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725B1 - 분기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분기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725B1
KR101957725B1 KR1020170176032A KR20170176032A KR101957725B1 KR 101957725 B1 KR101957725 B1 KR 101957725B1 KR 1020170176032 A KR1020170176032 A KR 1020170176032A KR 20170176032 A KR20170176032 A KR 20170176032A KR 101957725 B1 KR101957725 B1 KR 101957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ranch pipe
branch
pip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덕기
박병연
Original Assignee
유덕기
박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덕기, 박병연 filed Critical 유덕기
Priority to KR102017017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의 분기공이 형성되는 메인관; 상기 분기공에 삽입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에 체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여 분기관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소켓이 쐐기 방식으로 메인관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분기관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그 작업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분기관 및 메인관 사이의 확실한 수밀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그 연결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분기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기관의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the branch pipe}
본 발명은 메인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을 보다 단순한 작업을 통해 수밀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분기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이라 함은 유체의 이송을 위한 것으로, 각종 하ㆍ수도용, 압력배관용, 열교환기용, 구조용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관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 방향을 분류시키기 위해 메인관 일측에 분기관을 연결하여야 할 경우, 메인관 일측에 형성된 분기공과 연통하도록 분기관을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결합시킴으로써, 분기관을 메인관 상에 연결시킨다.
일반적으로, 메인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의 결합은 상기 메인관에 분기관과 동일한 직경으로 분기공을 천공 형성한 후 상기 분기공에 분기관을 끼워 결합하고 용접 또는 열융착 방식으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그 주위에 시멘트몰탈을 발라 수밀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분기관 연결구조는 그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럽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그 작업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분기관 결합구조는 메인관의 내벽으로 분기관이 노출되어 메인관을 따라 흐르는 하수 흐름의 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그 결속상태가 견고하지 않아 지반의 침하 등에 의하여 그 결속상태가 쉽게 파손되고 파손된 부위로 하수가 누수되거나 침출수가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7862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분기관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그 작업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분기관 및 메인관 사이의 확실한 수밀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그 연결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분기관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의 연결구조는 원형의 분기공이 형성되는 메인관; 상기 분기공에 삽입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에 체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켓은 상기 분기공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분기공보다 직경이 큰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 및 단턱부에는 그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은 상기 분기공이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광하협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분기관에는 그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과 대응되는 상광하협구조로 구성되며,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부; 그 타단에 형성되며 타관과 결합되는 관이음부; 상기 가압부 및 관이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관이음부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는 자바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써, 상기 가압부는 상기 중공보다 상하폭이 좁으며, 상기 가압부의 최하단 외경은 상기 중공의 최하단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자바라부의 자세를 고정시키는 자세고정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자세고정부는 상기 관이음부 및 자바라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자바라부보다 직경이 큰 원판부; 일단이 상기 원판부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소켓에 힌지결합되며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의 연결구조는 분기관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소켓이 쐐기 방식으로 메인관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분기관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그 작업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분기관 및 메인관 사이의 확실한 수밀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그 연결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의 연결구조의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의 연결구조에 자세고정부가 더 구성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의 연결구조의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의 연결구조에 자세고정부가 더 구성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메인관(10)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30)을 보다 단순한 작업을 통해 수밀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분기관(30)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0), 소켓(20) 및 분기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메인관(10)에는 분기관(30)이 연통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 분기공(11)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메인관(10)으로는 흄관, PVC관, PE관 또는 금속관 등 그 밖에도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는 원형관 또는 각관 등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켓(20)은 상기 원형의 분기관(3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는 메인관(10)의 외주연에 걸쳐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소켓(20)은 연질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 바, 그 일례로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기관(30)은 상기 소켓(20)에 체결되는 것으로, 분기관(30)과 소켓(20) 간 체결과정에서 상기 소켓(20)이 상기 메인관(10)에 보다 밀착되도록 하여 분기관(30)과 메인관(10) 간에 보다 견고하면서도 수밀성이 향상된 결합구조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소켓(2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소켓(2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1) 및 단턱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분기공(11)에 삽입되도록 그 외경이 상기 분기공(11)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부(23)는 상기 분기공(11)보다 직경을 크게 마련하여 메인관(10)에 분기관(30)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소켓(20)을 상기 분기공(11)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분기공(11)에 삽입되나 상기 단턱부(23)에 의해 소켓(20)이 상기 분기공(11)을 통과하여 낙하하지 않고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부(21) 및 단턱부(23)는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 구조로써 그 중심부에는 상호 간을 연통하는 구조인 중공(23)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23)의 내주연에는 나사산(23a)이 형성되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분기관(30)의 가압부(31)가 상기 중공(23)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공(2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공(11)이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즉,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광하협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 데 이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분기관(30)이 상기 중공(23)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중공(23)을 확관시키는 즉, 쐐기방식으로 소켓(20)과 분기공(11)이 결합되어 상호 간의 수밀하고 견고한 결합구조를 취하도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기관(30)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1), 관이음부(35) 및 자바라부(33)가 포함되는 것으로, 먼저 상기 가압부(31)는 상기 분기관(30)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23)과 대응되는 상광하협구조로 구성되며, 가압부(31)의 외주연에는 나사산(31a)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23)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31)의 상하폭(h1)은 상기 중공(23)의 상하폭(h2)보다 좁으며, 상기 가압부(31)의 최하단 외경(d1)이 상기 중공(23)의 최하단 내경(d2)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는 데, 이는 가압부(31)의 상하폭(h1)이 상기 중공(23)의 상하폭(h2)보다 좁게 구성되므로 상기 가압부(31)가 소켓(20)에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과정에서 최초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가압부(31)가 소켓(20)의 상부에 체결되었다가 도 3b에서와 같이 하측로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상호 간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부(31)가 메인관(10)의 내주연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부(31)의 최하단 외경(d1)이 상기 중공(23)의 최하단 내경(d2)보다 크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가압부(31)가 소켓(20)에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과정에서 먼저, 도 3a에서와 같이 가압부(31)가 소켓(20)의 상부에 체결되었다가 도 3b에서와 같이 점차 그 하부로 위치가 이동되는 바, 그에 따라 더 큰 외경(dl)의 가압부(31)가 상대적으로 내경(d2)이 작은 중공(23)의 하단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므로 소켓(20)의 중공(23)에는 전체적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관(10)의 분기공(11)에 배치된 소켓(20)을 확관시키게 되므로, 분기공(11)과 소켓(20) 그리고 소켓(20)과 분기관(30) 간 쐐기 방식에 의해 서로 견고한 결합구조가 취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관이음부(35)는 다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30)의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수관과 같은 타측으로 연장되는 타관(미도시)과 수밀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타관과의 수밀한 결합을 위해 하나 이상의 홈(부호 미도시)이 외면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바라부(33)는 다방향으로 꺽임가능한 일반적인 자바라구조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31) 및 관이음부(35) 사이에서 서로에 연통구조로 연결되어 일단의 가압부(31)가 소켓(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바라부(33)의 꺽임 제어에 의해 상기 관이음부(35)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바라부(33)의 꺽인 자세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자세고정부(40)가 더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자세고정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부(41) 및 길이조절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판부(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이음부(35)와 자바라부(33)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자바라부(33)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부(42)는 도면에서와 같이 그 일단이 상기 원판부(41)와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소켓(20)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그 양단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즉, 분기관(30) 설치 시에 소켓(20)에 구성되는 힌지와 원판부(41)의 힌지위치를 자바라가 꺽이는 위치로 배치시킨 후 상기 길이조절부(42)의 양단부를 각각 원판부(41)와 소켓(20)에 힌지결합 시킨 후, 그 길이를 좁혀 줌으로써 자바라부(33)가 그 꺽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바라부(33)가 꺽이지 않고 도 1 내지 도 2의 형태인 직선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자바라부(33)의 길이에 맞게 상기 길이조절부(4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펴진 상태로써 지지력을 제공받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길이조절부(42)의 양단 간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는 종래 다양한 기술이 적용가능 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길이조절부(42)의 일단이 상기 소켓(20)이 아닌 메인관(10)에 힌지 결합되어 그 목적이 달성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메인관 11 : 분기공
20 : 소켓 21 : 삽입부
23 : 단턱부 23 : 중공
30 : 분기관 31 : 가압부
33 : 자바라부 35 : 관이음부

Claims (6)

  1. 원형의 분기공이 형성되는 메인관; 상기 분기공에 삽입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에 체결되는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상기 분기공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분기공보다 직경이 큰 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 및 단턱부에는 그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은,
    상기 분기공이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광하협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분기관에는,
    그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과 대응되는 상광하협구조로 구성되며,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부;
    그 타단에 형성되며 타관과 결합되는 관이음부; 및
    상기 가압부 및 관이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관이음부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는 자바라부;가 포함되며,
    상기 자바라부의 자세를 고정시키는 자세고정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자세고정부는,
    상기 관이음부 및 자바라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자바라부보다 직경이 큰 원판부; 및
    일단이 상기 원판부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소켓에 힌지결합되며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의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중공보다 상하폭이 좁으며, 상기 가압부의 최하단 외경은 상기 중공의 최하단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의 연결구조.
  6. 삭제
KR1020170176032A 2017-12-20 2017-12-20 분기관의 연결구조 KR101957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32A KR101957725B1 (ko) 2017-12-20 2017-12-20 분기관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32A KR101957725B1 (ko) 2017-12-20 2017-12-20 분기관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725B1 true KR101957725B1 (ko) 2019-03-14

Family

ID=6575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032A KR101957725B1 (ko) 2017-12-20 2017-12-20 분기관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7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98B1 (ko) 2021-05-21 2022-02-25 (주)아그루코리아 분기 배관용 어댑터
KR2022009368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28Y1 (ko) 1999-11-29 2000-04-15 주식회사삼정파인스 오폐수 수거용 합성수지 분기관 연결구조
KR20100092584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배관 연결 구조
KR20110009152U (ko) * 2010-03-19 2011-09-27 조구호 분기관 형성용 소켓의 기밀유지패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28Y1 (ko) 1999-11-29 2000-04-15 주식회사삼정파인스 오폐수 수거용 합성수지 분기관 연결구조
KR20100092584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배관 연결 구조
KR20110009152U (ko) * 2010-03-19 2011-09-27 조구호 분기관 형성용 소켓의 기밀유지패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68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455896B1 (ko) 2020-12-28 2022-10-18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배관유도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전 유닛
KR102367498B1 (ko) 2021-05-21 2022-02-25 (주)아그루코리아 분기 배관용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390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отводной трубы
US5058934A (en) Flexible and extendible pipe section
US3931992A (en) Universal joint connector
US9932727B2 (en) Flexible drainage assembly
KR101957725B1 (ko) 분기관의 연결구조
US20090021006A1 (en) Coupler for coupling conduits in flow communication
KR20130068911A (ko) 하수관 연결구
KR100932283B1 (ko) 매질주입 및 팽창이 가능한 중공형 링을 구비한 연결관
KR100849527B1 (ko) 맨홀의 관 연결부재
KR200482592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KR100779702B1 (ko) 길이 조정가능한 배관 연결장치
JP4542771B2 (ja) 排水配管構造および排水配管構造の施工方法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KR102454257B1 (ko) 하수관 연결구조체
JP2009243036A (ja) 排水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られる可撓管部材
KR200482505Y1 (ko) 방수용 앵커볼트
KR20040012228A (ko)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
JPH11131582A (ja) 排水管と排水桝との接続装置
KR102447124B1 (ko) 하수관 결합구조체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
KR102644853B1 (ko)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KR20140025214A (ko) 양변기배수구 연결장치
JP5460954B2 (ja) 排水管継手および基礎貫通配管構造
KR102310064B1 (ko) 경사형 방수 슬리브
KR200448884Y1 (ko) 합성수지관용 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