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064B1 - 경사형 방수 슬리브 - Google Patents

경사형 방수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064B1
KR102310064B1 KR1020190138745A KR20190138745A KR102310064B1 KR 102310064 B1 KR102310064 B1 KR 102310064B1 KR 1020190138745 A KR1020190138745 A KR 1020190138745A KR 20190138745 A KR20190138745 A KR 20190138745A KR 102310064 B1 KR102310064 B1 KR 102310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pipe
coupling
coupling socket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004A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19013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0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형 방수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벽 또는 바닥에 매설되어 배관(600)이 관통하게 되는 주름관(100), 상기 주름관(10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너트(200), 상기 주름관(100)이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결합너트(200)에 일측 단부가 체결되는 결합소켓(300), 상기 결합소켓(300)을 관통하는 배관(600)을 감싸며 결합소켓(300)의 타측 단부에 끼워지되, 몸체 중간 지점에서 상기 결합소켓(30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지름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는 쐐기부(420)를 구비하는 패킹(400), 상기 배관(600)을 감싸며 결합소켓(300)의 타측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패킹(400)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쐐기부(420)가 주름관(100)으로 진입되며 패킹(400)이 배관(600) 외주면과 주름관(100) 내주면 사이를 밀폐하도록 하는 조임나사(500)를 포함하여 배관(600)을 콘크리트 벽 또는 바닥을 관통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형 방수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형 방수 슬리브{sleeve}
본 발명은 벽이나 단차가 있는 바닥을 통과시켜 배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의 편의 성이 향상되는 경사형 방수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 및 빌딩 등에는 난방과 연료공급 및 급수를 위하여 여러 종류의 배관이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배관의 주위 즉 건축물의 벽 관통부분은 시멘트모르타르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막게된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며 설치된 배관은 그 배관 내부로 흐르는 내 용물의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피로가 발생하여 균열이 생기게 되고, 그 균열은 바로 내용물의 누수로 이어짐으로 건축물의 벽이 취약해짐은 물론, 배관의 부식이 쉽게 이루어져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슬리브가 사용되는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거푸집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벽에 매설되어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리브는 경질의 직선 관으로 형성되고 있음에 따라 그 두 공간 사이에 높낮이가 큰 경우, 예를 들면 바닥 높이가 낮은 욕실과 상대적으로 바닥 높이가 높은 거실(또는 방)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 경사지게 설치하여야 함에도 경질의 직선 관을 경사지게 설치하기가 어려워 시공에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건축법상 매립되는 관은 이중 배관을 하여여 하므로 방수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9193-0000호(2005.03.09)
본 발명은 굴곡이 용이하여 시공 환경에 맞게 굴곡시켜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사형 방수 슬리브를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벽 또는 바닥에 매설되어 배관이 관통하게 되는 주름관, 상기 주름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너트, 상기 주름관이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결합너트에 일측 단부가 체결되는 결합소켓, 상기 결합소켓을 관통하는 배관을 감싸며 결합소켓의 타측 단부에 끼워지되, 몸체 중간 지점에서 상기 결합소켓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지름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는 쐐기부를 구비하는 패킹, 상기 배관을 감싸며 결합소켓의 타측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패킹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쐐기부가 주름관으로 진입되며 패킹이 배관 외주면과 주름관 내주면 사이를 밀폐하도록 하는 조임나사를 포함하는 경사형 방수 슬리브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관으로 형성됨에 따라 슬리브가 설치되는 지점에 맞게 굴곡시켜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슬리브의 경사각도에 따라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바,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경사형 방수 슬리브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슬리브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슬리브의 단면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슬리브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슬리브의 설치 상태 예시도.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슬리브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슬리브의 단면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슬리브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슬리브의 설치 상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사형 방수 슬리브는 주름관(100)과 상기 주름관(100)에 결합되는 결합너트(200), 결합소켓(300), 패킹, 조임나사(500)를 포함하여서 형성된다.
주름관(100)은 관 외주를 따라 링 형상으로 주름이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주름은 돌출부와 홈부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되어 마디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비교적 자유롭게 굴곡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대략 3~5mm 내외, 상기 홈부는 대략 2~3mm 내외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주름관(10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600)의 지름 등을 고려하여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결합너트(200)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주름관(100)의 외주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너트(200)는 주름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주름관(100)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한 정도로 틈이 형성되는 규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틈에 후술하는 결합소켓(300)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결합너트(200)의 내주에는 그랩돌기(220)가 형성된다. 그랩돌기(220)는 결합너트(200)가 주름관(100)에 결합될 때 주름관(100)의 외주에 형성되는 주름, 즉 상기 홈부에 걸리는 구성으로서, 결합소켓(30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주름관(100)의 끝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위치는 결합너트(200)가 주름관(100)에 결합되었을 때 주름관(100)의 중심을 향하는 쪽 끝단 부분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에 따라 결합너트(200)가 주름관(100)에 결합되면 그랩돌기(220)가 주름관(100) 외주에 형성되는 주름에 걸리게 된다. 그 결과 결합너트(200)가 결합소켓(30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주름관(100)에서 결합너트(200)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물론 결합소켓(300)이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는 결합너트(200)가 진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공지된 그랩링이 결합너트(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과 같은 것으로 그랩링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결합너트(200)가 주름관(100)에서 일 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결합소켓(300)은 관 형상을 이루어 결합너트(200)에 일측 단부가 체결되는 것으로, 주름관(100) 외주면과 결합너트(200)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일단이 끼워지면서 결합너트(200)에 체결된다. 이를 위해 결합소켓(300)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너트(200)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 되게 된다. 그리고 결합소켓(300)의 타측 단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바, 이러한 나사산에 후술하는 조임나사(500)가 결합되게 된다.
결합소켓(300)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소켓(300)은 주름관(100)이 끼워지는 일측 단부와 그 반대편인 타측 단부 사이에 턱(320)이 형성된다. 상기 타측 단부의 지름이 일측 단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에 턱(320)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와 같이 형성되는 턱(320)에 주름관(100)의 끝단이 걸리게 된다. 턱(320)에 의해 주름관(100)이 더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제한되는 것으로, 주름관(100)이 과도하게 결합소켓(300) 내부로 진입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패킹(400)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주름관(100)을 지나 결합소켓(300)을 관통하는 배관(600)이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패킹(400)이 주름관(600)을 감싸게 되는데, 이 상태로 결합소켓(300)의 타측 단부에 끼워진다. 이러한 패킹(400)은 몸체 일측이 외주면에서 상기 구멍에 이르도록 절개되어 있어서 외력에 의해 지름이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패킹(400)은 몸체 중간 지점에서 상기 결합소켓(30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지름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는 쐐기부(420)를 구비한다. 쐐기부(420)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나머지 부분은 주름관(100)의 내주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도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 형상을 이루는 부분은 주름관(100)의 지름보다 약간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따라서 패킹(400)이 결합소켓(300)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패킹(400)이 주름관(10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박히면서 상기 원통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 주름관(100) 내주면 접하면서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밀폐하게 된다. 이때, 패킹(400)은 주름관(100) 내부에 박힌 상태에서 상기 원통 형상의 부분 외주면이 주름관(100)의 내주면과 적어도 두 마디 이상 접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분이 주름관(100)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패킹(400)은 쐐기부(420)의 일부만 주름관(100)에 박힐 수 있고, 달리 쐐기부(420) 전부가 완전히 주름관(100)에 박힐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의 구성인바, 이 구성은 패킹(400)을 분리할 때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조임나사(500)는 몸체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내부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된 볼트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조임나사(500)는 패킹(400)이 결합소켓(300)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소켓(300)에 체결된다.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따라서 조임나사(500)를 조일수록 패킹(400)은 주름관(100)을 향해 전진하게 된다. 그 결과 패킹(400)에 형성되는 쐐기부(420)가 주름관(100)으로 진입하면서 박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는 조임나사(500)와 패킹(400) 사이에 와셔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와셔는 조임나사(500)와 패킹(400) 간에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바, 필요에 따라 채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앞서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형 방수 슬리브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주름관(100)을 설치한다. 거푸집 또는 배근된 철근에 주름관(100)을 고정하는 것인데, 이때 주름관(100)의 끈단이 노출되는 지점에 맞게 주름관(10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주름관(100)을 원하는 만큼 굴곡시키게 된다.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 또는 벽체를 형성한다.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외부로 노출된 주름관(100)의 끝단에 결합너트(200)를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너트(200)를 주름관(100)에 결합시킨 후 결합소켓(300)을 이어서 결합너트(200)에 결합시킬 수 있지만, 달리 결합너트(200)에 결합소켓(30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결합너트(200)를 주름관(100)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결합너트(200)를 독립적으로 주름관(600)에 결합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즉 결합너트(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결합너트(200)와 결합소켓(3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주름관(100)에 배관(600)을 관통시킨다. 이 과정에서 결합너트(200) 쪽으로 노출되는 배관(600)의 끝단에 패킹(400), 와셔가 채택될 경우 와셔까지 끼우고, 마지막으로 조임나사(500)를 배관(600)에 결합시킨다. 그 상태에서 조임나사(500)를 결합소켓(300)에 체결하면 패킹(400)이 결합소켓(300)에 의해 밀리면서 주름관(100)에 박히게 되고, 조임나사(500)를 단단히 조여서 마무리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경사형 방수 슬리브의 시공이 완료되는바, 배관(600)을 수밀이 확보되는 상태로 벽 또는 바닥을 관통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100 : 주름관, 200 : 결합너트,
220 : 그랩돌기, 300 : 결합소켓,
320 : 턱, 400 : 패킹,
420 : 쐐기부, 500 : 조임나사,
600 : 배관.

Claims (8)

  1. 벽 또는 바닥에 매설되어 배관(600)이 관통하게 되는 주름관(100),
    상기 주름관(10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너트(200),
    상기 주름관(100)이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결합너트(200)에 일측 단부가 체결되는 결합소켓(300),
    상기 결합소켓(300)을 관통하는 배관(600)을 감싸며 결합소켓(300)의 타측 단부에 끼워지되, 몸체 중간 지점에서 상기 결합소켓(30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지름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는 쐐기부(420)를 구비하는 패킹(400),
    상기 배관(600)을 감싸며 결합소켓(300)의 타측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패킹(400)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쐐기부(420)가 주름관(100)으로 진입되며 패킹(400)이 배관(600) 외주면과 주름관(100) 내주면 사이를 밀폐하도록 하는 조임나사(50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너트(200) 내주면을 따라 그랩돌기(220)가 형성되되, 상기 그랩돌기(220)는 결합소켓(30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그랩돌기(220)가 주름관(100) 외주에 형성되는 주름에 걸림으로써 결합너트(200)가 결합소켓(30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경사형 방수 슬리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소켓(300)은 내부에 지름이 줄어들며 턱(320)이 형성되어 상기 턱(320)에 주름관(100)의 끝단이 걸려 주름관(100)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게 되는 경사형 방수 슬리브.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400)은 외주면이 주름관(100) 내주면과 적어도 두 마디 이상 접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경사형 방수 슬리브.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38745A 2019-11-01 2019-11-01 경사형 방수 슬리브 KR102310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745A KR102310064B1 (ko) 2019-11-01 2019-11-01 경사형 방수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745A KR102310064B1 (ko) 2019-11-01 2019-11-01 경사형 방수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004A KR20210053004A (ko) 2021-05-11
KR102310064B1 true KR102310064B1 (ko) 2021-10-08

Family

ID=7591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745A KR102310064B1 (ko) 2019-11-01 2019-11-01 경사형 방수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0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245Y1 (ko) * 2006-05-16 2006-08-22 목성균 주름관 연결구의 기밀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193Y1 (ko) 2004-12-09 2005-03-17 국일통상 주식회사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장갑
KR20160001364U (ko) * 2014-10-17 2016-04-27 김대현 배관 보호용 슬리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245Y1 (ko) * 2006-05-16 2006-08-22 목성균 주름관 연결구의 기밀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004A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9485B2 (en) Flexible drainage trap
RU221390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отводной трубы
KR102310064B1 (ko) 경사형 방수 슬리브
JP2020037791A (ja) プレキャスト製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方法
KR20210139046A (ko) 경사형 방수 슬리브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160001364U (ko)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102128485B1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KR200377943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200391116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0762012B1 (ko) 배관보호용 슬리브
KR200421451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0386857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86845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86846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0383223B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설치방법 및 그 건축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0387063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25930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200231586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KR102644853B1 (ko)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건축용 슬리브
KR200350167Y1 (ko)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관
JPH0346032Y2 (ko)
KR200325927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