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927Y1 -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927Y1
KR200325927Y1 KR20-2003-0018035U KR20030018035U KR200325927Y1 KR 200325927 Y1 KR200325927 Y1 KR 200325927Y1 KR 20030018035 U KR20030018035 U KR 20030018035U KR 200325927 Y1 KR200325927 Y1 KR 200325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installation
building wall
pip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20-2003-0018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6Sealing by means of a swivel nut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을 통과하는 각종 배관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잡아주며 보온과 방수 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슬리브 몸체를 동일한 내,외경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자체의 견고성은 물론 제조성 및 설치성을 향상시키고, 또 건축물 벽의 두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높이를 선택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토록 한 것이다.
상기 슬리브(100)는 내,외경의 직경이 상호 동일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너트부(11)를 가지는 결합부(12)와 타측에는 나사부(13)를 가지는 연결부(14)가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연결부(14)에 나사 결합되어 몸체(10)의 길이를 연장토록 하는 길이조절관(20)과; 상기 몸체(10)의 외주연에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는 좁은간격(A)을 가지면서 반대측에는 넓은간격(B)을 가지는 받침대(30)와; 상기 몸체(10)의 내경에 형성되고 조임 링(40)에 의해 패킹(41) 및 압착링(42)이 체결되는 경사면(15);을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Sleeve for building wall pipe protect}
본 고안은 건축물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벽을 통과하는 각종 배관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잡아주며 보온과 방수 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슬리브 몸체를 동일한 내,외경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자체의 견고성은 물론 제조성 및 설치성을 향상시키고, 또 건축물 벽의 두께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높이를 선택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 및 각종 빌딩 등에는 난방을 위한 난방배관을 비롯한 연료공급을 위한 가스관 또는 급수를 위한 수도관 등 여러 종류의 배관이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또 그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며 설치된 배관의 주위 즉 건축물의 벽 관통부분은 시멘트몰탈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마감 처리된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며 설치된 배관은 그 배관 내부로 흐르는 내용물의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피로가 발생하여 균열이 생기게 되며, 그 균열은 바로 내용물의 누수로 이어짐으로 건축물의 벽이 취약해짐은 물론, 배관의 부식이 쉽게 이루어져 사용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인은 선출원으로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00-1131호를 제안한 바 있으며, 이는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그 내부로 배관이 설치됨으로써 이의 배관을 보온 및 방수토록 하여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는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슬리브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의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수환부가 양측에 각각 확장 형성되고, 아울러 배관(60)이 삽입되면서 그 양측으로는 조임 링(71)과 길이조절 링(72)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고 중간 또는 일측에 안쪽으로 밀폐환부(73)가 돌출 형성된 슬리브 몸체(70)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 상기 슬리브몸체(70)의 밀폐환부(73)쪽에서 배관(60)과 압착 밀폐되는 고무재질의 밀폐 링(74) 및 PVC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압착 링(75)이 설치되고, 이의 외측에서 조임링(71)이 슬리브 몸체(7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밀폐 링(74)과 압착 링(75)을 밀폐환부(73)쪽으로 압착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 몸체(70) 양측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링(71) 및 길이조절 링(72)과 배관(60) 사이에는 단열보온 및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단열보온재(8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종래의 구성은 그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밀폐 링(74)이 오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60)을 파지하는 능력이 떨어져 상기 배관(60)을 안전하게 잡아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슬리브 몸체(70)의 내부 중앙에 밀폐 링(74)의 스톱퍼 역할을 하는 밀폐환부(7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 몸체(70)의 제작에 어려움이 있어 슬리브의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아울러 조임 링(71)을 과도하게 조이게 되면 상기 밀폐환부(73)가 떨어져 나가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몸체(70)의 외부에는 그 슬리브 몸체(70)의 견고성을 높여주는 구성이 없이 외관이 미려한 원형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 중에 충격을 주거나 또는 설치작업 중에 충격을 받게되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개선된 구조를 제안하여 선출원한 바 있다.
이는 슬리브 몸체에 견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을 따라 보가 형성되고 밀폐 링도 종래의 밀폐 링에 비해 배관과의 접촉면적은 물론, 슬리브 몸체 내경간에 접촉면적을 많게 하여 기밀성과 배관의 파지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상기 슬리브 몸체의 일측에 그 슬리브 몸체보다 직경이 큰 결합부를 슬리브 몸체와 일체가 되게 형성시켜 조임 링의 분해결합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수밀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의 구성은 슬리브의 몸체 외주면에 보가 형성됨으로써 견고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이는 단순히 보강리브의 기능만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설치시에는 별도의 받침대를 이용하여 설치높이를 조절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슬리브 몸체의 일측에는 이의 내경보다 직경이 큰 결합부가 형성됨으로써 조임 링의 분해결합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서로 다른 경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벽면에 설치시에도 정확한 수평유지가 어려워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슬리브 몸체를 동일한 내,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제조성 및 설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외주연의 일측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받침대를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위치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일측단에는 나선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길이연장관을 손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1의 설치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본체 10:몸체
11:너트부 12:결합부
13:나사부 14:연결부
15:경사면 20:길이조절관
21:너트부 22:플랜지
30:받침대 40:조임 링
60:배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는 내,외경이 동일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외주연의 소정위치에는 상,하부의 간격이 서로 다른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경 일측에는 별도의 조임 링이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를 가지면서 내경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타측단의 외주연에는 별도의 길이연장관이 체결되는 나사부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3은 본 고안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 슬리브의 정면도, 도5는 단면도, 도6은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 중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슬리브(100)는 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 등의 베란다 아래쪽을 통과하는 배관(60)의 기밀 및 방수와 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배관(10)을 통과하는 내용물의 고온고압에 의한 신축현상으로 설치부위의 균열 및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억제하여 누수 및 주변 수분의 침투에 의한 배관(60)의 오염 및 부식됨을 예방해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본 고안의 슬리브(100)는 건축물 벽으로 해당 배관(60)을 통과시키기 전에 상기 건축물 벽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그 내부로 배관(60)이 설치됨으로써 이의 기밀유지 및 방수와 보온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100)는 내,외경의 크기가 동일한 원통형의 몸체(10)로 구성되면서 일측에는 내경에 너트부(11)를 가지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연상에 나사부(13)를 가지는 연결부(14)를 일체로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100)의 몸체(10)는 단일체의 물품으로 형성되면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즉 PVC가 좋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몸체(10)의 총 길이는 건축물 벽의 두께와 동일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연결부(14)를 절단하여 건축물 벽의 두께와 동일하게 조절할 수도 있고, 별도의 길이조절관(2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관(20)은 역시 몸체(10)의 내,외경과 동일한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도 전단에는 내경에 너트부(21)를 가지는 플랜지(22)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즉, 벽의 두께가 몸체(10)의 길이보다 두꺼운 경우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 몸체(10)의 외주연상에는 받침대(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대(30)는 외주연을 따라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면서도 일측은 좁은 간격(A)을 가지면서 반대측은 넓은 간격(B)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받침대(30)는 슬리브 몸체(10)를 벽에 설치시 바닥면으로부터 설치높이를 조절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좁은 간격(A)이 하부로 위치하는 경우는 낮게 설치될 것이고, 넓은 간격(B)이 하부로 위치하는 경우는 다소 높게 설치될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대(30)는 다른 실시예로서, 몸체(10)의 외주연상에 전,후 두 곳 이상에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의 기능을 물론 보강리브로서의 기능도 가지게 된다.
또한, 몸체(10)의 내경에는 즉, 결합부(12)의 너트부(11)가 끝나는 지점에는 내경으로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15)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경사면(15)에는 조임 링(40)에 의해 패킹(41) 및 압착링(42)이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조임 링(40)은 결합부(12)의 너트부(11)에 나사체결되어 패킹(41) 및 압착링(42)을 압착하여 패킹(41)으로 하여금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것으로, 즉 상기 패킹(41)과 압착링(42)은 배관(60)에 끼워져 조임 링(40)의 조임력에 의해배관(60)을 견고하게 잡아주면서도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패킹(41)은 중앙부에 배관(60)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면서도 전단에는 몸체(10)의 경사면(15)에 긴밀히 밀착될 수 있는 경사면을 갖추어 구성되고, 관통공은 가지면서 배관(60)과 억지 끼워 맞춤 할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슬리브 몸체(10)의 타 측에 형성되는 연결부(14)는 경우에 따라 별도의 길이조절관(20)이 체결되는 것으로, 즉, 건축물의 벽이 설정된 몸체(10)의 길이보도 두꺼울 경우에는 별도의 길이조절관(20)을 연결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상기 연결부(14)는 외주연상에 나사부(13)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길이조절관(20)의 플랜지(22)에 형성된 너트부(21)와 나사결합됨으로서 슬리브 몸체(10)의 전체적인 길이를 연장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슬리브 몸체(10)내부나 또는 배관(60)에는 보온단열재를 충입하여 배관(60)을 보온단열 함으로써 외부의 기온변화 영향을 받지 않고 그에 따른 배관의 신축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슬리브(100)는 건축물의 벽을 시공할 당시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이미 시공된 건축물 벽을 공구를 이용하여 설치구멍을 타공한 후 그 타공된 구멍을 통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슬리브(100)는 받침대(30)의 위치에 따라 그 설치에 따른 높낮이가결정되는 것으로, 즉 좁은 간격(A)을 하부로 위치시키게 되면 설치 높이가 낮게 될 것이고, 넓은 간격(B)을 하부로 위치시키게 되면 설치높이가 그 간격만큼 높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슬리브(100)를 이미 시공된 건축물 벽을 타공한 후 그 타공된 구멍에 설치할 때에는 상기 슬리브 몸체(10)의 외부 주연과 타공된 건축물 벽 사이를 마감재 즉 시멘트몰탈이나 실리콘 등을 충입하여 마감 처리한다.
또한 슬리브 몸체(10)를 건축물의 벽 시공할 당시에 설치하고 타 공사를 할 때에는 그 타 공사도중 이물질이 슬리브 몸체(10)내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부(12)의 입구와 연결부(14)의 출구에 각각 별도의 캡으로 막아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100)가 설치완료 되면, 캡을 제거하고 몸체(10) 내부로 배관(60)을 관통시킨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슬리브 몸체(10)를 설치하기 전에 배관(60)을 먼저 건축물 벽에 관통시키고 그 후 슬리브 몸체(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배관(60)이 슬리브 몸체(10)에 관통되게 설치되면 그 배관(60)에 패킹(41)과 압착 링(42) 및 조임 링(40)을 순차적으로 끼워서 조임 링(40)을 결합부(12)에 나사 결합한다.
상기 조임 링(40)을 계속 조여줌으로써 패킹(41)은 경사면(15)에 긴밀히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조임 링(40)의 조임 정도는 조임 링의 회전이 뻑뻑하게 이루어질 때 까지가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한 슬리브(100)는 벽의 두께가 몸체(10)의 전체길이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별도의 길이조절관(20)을 연결부(14)에 나사결합함으로써 그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슬리브(100)는 설치 높낮이에 따라 간단히 뒤집어 설치하는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의 두께에 따라 그 길이도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과 같은 본 고안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는 몸체의 내,외경이 동일하기 구성됨으로써 제조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설치시 수평유지가 용이하여 설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외주연상에 높낮이를 달리하는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슬리브의 설치에 따른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리브의 기능으로서 전체적인 견고성을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또 벽의 두께에 따라 설치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가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건축물의 벽에 설치되어 각종 배관을 보호토록 하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0)는 내,외경의 직경이 상호 동일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너트부(11)를 가지는 결합부(12)와 타측에는 나사부(13)를 가지는 연결부(14)가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연결부(14)에 나사 결합되어 몸체(10)의 길이를 연장토록 하는 길이조절관(20)과;
    상기 몸체(10)의 외주연에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는 좁은간격(A)을 가지면서 반대측에는 넓은간격(B)을 가지는 받침대(30)와;
    상기 몸체(10)의 내경에 형성되고 조임 링(40)에 의해 패킹(41) 및 압착링(42)이 체결되는 경사면(15);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2003-0018035U 2003-06-09 2003-06-09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0325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035U KR200325927Y1 (ko) 2003-06-09 2003-06-09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035U KR200325927Y1 (ko) 2003-06-09 2003-06-09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927Y1 true KR200325927Y1 (ko) 2003-09-06

Family

ID=4941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035U KR200325927Y1 (ko) 2003-06-09 2003-06-09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9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033B1 (ko) * 2020-11-09 2022-01-10 김대현 이중관 연결구조
KR20240027477A (ko) 2022-08-23 2024-03-04 윤람희 배관 보호 튜브 및 배관 보호 튜브의 설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033B1 (ko) * 2020-11-09 2022-01-10 김대현 이중관 연결구조
KR20240027477A (ko) 2022-08-23 2024-03-04 윤람희 배관 보호 튜브 및 배관 보호 튜브의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450A (e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fittings to receptacle
KR200389191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US3285289A (en) Adjustable clean-out means
KR200325927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0396618Y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KR100383223B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설치방법 및 그 건축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100566931B1 (ko) 상수 파이프 고정구
KR200231586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101647280B1 (ko) 플랜지형 지수판
KR200187832Y1 (ko) 방수형 배관슬리브
KR100765851B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용 연결장치
KR200386857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77942Y1 (ko)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0386846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JP3009943U (ja) 二重壁用長さ調節可能の支持部材
KR200325930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200379183Y1 (ko) 벽체 관통용 파이프 설치를 위한 슬리브
KR200377943Y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KR200391116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396441Y1 (ko) 건축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0407976Y1 (ko) 배수관 연결구
KR200302234Y1 (ko) 배수관용 슬리브
CN211597433U (zh) 一种伸出屋面的管道防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