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262B1 - 지관 연결용 단지관 - Google Patents

지관 연결용 단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262B1
KR102153262B1 KR1020200047685A KR20200047685A KR102153262B1 KR 102153262 B1 KR102153262 B1 KR 102153262B1 KR 1020200047685 A KR1020200047685 A KR 1020200047685A KR 20200047685 A KR20200047685 A KR 20200047685A KR 102153262 B1 KR102153262 B1 KR 10215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ing tub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일
Original Assignee
윤석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일 filed Critical 윤석일
Priority to KR1020200047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관(主管)에 연결 접속되는 지관(枝管)의 연결 구조를 매우 간단히 하면서도, 탄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를 테이퍼 나사부가 형성된 경질의 확관관체를 이용하여 주관의 접속구멍에 대해 신속 용이하고, 또 견고하게 연결 지지할 수 있으며, 작업 환경에 따라 지관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관 연결용 단지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접속구멍이 형성된 주관에 대하여 지관을 상호 연결하는 단지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유입구 및 배출구가 서로 관통되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상기 주관의 접속구멍에 끼워지는 연결 접속부와, 상기 연결 접속부의 일 측으로 단차지게 확대 형성되고, 전면으로는 접속구멍이 형성된 주관의 외주면에 상호 밀착되도록 동일한 원주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단차면이 형성된 연결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 접속부의 내주면으로는 배출구 전단에서 유입구쪽으로 확개되는 형태의 테이퍼 나사부가 형성되고, 또 상기 연결 지지부의 내주면으로는 구면 형태의 회동 지지면이 형성된 탄성소재의 제1연결관체와; 양단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제1 연결관체의 유입구 쪽에 연결 지지되며, 상기 연결 지지부의 회동 지지면에 내삽되어 회동 조작되는 회동 조작부 및 상기 회동 조작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단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질소재의 제2연결관체와; 상기 제2연결관체의 유입단부에 일 단부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연결 지지되고, 또 외주면으로는 그 내부에 끼워지는 경질 소재의 지관에 대해 조임밴드로 압착 조임되는 탄성소재의 제3연결관체; 및 상기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나사부에 대응되는 테이퍼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확관 및 해제 조작홈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 및 해제 조작홈에 별도의 지그를 이용하여 연결 접속부를 주관의 접속구멍에 대해 강제로 탄성 확관 및 해제되도록하기 위한 경질소재의 확관관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지관 연결용 단지관{Branch pipe coupler}
본 발명은 주관(主管)에 연결 접속되는 지관(枝管)의 연결 구조를 매우 간단히 하면서도, 탄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를 테이퍼 나사부가 형성된 경질의 확관관체를 이용하여 주관의 접속구멍에 대해 신속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 지지할 수 있으며, 또 작업 환경에 따라 지관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관 연결용 단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 발생하는 생활하수나, 빗물 및 정화처리된 산업폐수 등(이하 ‘'하수’라 함)을 집수장 또는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등으로 만든 하수관(이하, ‘주관’이라 함)을 땅속에 매설하여 사용한다. 콘크리트 등으로 만든 주관에는 각 가정과 공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생활하수가 흐르는 지관(일명, ‘분기관’이라고도 함)이 연결 접속된다.
종래에는 지관이 연결되는 주관의 소정 부분에 지관이 삽입될 정도의 접속구멍을 형성하고, 접속구멍에 지관의 끝 부분을 삽입한 다음, 지관이 삽입된 부위를 시멘트 몰탈로 메움으로써 지관을 하수관에 연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지관 연결방법은 주관과 지관의 연결부분이 정확하게 밀봉되지 않고 틈새가 존재하기 때문에, 틈새로 하수관을 따라 유동하는 하수가 누수되어 그 주변을 오염시키고, 더 나아가 지하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주관과 지관은 도로에 매설되기 때문에 차량의 하중충격과 주행진동을 지속적으로 받거나 지각변동에 의해 지관이 하수관의 연결부위에서 분리되어 누수현상이 발생하여 지하수를 오염시키거나, 역으로 하수관 내부로 토사가 유입되어 하수관이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수의 누수 문제는 도로 함몰, 즉 씽크 홀을 발생시키는 등의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는,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24523호)에 기술된 '주 하수관과 분기 하수관의 연결부재'가 있다. 그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결부재에 의한 하수관과 분기관의 연결상태 전후를 나타낸 각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결부재는, 통상의 주하수관(100)에 뚫어 설치한 분기 구멍(101)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단 관체(10)를 강제로 수축시켜 부피(외경)를 축소시킬 수 있는 신축성 재질(고무, 우레탄 등)로 형성하고, 통상의 분기하수관(200)이 끼워 연결되는 연결관체(20)를 결합 구성하되, 고정단 관체(10)는 하위에 분기 구멍(101)의 상주연에 접하는 고정 받침턱(11)을 구비하며, 하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가변 걸림턱(12)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 받침턱(11)과 가변 걸림턱(12)과의 사이에 하수관 삽지홈(13)이 형성되도록 하여 분기 구멍(101)에 삽입시에는 부피(외경)를 수축시켜 끼우도록 한다. 연결관체(20)는 상부에 분기하수관(200)이 끼워 연결되는 소켓부(21)를 구비하며, 하부는 고정단 관체(10)의 내경에 꼭 맞게 끼워지는 삽착관부(22)로 형성하여 도 1a의 착용상태와 같이 삽착관부(22)를 고정단 관체(10)의 내부에 끼워주면 그 하단이 가변 걸림턱(12)의 내측 경사면(12A)을 밀어 가변 걸림턱(12)이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함으로서 도 1b의 착용된 상태와 같이 가변 걸림턱(12)의 외측 상면(12B)이 고정턱(11) 쪽으로 이동하면서 하수관 삽지홈을 좁혀 그 사이에 끼워진 주 하수관(100)의 단면(102)을 압박하여 견고하게 결착되면서 기밀성을 유지하게 하고, 상기 가변 걸림턱(12) 외부의 꺽임부에는 홈(14)을 형성하여 가변성이 양호하도록 하며, 가변 걸림턱(12) 내부에는 보강 철편(30)을 매입시켜 가변 걸림턱(12)이 견고하게 보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특허문헌 1의 연결부재는 신축성을 갖는 고정단 관체로 인해 하수 누수를 방지할 수는 이점은 있으나, 고정단 관체(10)가 고무 등의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가변 걸림턱(12)에 의존하여 주 하수관에 걸림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가변 걸림턱이 쉽게 펼쳐져 이탈될 수 있다는 우려를 비롯하여 누수방지를 위한 그 구성관계가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하수관의 연결구멍을 감싸도록 구성된 고정단 관체와, 고정단 관체에 삽입 결합되어 분기관을 연결하는 연결 관체, 및 고정단 관체로부터 연결 관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박 밴드로 구성하는 등 그 구성관계가 매우 복잡하고, 그에 따라 시공 조립이 복잡할 수밖에 없고, 글 인해 시공 단가 및 제품의 제작 단가가 자연적으로 비싸지는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1. KR101999024523 A(1999.04.06.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관(主管)에 연결되는 지관(枝管)의 연결 접속 구조를 매우 간단히 하면서도, 탄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를 테이퍼 나사부가 형성된 경질소재의 확관관체를 통해 주관의 접속구멍에 대해 신속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작업 환경에 따라 지관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지관 연결용 단지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관 연결용 단지관은, 접속구멍이 형성된 주관에 대하여 지관을 상호 연결하는 단지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유입구 및 배출구가 서로 관통되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상기 주관의 접속구멍에 끼워지는 연결 접속부와, 상기 연결 접속부의 일 측으로 단차지게 확대 형성되고, 전면으로는 접속구멍이 형성된 주관의 외주면에 상호 밀착되도록 동일한 원주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단차면이 형성된 연결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 접속부의 내주면으로는 배출구 전단에서 유입구쪽으로 확개되는 형태의 테이퍼 나사부가 형성되고, 또 상기 연결 지지부의 내주면으로는 구면 형태의 회동 지지면이 형성된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관체와; 양단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제1연결관체의 유입구 쪽에 연결지지 되며, 상기 연결 지지부의 회동 지지면에 내삽되어 회동 조작되는 회동 조작부 및 상기 회동 조작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단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질소재의 제2연결관체와; 상기 제2연결관체의 유입단부에 일 단부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연결 지지되고, 또 외주면으로는 그 내부에 끼워지는 경질 소재의 지관에 대해 조임밴드로 압착 조임되는 탄성소재의 제3연결관체; 및 상기 제1연결관의 연결 접속부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나사부에 대응되는 테이퍼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확관 및 해제 조작홈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 및 해제 조작홈에 대해 별도의 지그를 끼워 연결 접속부를 주관의 접속구멍에 대해 강제로 탄성 확관 및 해제되도록하기 위한 경질소재의 확관관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의 접속 길이는 주관의 접속구멍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또 연결 접속부의 전단은 접속구멍이 형성된 주관의 내주면과 동일한 접속곡면을 갖도록 하여 주관의 내부를 흐르는 하수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 외주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기밀 돌출 테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로는 배출구 전단에 확관관체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단턱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연결관체 및 제3연결관체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연결지지되되, 제2연결관체의 연결단부로 형성된 걸림 플렌지가 제2연결관체의 연결단부로 형성된 걸림요구에 대해 턱 걸림 상태로 끼우지도록 사출 성형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연결관체의 외주면으로는 조임밴드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조임밴드 안착요구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관(主管)에 연결되는 지관(枝管)의 연결 접속 구조를 매우 간단히 하면서도 신속한 연결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또,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를 경질소재의 확관관체를 통해 주관에 대해 신속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1연결관체에 대해 제2연결관체가 회동자재되게 연결됨에 따라 지관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분기 하수관의 연결부재 구성을 보인 조립 전 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장치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관관체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관체가 접속구멍에 끼워지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관체가 접속구멍에 끼워지고, 확관관체가 지그에 의해 연결 접속부의 내부에 조립되기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관관체의 조립 고정 후 제2연결관체의 회동 조작부가 회동지지면에 끼워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연결관체에 대하여 지관이 끼워지고 조임밴브에 의해 조임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이 일정 각도로 조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용 단지관(100)은, 접속구멍(12)이 형성된 주관(10)에 대하여 지관(15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이를 위해 제1연결관체 내지 제3연결관체(110)(120)(130) 및 확관관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관(10)은 각종 생활하수를 집수장 또는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하여 땅속에 매설되어 지는것으로서, 주로 콘크리트로 제작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합성수지관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제1연결관체(110)는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가 서로 관통되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상기 주관(10)의 접속구멍(12)에 끼워지는 연결 접속부(113)와, 상기 연결 접속부의 일 측으로 단차지게 확대 형성되고, 전면으로는 접속구멍(12)이 형성된 주관(10)의 외주면에 상호 밀착되도록 동일한 원주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단차면(114)이 형성된 연결 지지부(115)를 가지며, 상기 연결 접속부(113)의 내주면으로는 배출구(112) 전단에서 유입구(111) 방향으로 확개되는 형태의 테이퍼 나사부(116)가 형성되고, 또 상기 연결 지지부(115)의 내주면으로는 구면 형태의 회동 지지면(117)이 형성된 탄성소재로 이루어진다.
제2연결관체(120)는, 제1연결관체(110)의 유입구(111) 쪽에 연결지지 되고, 또 양단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연결관체의 연결 지지부(115)에 형성된 회동 지지면(117)에 내삽되어 회동 조작되는 회동 조작부(121) 및 상기 회동 조작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단관(1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 경질소재로 이루어진다.
제3연결관체(130)는 상기 제2연결관체(120)의 배출단부에 일 단부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연결 지지되고, 또 외주면으로는 그 내부에 끼워지는 경질 소재의 지관(150)에 대해 조임밴드(160)로 압착 조임되는 탄성소재로 구성된다.
확관관체(140)는, 상기 제1연결관체(110)의 연결 접속부(113)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나사부(116)에 대응되는 테이퍼 나사부(141)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확관 및 해제 조작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 및 해제 조작홈에 별도의 지그(170)를 끼워 주관(10)의 접속구멍(12)에 끼워진 연결 접속부(113)를 강제로 탄성 확관 및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또 경질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관체(110)에 갖추어지는 연결 접속부(113)의 접속 길이는 주관(10)의 접속구멍(12)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또 연결 접속부(113)의 전단(113c)은 접속구멍(12)이 형성된 주관(10)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면을 갖도록 하여 주관(10)의 내부를 흐르는 하수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관체(110)의 연결 접속부(113) 외주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기밀 돌출 테(113a)가 더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관체(110)의 연결 접속부(113)로는 배출구(112) 전단에 확관관체(14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단턱(113b)이 더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이때, 걸림단턱(113b)의 내경은, 상기 확관관체(14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지관(150)을 통한 하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연결관체(120) 및 제3연결관체(130)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연결 지지되되, 제2연결관체의 연결단부로 형성된 걸림 플렌지(123)가 제2연결관체의 연결단부로 형성된 걸림요구(131)에 대해 서로 턱 걸림 상태로 끼워지게 상호 연결 조립되는 상태로 사출 성형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연결관체(130)의 외주면으로는 조임밴드(16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조임밴드 안착요구(132)가 더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한 조임밴드 안착요구(132)는 필요에 따라, 예컨대 지관(150)의 조임 정도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임밴드 안착요구(132)에 조임밴드(160)를 위치시킨 다음 조임하게 됨으로써, 조임밴드(160)의 결합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공하고, 또 상하 이동을 방지하여 지관(150)에 대한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彈性)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관체(120) 및 제3연결관체(140)는 합성수지소재를 비롯하여, 고무소재 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질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연결관체(120) 및 확관관체(140)는 합성수지소재를 비롯하여, 기타 대체 소재의 제작 이용도 알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지관 연결용 단지관(100)을 주관(10)에 대한 연결 설치하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도 4 내지 도 8에 순차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먼저, 주관(10)에 형성된 접속구멍(12)에 대해 제1연결관체(110)의 연결 접속부(113)를 끼워준다.
그러면, 상기 연결 접속부(113)는 연결 지지부(115)의 걸림 단차면(114)이 주관(10)의 외주면에 상호 걸림 밀착되는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연결관체(110)의 유입구(111) 쪽에서 확관관체(140)를 연결 접속부(113) 방향으로 집어 넣어준다, 이때 확관관체(140)는 확관 및 해제 조작홈(142)에 대해 별도의 지그(170)를 끼운다음 이를 이용하여 연결 접속부(113)의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나사부(116)에 대해 외주면으로 대응되게 형성된 테이퍼 나사부(141)를 상호 나사 맞춤한 다음 확관 방향으로 돌려 준다.
그러면, 상기 확관관체(140)는 연결 접속부(113)의 배출구(112)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되어지고, 동시에 테이퍼 나사부(116)가 배출구(112) 방향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탄성소재의 연결 조립부(113)는 상대적으로 확관관체(140)의 이동 조작에 의해 외측으로 확관되어지면서 주관(10)의 접속구멍(12)에 대해 그 외주면이 강제로 탄성 밀착 지지되어 진다.
이때 확관관체(140)의 확관 이동은, 연결 접속부(113)의 배출구(112) 쪽에 형성된 걸림단턱(113a)에 걸림되어져 과도한 이동이 방지되면서 안정된 확관 이동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제1연결관체(110)의 연결 접속부(113)는 확관관체(140)의 확관 조작에 따라 주관(10)의 접속구멍(12)에 대해 탄성 소재의 특성상 강제로 밀착지지 됨에 따라 확관관체(140)를 인의적으로 분리시키지 않는 이상 임의적으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게 되고, 또 접속구멍(12)에 강제로 밀착되어 지기 때문에 접속구멍과 연결 접속부(113)의 외주면 사이에 대한 기밀 역시 보장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 접속부(113)를 주관(10)의 접속구멍(12)에 대하여 확관관체(140)를 이용해서 강제로 밀착 고정할 때 연결 접속부(113)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기밀 돌출 테(113a)에 의해 더욱 강한 밀착력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고, 연결 접속부(113)의 길이가 결속구멍(12)과 동일한 길이를 가짐에 따라 연결 접속부(113)의 전단(113c)은 주관(10)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면 상태로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연결관체(110)는 연결 접속부(113)를 주관(10)의 접속구멍(12)에 끼운다음 확관관체(140)를 별도의 지그(170)를 이용하여 확관시켜 줌으로써 1차적인 연결 고정 작업이 완료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신속한 연결 고정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주관(10)의 접속구멍(12)에 대한 제1연결관체(110)의 연결 조립 작업이 완료된 다음 연결 지지부(115)에 구면 형태로 형성된 회동 지지면(117)에 대해 제2연결관체(120)의 회동 조작부(121)를 강제로 끼워준다.
그러면, 상기 제2연결관체(120)의 회동 조작부(121)는 연결 지지부(115)의 회동 지지면(117)에 강제로 걸려지도록 끼워지게되고, 또 상기 연결 지지부(115)의 자체 탄성 압착력에 의해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3연결관체(130)는, 제2연결관체(120)에 대해 일체로 이중사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2연결관체의 연결과 동시에 연결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8에는 지관(150)이 제1연결관체(11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a1) 만큼 조정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지관(150)의 연결 방향에 따라 제2연결관체(120) 및 제3연결관체(130)의 연결 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연결관체(110)의 연결 지지부(115)에 구면 형태로 형성된 회동 지지면(117)을 이용하여 이에 끼워진 제2연결관체(120)의 회동 조작부(121)를 인위적으로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해 지관(150)의 연결 설치 위치에 따른 제2 및 제3연결관체(120)(130)의 적정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연결관체(110)에 대하여 제2 및 제3연결관체(120)(130)에 대한 연결 조립 작업이 완료되면, 제3연결관체(130)의 내부로 경질소재의 지관(150)을 끼운다음 조임밴드(160)로 조임하여 제3연결관체(130)와 지관(150)을 상호 조임 고정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용 단지관(100)은, 제1연결관체(110)의 연결 접속부(113)가 확관관체(140)에 의해 주관(10)의 접속구멍(12)에 대하여 기밀이 확보되는 상태로 단단히 끼워 고정될 수 있고, 또 탄성소재의 제3연결관체(130)에 대해 지관(150)를 조임밴드(160)로 조임 고정함으로써 주관(10)에 대한 지관(150)의 연결 작업이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지관 연결용 단지관(100)을 보수하거나 수리, 교체등의 작업을 위해 주관(10)으로부터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3연결관체(130)로부터 지관(150)을 분리해 준다. 그런다음 제1연결관체(110)의 연결 지지부(115)에 대하여 제2연결관체(120)의 회동 조작부(121)를 강제로 잡아 빼 낸 다음 확관관체(140)에 형성된 확관 및 해제 조작홈(142)에 별도의 공고를 끼워 나사 풀림 방향으로 확관관체(140)를 돌려주는 것에 의해 상기 확관관체(140)는 연결 접속부(113)로부터 이탈되어 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연결 접속부(113)는 주관(10)의 접속구멍(12)에 대한 확관 밀착력이 해제되어 짐에 따라 분리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관 연결용 단지관(100)은 테이퍼 나사부(141)를 갖는 확관관체(140)를 이용하여 주관(10)의 접속구멍(12)에 끼워진 제1연결관체(110)의 연결 접속부(113)를 강제로 탄성 확관 조임하거나 해체하는 동작을 통해 주관의 접속구멍에 대한 강제 연결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주관(10)에 대한 지관(150)의 연결 시공 작업을 매우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그로인한 작업 시간의 현저한 단축 및 시공단가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주관 12: 접속구멍
110: 제1연결관체 111: 유입구
112: 배출구 113: 연결 접속부
113a: 기밀 돌출 테 113b: 걸림단턱
113c: 연결 접속부의 전단 114: 걸림 단차면
115: 연결 지지부 116,141: 테이퍼 나사부
117: 회동 지지면 120: 제2연결관체
121: 회동 조작부 122: 연결단관
123: 걸림 플렌지 130: 제3연결관체
131: 걸림요구 132: 밴드 안착요구
150: 지관 160: 조임밴드
170: 지그

Claims (6)

  1. 접속구멍이 형성된 주관에 대하여 지관을 상호 연결하는 단지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유입구 및 배출구가 서로 관통되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상기 주관의 접속구멍에 끼워지는 연결 접속부와, 상기 연결 접속부의 일 측으로 단차지게 확대 형성되고, 전면으로는 접속구멍이 형성된 주관의 외주면에 상호 밀착되도록 동일한 원주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 단차면이 형성된 연결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 접속부의 내주면으로는 배출구 전단에서 유입구쪽으로 확개되는 형태의 테이퍼 나사부가 형성되고, 또 상기 연결 지지부의 내주면으로는 구면 형태의 회동 지지면이 형성된 탄성소재의 제1연결관체와;
    양단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제1 연결관체의 유입구 쪽에 연결 지지되며, 상기 연결 지지부의 회동 지지면에 내삽되어 회동 조작되는 회동 조작부 및 상기 회동 조작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단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질소재의 제2연결관체와;
    상기 제2연결관체의 유입단부에 일 단부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연결 지지되고, 또 외주면으로는 그 내부에 끼워지는 경질 소재의 지관에 대해 조임밴드로 압착 조임되는 탄성소재의 제3연결관체; 및
    상기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나사부에 대응되는 테이퍼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확관 및 해제 조작홈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 및 해제 조작홈에 별도의 지그를 끼워 연결 접속부를 주관의 접속구멍에 대해 강제로 탄성 확관 및 해제되도록하기 위한 경질소재의 확관관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관체 및 제3연결관체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연결 지지되되, 제2연결관체의 연결단부로 형성된 걸림 플렌지가 제2연결관체의 연결단부로 형성된 걸림요구에 대해 턱 걸림 상태로 끼워지도록 사출 성형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연결용 단지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의 접속 길이는 주관의 접속구멍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또 연결 접속부의 전단은 접속구멍이 형성된 주관의 내주면과 동일한 접속곡면을 갖도록 하여 주관의 내부를 흐르는 하수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연결용 단지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 외주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기밀 돌출 테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연결용 단지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체의 연결 접속부로는 배출구 전단에 확관관체의 과도한 이동 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단턱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연결용 단지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관체의 외주면으로는 조임밴드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조임밴드 안착요구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연결용 단지관.
KR1020200047685A 2020-04-20 2020-04-20 지관 연결용 단지관 KR10215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85A KR102153262B1 (ko) 2020-04-20 2020-04-20 지관 연결용 단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85A KR102153262B1 (ko) 2020-04-20 2020-04-20 지관 연결용 단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262B1 true KR102153262B1 (ko) 2020-09-07

Family

ID=7247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685A KR102153262B1 (ko) 2020-04-20 2020-04-20 지관 연결용 단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2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523A (ko) 1997-09-03 1999-04-06 임규영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KR20080033131A (ko) * 2007-12-20 2008-04-16 주식회사 시코 분기관 연결구
KR101868756B1 (ko) * 2017-12-11 2018-06-18 윤석일 지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523A (ko) 1997-09-03 1999-04-06 임규영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KR20080033131A (ko) * 2007-12-20 2008-04-16 주식회사 시코 분기관 연결구
KR101868756B1 (ko) * 2017-12-11 2018-06-18 윤석일 지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8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US84489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KR101868756B1 (ko) 지관 연결장치
US77709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US8568060B2 (en) Rehabilitating pipe segment and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method using same
US20080083889A1 (en) Directly Fluid Operated Pinch Valve
KR102153262B1 (ko) 지관 연결용 단지관
US4699404A (en) Flexible PVC coupling--"Flexfix"
KR100770397B1 (ko)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KR10048821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240206B1 (ko)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KR100701459B1 (ko) 맨홀의 이송관 연결구
KR102454257B1 (ko) 하수관 연결구조체
KR102447124B1 (ko) 하수관 결합구조체
KR100689054B1 (ko) 맨홀과 관의 결합구조
KR20040012228A (ko)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KR100398789B1 (ko) 관이음 플랜지
KR20060057491A (ko) 주관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신축 접속구조
KR20060019628A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KR200411385Y1 (ko) 상, 하수도관 연결장치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20180023341A (ko) 파형강관 구조체
KR200381645Y1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 장치
KR101682393B1 (ko) 배수관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