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489B1 -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489B1
KR102390489B1 KR1020210111441A KR20210111441A KR102390489B1 KR 102390489 B1 KR102390489 B1 KR 102390489B1 KR 1020210111441 A KR1020210111441 A KR 1020210111441A KR 20210111441 A KR20210111441 A KR 20210111441A KR 102390489 B1 KR102390489 B1 KR 10239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ight adjustment
sewage
joint adapter
adjustme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언
Original Assignee
㈜세이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프코리아 filed Critical ㈜세이프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1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각층 슬리브(매립형 슬리브)를 기준으로 층별 단위식 연결되는 오수 및 하수관용 입상파이프가 높이조절관과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입상파이프와 높이조절관 사이에는 입상파이프의 사상(내경 절삭) 작업 유무와 상관없이 끼움조립 관경 간 발생된 단차 갭(내외경 공차 또는 스핀돌기에 의한 내경과의 이격된 틈)을 간단히 막거나 메우면서 실링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어댑터가 장착되도록 하는 바, 이는 입상파이프의 번거로운 사상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 관경 간 끼움 조립 연결시 이음부의 기밀 확보가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조인트 어댑터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되, 취급과 시공 설치작업이 우수하며 정밀한 조립 장착성에 의해 세대 간 냄새나 악취, 소음이 전달이 원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Joint adapter for sewage sewage pipe with sealing structure}
본 발명은 각층 슬리브(매립형 슬리브)를 기준으로 층별 단위식 연결되는 오수 및 하수관용 입상파이프가 높이조절관과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입상파이프와 높이조절관 사이에는 입상파이프의 사상(내경 절삭) 작업 유무와 상관없이 끼움조립 관경 간 발생된 단차 갭(내외경 공차 또는 스핀돌기에 의한 내경과의 이격된 틈)을 간단히 막거나 메우면서 실링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어댑터가 장착되도록 하는 바, 이는 입상파이프의 번거로운 사상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 관경 간 끼움 조립 연결시 이음부의 기밀 확보가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조인트 어댑터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되, 취급과 시공 설치작업이 우수하며 정밀한 조립 장착성에 의해 세대 간 냄새나 악취, 소음이 전달이 원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매립형 슬리브의 하단에 높이조절관이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높이조절관의 하단 수나사부는 2중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로커너트에 의해 입상파이프(조인트 어댑터가 결합된 상태)의 높낮이 조절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세팅 위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층간 슬래브(Slab/ 천정층이거나 바닥층에 해당)에는 다양한 배관들의 수직 관통 및 연결 이음을 위해 슬리브(Sleeve)가 형성된다.
이러한 슬리브(Sleeve)는 결합되는 배관의 일 실시예로서 상하측 단부에 하수 및 오수관이 입상파이프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하수 및 오수관용 입상파이프는 상하로 길게 세워진 수직관 형태로서 건축물의 설계 조건에 따라 현장마다 서로 상이한 높낮이 차를 가질 수 있게 되는데, 이때의 입상파이프와 슬리브(Sleeve) 간의 조립시에는 발생된 간격 공차를 감안하여 별도로 연결소켓이 삽입 부가되어 모자란 구간을 채우면서 연결 이음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소켓은 단위식 적층 구조로 형성된 마디 형태로 된 것으로서, 각각 밀리미터 또는 센티미터로 정해진 확정높이(두께)를 갖게 되는 바, 이러한 확정높이(두께)는 높낮이에 대한 미세 조절이 어려워 사용이 곤란한 현장에서는 적용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어 왔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슬리브와 결합되는 높이조절관을 개발하여 특허 등록받은 바 있다.(등록 특허 제10-2209778호: 출원인 세이프코리아, 영진공영 - 이하 '선행특허' 라 함)
그러나, 이러한 선행특허는 슬리브의 상측부를 기준으로 복수의 부속들이 업다운 높이조절을 도모하는 것으로 생산성과 경제성 및 조립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선행특허는 오수 및 하수관과 슬리브 간 이음 결합시 관경의 공차 갭이 발생되면 그 단차로 세대 간 냄새, 악취 및 소음이 흘러나가 주거 환경을 열악하게 만드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만국 특허등록 제10-1690021호(2016.12.21.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공공 건축물에 있어서, 각층 슬리브(매립형 슬리브)를 기준으로 층별 단위식 연결되는 오수 및 하수관용 입상파이프가 높이조절관과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입상파이프와 높이조절관 사이에는 입상파이프의 사상(내경 절삭) 작업 유무와 상관없이 끼움조립 관경 간 발생된 단차 갭(내외경 공차 또는 스핀돌기에 의한 내경과의 이격된 틈)을 간단히 막거나 메우면서 실링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어댑터가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입상파이프의 번거로운 사상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 관경 간 끼움 조립 연결시 이음부의 기밀 확보가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조인트 어댑터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되, 취급과 시공 설치작업이 우수하며 정밀한 조립 장착성에 의해 세대 간 냄새나 악취, 소음이 전달이 원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매립형 슬리브의 하단에 높이조절관이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높이조절관의 하단 수나사부는 2중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로커너트에 의해 입상파이프(조인트 어댑터가 결합된 상태)의 높낮이 조절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세팅 위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공형 관체의 하단부에 단턱 형태의 끼움홈(110)이 형성되어 층별 단위식 입상파이프(20: 예를 들어, 오수 하수관용 KS파이프 또는 스핀파이프)의 상단 개구부(21)가 끼워지도록 하되, 끼움홈(110)의 상단부에는 기준 내경(d)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걸침턱(120)의 바깥측 부분에 장착관(130)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슬리브(10)의 결합홈(11)으로부터 탈부착되는 높이조절관(200)의 하단 수나사부(210)가 삽입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끼움홈(110)과 입상파이프(20)의 상단 개구부(21)가 끼움 결합되는 사이에는 고무패드(140)가 삽입되어 세대 간 냄새, 악취,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110)은 일측 단면 형상이 기억자(ㄱ)로 꺽인 엘보형 단턱 형태이거나, '∩' 터널 형태로 된 요홈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에 관한 실시예로서, 중공형 관체로 된 조인트 어댑터(100)의 하단부에 단턱 형태의 끼움홈(110)이 형성되어 층별 단위식 입상파이프(20: 예를 들어, 오수 하수관용 KS파이프 또는 스핀파이프)의 상단 개구부(21)가 끼워지도록 하는 제1단계(S100)와; 끼움홈(110)의 상단부에는 기준 내경(d)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걸침턱(120)의 바깥측 부분에 장착관(130)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슬리브(10)의 결합홈(11)으로부터 탈부착되는 높이조절관(200)의 하단 수나사부(210)가 삽입 조립되도록 하는 제2단계(S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높이조절관(200)의 하단 수나사부(210) 외주면 일측에 내입홈(220)이 형성되어 고무패킹(230)이 삽입되도록 형성(세대 간 냄새, 악취, 소음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관(200)의 하단 수나사부(210)는 2중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로커너트(240: 높이 조정 후 위치 고정용)에 의한 조임 풀림시 세팅 높이를 빠르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관(200)의 상단 장착부(250)는 매립형 슬리브(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어 슬리브->높이조절관->조인트 어댑터->입상파이프로 연결되는 일련의 배수로가 구비되도록 형성(조립)된다.
이에, 상기 높이조절관(200)의 내경 중에서 상단 장착부(250)와 하단 수나사부(210)의 연결지점에는 단턱부(26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단턱부(260)에는 플렌지(271)와 스핀돌기(272)를 갖는 스핀 컵(270)이 장착되어 물의 흐름이 직수되지 않고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식 낙하되면서 낙수 소음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입상파이프(20)는 스핀파이프일 경우 2중관 형태로서 내부 합성수지관(22)의 내경에 스핀 라인돌기(23)가 형성되어 상단 개구부(21) 일부분을 사상(절삭) 작업한 후 조인트 어댑터의 꺽임홈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입상파이프와 높이조절관 사이에 입상파이프의 사상(내경 절삭) 작업 유무와 상관없이 끼움조립 관경 간 발생된 단차 갭(내외경 공차 또는 스핀돌기에 의한 내경과의 이격된 틈)을 간단히 막거나 메우면서 실링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어댑터가 장착되도록 하는 바, 이는 입상파이프의 번거로운 사상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 관경 간 끼움 조립 연결시 이음부의 기밀 확보가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인트 어댑터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되, 취급과 시공 설치작업이 우수하며 정밀한 조립 장착성에 의해 세대 간 냄새나 악취, 소음이 전달이 원천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매립형 슬리브의 하단에 높이조절관이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높이조절관의 하단 수나사부는 2중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로커너트에 의해 입상파이프(조인트 어댑터가 결합된 상태)의 높낮이 조절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세팅 위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가 장착된 각 층 슬리브 구간 실시 예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어댑터의 상세 예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관의 상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인트 어댑터(100)는 중공형 관체로서 하단부에 단턱 형태의 끼움홈(110)이 형성되어 층별 단위식 입상파이프(20: 예를 들어, 오수 하수관용 KS파이프 또는 스핀파이프)의 상단 개구부(21)가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KS파이프는 합성수지재로 된 단일 재질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스핀파이프는 외피와 내피가 2중으로 된 복수의 재질로 압출 또는 사출 가공되는 파이프이다.
참고로, 상기 스핀파이프는 오수 하수가 낙수시 물이 바로 흘러내리지 않고 내경 중 원주방향으로 선회 회전하면서 떨어지도록 내부에 긴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다.
즉, 상기 나선형 돌기는 기본 내경에 비해 중심축선을 향해 돌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돌출 단면은 슬리브나 또는 높이조절관에 끼움시 간격이 발생하는 단차 갭을 유발하여 타세대(아래세대)로부터 악취나 냄새가 올라오게 되며 특히 물떨어지는 소음이 그대로 전달되는 통로가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입상파이프의 상단과 높이조절관 또는 입상파이프와 슬리브 간 연결시 조인트 어댑터를 통해 조립하도록 함으로서, 상술한 단차 갭 문제를 해소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110)의 상단부에는 기준 내경(d)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걸침턱(120)의 바깥측 부분에 장착관(130)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슬리브(10)의 결합홈(11)으로부터 탈부착되는 높이조절관(200)의 하단 수나사부(210)가 삽입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슬리브(10)는 도 1 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층 콘크리트 층에 매립되는 매립형 슬리브로서, 하단부에 내화충전재(13)가 수납되는 수납홈(12)이 별도로 형성되고, 높이조절관의 상단 장착부 또는 실시예에 따라 입상파이프의 상단 개구부 자체가 바로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결합홈(11)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끼움홈(110)과 입상파이프(20)의 상단 개구부(21)가 끼움 결합되는 사이에는 고무패드(140)가 삽입되어 세대 간 냄새, 악취,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110)은 일측 단면 형상이 기억자(ㄱ)로 꺽인 엘보형 단턱 형태이거나, '∩' 터널 형태로 된 요홈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에 관한 실시예로서, 제1단계(S100)와 제2단계(S2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제1단계(S100)는 중공형 관체로 된 조인트 어댑터(100)의 하단부에 단턱 형태의 끼움홈(110)이 형성되어 층별 단위식 입상파이프(20: 예를 들어, 오수 하수관용 KS파이프 또는 스핀파이프)의 상단 개구부(21)가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단계(S200)는 끼움홈(110)의 상단부에는 기준 내경(d)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걸침턱(120)의 바깥측 부분에 장착관(130)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슬리브(10)의 결합홈(11)으로부터 탈부착되는 높이조절관(200)의 하단 수나사부(210)가 삽입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높이조절관(200)의 하단 수나사부(210) 외주면 일측에 내입홈(220)이 형성되어 고무패킹(230)이 삽입되도록 형성(세대 간 냄새, 악취, 소음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관(200)의 하단 수나사부(210)는 2중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로커너트(240: 높이 조정 후 위치 고정용)에 의한 조임 풀림시 세팅 높이를 빠르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관(200)의 상단 장착부(250)는 매립형 슬리브(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어 슬리브->높이조절관->조인트 어댑터->입상파이프로 연결되는 일련의 배수로가 구비되도록 형성(조립)된다.
이에, 상기 높이조절관(200)의 내경 중에서 상단 장착부(250)와 하단 수나사부(210)의 연결지점에는 단턱부(26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단턱부(260)에는 플렌지(271)와 스핀돌기(272)를 갖는 스핀 컵(270)이 장착되어 물의 흐름이 직수되지 않고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식 낙하되면서 낙수 소음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스핀 컵의 플렌지는 단턱부에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로부터 밑으로 연장된 통관은 높이조절관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도록 하되, 상기 스핀 컵의 통관 내부에는 스핀돌기가 형성되어 물의 흐름이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하면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소음 방지)
이때, 상기 입상파이프(20)는 스핀파이프일 경우 2중관 형태로서 내부 합성수지관(22)의 내경에 스핀 라인돌기(23)가 형성되어 상단 개구부(21) 일부분을 사상(절삭) 작업한 후 조인트 어댑터의 꺽임홈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슬리브 11 ... 결합홈
20 ... 입상파이프 21 ... 상단 개구부
100 ... 조인트 어댑터 110 ... 끼움홈
120 ... 걸침턱 130 ... 장착관
140 ... 고무패드
200 ... 높이조절관 210 ... 하단 수나사부
220 ... 내입홈 230 ... 고무패킹
240 ... 로커너트 250 ... 상단 장착부
260 ... 단턱부 270 ... 스핀 컵
271 ... 플렌지 272 ... 스핀돌기

Claims (3)

  1. 중공형 관체의 하단부에 단턱 형태의 끼움홈(110)이 형성되어 층별 단위식 입상파이프(20)의 상단 개구부(21)가 끼워지도록 하되, 끼움홈(110)의 상단부에는 기준 내경(d)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걸침턱(120)의 바깥측 부분에 장착관(130)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슬리브(10)의 결합홈(11)으로부터 탈부착되는 높이조절관(200)의 하단 수나사부(210)가 삽입 및 조립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10)과 입상파이프(20)의 상단 개구부(21)가 끼움 결합되는 사이에는 고무패드(140)가 삽입되어 세대 간 냄새, 악취,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관(200)은 높이조절관(200)의 하단 수나사부(210) 외주면 일측에 내입홈(220)이 형성되어 고무패킹(23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관(200)의 하단 수나사부(210)는 2중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로커너트(240)에 의한 조임 풀림시 높이 조정 후 위치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세팅 높이를 빠르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관(200)의 내경 중에서 상단 장착부(250)와 하단 수나사부(210)의 연결지점에는 단턱부(26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단턱부(260)에는 플렌지(271)와 스핀돌기(272)를 갖는 스핀 컵(270)이 장착되어 물의 흐름이 직수되지 않고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식 낙하되면서 낙수 소음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2. 삭제
  3. 삭제
KR1020210111441A 2021-08-24 2021-08-24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 KR10239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41A KR102390489B1 (ko) 2021-08-24 2021-08-24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41A KR102390489B1 (ko) 2021-08-24 2021-08-24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489B1 true KR102390489B1 (ko) 2022-04-25

Family

ID=8145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441A KR102390489B1 (ko) 2021-08-24 2021-08-24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4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34Y1 (ko) * 2002-10-24 2003-02-05 박창영 배수관용 슬리브
KR101114170B1 (ko) * 2009-07-24 2012-02-22 윤치호 건축물의 층간 배수관 파이프
KR101690021B1 (ko) 2016-01-19 2016-12-27 주식회사 메이크순 슬리브형 배관연결구
KR102270215B1 (ko) * 2020-12-14 2021-06-25 황혜자 층고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설치되는 입상 배관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34Y1 (ko) * 2002-10-24 2003-02-05 박창영 배수관용 슬리브
KR101114170B1 (ko) * 2009-07-24 2012-02-22 윤치호 건축물의 층간 배수관 파이프
KR101690021B1 (ko) 2016-01-19 2016-12-27 주식회사 메이크순 슬리브형 배관연결구
KR102270215B1 (ko) * 2020-12-14 2021-06-25 황혜자 층고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설치되는 입상 배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450A (en)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fittings to receptacle
US9663934B2 (en) Floating nipple assemblies for wax free installation of new and existing toilets
US20100123307A1 (en) Extendable Flange Apparatus and Methods
US20240060285A1 (en) Through-Floor Combination Tub and Surface Drain
KR102390489B1 (ko) 관경 단차 갭에 대하여 실링구조를 갖는 오수 하수관용 조인트 어댑터 및 상기 조인트 어댑터를 이용한 오수 하수관 시공방법
JP5483924B2 (ja) 排水管継手及びこの排水管継手を用いた排水構造
JP4685573B2 (ja) 排水管継手及びこれを用いた排水管構造
CN101832436A (zh) 预埋式防渗漏排水管接头
JP2022061254A (ja) 排水配管継手
KR20140010222A (ko) 양변기 배수구 연결장치
CN109235609A (zh) 一种装配式建筑排水预埋管件
KR102209778B1 (ko)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KR200492266Y1 (ko) 오수 배수관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2237343B1 (ko) 하수 및 오수관용 내화충전 가변형 슬리브
KR200495342Y1 (ko) 입상 배관 조립체 및 그 입상 배관 조립체의 시공방법
US20220333366A1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floor drains
RU27419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US3479060A (en) Plumbing connection
JP5460954B2 (ja) 排水管継手および基礎貫通配管構造
KR102622493B1 (ko) 하수,오수관 슬리브용 어댑터형 소켓 고정틀
KR20230171613A (ko) 배수관 연결구
KR102570716B1 (ko) 관통 슬리브
KR102036008B1 (ko) 벽걸이형 소변기 조립체
CN216344429U (zh) 一种止水套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