko) 하수관 연결장치
KR102447124B1 (ko) 하수관 결합구조체
KR20090117285A (ko) 합성수지관연결구
EP0682202A1 (en) Fittings for pipe coupling
KR101297594B1 (ko) 하수관 연결구
US20060202433A1 (en) Ring for fastening plumbing equipment of sinks and sanitary fixtures
US6692042B2 (en) Profiled clamp and sleeve joint comprising such a profiled clamp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102454257B1 (ko) 하수관 연결구조체
KR101957725B1 (ko) 분기관의 연결구조
KR0120993Y1 (ko) 콘크리트관 접속링
KR200391564Y1 (ko) 플랜지형 하수관 연결장치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KR20190045632A (ko) 하수관 연결구
KR101935852B1 (ko) 흄관용 밀폐연결장치
JP3734151B2 (ja) 2パ−ツ型ゴム輪受口および該受口付のナット締付型支管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0240206B1 (ko)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KR102029679B1 (ko) 배수설비 하수관로의 연결구
JP2000104870A (ja) 管継手
KR102153262B1 (ko) 지관 연결용 단지관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