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234Y1 - 배수관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234Y1
KR200302234Y1 KR20-2002-0031783U KR20020031783U KR200302234Y1 KR 200302234 Y1 KR200302234 Y1 KR 200302234Y1 KR 20020031783 U KR20020031783 U KR 20020031783U KR 200302234 Y1 KR200302234 Y1 KR 200302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drain pipe
pipe
synthetic res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영
Original Assignee
박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영 filed Critical 박창영
Priority to KR20-2002-0031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축물의 천장 슬라브 등에 시공되는 배수관 구성부재인 슬리브에서 배수 시에 발생하는 소음 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의 단축으로 인한 원가절감 및 경량화로 인하여 시공성을 배가하고, 사용 중에 임의 분리되거나 누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일소하고 동절기 보온효과 제공 및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배수관용 슬리브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배수관용 슬리브(1)는 나사조절식으로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고정슬리브(2)와 조절슬리브(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1)는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관체(4)와 연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내부 관체(5)를 이중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해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에서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되는 용수가 배수관용 슬리브(1)를 경유할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중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하여 슬리브(1)를 제조함으로써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슬라브의 두께에 따른 호환성 제공, 그리고 제품이 경량화되어 이동 편의성 등으로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 중에 임의 분리되거나 누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일소하고 동절기 보온효과 제공 및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관용 슬리브{Sleeve for drain pipe}
본 고안은 배수관용 슬리브(sleev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축물의 천장 슬라브 등에 시공되는 배수관 구성부재인 슬리브에서 배수 시에 발생하는 소음 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슬라브 두께에 따른 호환성 제공 및 제조공정의 단축으로 인한 원가절감 및 경량화로 인하여 시공성을 배가하고, 사용 중에 임의 분리되거나 누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일소하고 동절기 보온효과 제공 및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배수관용 슬리브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건축물의 상하층 상간에는 배수를 위하여 배수관용 플렌지와 슬리브를 거푸집 시공 시에 철근을 배근 후 배관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믹서를 타설하여 배수관용 플렌지와 슬리브가 상하로 관통될 수 있도록 매립 시공되며, 상기 슬리브에는 엘보를 사용하여 직관을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존 배수관용 슬리브는 고정플렌지와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슬라브의 시공 두께에 따른 호환성은 제공하였지만, 단일의 원통형 관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하 배수관을 이음 후 배수가 행해지면 낙수로 인한 소음이 다대하게 발생하여 아파트 등과 같이 상하 이웃되게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층간소음으로 인한 폐해가 극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소음차단수단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배수관을 이중관으로 구성하거나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소음차단을 얻고자 하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중관으로 구성된 기존의 배수관용 슬리브는 PVC 등의 경질로 이루어진 관체로 구성되어 있어 실제 배수가 행해지면 슬리브에서도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그 제조과정 역시 번거로운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배수관용 슬리브의 개발이 절실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건축물 상하층 사이에 배관되는 배수관용 슬리브에서 배수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배수관용 슬리브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기존 배수관용 슬리브를 하부 고정슬리브와 상부 조절슬리브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중관체로 구성하되, 외부 관체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고, 내부 관체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이중 인서트 사출방식에 의해서 제조되는 신규한 구성의 배수관용 슬리브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결합상태 확대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배수관용 슬리브 2:고정슬리브
3:조절슬리브 4:외부 관체
5:내부 관체 6:결합공
7:플렌지 8:엘보
9:끼움환홈 10:암나사
11:숫나사 12:고정플렌지
13:암나사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배수관용 슬리브(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이의 결합상태 단면 구성도로서, 상기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배수관용 슬리브(1)는 크게 하부의 고정슬리브(2)와 상기 고정슬리브(2)에 나사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슬리브(3)로 이루어지며, 이는 PVC 또는 올레핀계 수지+TPO 와 같은 합성수지재를 경질로 하여 외부 관체(4)를 구성하고, 내부 관체(5)는 전기와 동일한 PVC 또는 올레핀계 수지+TPO 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이중으로 인서트 사출하여 슬리브(1)를 구성한다.
그리고 고정슬리브(2)의 하단부에는 수개의 결합공(6)을 갖는 플렌지(7)를 형성하고, 내연부 하측에는 엘보(8)를 끼움조립할 수 있는 끼움환홈(9)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슬리브(2)의 내연부 상측에는 암나사(10)가 형성되고, 이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숫나사(11)가 조절슬리브(3)의 외연부 하측에 형성되며, 내연부 상측에는 고정플렌지(12)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13)가 형성된다.
도면중의 부호 14는 엘보(8)에 연결되는 직관, 15는 슬리브(1) 상부에 끼움결합되는 캡, 16은 거푸집, 17은 좌변기 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통상의 배수관용 슬리브와 같이 건축물 시공 시에 천장 슬라브에 배관시공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슬라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16)에 슬리브(1)를 고정슬리브(2)의 플렌지(7)상에 형성된 결합공(6)을 통하여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슬리브(1)를 고정하고, 고정슬리브(2)상에 나사결합된 조절슬리브(3)를 암수나사(10,11)에 의해 나사조절하여 슬라브 두께에 맞게 조절한 후, 슬리브(1)의 상부, 즉 조절슬리브(3)상단에는 캡(15)을 끼움결합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리고 슬라브가 축조된 후 조절슬리브(3) 상단에 결합된 캡(15)을 분리한 후 고정플렌지(12)를 암나사(13)를 이용하여 나사결합시킨다. 고정플렌지(12)의 높이는 슬라브 상부에 시공되는 방수시트 및 시멘모르타르, 그리고 타일 등이 시공되었을 때 바닥면 상면과 일치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시공고정된 배수관에 좌변기(17) 등을 시공코자 할 시는 고정플렌지(12)와 좌변기(17)를 볼트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하면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시공 후 좌변기(17) 등을 사용하여 하수가 배수될 시 배수관의 고정플렌지(12)와 연결된 슬리브(1), 엘보(8), 직관(14)을 통하여 하수가 배수되는 바, 이때 본 고안의 슬리브(1)는 경질과 연질 합성수지재로 일체 구성된 외부 관체(4)와 내부 관체(5)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내부 관체(5)에 하수가 배수될 시에 소음과 충격을 흡수하여 외부 관체(4)에는 전혀 소음이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배수관용 슬리브(1)는 나사조절식으로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고정슬리브(2)와 조절슬리브(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1)는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관체(4)와 연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내부 관체(5)를 이중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해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에서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되는 용수가 배수관용 슬리브(1)를 경유할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중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하여 슬리브(1)를 제조함으로써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슬라브의 두께에 따른 호환성 제공, 그리고 제품이 경량화되어 이동 편의성 등으로 시공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 중에 임의 분리되거나 누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일소하고 동절기 보온효과 제공 및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건축물 슬라브 등에 배관시공되는 배수관용 슬리브(1)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용 슬리브(1)는 하부의 고정슬리브(2)와 상기 고정슬리브(2)에 나사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슬리브(3)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슬리브(2)와 조절슬리브(3)는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외부 관체(4) 내연부에 연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내부 관체(5)를 이중으로 인서트 사출구성하며,
    상기 고정슬리브(2)의 하단부에는 수개의 결합공(6)을 갖는 플렌지(7)를 형성하고, 내연부 하측에는 엘보(8)를 끼움조립할 수 있는 끼움환홈(9)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슬리브(2)의 내연부 상측에는 암나사(10)가 형성되고, 이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숫나사(11)가 조절슬리브(3)의 외연부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슬리브(3)의 내연부 상측에는 고정플렌지(12)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슬리브.
KR20-2002-0031783U 2002-10-24 2002-10-24 배수관용 슬리브 KR200302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83U KR200302234Y1 (ko) 2002-10-24 2002-10-24 배수관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83U KR200302234Y1 (ko) 2002-10-24 2002-10-24 배수관용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234Y1 true KR200302234Y1 (ko) 2003-02-05

Family

ID=4939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783U KR200302234Y1 (ko) 2002-10-24 2002-10-24 배수관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23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1447B2 (en) 2016-09-12 2020-07-14 Zurn Industries, Llc Adjustable floor drain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2237343B1 (ko) * 2020-10-20 2021-04-07 (주)세이프코리아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US11078658B2 (en) 2018-04-17 2021-08-03 Zurn Industries, Llc Cover assembly and methods
KR102390489B1 (ko) * 2021-08-24 2022-04-25 ㈜세이프코리아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1447B2 (en) 2016-09-12 2020-07-14 Zurn Industries, Llc Adjustable floor drain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1268271B2 (en) 2016-09-12 2022-03-08 Zurn Industries, Llc Adjustable floor drain
US11591787B2 (en) 2016-09-12 2023-02-28 Zurn Industries, Llc Adjustable floor drain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1828055B2 (en) 2016-09-12 2023-11-28 Zurn Industries, Llc Adjustable floor drain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1078658B2 (en) 2018-04-17 2021-08-03 Zurn Industries, Llc Cover assembly and methods
KR102237343B1 (ko) * 2020-10-20 2021-04-07 (주)세이프코리아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KR102390489B1 (ko) * 2021-08-24 2022-04-25 ㈜세이프코리아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288B1 (en) Waterproof base and methods of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thereof
US10190305B2 (en) Drainage system
US20230035222A1 (en) Tile floor drain
KR200302234Y1 (ko) 배수관용 슬리브
KR20120000403U (ko) 상하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세면대용 배수관 어셈블리
KR102234349B1 (ko) 가변형 루프 드레인
KR200393504Y1 (ko)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KR200307686Y1 (ko) 배수관용 편심형 고정플렌지
KR200307685Y1 (ko) 배수관용 고정플렌지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KR200421451Y1 (ko) 욕실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
KR200302230Y1 (ko) 배수관용 직관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200302231Y1 (ko) 배수관용 직관
KR200383150Y1 (ko) 오수관 겸용 세면기 수전고정대
KR200495342Y1 (ko) 입상 배관 조립체 및 그 입상 배관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KR200244697Y1 (ko) 발코니 배수장치
JPH11315621A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200307688Y1 (ko) 배수관용 엘보
KR200307687Y1 (ko) 배수관용 엘보
KR100646039B1 (ko)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AU2007221917B2 (en) A down pipe
KR200148003Y1 (ko) 빗물전용 드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